KR101015535B1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535B1
KR101015535B1 KR1020080106975A KR20080106975A KR101015535B1 KR 101015535 B1 KR101015535 B1 KR 101015535B1 KR 1020080106975 A KR1020080106975 A KR 1020080106975A KR 20080106975 A KR20080106975 A KR 20080106975A KR 101015535 B1 KR101015535 B1 KR 10101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metal layer
conductivity type
input signal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008A (ko
Inventor
조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10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5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Wire Bond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치 않는 입력신호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과, 상기 필드 산화막 상에 형성된 다층 메탈층과, 상기 다층 메탈층 중 최상위 메탈층 상에 형성된 패키지 본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에 제 1 도전형 웰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구성된 정션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는 상기 정션 다이오드로 인한 리버스 정션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의 인가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드 볼, 필드 산화막, 정션 다이오드

Description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치 않는 입력신호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패드 부분은 다층 구조의 메탈층을 사용하며, 기판 상태의 칩을 패키지 상태로 만들 때 패키지 핀(pin)에 연결할 수 있도록 패키지 볼 본딩(Package ball bonding)에 의해 접합선(Bonding wire)을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데미지로 인한 입력신호 침투의 개선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의 패드 부분에서 기판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위에 복수의 메탈층을 적층한 후, 후속 패키지 공정에서 패키지 볼 본딩(Package ball bonding)을 복수의 메탈층 상에 형성하는 경우 패키지 볼 본딩 데미지에 의해 하부의 필드 산화막에까지 데미지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필드 산화막이 데미지를 입을 경우 원하지 않는 입력 신호가 필드 산화막 아래의 기판에 침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불안정한 동작이 유발되어 제품의 오동작 등 치명적 불량을 유발하여 소자의 신뢰성에 치명적이 악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드 산화막의 데미지를 방지하거나 입력 신호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치 않는 입력신호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과, 상기 필드 산화막 상에 형성된 다층 메탈층과, 상기 다층 메탈층 중 최상위 메탈층 상에 형성된 패키지 본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에 제 1 도전형 웰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구성된 정션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는 상기 정션 다이오드로 인한 리버스 정션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의 인가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에 침투된다 하더라도 반도체 기판에 추가 적용된 정션에 의해 원하지 않는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전체 반도체 소자 중 본 발명과 관련된 패드 영역만을 도시하였다. 이외의 영역은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시를 생략하 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입력신호가 저전압(Low Voltage)인 경우에 적용되는 실시예로써,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20)과, 필드 산화막(20) 상에 형성된 다층 메탈층(40, 60, 80)과, 다층 메탈층 중 최상위 메탈층(80) 상에 형성된 패키지 본드 볼(110)을 포함하며,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는 제 1 도전형 웰(130)과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전형 웰(130)은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 에피택셜(epitaxial) 공정에 의해 N-형 웰 또는 P-형 웰로 형성된다.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은 제 1 도전형 웰(130)이 형성된 후에 제 1 도전형 웰(130)의 내부에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이온 주입을 통해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 표면에 형성된다.
필드 산화막(20)은 제 1 도전형 웰(130)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이 형성된 후, 반도체 기판(10) 상에 oxide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다층 메탈층(40, 60, 80)은 제 1 메탈층(40), 제 2 메탈층(60) 및 제 3 메탈층(80)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메탈층(40)은 필드 산화막(20)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30) 상부에 형성된다. 제 1 메탈층(40) 상에는 제 2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되고, 제 2 층간 절연막(50)을 패터닝하여 제 1 메탈층(40)을 노출시키는 홀(Hole)을 형성하고, 홀을 금속으로 매립하여 제 1 비아(90)가 형성된다.
제 2 메탈층(60)은 제 2 층간 절연막(50)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메 탈층(60)은 제 1 비아(90)를 통해 제 1 메탈층(40)과 전기적을 연결될 수 있다. 제 2 메탈층(60) 상에는 제 3 층간 절연막(70)이 형성되고, 제 3 층간 절연막(70)을 패터닝하여 제 2 메탈층(60)을 노출시키는 홀(Hole)을 형성하고, 홀을 금속으로 매립하여 제 2 비아(100)가 형성된다.
제 3 메탈층(80)은 제 3 층간 절연막(70)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메탈층(80)은 제 2 비아(100)를 통해 제 2 메탈층(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패키지 본드 볼(130)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키지 본드 볼(130)은 메탈금속으로 만들어지며, 기판 상태의 칩을 패키지 상태로 만들 때 패키지 핀(pin)(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접합선(Bonding wire)(미도시)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 미리 제 1 도전형 웰(130)과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으로 이루어진 저전압 정션 다이오드(Low Voltage Jnction Diode)를 추가삽입함으로써,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저전압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에 침투하더라도 저전압 정션 다이오드로 인한 리버스 정션(Reverse Junction)에 의해 원하지 않는 저전압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1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도 전체 반도체 소자 중 본 발명과 관련된 패드 영역만을 도시하였다. 이외의 영역은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시를 생략하 기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입력신호가 고전압(High Voltage)인 경우에 적용되는 실시예로써,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20)과, 필드 산화막(20) 상에 형성된 다층 메탈층(40, 60, 80)과, 다층 메탈층 중 최상위 메탈층(80) 상에 형성된 패키지 본드 볼(110)을 포함하며,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는 제 1 도전형 딥(deep) 웰(120), 제 1 도전형 웰(130)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전형 딥 웰(120)은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 고농도 에피택셜(epitaxial) 공정에 의해 N-형 딥 웰 또는 P-형 딥 웰로 형성된다.
제 1 도전형 웰(130)은 제 1 도전형 딥 웰(120)이 형성된 후에, 제 1 도전형 딥 웰(120)의 내부에 제 1 도전형 딥 웰(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에피택셜(epitaxial) 공정에 의해 N-형 웰 또는 P-형 웰로 형성된다.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은 제 1 도전형 웰(130)이 형성된 후에 제 1 도전형 웰(130)의 내부에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 이온 주입을 통해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 표면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10)의 패드 영역에 미리 제 1 도전형 웰(130)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140)에 제 1 도전형 딥 웰(120)까지 추가되어 이루어진 고전압 정션 다이오드(Low Voltage Jnction Diode)를 추가삽입함으로써,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고전압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에 침투하더라도 고전압 정션 다이오드로 인한 리버스 정션(Reverse Junction)에 의해 원하지 않는 고전압 입력 신호가 반도체 기판(1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반도체 기판 20: 필드 산화막
30: 제 1 층간 절연막 40: 제 1 메탈층
50: 제 2 층간 절연막 60: 제 2 메탈층
70: 제 3 층간 절연막 80: 제 3 메탈층
90: 제 1 비아 100: 제 2 비아
110: 패키지 본드 볼 120: 제 1 도전형 딥 웰
130: 제 1 도전형 웰 140: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

Claims (7)

  1.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 상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과,
    상기 필드 산화막 상에 형성된 다층 메탈층과,
    상기 다층 메탈층 중 최상위 메탈층 상에 형성된 패키지 본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패드 영역에 제 1 도전형 웰 및 제 1 도전형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구성된 정션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패키지 볼 본드 데미지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는 상기 정션 다이오드로 인한 리버스 정션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의 인가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 웰 하부에 제 1 도전형 딥(Deep) 웰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 딥 웰은 고농도 에피택셜 공정을 통해 형성된 N-형 딥 웰 또는 P-형 딥 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도전형 웰은 저농도 에피택셜 공정을 통해 형성된 N-형 웰 또는 P-형 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메탈층은 각각의 메탈층 사이에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고, 서로 다수의 비아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입력신호가 저전압(Low Voltage)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입력신호가 고전압(High Voltage)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80106975A 2008-10-30 2008-10-30 반도체 소자 KR10101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75A KR101015535B1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75A KR101015535B1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08A KR20100048008A (ko) 2010-05-11
KR101015535B1 true KR101015535B1 (ko) 2011-02-16

Family

ID=4227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975A KR101015535B1 (ko) 2008-10-30 2008-10-30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343A (ja) 1985-05-29 1986-12-0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KR19990066039A (ko) * 1998-01-21 1999-08-16 구본준 반도체장치의 이에스디회로 성능향상을 위한 패드
JP2002198374A (ja) * 2000-10-16 2002-07-12 Sharp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6628A (ja) 2006-12-29 2008-07-17 Denso Corp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343A (ja) 1985-05-29 1986-12-0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KR19990066039A (ko) * 1998-01-21 1999-08-16 구본준 반도체장치의 이에스디회로 성능향상을 위한 패드
JP2002198374A (ja) * 2000-10-16 2002-07-12 Sharp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6628A (ja) 2006-12-29 2008-07-17 Denso Corp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008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2515B2 (en) Chip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8952497B2 (en) Scribe lines in wafers
US766324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waf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64356B1 (ko) 칩 패키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289092A1 (en) Power mosfet package
KR20130053338A (ko) Tsv 구조를 구비한 집적회로 소자
US759269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dummy electrode
KR20100045836A (ko)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WO2005088702A1 (ja) 半導体装置
CN108155155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101127237B1 (ko) 반도체 집적회로
KR101015535B1 (ko) 반도체 소자
JP2016129161A (ja) 半導体装置
JP2020043200A (ja) 半導体装置
US9711478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n anti-pad peeling structure and associated method
KR101480537B1 (ko) 발광 다이오드 장치
CN108091628A (zh) 半导体装置
JP2012243930A (ja) 半導体装置、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966330B2 (ja) 半導体チップ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6133611B2 (ja) 半導体装置
JP2013197516A (ja) 半導体装置
KR10113349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352321B (zh) 半导体装置
US20160372437A1 (en) Semiconductor package
TW202111829A (zh) 封裝組件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