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607B1 - 스프링용 홀더 - Google Patents

스프링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607B1
KR101969607B1 KR1020147004844A KR20147004844A KR101969607B1 KR 101969607 B1 KR101969607 B1 KR 101969607B1 KR 1020147004844 A KR1020147004844 A KR 1020147004844A KR 20147004844 A KR20147004844 A KR 20147004844A KR 101969607 B1 KR101969607 B1 KR 10196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der
wheel carrier
fix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293A (ko
Inventor
폴커 바그너
가브리엘레 프루우만
슈테판 렘쿨
아르놀트 미델캄프
외르크 브란트
홀거 획만
우베 슈타인캄프
노어베르트 슈뭇데
마르틴 랏타이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5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F16F1/368Leaf springs
    • F16F1/3683Attachments or mountings therefor
    • F16F1/3686End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4Leaf spring transvers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6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allowing controlled deformation dur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5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5)에 스프링(2)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 영역(10)과 스프링(2)에 휠 캐리어(4)를 고정하기 위한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을 포함하는 스프링(2)용 홀더(5)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홀더(5)는 스프링 고정 영역(10)으로부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상으로 힘 전달을 위한 변형 영역(2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용 홀더{HOLDER FOR A SPRING}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홀더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 영역과 홀더에 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스프링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판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들은, 서스펜션에서, 보통, 노면 요철을 보상하고 그에 따라 차량 핸들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휠들의 현가를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휠들, 또는 이 휠들이 고정될 수 있는 휠 캐리어들은 링크들 및 스프링들을 통해 차체와 연결된다. 스프링들은 휠들 및/또는 휠 캐리어들을 마찬가지로 안내하고 파지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휠들은 서스펜션 및/또는 차체에 상대적으로 제어되는 위치에 포지셔닝된다.
판 스프링은 종래 기술에서 홀더들을 통해 휠 캐리어와 연결된다. 상기 홀더들은 예컨대 판 스프링 내 구멍을 통해 안내되어 휠 캐리어와 결합되는 단순한 볼트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판 스프링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르는 판 스프링용 홀더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과제는, 홀더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 영역과 스프링에 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스프링, 특히 판 스프링용 홀더에 있어서, 홀더가 스프링 고정 영역으로부터 휠 캐리어 고정 영역 상으로 힘 전달을 위한 변형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홀더에 의해 해결된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홀더에 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홀더의 영역이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복수의 추가 부재를 통해서도 휠 캐리어와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 영역은 홀더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영역도 스프링과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되며, 여기서도 홀더와 스프링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휠 캐리어와 스프링을 직접 연결하는 것 대신에, 휠 캐리어와 스프링을 연결하는 별도의 홀더가 스프링에 할당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경우, 홀더는 휠 캐리어와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되며, 오히려 휠 캐리어와 홀더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부재가 배치되는 구현예들도 생각해볼 수 있다.
스프링은 특히 판 스프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가로 방향 판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이란, 그 주 확장 방향이 바람직한 스프링 방향과 상이한, 특히 주 확장 방향이 바람직한 스프링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스프링을 의미한다.
이 경우, 판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재료, 특히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 및/또는 가로 방향 판 스프링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특히, 홀더는, 스프링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는 에너지 유입 조건에서 홀더가 변형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에너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의 내부에서 소멸되며 유입된 에너지 중 일부분만이 스프링 상으로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이 손상되는 점이 방지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홀더의 변형은, 스프링이 홀더를 통해 변함없이 휠 캐리어와 연결되고 그로 인해 휠은 변함없이 스프링을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면서 변형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주행이 가능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스프링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는 힘은 힘 크기, 방향, 기간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부재들, 특히 마운트처럼 스프링에 후속하는 부재들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홀더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홀더의 변형은 차량의 주행 거동에서 분명하게 감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차량 컨트롤 암은 주행 거동을 통해 홀더 내 손상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이와 같이 상기 손상을 제거하게끔 한다. 이 경우, 홀더 내 변형을 통해 스프링의 손상은 방지되며, 그럼으로써 손상이 있을 경우에만 홀더를 교환하기만 하면 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훨씬 더 고가인 스프링은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의 변형을 통해, 홀더에서 휠 캐리어의 고정 위치는 홀더에서 스프링의 고정과 관련하여 변위되고 이와 같이 홀더의 이용 상태에서 예컨대 토우 및/또는 캠버와 같은 휠 위치가 변경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강철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진 홀더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 영역은, 소정의 한계 힘을 초과하고 특히 스프링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는 힘이 휠 캐리어 고정 영역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 상으로 전달된다면, 소성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홀더의 소성 변형을 통해, 홀더는, 정상 범위에 속하는 힘의 전달 시 거의 변형되지 않거나 극미하게만 탄성 변형되고 이와 같이 휠들의 안정되고 변함없는 안내를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을 지속적으로 손상시킬 수도 있을 정도로 큰 힘이 홀더 내로 유입된다면, 홀더의 변형 영역은 소성 변형되며 그에 따라 에너지는 소성 변형에 의해 소멸되어 스프링과 같은 후속하는 구조 부재들 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영역의 변형을 통해,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스프링 고정 영역에 근접된다. 그럼으로써 변형을 통해 스프링에 상대적인 휠 캐리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홀더의 변경된 위치를 통해, 휠들은, 휠 캐리어에서 홀더의 각각의 고정에 따라서, 토인(toe-in) 또는 토아웃(toe-out)될 수 있다. 이는 명백하게 변경된 주행 거동을 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영역은, 휠 캐리어 고정 영역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 상으로 안내되는 힘이 변형 영역에 의해 전달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변형 영역은 스프링 고정 영역과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영역은 스프링의 주 확장 방향에서 휠 캐리어 고정 영역과 스프링 고정 영역 사이에 위치된다. 이 경우, 스프링 고정 영역은, 스프링이 홀더에 고정되는 영역이다. 이 경우, 스프링은 고정 영역에서 홀더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의 측부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영역에서, 홀더는 나사, 못 또는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스프링과 분리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홀더가 휠 캐리어와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다. 휠 캐리어 고정 영역과 스프링 고정 영역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의 주 확장 방향을 따라서 변형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홀더가 스프링의 연장부로서 기능하도록 홀더를 설계하는 점을 허용한다. 이는, 지금까지 홀더가 제공되지 않거나 상기 홀더가 제공되지 않은 스프링 개념 또는 서스펜션에서도 홀더의 이용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홀더가 스프링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스프링의 형상을 연장시키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스프링의 주 확장 방향에서 스프링 고정 영역의 옆에, 또는 스프링 고정 영역에 대해 오프셋 된 방식으로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을 배치하고, 이와 같이 다양한 장착 공간들에 스프링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홀더는 압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다른 종류의 또 다른 제조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 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스트럿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고정 영역 및/또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보다, 그리고/또는 스프링 고정 영역 내 스트럿 및/또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 내 스트럿보다 더 작은 횡단면을 보유한다. 스트럿은, 힘 유입이 너무 높은 경우, 그 종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향되고, 그에 따라 홀더의 정의된 변형을 야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홀더의 변형은 변형 영역에서만 발생한다. 그럼으로써 고정 영역들, 다시 말해 스프링 고정 영역 및/또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의 변형과 그에 따른 스프링 및/또는 휠 캐리어의 손상은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변형 영역의 스트럿은 매우 큰 힘 유입의 경우 변형을 사전 설정하는 곡률을 보유한다. 상기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과 휠 캐리어의 연결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향한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영역의 스트럿은 판형이다. 여기서 판형이란, 스트럿의 확장 방향, 예컨대 스트럿의 폭이, 특히 제1 확장 방향 상에서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제2 확장 방향을 능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트럿의 제2 확장 방향은 예컨대 스트럿의 높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럿의 형태는 전달할 힘에 매칭될 수 있다. 특히 스트럿은 큰 힘 유입 조건에서 휘어지는 방향을 보유할 수 있다. 특히 스트럿의 횡단면은 바람직한 휨 방향으로 특히 얇을 수 있다. 특히 휨 방향의 횡단면은 휨 방향에 수직인 경우보다 더 작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휨 방향의 확장은 휨 방향에 대해 수직인 확장의 1/10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특히 변형 영역에 2개의 스트럿을 포함하며, 이들 스트럿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상호 간에 반사 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럿들은 동일한 형태를 보유할 수도 있다. 2개의 스트럿의 이용은, 특히 큰 횡단면을 갖는 스트럿을 이용할 필요 없이, 스프링과 휠 캐리어 사이에 안정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개의 스트럿의 이용은 스프링의 주 확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는 향상된 저항력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변형 영역은 복수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예컨대 3개 내지 10개, 또는 그 이상의 스트럿, 바람직하게는 6개의 스트럿과 같은 상기 복수의 스트럿을 통해, 홀더는, 홀더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여러 방향으로부터 큰 힘을 흡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휠 캐리어에 대해 스프링의 안정된 포지셔닝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스트럿은, 변형 영역이 큰 힘에 노출될 때, 변형 영역의 정의된 변형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들은 변형 영역에서 교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트럿은 변형 영역에서 홀더의 측표면들을 범위 한정한다. 특히 스트럿들은 여러 지점에서 교차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의 스트럿만이 한 지점에서 교차한다.
또한, 변형 영역 내 복수의 스트럿에 의해 프레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스트럿 또는 2개의 스트럿이 프레임 구조의 경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들은 홀더의 폭을 나타내며, 그럼으로써 홀더는 압출 성형과 로드의 후속하는 절단 내지 분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추가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 영역은, 특히 강철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벌집 구조를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들은 벌집 구조를 보유할 수 있고, 봉방부들(honeycomb)은 우선 방향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봉방부들의 벽부들은 공통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큰 힘이 봉방부 벽부들의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고, 힘이 봉방부 벽부 방향에 대해 수직이거나 각을 이루는 경우 봉방부들의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벌집 구조 및 벽부들의 형상을 통해, 각을 이루면서 봉방부 벽부 방향에 부딪히는 힘이 큰 경우, 변형 영역은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오프셋 되고, 그리고/또는 변형되며 그에 따라 스프링에 상대적인 휠 캐리어의 간격 및/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휠의 캠버 및/또는 토우도 변경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주행 거동도 변경된다. 주행 거동의 변경은, 서스펜션이 손상되어 부재들, 특히 홀더가 교환되고, 그리고/또는 유지 보수되어야 한다는 점을 운전자에게 신호화 한다.
한 추가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 영역은, 스펀지형 구조 및/또는 발포체형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형 부재를 포함한다. 스펀지형 부재는, 변형 영역의 측표면들을 범위 한정하는 2개의 스트럿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펀지형 부재는 알루미늄 발포체와 같은 금속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스펀지형 부재는 홀더로부터 분리된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발포체는 변형 영역 내로 발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일체형이다. 일체형 홀더를 통해, 홀더는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홀더는 대량의 이용에서도 제공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알루미늄 및/또는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들은 한편으로 파손되지 않으면서 약간 소성으로 휘어지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재료들은 영구적인 서스펜션 부품들의 제조를 위해서도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홀더에 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무 마운트와 같은 마운트를 포함한다. 특히 고정은 탄성 고정이다. 상기 마운트는 홀더에 휠 캐리어의 이동 가능한 고정을 위해 이용되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휠은 홀더에 의해 안내되고 방향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마운트는, 마찰 결합을 통해,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직하게는 환형인 수용부 내에서 파지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고정부는,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수용부는 변형 영역의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특히 단부에 두께 확대부를 구비한 스프링이 그 내부에서 파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휠 제어형 가로 방향 판 스프링을 구비한 맥퍼슨 뒤차축의 부분이다. 그러나 홀더는,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진 휠 제어형 가로 방향 판 스프링 또는 세로 판 스프링 및 스프링 링크들 또는 또 다른 서스펜션 부품들 또는 구조 부재들을 구비한 또 다른 차축 개념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의 이용하에,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서스펜션이다.
도 2는 홀더이다.
도 3은 도 2의 홀더의 3차원도이다.
도 4는 가로 방향 판 스프링 및 마운트와 결합된 도 2에 따르는 홀더이다.
도 5는 추가 홀더이다.
도 6은 도 5의 홀더의 3차원도이다.
도 7은 변형 후 도 5에 따르는 홀더이다.
도 8은 추가 홀더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르는 홀더의 3차원도이다.
도 10은 변형 후 도 9에 따르는 홀더이다.
도 11은 부분적으로 스펀지형인 변형 영역을 포함한 홀더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르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홀더의 추가 실시예이다.
도 14는 홀더의 추가 실시예이다.
도 15는 스프링을 포함한 도 14에 따르는 홀더이다.
도 1에는, 예컨대 승용차에서 뒤차축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서스펜션(1)이 도시되어 있다. 서스펜션은, 휠들이 휠 베어링들을 통해 장착될 수 있는 2개의 휠 캐리어(4, 4')를 포함한다. 휠 캐리어들(4, 4') 상에는 각각 세로 링크(7, 7')와 가로 링크(8, 8')가 고정된다. 이 경우, 세로 링크(7, 7')는 대략 차량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링크(8, 8')는 대략 차량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로 및 세로 링크들은 일측 단부로 휠 캐리어 상에 고정되고, 그에 반해 타측 단부는 차체에 배치된다.
그 밖에도, 서스펜션은 2개의 댐퍼(3, 3')를 포함하며, 이들 댐퍼도 마찬가지로 일측 단부로 휠 캐리어와 연결되고, 그에 반해 댐퍼(3, 3')의 타측 단부는 마운트를 통해 차체와 연결된다.
링크들(7, 7' 및 8, 8')이 차체에 상대적으로 휠 캐리어들(4, 4')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반면에, 댐퍼들은 휠 제어에 추가로 차체에 상대적으로 휠 캐리어들의 이동을 완화시킨다.
서스펜션(1)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부품들, 요컨대 순서대로 휠 캐리어(4), 홀더(5), 가로 방향 판 스프링(2), 세로 링크(7), 댐퍼(3), 가로 링크(8), 판 스프링 홀더(6), 판 스프링 홀더(6'), 가로 링크(8'), 댐퍼(3'), 세로 링크(7'), 홀더(5'), 휠 캐리어(4')를 포함한다.
두 휠 캐리어(4, 4')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스프링(2), 특히 가로 방향 판 스프링(2)을 통해 연결된다. 가로 방향 판 스프링(2)은 차량 주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대개 주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 판 스프링(2)의 중앙 3분점에 배치되는 2개의 판 스프링 홀더(6, 6')를 통해 차체와 연결된다. 가로 방향 판 스프링(2)은 단부들에서 홀더들(5, 5')을 통해 휠 캐리어들(4, 4')과 연결된다.
도 2에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9)과 스프링 고정 영역(10)을 포함하는 홀더(5, 5')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홀더(5)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은, 내부에 홀더(5)에 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를 수용할 수 있는 환형의 중앙 리세스부(11)를 포함한다. 스프링 고정 영역(10)은 대향하여 위치하는 2개의 웨브(13 및 14)를 포함하며, 이들 웨브는 내부에 스프링(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를 형성한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은 스프링 고정 영역(10)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벽부(34)에 의해 분리된다.
도 3에는, 도 2에 따르는 홀더(5)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고정 영역(10)은 두 웨브(13 및 14)를 포함하며, 이들 웨브는, 스프링(2)의 수용 시 스프링(2)에 접하는 내면(15, 16)을 각각 포함한다. 내면들(15, 16)은 벽부(34)의 전방 내면(27)에 의해 연결되며, 이 전방 내면에는 스프링(2)이 수용부(12) 내에 수용될 때 마찬가지로 접한다. 이 경우, 전방 내면(27)은 내면(16) 상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두 웨브(13 및 14)는, 외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 보어(17 및 18)를 각각 포함한다. 두 관통 보어(17, 18)는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도 4에는, 스프링(2)의 일측 단부(19) 및 마운트(20)와 함께 홀더(5)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2)의 단부(19)는, 웨브들(13 및 14)의 내면들(15 및 16)과 전방 내면(27)에 의해 정해지는 수용부(12)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스프링(2)의 단부(19)는 볼트(21)가 통과 안내되는 구멍(미도시)을 포함한다. 볼트(21)는 마찬가지로 웨브들(13 및 14)의 관통 보어들(17 및 18)을 통해 안내되어 너트(22)에 의해 고정된다. 볼트(21)는 수용부(12) 내에서 스프링(2)의 위치를 고정한다.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내에는, 마찰 결합을 통해 홀더(5)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고무 마운트(20)가 배치된다. 이 경우, 고무 마운트(20)는 나사 결합에 의해 휠 캐리어(4)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홀더(5)의 한 추가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과 스프링 고정 영역(10) 사이에,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및/또는 스프링 고정 영역(10)으로부터 지정된 한계 힘을 초과하는 힘이 유입되면, 곧바로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변형 영역(23)이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한계 힘은 스프링(2)을 손상시키는 힘보다 더 작다.
이 경우, 변형 영역(23)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스프링 고정 영역(10)과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을 연결하는 2개의 스트럿(24 및 25)으로 구성된다. 스트럿들(24 및 25)은 바람직하게는 웨브들(13 및 14)과 동일한 폭을 보유하지만, 그 높이는 웨브들과 상이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스트럿들(24 및 25)은 소정의 한계 힘부터 휘어진다. 이 경우, 하부 스트럿(25)은 스프링 고정 영역(10)과 휠 캐리어 연결 영역(9)을 바로 연결하며, 그에 반해 상부 스트럿(24)은 바깥쪽을 향해 외면(26)에 대해 수직인 곡률을 보유함으로써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변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전 설정된다. 변형 영역(23)은 일측에서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특히 벽부(28)에 의해, 그리고 타측에서는 벽부(34)에 의해 범위 한정되며, 벽부(34)는 마찬가지로 전방 내면(27)을 형성한다.
도 6에는, 도 5의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9)과 변형 영역(23)과 스프링 고정 영역(10)이 동일한 폭을 보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볼트(21)를 통해 홀더(5)에 스프링(2)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구멍들(17 및 18)도 확인된다.
도 7에는, 과도한 힘 유입으로 인한 변형 후의 홀더(5)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두 스트럿(24 및 25)은 바깥쪽을 향해 방향 R 및 R'로 휘어진다. 이 경우, 휠 캐리어 수용 영역(9)은 스프링 고정 영역(10)에 가까이 이동한다. 이는 차체에 상대적으로 휠 캐리어(4)의 변위 내지 회동을 초래한다. 그러나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은 스프링 고정 영역(10)에 대해 변위되지 않거나, 또는 최소로만 측면으로, 즉 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된다.
도 8에는, 홀더(5)의 한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여기서 스트럿들(24 및 25)은 웨브들(13 및 14)보다 더 낮은 높이를 보유하고 추가 스트럿들(29)을 통해 벽부(28) 및 벽부(34)와 연결된다. 스트럿들(29)은 스트럿들(24 및 25)과 동일한 폭을 보유하고 동시에 스트럿들(24 및 25)에 대해 각을 이루어 배치되며 스트럿들(24 내지 25)에 대해 대략 45°의 각도를 보유한다. 이 경우, 스트럿(29')은 벽부(28)와 스트럿(24)을 연결하고, 스트럿(29")은 벽부(34)와 스트럿(24)을 연결하고, 스트럿(29"')은 벽부(28)와 스트럿(25)을 연결하며, 스트럿(29"")은 벽부(29)와 스트럿(25)을 연결한다. 이 경우, 스트럿들(29' 및 29")과 스트럿들(29"' 및 29"")은 서로 연결되고 교차된다. 스트럿 배치를 통해, 변형 영역 내에서, 대략 3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6개의 중간 공간(31a, 31b, 31c, 31d, 31e, 31f)이 인접하는 중앙에 4각형 횡단면을 갖는 중간 공간(30)이 제공된다.
도 9에는, 도 8에 따르는 홀더(5)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스트럿들(29', 29", 29"' 및 29"")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는, 도 8에 따르는 홀더(5)가 과도한 힘 유입 후 변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스트럿들(24 및 25)은 다시금 바깥쪽을 향해 휘어지며, 그럼으로써 휠 캐리어 고정 영역은 스프링 고정 영역에 근접된다. 이 경우, 중간 공간들(30 및 31a 내지 31f)은 변형되고 더 작아진다.
도 11에는, 한 추가 홀더(5)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변형 영역 내에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발포체형 구조(32)가 위치된다. 이 경우, 스트럿들(24 및 25)은 웨브들(13 및 14)보다 더 낮은 높이를 보유할 수 있다. 홀더(5)가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알루미늄 발포체의 발포 공정은 압출 성형 공정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대체되는 방식으로, 알루미늄 발포체는 압출 성형 후에 발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개별 홀더들(5)로 길이에 맞춰 전단되기 전에, 그리고 홀더(5)의 재가공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는 홀더(5)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홀더(5)의 한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홀더(5)는, 변형 영역(23) 내로 끼워질 수 있는 별도의 변형 구조 부재(33)를 포함한다. 변형 구조 부재(33)는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또는 또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변형 구조 부재들(33)은 플라스틱과 같은 또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변형 구조 부재(33)는 벌집형 구조를 보유하며, 봉방부들은 홀더(5)의 주 확장 방향(HR)으로, 다시 말해 스프링 고정 영역(10)으로부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쪽으로 연장된다.
도 14에는, 홀더(5)의 한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홀더는 웨브들(13 및 14) 상에, 스프링(2)이 하나 이상의 볼트를 통해 안내되게 하는 2개의 장공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홀더(5)는 스프링 고정 영역 내에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의 방향으로 변형 구조 부재(33)를 포함한다. 스프링(2)은 변형 구조 부재(33)에 접한다. 한편, 과도한 힘이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 상으로 전달된다면, 스프링은 변형 구조 부재(33) 상으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구조 부재(33)를 변형시킨다. 변형 영역으로부터 스프링 상으로 힘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변형 구조 부재(33)와 스프링(2) 사이에서 덮개(36)가 수용부(12) 내에 배치되며, 이 덮개는 스프링(2)에 대해 변형 몸체(33)를 덮으면서 수용부(12)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스프링(2)은 계속해서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휠 캐리어(4)가 위치 조정된다. 이 경우, 과도한 힘은 변형 구조 부재(33)의 변형에 의해 포착된다. 이 경우, 변형 구조 부재(33)는 벌집형 구조를 보유할 수 있지만, 그 밖에도 스펀지형 또는 발포체형 구조도 보유할 수 있다.
도 15에는, 스프링(2) 및 고무 마운트를 포함한 도 14에 따르는 홀더(5)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스프링(2)은 장공들(35) 내에 파지되는 볼트(21)에 의해 관통된다. 이 경우, 변형 구조 부재(33)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9)과 스프링 고정 영역(10) 사이에서 스프링 고정 영역(10) 내에 배치되고 덮개(36)에 의해 스프링(2)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럼으로써 스프링(2)은 변형 구조 부재(33)의 구조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은 볼트와 접촉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여기서도 스프링의 손상은 야기되지 않는다. 특히, 스프링은 스프링 고정 영역에 의해 압착되고 그에 따라 파지된다.
1: 서스펜션
2: 가로 방향 판 스프링
3, 3': 댐퍼
4, 4': 휠 캐리어
5, 5': 홀더
6, 6': 판 스프링 홀더
7, 7': 세로 링크
8, 8': 가로 링크
9: 휠 캐리어 고정 영역
10: 스프링 고정 영역
11: 리세스부
12: 수용부
13: 웨브
14: 웨브
15: 내면
16: 내면
17: 관통 보어
18: 관통 보어
19: 스프링의 단부
20: 고무 마운트
21: 볼트
22: 너트
23: 변형 영역
24: 웨브
25: 웨브
26: 외면
27: 전방 내면
28: 벽부
29: 벽부
29': 벽부
29": 벽부
29"': 벽부
29"": 벽부
31a: 중간 공간
31b: 중간 공간
31c: 중간 공간
31d: 중간 공간
31e: 중간 공간
31f: 중간 공간
32: 스펀지형 구조
33: 변형 구조 부재
34: 벽부
35: 장공
36: 덮개

Claims (17)

  1. 스프링(2)용 홀더(5)이며, 홀더(5)에 스프링(2)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 영역(10)과, 스프링에 휠 캐리어(4)를 고정하기 위한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을 포함하는, 스프링용 홀더에 있어서,
    홀더(5)는 스프링 고정 영역(10)으로부터 휠 캐리어 고정 영역(9) 상으로 힘 전달을 위한 변형 영역(23)을 포함하고,
    홀더(5)는 일체형이고 금속 및 섬유 복합 재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스프링(2)용 홀더(5).
  2. 제1항에 있어서, 변형 영역(23)은,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힘이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10) 상으로 전달된다면, 소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 영역(23)은 휠 캐리어 고정 영역(9)과 스프링 고정 영역(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 영역(23)은,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10) 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24, 25, 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트럿(24, 25, 29)은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6. 제4항에 있어서, 홀더(5)는,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으로부터 스프링 고정 영역(10) 쪽으로 연장되면서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 한정하는 2개의 스트럿(24, 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 영역(23)은 스펀지 및 발포체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변형 구조 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휠 캐리어 고정 영역(9)은 홀더(5)에 휠 캐리어(4, 4')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고정부(10)는 스프링(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2)은 홀더(5)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프링(2)은 변위 방향에서 변형 구조 부재(33)에 의해 이동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5. 제14항에 있어서, 변형 구조 부재(33)는 변위 가능한 판에 의해 스프링(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6.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2)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17.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2)용 홀더(5).
KR1020147004844A 2011-08-29 2012-07-05 스프링용 홀더 KR101969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1693.3 2011-08-29
DE102011081693A DE102011081693A1 (de) 2011-08-29 2011-08-29 Halterung für eine Feder
PCT/EP2012/063126 WO2013029846A1 (de) 2011-08-29 2012-07-05 Halterung für eine f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293A KR20140056293A (ko) 2014-05-09
KR101969607B1 true KR101969607B1 (ko) 2019-08-13

Family

ID=4645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44A KR101969607B1 (ko) 2011-08-29 2012-07-05 스프링용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5778B2 (ko)
EP (1) EP2751444B1 (ko)
KR (1) KR101969607B1 (ko)
CN (1) CN103748380B (ko)
DE (1) DE102011081693A1 (ko)
WO (1) WO2013029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6001A1 (en) * 2013-08-22 2015-02-26 Powers and Sons, LLC Mechanical overload fuse for steering linkage
DE102013217769B4 (de) 2013-09-05 2015-10-22 Zf Friedrichshafen Ag Halteelement für eine Feder
NO336586B1 (no) * 2013-10-18 2015-09-28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Festearrangement for bladfjørsammenstilling
FR3016554B1 (fr) * 2014-01-20 2016-01-01 Renault Sas Chape de liaison fusible entre le bras de suspension et le berceau moteur
DE102014202581A1 (de) * 2014-02-12 2015-08-13 Muhr Und Bender Kg Blattfeder und Blattfederanordnung
DE102014103014A1 (de) * 2014-03-06 2015-09-10 Tobias KELLER Feder-Lenker-Einrichtung
DE102014213364B4 (de) * 2014-07-09 2021-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träger eines Fahrzeugs mit einer Klemmsitz-Verbindung
DE102014225884A1 (de) 2014-12-15 2016-06-16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element zwischen einer Querblattfeder und einem Radträger einerKraftfahrzeugradaufhängung
US9630467B2 (en) * 2015-04-09 2017-04-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eaf spring assembly
CN104976261A (zh) * 2015-06-16 2015-10-14 吉林大学 一种汽车复合材料板弹簧总成及其装配方法
DE102015212743B4 (de) * 2015-07-08 2023-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ufhängung für ein Kraftfahrzeug
US9676241B2 (en) * 2015-08-21 2017-06-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uspension control arm with frangible bushing collar
DE102016100743B4 (de) 2016-01-18 2018-08-0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agerschuh für die Lagerung eines Blattfederendes einer Blattfeder
DE102016224023A1 (de) * 2016-12-02 2018-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er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7109063B4 (de) * 2017-04-27 2021-01-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Radlenker mit einem Drehlager
DE102018121589B4 (de) * 2018-09-04 2020-10-15 Muhr Und Bender Kg Blattfederhalteelement zum Befestigen einer Blattfeder an einem Fahrzeugbauteil
EP3667116B1 (en) * 2018-12-13 2021-04-28 Muelles Y Ballestas Hispano-Alemanas Projects, S.L. Leaf spring, manufacturing process and mould of that leaf spring
DE102019200242B3 (de) 2019-01-10 2020-06-04 Zf Friedrichshafen Ag Halterung für eine Blattfe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Halterung
FR3093674B1 (fr) * 2019-03-11 2024-03-15 Renault Sas Train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bras de suspension assemblé comportant un organe de sureté fusible
DE102020207153A1 (de) * 2020-06-08 2021-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X-Feder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Radaufhäng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634A (en) * 1988-05-24 1990-11-13 Rubery Owen-Rockwell Limited Attachment of components to composite members
US20030234506A1 (en) 2002-05-30 2003-12-25 Kenji Yokoyama Suspension
WO2009121353A1 (de) 2008-04-03 2009-10-08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ach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188A (en) * 1970-12-07 1972-07-25 Kelsey Hayes Co Weld-on type leaf spring bracket assembly and method
JPS5336648B2 (ko) * 1974-01-25 1978-10-04
US4322061A (en) * 1980-02-14 1982-03-30 Lear Siegler, Inc. Tandem spring suspension with leaf rotation stop
US4781364A (en) * 1983-10-14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astic beam-torsion rod connection
EP0218322A1 (en) * 1985-08-12 1987-04-15 Ford Motor Company Limited Transverse leaf spring suspension
US4733744A (en) * 1986-09-02 1988-03-29 Dana Corporation Steerable driving axle
FR2624446B1 (fr) * 1987-12-11 1990-05-25 Bertin & Cie Suspension pour vehicules
US5062620A (en) * 1990-08-20 1991-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exible link and method for a vehicular suspension system
FR2717124B1 (fr) * 1994-03-11 1996-04-19 Renault Trai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EP0760750B1 (de) * 1995-03-06 2001-10-10 Esoro Ag Radaufhängung mit querblattfederung
JP3171115B2 (ja) * 1996-07-11 2001-05-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支持構造
JP4138461B2 (ja) * 2002-11-22 2008-08-27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100705081B1 (ko) * 2004-06-21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 스프링의 차체 연결구조
KR20080008150A (ko) * 2006-07-19 2008-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리프 스프링 장착구조
DE102010010987B4 (de) * 2010-03-10 2014-08-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lattfederanbindung
CA2819702C (en) * 2010-12-06 2019-01-15 Thunder Composite Technologies Ltd. Composite leaf sp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634A (en) * 1988-05-24 1990-11-13 Rubery Owen-Rockwell Limited Attachment of components to composite members
US20030234506A1 (en) 2002-05-30 2003-12-25 Kenji Yokoyama Suspension
WO2009121353A1 (de) 2008-04-03 2009-10-08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ach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1693A1 (de) 2013-02-28
CN103748380A (zh) 2014-04-23
US9115778B2 (en) 2015-08-25
WO2013029846A1 (de) 2013-03-07
EP2751444B1 (de) 2017-08-23
EP2751444A1 (de) 2014-07-09
CN103748380B (zh) 2017-03-29
KR20140056293A (ko) 2014-05-09
US20140167339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607B1 (ko) 스프링용 홀더
US7967310B2 (en) Wheel suspension for the rear wheels of a motor vehicle
US8485541B2 (en) Suspension for a tricycle
US6758294B2 (en) Laterally damped panhard rod cab suspension
US20160207369A1 (en) Holding element for a spring
US8061726B2 (en) Wheel suspension for a front axle of a motor vehicle
US8733771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190030229A (ko)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EP2969611B1 (en) Rear twist beam with bulged middle section
JP2009511333A (ja) 後端部取付バッテリボックスを備える車両
US4854606A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JP2015091697A (ja) 車両の独立懸架装置
CN108025610B (zh) 用于车辆的后车轴的气动车轴悬挂系统
US20190030972A1 (en) Suspension control arm with integrated resilient element
US5447324A (en) Stabilized tandem axle drive suspension with elastomer spring in compression and shear
US9463667B2 (en) Axle mount for utility vehicles
EP3121036B1 (en)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a rear axle of a vehicle
CN110723161A (zh) 转向架及具有其的跨坐式单轨车辆
US20180154718A1 (en) Hybrid lower arm
RU109437U1 (ru) Подвес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 стабилизатором
US107929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for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body
EP3228485B1 (en) Axle suspension system with panhard rod and vehicle with axle suspension system
US9746106B1 (en) Vehicle cable spacers and methods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0936986B1 (ko) 현가장치용 롤 억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