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836A -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836A
KR20100045836A KR1020080104952A KR20080104952A KR20100045836A KR 20100045836 A KR20100045836 A KR 20100045836A KR 1020080104952 A KR1020080104952 A KR 1020080104952A KR 20080104952 A KR20080104952 A KR 20080104952A KR 20100045836 A KR20100045836 A KR 20100045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ing
conductive layer
ring patterns
layer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530B1 (ko
Inventor
한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30B1/ko
Priority to US12/588,437 priority patent/US8274080B2/en
Publication of KR2010004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585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plates or strips or rods or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5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prior to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웨이퍼 상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 칩들을 배치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반도체 회로 패턴, 및 상기 반도체 회로 패턴의 외곽에 형성된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며,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스크라이브 레인, 공정 모니터링 패턴, 가드 링

Description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A semiconductor wafer and a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merged guard ring patterns and a process monitoring pattern}
본 발명은 웨이퍼 1매당 배치될 수 있는 반도체 칩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은 하나의 웨이퍼에서 수 십 ∼ 수 백 개가 생산된다. 즉, 하나의 웨이퍼를 가공함으로써,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가, 웨이퍼 1매를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칩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이퍼 1매당 배치되는 반도체 칩의 수가 늘어난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웨이퍼 1매당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반도체 회로 패턴, 및 상기 반도체 회로 패턴의 외곽에 형성된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며,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과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 상에서 필요로 하는 점유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웨이퍼 상에 더 많은 수의 반도체 칩이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반도체 제조 기술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 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는 스크라이브 레인(scribe lane)이 웨이퍼에서 점유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스크라이브 레인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중 하나의 연구 대상이 스크라이브 레인에 형성되는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이 점유하는 면적을 축소하는 기술이다.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스크라이브 레인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들 중,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점유하는 패턴들 중 하나이고, 설계 변경을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거의 없다. 즉,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의 점유 면적은 간단하게 축소될 수 없다.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특히 산화막을 증착 및/또는 패터닝한 후, 그 두께 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검사 장비에서 검사할 수 있는 최고의 해상력에 따라 그 크기가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측정 장비의 해상력을 무시하고 그 크기가 조정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 스크라이브 레인에 형성되는 다른 패턴들도 그 크기들이 각각의 측정 장비들의 해상력에 따라 설정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에 대하여,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패터닝 기술을 연구하였고, 그 연구 결과로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과 가드 링 패턴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 과, 다른 패턴들, 특히 가드 링 패턴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반도체 칩들의 간격을 줄이는 방법이다.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과 가드 링 패턴들이 별개의 패턴으로 형성될 경우,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전체적으로 산화물 층이 형성되거나, 아무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는 가드 링 패턴들이 안정적으로 패터닝 될 수 있도록,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에 여러 물질층들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각 물질층의 두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패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도성 물질은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절연성 물질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화 질화물을 포함한다. 캡핑층들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W)는, 다수개의 반도체 칩 영역들(CA, chip area)과 반도체 칩 영역들(CA)의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들(SL)을 포함한다. 도면에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반도체 칩 영역들(CA)이 반도체 웨이퍼(W) 상에 형성되지만,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되었다. 또, 반도체 칩 영역(CA)들과 스크라이브 레인들(SL)의 모양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그 모양 들, 크기 비율들 등이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W)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와 그 개념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반도체 웨이퍼들(W1, W2)을 의미할 수도 있고, 반도체 소자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칩 영역들(CA)과 그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SL)을 포함한다. 반도체 칩 영역들(CA)은 실(real) 반도체 회로들(C)과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inner guard ring patterns)을 포함하고, 스크라이브 레인(SL)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 outer guard ring patterns)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을 포함한다.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제1 점선들(La)은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CA)과 스크라이브 레인(SL)의 경계선을 의미하고, 제2 점선들(Lb)은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의 경계선을 의미한다.
반도체 칩 영역들(CA)에는 스크라이브 레인(SL)과 인접한 위치에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은 반도체 칩 영역들(CA) 내에 형성된 실 반도체 회로들(C)을 둘러싸며 반도체 칩 영역들(CA)의 네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회로들(C)과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은 일정 간격(IC)으로 이격된다.
스크라이브 레인(SL)에는 반도체 칩 영역들(CA)과 인접한 위치에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도 내부 가드 링 패턴 들(GI)처럼 반도체 칩 영역들(CA) 내의 실 반도체 회로들(C)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은 반도체 칩 제조 공정을 따라 형성되므로, 반도체 칩 영역들(CA) 내의 실 반도체 회로들(C)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의 구체적인 모양은 후술될 것이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과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은 일정 간격(IG)으로 이격된다.
공정 모니터링 패턴(MP)과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스크라이브 레인(SL)의 폭이 축소될 수 있다. 즉,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의 경계를 형성하던 영역이 없어짐으로써, 스크라이브 레인(SL)의 폭이 축소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 및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별개의 패턴으로 형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은 외부로부터 실 반도체 회로들(C)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습기, 방사선, 정전기, 기타 불순물의 침투로부터 실 반도체 회로들(C)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테스트 공정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압력, 열 등의 스트레스들로부터 반도체 회로 패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 체 소자는, 반도체 칩 영역들(CA)과 스크라이브 레인(SL)을 포함한다. 반도체 칩 영역들(CA)은 실 반도체 회로들(C)과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을 포함하고, 스크라이브 레인(SL)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을 포함한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 및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제1 점선들(La)은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CA)과 스크라이브 레인(SL)의 경계선을 의미하고, 제2 점선들(Lb)은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의 경계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W2)는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이 모두 공정 모니터링 패턴(MP)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크라이브 레인(SL)의 폭이 더욱 축소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종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는 내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I),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 및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을 포함한다. 내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I)은 반도체 칩 영역들(CA) 상에 형성되고,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은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L)에 형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반도체 칩 영역들(CA) 및 스크라이브 레인(SL) 상에 제1 전도층(105)이 형성된다. 제1 전도층(105)은 반도체 기판(101)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 패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전도층(105)은 반도체 칩 영역들(CA)에 게이트 층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도층(105)은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층, 및 게이트 캡핑층이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 게이트 전극층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전도층(105)도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도층(105)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게이트 절연막 형성 공정 및 게이트 캡핑층 형성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절연성 물질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제1 전도층(105)이 단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스크라이브 레인(SL)에서,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MP)이 동시에 수행되는 공통적인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의 선택에 따른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전도층(105) 상에 제1 절연층(110) 및 제1 캡핑층(115)이 형성된다. 제1 절연층(110) 및 제1 캡핑층(115)은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캡핑층(115)은 제1 절연층(110)보다 단단한(dense)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제1 절연층(110) 및 제1 캡핑층(115)은 반도체 기판(101)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절연물 층일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10) 및 제1 캡핑층(115)을 관통하는 제1 비아 패턴들(120)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2 전도층(125)이 형성된다. 제1 비아 패턴들(120) 및 제2 전도층(125)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비아 패턴들(120)은 제1 전도층(105)의 상부와 접촉될 수 있지만, 제1 전도층(105)과 접촉되지 않고 반도체 기판(101)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비아 패턴들(105)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101)과 연결되는 컨택들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층(125)은 평판형 또는 배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층(125)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비트 라인 등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2 전도층(125) 상에 제2 절연층(130) 및 제2 캡핑층(135)이 형성된다. 제2 절연층(13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캡핑층(135)은 제2 절연층(130)보다 단단한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제2 절연층(130) 및 제2 캡핑층(135)은 반도체 기판(101)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내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에 제2 절연층(130) 및 제2 캡핑층(135)을 관통하는 제2 비아 패턴들(140)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3 전도층(145)이 형성된다. 제2 비아 패턴들(140) 및 제3 전도층(145)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비아 패턴들(140)은,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스토리지 노드 컨택 또는 비트 라인 컨택보다 높은 위치의 컨택들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제3 전도층(145) 상에 제3 절연층(150) 및 제3 캡핑층(155)이 형성된다. 제3 절연층(15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캡핑층(155)은 제3 절연층(150)보다 단단한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내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I) 및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들(GO)에 제3 절연층(150) 및 제3 캡핑층(155)을 관통하는 제3 비아 패턴들(160)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4 전도층(165)이 형성된다. 제3 비아 패턴들(160) 및 제4 전도층(165)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i를 참조하면, 제4 전도층(165) 상에 제4 절연층(170), 제5 전도층(175), 제5 절연층(180), 제4 비아 패턴들(185), 제6 전도층(190), 제6 절연층(195) 등, 기타 다양한 물질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물질층들(170, 175, 180, 185, 190, 195)은 특정한 물질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i에 새롭게 도시된 다양한 물질층들(170, 175, 180, 185, 190, 195)은 평탄화에 기여하는 막, 패턴들의 모양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막, 패턴들을 물리적 화학적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 또는 패시베이션막, 그리고 금속 비아나 금속 배선 등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물질층들(170, 175, 180, 185, 190, 195)은 각 반도체 소자들의 표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모양을 제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물질층들(170, 175, 180, 185, 190, 195)이 형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만 언급된다.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금속 비아들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종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200a)는 내부 가드 링 패턴(GIPa), 외부 가드 링 패턴(GOPa) 및 공정 모니터링 패턴(MP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200b)는 내부 가드 링 패턴(GIPb), 외부 가드 링 패턴(GOPb) 및 공정 모니터링 패턴(MPb)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Pb)과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Pb)의 전도체로 형성된 층들이 서로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들 또는 반도체 소자들은 내부 가드 링 패턴들(GIP)과 외부 가드 링 패턴들(GO)의 간격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스크라이브 레인(SL)의 간격을 더 줄일 수 있고, 반도체 웨이퍼 1매당 생산될 수 있는 반도체 칩의 수가 늘어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는, 동일 레벨에서 각 영역들에 형성되는 패턴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도 있고, 한 번의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들 또는 반도체 소자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몇 가지 공정은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체로 형성된 층 또는 절연물로 형성된 캡핑용 층 (layer for capping) 들은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각 공정을 생략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의 의도에 따른다. 내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회로적으로 동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턴들이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 물질층들을 형성할 때, 패터닝 공정이 수반되어야 할 필요가 없고, 평판형 또는 배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 외,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 및 그 설명들로부터 그 이름과 기능 등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W)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와 그 개념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종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종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반도체 웨이퍼 CA: 반도체 칩 영역
SL: 스크라이브 레인 GI: 내부 가드 링 패턴 영역
GO: 외부 가드 링 패턴 영역 MP: 공정 모니터링 패턴
La: 제1 점선 Lb: 제2 점선
101: 반도체 기판 102: 트렌치
103: 실리콘 산화물 충진물 105: 제1 전도층
110: 제1 절연층 115: 제1 캡핑층
120: 제1 비아 패턴 125: 제2 전도층
130: 제2 절연층 135: 제2 캡핑층
140: 제2 비아 패턴 145: 제3 전도층
150: 제3 절연층 155: 제3 캡핑층
160: 제3 비아 패턴들 165: 제4 전도층
170: 제4 절연층 175: 제5 전도층
180: 제5 절연층 185: 제4 비아 패턴
190: 제6 전도층 195: 제6 절연층

Claims (20)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반도체 회로 패턴, 및
    상기 반도체 회로 패턴의 외곽에 형성된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며,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실리콘 산화물 충진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캡핑층, 및
    상기 캡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절연물인 반도체 웨이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 및
    상기 절연층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전도층과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비아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물질이고, 및
    상기 비아 패턴이 상기 캡핑층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반도체 웨이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 및
    상기 절연층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전도층과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비아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물질이고, 및
    상기 비아 패턴이 상기 캡핑층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반도체 웨이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과 이격된 실 반도체 회로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9.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반도체 회로 패턴, 및
    상기 반도체 회로 패턴의 외곽에 형성된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은,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가드링 패턴들, 외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실리콘 산화물 충진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모니터링 패턴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캡핑층, 및
    상기 캡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절연물인 반도체 웨이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 및
    상기 절연층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전도층과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비아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물질이고, 및
    상기 비아 패턴이 상기 캡핑층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반도체 웨이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 및
    상기 절연층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전도층과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비아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2 전도층의 사이에 형성된 캡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핑층은 상기 절연층보다 단단한 물질이고, 및
    상기 비아 패턴이 상기 캡핑층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반도체 웨이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과 이격된 실 반도체 회로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17.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내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칩 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과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도체 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 및 외부 가드 링 패턴들은,
    제1 전도층,
    상기 제1 전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2 전도층, 및
    상기 절연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전도층과 상기 제2 전도층을 연 결하는 비아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에 포함된 제1 전도층과,
    상기 외부 가드 링 패턴들에 포함된 제2 전도층은 물리적으로 절연되는 반도체 소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영역들은,
    상기 내부 가드 링 패턴들과 이격된 실 반도체 회로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80104952A 2008-10-24 2008-10-24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KR10147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52A KR101470530B1 (ko) 2008-10-24 2008-10-24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US12/588,437 US8274080B2 (en) 2008-10-24 2009-10-15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guard ring patterns and process monitoring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52A KR101470530B1 (ko) 2008-10-24 2008-10-24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36A true KR20100045836A (ko) 2010-05-04
KR101470530B1 KR101470530B1 (ko) 2014-12-08

Family

ID=4211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952A KR101470530B1 (ko) 2008-10-24 2008-10-24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4080B2 (ko)
KR (1) KR1014705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476B2 (en) 2010-05-07 2012-11-20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wafer
KR101217851B1 (ko) * 2012-07-16 2013-01-02 (주)아세아항측 영상도화 정확도 및 생산성 개선을 위한 항공촬영영상 화질 개선 시스템
KR101217858B1 (ko) * 2012-06-29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일반 도화 제작을 위한 수치 도화기 안정대
KR101219157B1 (ko) * 2012-09-21 2013-01-09 (주)신한항업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시스템
KR101224082B1 (ko) *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1224083B1 (ko) * 2012-09-21 2013-01-22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항공촬영 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KR101245851B1 (ko) * 2012-09-26 2013-03-20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이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703B2 (en) * 2007-05-09 2010-09-21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l surface tempera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5849478B2 (ja) * 2011-07-11 2016-01-2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試験方法
US8558350B2 (en) * 2011-10-14 2013-10-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al-oxide-metal capacitor structure
US8779592B2 (en) * 2012-05-01 2014-07-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ia-free interconnect structure with self-aligned metal line interconnections
US9312140B2 (en) * 2014-05-19 2016-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s having low resistance paths throughout a wafer
US10126260B2 (en) 2015-05-07 2018-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isture detection and ingressio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969422B2 (en) 2018-05-16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uard ring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313A (en) * 1988-04-28 1989-07-18 Vlsi Technology, Inc. Method for making a reticle mask
JPH04106950A (ja) 1990-08-27 1992-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767565A (en) * 1996-07-22 1998-06-16 Alliance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cooperative mode option at assembly stage and method thereof
JPH11219922A (ja) 1998-02-03 1999-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735755B2 (en) * 2000-03-27 2004-05-11 Jeng-Jye Shau Cost saving methods using pre-defined integrated circuit modules
US20020167071A1 (en) * 2001-05-10 2002-11-14 Mu-Chun Wang Guard ring for protecting integrated circuits
JP3813562B2 (ja) * 2002-03-15 2006-08-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2173B2 (ja) * 2003-02-03 2010-07-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126225B2 (en) * 2003-04-15 2006-10-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wafer with reduced delamination and peeling
US7453128B2 (en) * 2003-11-10 2008-11-18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053453B2 (en) * 2004-04-27 2006-05-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ubstrate contac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337425B2 (en) * 2004-06-04 2008-02-26 Ami Semiconductor, Inc. Structured ASIC device with configurable die size and selectable embedded functions
US7145211B2 (en) * 2004-07-13 2006-12-05 Micrel, Incorporated Seal ring for mixed circuitry semiconductor devices
US7223673B2 (en) * 2004-07-15 2007-05-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crack prevention ring
JP4222979B2 (ja) * 2004-07-28 2009-02-1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636839B2 (ja) * 2004-09-2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
JP2006228865A (ja) * 2005-02-16 2006-08-31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5202B1 (ko) * 2005-09-13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쏘잉 공정에 적합한 스크라이브 레인을 포함하는 웨이퍼,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레티클 및 이의 제조 방법
JP4711061B2 (ja) * 2005-09-13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408206B2 (en) * 2005-11-21 2008-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charge dissipation in integrated circuits
KR100881108B1 (ko) * 2005-11-24 2009-02-02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스크라이브 라인에 의해 분할된 반도체 칩 및 스크라이브라인 상에 형성된 공정-모니터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반도체 웨이퍼
US20070190747A1 (en) * 2006-01-23 2007-08-16 Tessera Technologies Hungary Kft. Wafer level packaging to lidded chips
JP4820683B2 (ja) * 2006-04-28 2011-11-24 川崎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半導体装置の絶縁破壊防止方法
US7732897B2 (en) * 2006-06-15 2010-06-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s of die sawing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KR20080010667A (ko) 2006-07-27 2008-01-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5065695B2 (ja) * 2007-02-01 2012-11-0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893459B2 (en) * 2007-04-10 2011-02-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al ring structures with reduced moisture-induced reliability degradation
US7602065B2 (en) * 2007-11-30 2009-10-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al ring in semiconductor device
CA2623257A1 (en) * 2008-02-29 2009-08-29 Scanimetr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ogating an electronic compon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476B2 (en) 2010-05-07 2012-11-20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wafer
KR101217858B1 (ko) * 2012-06-29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일반 도화 제작을 위한 수치 도화기 안정대
KR101217851B1 (ko) * 2012-07-16 2013-01-02 (주)아세아항측 영상도화 정확도 및 생산성 개선을 위한 항공촬영영상 화질 개선 시스템
KR101219157B1 (ko) * 2012-09-21 2013-01-09 (주)신한항업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시스템
KR101224082B1 (ko) *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1224083B1 (ko) * 2012-09-21 2013-01-22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항공촬영 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KR101245851B1 (ko) * 2012-09-26 2013-03-20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이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30B1 (ko) 2014-12-08
US20100102317A1 (en) 2010-04-29
US8274080B2 (en) 201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5836A (ko) 일체화된 가드 링 패턴과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및 반도체 소자
US8952497B2 (en) Scribe lines in wafers
US7741715B2 (en) Crack stop and moisture barrier
US7932602B2 (en) Metal sealed wafer level CSP
US7382038B2 (en) Semiconductor waf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6324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waf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30432B (zh) 具有防靜電結構之功率半導體元件及其製作方法
US9913405B2 (en) Glass interposer with embedded thermoelectric devices
CN111480226B (zh) 在半导体芯片中的保护结构及用于形成其的方法
CN108155155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CN106876318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11430733B2 (en) Method of testing wafer
JP5470726B2 (ja) トレンチゲート構造を有する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307411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00367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ウェハ
KR101129818B1 (ko) 반도체 장치
US9419090B2 (en) Interconnect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385752B1 (ko) 입출력 패드 영역과 중첩되는 공정 모니터링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20230387040A1 (en)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chip guard
US11282798B2 (en) Chip corner areas with a dummy fill pattern
TWI822415B (zh) 三維記憶體裝置及形成密封結構的方法
US11621248B2 (en) Bonded wafer devic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2029915B1 (ko) 솔더 패드, 솔더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및 그 형성 방법
US20190393169A1 (en) Semiconductor device
CN116544214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以及晶圆切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