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981B1 -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981B1
KR101013981B1 KR1020080120112A KR20080120112A KR101013981B1 KR 101013981 B1 KR101013981 B1 KR 101013981B1 KR 1020080120112 A KR1020080120112 A KR 1020080120112A KR 20080120112 A KR20080120112 A KR 20080120112A KR 101013981 B1 KR101013981 B1 KR 10101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eam
spindle
trailing arm
beam ax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207A (ko
Inventor
이후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981B1/ko
Priority to US12/498,791 priority patent/US7854439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3Trailing arms connected by a U-shaped torsion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20Constructional features of semi-rigid axles, e.g. twist beam typ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는, ⅰ)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 빔과, ⅱ)상기 토션 빔의 양단부에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는 좌우측 트레일링 암과, ⅲ)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이 일체로서 형성되는 스핀들 블록을 포함한다.
커플드 토션 빔 액슬, CTBA, 현가장치, 스핀들

Description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SUSPENSION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차량의 주행 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현가장치는 프론트 현가장치와 리어 현가장치로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 리어 현가장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 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는 단순한 부품으로 인한 낮은 생산 단가와 작은 질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행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주로 경차 또는 준 중형차의 리어 현가장치에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토션 빔이 구비되고, 그 토션 빔의 양단부에는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좌우 트레 일링 암이 장착된다.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일측 단부에는 차체와의 연결을 위한 부시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현가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브라켓 및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 플레이트가 장착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은 상기 스핀들 플레이트가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 용접을 통하여 장착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트레일링 암과 스핀들 플레이트의 용접 부위에 비틀림과 같은 열 변형이 일어남으로 그 열 변형 부위에 국부적인 응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용접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전체 장치의 내구 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용접부를 형성하는 스핀들 플레이트를 삭제하고, 스핀들이 트레일링 암에 체결될 수 있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는, ⅰ)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 빔과, ⅱ)상기 토션 빔의 양단부에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는 좌우측 트레일링 암과, ⅲ)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이 일체로서 형성되는 스핀들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블록은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이 일측면에 일체로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 체결되는 블록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 볼트들이 결합되는 제1,2,3 체결홈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면, 하면 및 다른 일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 은 상기 체결 볼트들이 상기 몸체부로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볼트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호 용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는 상기 제1,2,3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1,2,3 볼트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의하면, 스핀들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 플레이트가 트레일링 암에 용접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핀들이 일체로 형성된 스핀들 블록이 트레일링 암에 체결되므로 그 스핀들 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핀들 플레이트의 용접에 따른 열 변형부, 및 용접 부위의 국부적인 응력 집중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내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스핀들 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중량,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 빔과 트레일링 암을 용접하는 과정에, 용접 부위에 열 팽창 및 수축 등과 같은 용접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핀들 블록의 제1,2,3 체결홈을 차량 좌표에 맞게 가공한 상태로, 스핀들 블록을 트레일링 암 의 단부에 체결하게 되면 휠 얼라인먼트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일측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100)는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토션 빔(10)과, 좌우측 트레일링 암(30)과, 스핀들 블록(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션 빔(10)은 브이(V)자 형의 단면을 지니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각 트레일링 암(30)은 토션 빔(10)의 양단부에 용접 접합되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30)은 일측 단부에 차체와의 장착을 위한 부시 케이스(31)가 용접 접합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현가 스프링(미도시)의 장착을 위한 스프링 브라켓(35)이 용접 접합된다.
상기 각 트레일링 암(30)은 토션 빔(10)의 양단부에 용접되는 제1 부재(41)와, 제1 부재(41)의 가장자리 내측으로 끼워지며 제1 부재(41)와 용접 접합되는 제2 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재(41)는 "⊂"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제2 부재(42)는 제1 부재(41)에 대응하여 "⊃"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핀들 블록(50)은 각 트레일링 암(30)의 다른 일측 단부에 장착되며, 차륜(W)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55)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핀들 블록(50)은 복수의 체결 볼트들(90)을 통해 각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볼트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핀들 블록(50)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단조 또는 주조 성형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 블록(50)은 도 3에서와 같이, 각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삽입되고, 일측면에 언급한 바 있는 스핀들(55)이 일체로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부(5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51)는 대략 사각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체결 볼트들(90)을 통해 각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51)는 도면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면, 하면 및 다른 일측면에 체결 볼트(9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제1,2,3 체결홈(52a, 52b, 52c)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51)에서 제3 체결홈(52c)은 몸체부(51)의 다른 일측면 에 있어, 트레일링 암(30)의 단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54)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스핀들(55)은 차륜(W)을 장착하기 위한 휠 베어링 등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몸체부(51)의 일측면에 일체로서 마련되며, 그 일측면에서 트레일링 암(30)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좌우측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는 스핀들 블록(50)의 몸체부(51)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 볼트(9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2,3 볼트홀(45, 46, 47)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트레일링 암(30)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부재(41, 42)의 단부에 있어 이들이 서로 겹쳐지는 부위의 상측면에 제1 볼트홀(45)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2 볼트홀(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볼트홀(47)은 각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있어, 제1 부재(41)에 형성되는 바, 몸체부(51)의 돌출 부위(54)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49)의 상기 단부측 벽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100)에 의하면, 스핀들(55)이 일체로 형성된 스핀들 블록(50)은 체결 볼트들(90)을 통하여 각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체결된다.
즉, 상기 스핀들 블록(50)의 몸체부(51)는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51)의 제1,2,3 체결홈(52a, 52b, 52c)은 트레일링 암(30)의 제1,2,3 볼트홀(45, 46, 47)과 상호 매칭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볼트(90)가 제1,2,3 볼트홀(45, 46, 47)을 통하여 제 1,2,3 체결홈(52a, 52b, 52c)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핀들 블록(50)은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핀들 블록(50)의 스핀들(55)은 차륜(W)을 장착하기 위해 트레일링 암(30)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스핀들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 플레이트가 트레일링 암(30)에 용접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핀들(55)이 일체로 형성된 스핀들 블록(50)이 트레일링 암(30)에 체결되므로 상기한 스핀들 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핀들 플레이트의 용접에 따른 열 변형부, 및 용접 부위의 국부적인 응력 집중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내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스핀들 플레이트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중량, 및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 빔(10)과 트레일링 암(30)을 용접하는 과정에, 용접 부위에 열 팽창 및 수축 등과 같은 용접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스핀들 블록(50)의 제1,2,3 체결홈(52a, 52b, 52c)을 차량 좌표에 맞게 가공한 상태로, 그 스핀들 블록(50)을 체결 볼트(90)를 통하여 트레일링 암(30)의 단부에 체결하게 되면, 휠 얼라인먼트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일측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스핀들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트레일링 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5)

  1.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션 빔;
    상기 토션 빔의 양단부에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장착되는 좌우측 트레일링 암; 및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스핀들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 블록은,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이 일측면에 일체로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 체결되는 블록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 볼트들이 결합되는 제1,2,3 체결홈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면, 하면 및 다른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은,
    상기 체결 볼트들이 상기 몸체부로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볼트홀들이 형성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호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레일링 암의 단부에는,
    상기 제1,2,3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제1,2,3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KR1020080120112A 2008-11-28 2008-11-28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KR10101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12A KR101013981B1 (ko) 2008-11-28 2008-11-28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US12/498,791 US7854439B2 (en) 2008-11-28 2009-07-07 Suspension system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12A KR101013981B1 (ko) 2008-11-28 2008-11-28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07A KR20100061207A (ko) 2010-06-07
KR101013981B1 true KR101013981B1 (ko) 2011-02-14

Family

ID=4222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12A KR101013981B1 (ko) 2008-11-28 2008-11-28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4439B2 (ko)
KR (1) KR101013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463A (ko) * 2008-09-08 2010-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
DE202011103222U1 (de) * 2011-07-08 2012-10-11 Al-Ko Kober Ag Achse
DE102014216408A1 (de) * 2014-08-19 2016-02-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ystem und Verfahren zur reversiblen Befestigung eines Achszapfens an einer Lenkerach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203A (ja) * 1983-09-22 1985-04-17 Honda Motor Co Ltd 独立懸架式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H07276949A (ja) * 1994-04-08 1995-10-24 Daihatsu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128A (en) * 1991-09-09 1994-07-05 Csn Manufacturing, Inc. Variable-width torsion spring axle
US6945548B2 (en) * 2001-02-26 2005-09-20 Hendrickson Usa, L.L.C. Air spring and air spring mounting assembly
US6447073B1 (en) * 2001-05-02 2002-09-10 Bernhardt P. Goettker Torsion axle having a selectively replaceable insert assembly
US7331588B2 (en) * 2004-06-17 2008-02-19 Saf-Holland, Inc. Trailing beam suspension with alignment adjustment assembly
US20070246904A1 (en) * 2005-09-12 2007-10-25 Satoshi Murata Torsion-Beam-Type Suspension Apparatus
KR100953320B1 (ko) * 2008-07-25 2010-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스핀들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203A (ja) * 1983-09-22 1985-04-17 Honda Motor Co Ltd 独立懸架式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H07276949A (ja) * 1994-04-08 1995-10-24 Daihatsu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3774A1 (en) 2010-06-03
KR20100061207A (ko) 2010-06-07
US7854439B2 (en)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15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wheel support knuckle and trailing arm attached to toe link
KR101969607B1 (ko) 스프링용 홀더
CN105377594B (zh) 车辆悬架及其板簧
KR100953320B1 (ko)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스핀들 브라켓
US20050242541A1 (en) Rigid axle for a vehicle, comprising integrated trailing arms and mounting brackets
CN103358848A (zh) 稳定杆衬套附接组件
KR20090049577A (ko) 궤도 차량의 주행 기어 프레임
KR101013981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현가장치
US8132821B2 (en) Axle bracket for motor vehicle
RU2681421C1 (ru) Рычаг подвески для авто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5280668A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CN101885296B (zh) 用于空气悬架的c型梁
IE20070250A1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JPH11227602A (ja) 鉄道車両用台車枠
JPH08198134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ロスメンバ
EP1440820A2 (en) A steerable front axle beam assembly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CN201325558Y (zh) 正三轮摩托车的后轮悬挂结构
GB2387155A (en) A road vehicle suspension uni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uspension unit and fitting the unit to a road vehicle
US20070257462A1 (en) Die cast stabilizer bar ends
KR2010003899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CN217867986U (zh) 一种叉车的平衡桥结构
JP6836742B2 (ja) 車両のアクスルビーム
KR100980881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