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663B1 - 정보 동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동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663B1
KR101013663B1 KR1020087020237A KR20087020237A KR101013663B1 KR 101013663 B1 KR101013663 B1 KR 101013663B1 KR 1020087020237 A KR1020087020237 A KR 1020087020237A KR 20087020237 A KR20087020237 A KR 20087020237A KR 101013663 B1 KR101013663 B1 KR 10101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torage device
synchroniz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554A (ko
Inventor
히데오 이께다
다꾸야 구사까
나오끼 다무라
찌따까 마나베
히데노리 사까이
유우이찌 이와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8009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06K19/045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the record carrier being of the non-contact type, e.g. RFID,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a disc, e.g. a CD or DV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 사이로 무선 통신 단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 범위, 정보 기억 장치, 리드 라이트 장치, 판독, 기입

Description

정보 동기 시스템{INFORMATION SYNCHRON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하는 반송체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제1 정보 기억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특히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로는 통신 불가능한 원거리의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려는 정보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동기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동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산·물류의 효율화를 실현하는 기술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에 데이터를 기입할 경우, RFID 태그에 정보를 기입하면 그것으로 모든 처리가 종료되는 일은 적다. 통상은 상기 RFID 태그에 기입한 데이터를 갱신해야 상품 관리나 공정 관리에 도움이 되는 일이 많다.
예를 들어 제품의 가공 등의 공정을 관리할 경우 가공 대상물에 RFID 태그를 첨부해 두고, 이 RFID 태그에 기억된 가공 대상물의 정보(로트 정보, 가공의 종류에 관한 정보, 재료에 관한 정보, 납기에 관한 정보 등)를 이용하여 가공 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가공 공정에 들어온 가공 대상물에 첨부된 RFID 태그에는 가공 대상물의 로트 번호나, 납기, 현재의 가공 단계 등의 초기적인 정보가 기입되어 있으 나 가공이 행해질 때마다 그 정보는 갱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가공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의 갱신 완료된 정보에 대해서는 최종 제품 정보로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판독되어 관리용으로 서버 등에 보내어져 소정의 관리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한 가공 공정과 같이 복수의 공정에 있어서 RFID 태그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정보 갱신 때마다 RFID 태그용의 리드 라이트 장치(이하, 리드 라이트 장치라고 약칭한다)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입, 혹은 RFID 태그로부터 정보의 판독을 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공정 모두에 고가의 리드 라이트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 한편, 상기 가공 공정에서 갱신된 정보를 관리 장치의 서버 등으로 전하기 위해서는 수백 미터 정도의 통신 범위를 갖는 무선 LAN이 적합하다.
무선 LAN과의 조합으로 RFID의 운용 수법을 넓히기 위한 시도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LAN 기능을 갖춘 RFID 리드 라이트 장치가 있다. 이것은 리드 라이트 장치와 정보를 전송하는 곳의 처리계 사이를 무선 LAN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리드 라이트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려고 하는 것이다.
즉, 이것은 리드 라이트 장치와 무선 LAN 단말을 일체로 하여 휴대 반송할 수 있게 하여 무선 LAN에 의해 서버 등의 처리계에 무선 접속한 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작업원이 리드 라이트 장치를 관리 대상물의 반송 상태에 따라 이동시켜 갖다댐으로써 임의의 장소에서 관리 대상물에 첨가된 RFID 태그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거기에서 얻은 RFID 태그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RFID 태그의 통신 범위는 수십 ㎝로 매우 좁으므로, 상기 기술로는 RFID 태그와의 통신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원이 이동하는 가공 대상물과 함께 돌아다녀야 한다. 그 때문에, 작업원의 부담은 매우 크다.
또한, 상기 기술의 응용으로서 반송 장치(반송체)에 상기의 무선 LAN 기능을 갖춘 리드 라이트 장치를 설치하고, 반송 장치 상의 관리 대상물에 부가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무선 LAN을 통하여 원격 통신할 수 있게 한다는 사고 방식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리드 라이트 장치는 고가여서 모든 반송 장치에 리드 라이트 장치를 설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저가격 하에서 이동하는 반송체에 첨부된 RFID 태그와 같은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예를 들어 관리 장치측의 정보와 적확하게 동기를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보 동기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해도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도 제공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해도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제1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동기시키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도 제공된다.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해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후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판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해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미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판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제2 무선 통신 단말을 더 구비해도 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 범위에 존재해도 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만 통신해도 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의 강도는 미리 정한 강도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의 강도보다도 커도 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보다도 빨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가 가진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 제1 고유 정보를 가져도 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고유 정보와 상이한 제2 고유 정보를 가져도 되고,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1 고유 정보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2 고유 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제2 무선 통신 단말을 더 구비해도 되고,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의 통신 범위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만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은 그 중에 단 1개의 반송체밖에 들어갈 수 없는 통신 거리를 갖는 무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 통신해도 된다.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은 이동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반송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기 장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반송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기 장치에 설치되어도 되고, 그리고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동기 장치와는 별도로 반송 가능한 휴대 장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동기 장치와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반송체와 함께 이동시키는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반송체와 함께 이동시키는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를 동기시킬 경우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로 동기시킬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로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이 유지하는 동기 대상의 정보에 관한 교신 시각에 기초하여, 어느 것으로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는 가장 교신 시각이 새로운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시켜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도 되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해 유지시켜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도 되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해 유지시켜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도 되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해 유지 시켜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정보 동기 시스템은, 상기 동기 제어 장치와 접속된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기입하는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에서밖에 통신할 수 없는 제1 기억 장치와 리드 라이트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 통신 장치와, 그보다 통신 거리가 긴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 기지국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원거리 통신 장치 양 쪽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억 장치(즉 반송체)가 리드 라이트 장치로부터 소정의 근거리에 왔을 때만 상기 근거리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그 이외의 원거리에 반송체가 있을 때에는 상기 원거리 통신 장치에 의해 오로지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갱신해 둔다.
그리고 반송체가 상기 근거리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는 양 쪽의 통신 장치가 교신 가능하게 되므로, 그 때에 일거에 제1 기억 장치에 있어서의 기억 내용과 제2 기억 장치에 있어서의 기억 내용의 동기를 달성해 버리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고가의 리드 라이트 장치를 각 반송체에 설치하는 비용이 드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서 기억 내용의 갱신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실용적인 정보 동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RFID 태그를 첨부한 관리 대상물의 개념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동기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동기 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는 입하 에어리어의 개념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한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는 출하 에어리어의 개념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반송체(캐리어)
2 : 관리 대상물
3 : RFID 태그
4 : 무선 통신 단말
5 : 데이터 기억 장치
6 : 동기 장치
7 : 무선 통신 기지국
8 : PDA(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
9 : LAN 무선 통신 기지국
11 : RFID 태그 안테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우선, 도2의 개념도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크레인, 반송 대차 등의 반송체(캐리어)(1)는 가공 대상 등의 관리 대상물(2)을 싣고 이동한다.
상기 관리 대상물(2)에는 RFID 태그(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체(1) 상에는 상기 관리 대상물(2) 외에 무선 통신 단말(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4)은, 예를 들어 수백 m 이상으로, 상기 RFID 태그(3)보다 원거리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4)은 상기 RFID 태그(3)와는 별도의 데이터 기억 장치(5)를 구비하고 있거나 혹은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반송체(1)의 무선 통신 단말(4)은 반송체(1)와는 별도의, 예를 들어 동기 장치(6)에 설치된 무선 통신 기지국(7), 무선 기능을 갖는 PDA(8), 혹은 무선 LAN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사이에서 상기RFID 태그(3)보다 원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기 장치(6), PDA(8),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중에서 상기 동기 장치(6)는 특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동기 장치(6), PDA(8), LAN 무선 통신 기지국(9)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4) 사이에 있어서 비교적 원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동기 장치(6)는 그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4) 사이에서 원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상기 동기 장치(6)는,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7)에 의해 상기 PDA(8), LAN 무선 통신 기지국(9)과 마찬가지의 비교적 원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 외에 리드 라이트 장치(RW)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반송체(1) 상의 관리 대상물(2)에 부가된 상기 RFID 태그(3)와의 사이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동기 장치(6)에는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RW)와 무선 통신 기지국(7) 외에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RW)와 무선 통신 기지국(7)을 제어하는 동시에 기억 기능을 갖춘 동기 제어 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체(1)가 RFID 태그(3)의 리드 라이트 장치(RW)와의 통신 가능 범위에 왔을 때에 RFID 태그(3)와 리드 라이트 장치(RW)가 통신하여 RFID 태그(3)의 기억 정보가 동기 제어 장치(10)를 통하여 무선 통신 기지국(7)으로 전해진다. 또한 이 정보는 무선 통신 기지국(7)과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과의 교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4)에 접속된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억된 정보는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 범위가 넓기 때문에 임의일 때에 무선 통신 단말(4)이 PDA(8),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혹은 동기 장치(6)의 무선 통신 기지국(7)과 통신을 행하여 갱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입된 정보는 다시 반송체(1)가 동기 장치(6)의 근방으로 이동해 왔을 때에 리드 라이트 장치(RW)와 RFID 태그(3)가 교신 함으로써 데이터 기억 장치(5)→무선 통신 기지국(7)→동기 제어 장치(10)→리드 라이트 장치(RW)를 거쳐 RFID 태그(3)측에 기입된다.
이에 의해 처음에 RFID 태그(3)로부터 판독된 정보는 무선 통신 단말(4)의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입된다. 그 후 반송체(1)가 동기 장치(6)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도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입된 정보가 갱신된다. 최종적으로 갱신 후 의 데이터가 다시 RFID 태그(3)에 기입되어 RFID 태그(3)의 기억 정보와 무선 통신 단말(4)측의 데이터 기억 장치(5)측의 정보의 동기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상기 동기 제어 장치 및 리드 라이트 장치(RW)는 상기 반송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기 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RW)에 대해서는 상기 동기 장치와는 별도로 반송 가능한 휴대 장치에 더 설치되어도 된다. 조작자가 소형의 리드 라이트 장치(RW)만을 들고 운반할 수 있는 쪽이 조작하기 쉬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시스템의 1개의 구성 요소인 반송체(1)는 관리 대상물(2)과 관리 대상물(2)에 설치된 RFID 태그(3)와 무선 통신 단말(4)과 무선 통신 단말(4)에 접속된 데이터 기억 장치(5)를 재치하여 반송한다(도1 및 도2 참조).
RFID 태그(3)는 UHF대 등의 비교적 근거리의 통신 범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소정 정보의 판독·기입이나 보존이 가능한 기억 장치이며, 생산·물류 관리에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반송체(1)는 관리 대상물(2)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이며, 크레인과 같이 관리 대상물(2)을 매다는 것이나, 트레이에 재치하여 반송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벨트 콘베이어와 같이 관리 대상물(2)마다 구획되어 있지 않은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 대상물(2)을 관리하는 구획마다 독립된 부분으로서 분리하여 생각하면 된다.
반송체(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4)을 내장하고 있다. 이것 은, 상기 RFID 태그(3)보다는 넓은 통신 범위를 갖는 원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CPU, 메모리 등을 구비한 단말로서, RFID 태그(3)와 동일하게 무선 신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의 판독·기입이나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4)은 IEEE 802.11 규격에 대응한 무선 LAN 등을 개재함으로써 RFID 태그(3)보다도 장거리로부터 혹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4)이 통신에 이용하는 무선 규격은 IEEE 802.11 규격에 대응한 것 이외에도 BlueTooth 규격이나 ZigBee 규격과 같은 IEEE 802.15 규격에 포함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통신 거리나 노이즈 내성 등 적응 어플리케이션에 알맞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거리의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휴대한 무선 대응 PDA(8)나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접속된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상기한 동기 장치(6) 등이 상기 원거리 무선을 통하여 상기 반송체(1)에 내장된 무선 통신 단말(4)에 액세스된다. 그리고, RFID 태그(3)에 관리 대상물(2)의 정보를 기입하거나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관리 대상물(2)의 정보를 읽어 내거나, 생산·물류 도중에 발생한 새로운 정보를 부가하거나 할 수 있다.
외부의 상기 동기 장치(6)나, PDA(8) 등의 무선 기기와 반송체(1)에 내장된 무선 통신 단말(4)은 직접 통신을 행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으나, 도중에 무선 통신 기지국(7)을 설치하여 이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무선 통신 기지국(7)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다.
관리 대상물(2)에 설치된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정보와,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정보[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억되어 있다]를 동기시키기 위해본 시스템에서는 동기 장치(6)를 도입한다(도2 참조).
이것은, RFID 태그(3)에 액세스하기 위한 RFID 안테나(11)를 구비한 리드 라이트 장치(RW)와, 상기 반송체(1)측의 무선 통신 단말(4)에 액세스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지국(7), 및 이들을 통하여 동기 처리를 행하는 동기 제어 장치(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다.
동기 제어 장치(10)는 RFID 태그(3) 및 무선 통신 단말(4)과 각각 통신을 행하여 이들이 유지하는 정보가 동일하게 되도록 동기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인 동기 처리의 방법은 후에 다시 서술한다.
이 동기 장치(6)를 상기 RFID 태그(3)의 전자파가 닿는 범위 내의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여 동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RFID 태그(3)와의 통신을 할 수 없는 범위에 반송체(1)가 있는 경우나 반송체(1)의 이동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RFID 태그(3)와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통신을 할 수 없는 등의, RFID 태그(3)를 사용하기 힘든 장소에서의 사용 범위를 비약적으로 넓힐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실현 방법의 일례는 일단 동기 처리를 행하여 RFID 태그(3)의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4)측으로 옮기고, 그 후에는 무선 통신 단말(4)측에 기억된 정보에 액세스하여 정보의 갱신을 행하고, 갱신된 정보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상기 정보의 경로와 반대 경로를 따라 RFID 태그(3)로 복귀시키는 바와 같은 동기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동기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타이밍으로 행해진다.
반송체(1)가 동기 장치(6)의 근방에 들어가 반송체(1) 상의 RFID 태그(3)가 리드 라이트 장치(RW)에 반응하면, 리드 라이트 장치(RW)는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정보를 판독하여 그것을 동기 제어 장치(10)로 송신한다. 동기 제어 장치(10)는 RFID 태그(3)의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의 응답을 확인하여, 응답이 있으면 무선 통신 단말(4)측의 데이터 기억 장치(5)에 수신 정보를 기입한다.
혹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 라이트 장치(RW)가 RFID 태그(3)의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에 동기 제어 장치(10)는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4)측의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리드 라이트 장치(RW)를 통하여 그 정보를 RFID 태그(3)에 기입한다.
이에 의해, 상기 동기 제어 장치(10)의 개재 하에 RFID 태그(3)로부터 데이터 기억 장치(5)로 혹은 데이터 기억 장치(5)로부터 RFID 태그(3)로 정보를 전송시켜 양자의 기억 내용의 상호의 동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동기 제어 장치(10)가 미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7) 및 무선 통신 단말(4)을 통하여 제2 정보 기억 장치(5)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을 행하여 기억해 두고, 또한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RW)가 RFID 태그(3)의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RW)에 의해 상기 RFID 태그(3)에의 상기 정보의 기입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신 거리가 짧은 RFID 태그(3)의 통신 범위에 동기 장치(6)가 들어가, 유지하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을 때에 동기 장치(6)는 동기 처리를 개시한다.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안테나(11)는 리드 라이트 장치(RW)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나, 운반 가능한 형태로 작업원이 수동으로 안테나를 움직여 RFID 태그(3)와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리드 라이트 장치(RW) 그 자체를 운반 가능한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우선 반송체(1)가 동기 장치(6) 근방의 RFID 태그(3)의 통신 범위에 들어가면, 작업원 등이 수동으로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안테나(11)를 RFID 태그(3)에 갖다대면 리드 라이트 장치(RW)가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정보를 판독하여 그것을 동기 제어 장치(10)로 송신한다. 동기 제어 장치(10)는 RFID 태그(3)의 정보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의 응답을 확인하여, 응답이 있으면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반송체가 상당한 속도로 이동 중에 동기를 취할 필요가 있을 경우도 발생한다. 이 경우, 제1 정보 기억 장치[RFID 태그(3)]와 리드 라이트 장치의 상대 속도가 크면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리드 라이트 장치의 갱신이 불능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1 정보 기억 장치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동기 장치(6)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반송체(1)와 함께 이동시키는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해 두면,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상대 속도가 0 또는 매우 작아지므로, 상기와 같은 갱신 불능과 같은 문제점은 회피된다. 예를 들어, 콘베이어의 옆에 놓여져, 콘베이어에 재치된 관리 대상물과 함께 일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하는 안테나의 이동 장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양 쪽이 유지하는 정보를 취득하면, 동기 제어 장치(10)는 동기 처리를 행한다. 어느 쪽의 데이터를 유지할지에 관해서는 후기한다.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 범위는, 예를 들어 IEEE 802.11 대응 무선 LAN을 이용한 경우, 수백 m에나 미치기 때문에 그 통신 범위 내에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4)이 존재해 버려 반송체(1) 상의 RFID 태그(3)와 교신 중인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하기 위한 수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무선 통신 기지국(7)의 통신 에어리어를 필요한 에어리어에만 한정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 단말(4)이 1개만 되는 상황을 만들어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하는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베이어 위에 일정 거리로 반송체(1)[무선 통신 단말(4)]가 배치되어 계속 반송되고 있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 범위를 상기 반송체(1)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통신 범위에 한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가 송신되는 방향을 필요한 에어리어에만 한정함으로써도 달성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지국(7)의 통신 에어리어를 한정했다고 해도 그 범위 내에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4)이 들어와 버리는 일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우선 무선 통신 기지국(7)과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에 이용하는 무선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한 쪽의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류 현장에서는 반송체(1)의 이동하는 루트는 어느 정도 한정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 기지국(7) 장치의 안테나 지향성 등에 의해, 그 루트 상에서 가장 무선 신호 강도가 강해지는 지점은 미리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루프 안테나의 중심점 등, RFID 태그(3)의 신호를 판독하는 지점에 있어서 무선 통신 기지국(7) 장치와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의 무선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해지도록 무선 통신 기지국(7) 장치의 안테나 지향성을 설계 함으로써, 동기 처리를 행해야 할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동기 장치(6)의 리드 라이트 장치(RW)를 이동시키면서 RFID 태그(3)의 판독을 행하는 구성의 경우, RFID 태그(3)의 신호를 판독하는 지점을 고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온 순서대로 무선 통신 단말(4)을 특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가장 빨리 통신 범위에 들어온 반송체를 통신 상대로서 특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물류 현장에서는 반송체(1)가 이동하는 루트는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 범위를 정해 두면 그곳으로 반송체(1)가 들어온 순서를 파악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방법의 경우, 예를 들어 작업원이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안테나를 움직여 RFID 태그(3)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면, 작업원은 작업 에어리어에 반송체(1)가 들어온 순서대로 리드 라이트 장치(RW)를 갖다대어 RFID 태그(3)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된다.
동기 제어 장치(10)에 의해 임의의 무선 통신 단말(4)이 선택되었을 때 반송체(1) 상에 표시 램프 등을 설치하여, 그것을 작업원에게 나타내도록 하면 이 처리는 보다 용이해진다고 생각된다.
RFID 태그 중에는 그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 번호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동기 대상으로 되는 정보에 RFID 태그(3)를 갖는 고유 ID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어느 한 방법으로 동기 처리를 행하여 무선 단말(4)의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그 고유 ID 번호를 기입할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 그 후의 동기 처리는 이하와 같이 된다. 작업원이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안테나를 움직여 임의의 반송체(1) 상의 RFID 태그(3)를 판독했을 때에 동기 제어 장치(10)가 우선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모든 통신 단말로부터 고유 ID 번호 정보를 판독하여, RFID 태그(3)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을 동기 대상으로서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원은 반송체(1)가 통신 범위에 들어온 순서와 관계없이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반송체(1)로부터 RFID 태그(3)를 판독함으로써 동기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동기 처리의 구체적 내용으로서는 우선 동기 장치(6)의 설치 위치에 의해 RFID 태그(3)와 무선 통신 단말(4) 중 어느 쪽이 유지하는 내용을 사용할지를 결정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즉 어느 동기 장치(6)에서는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내용을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그 내용을 그대로 무선 통신 단말(4)에 복사한다. 또한, 별도의 동기 장치(6)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내용을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그 내용을 그대로 RFID 태그(3)에 복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4)을 사용하는 구간의 시작의 장소에 설치한 동기 장치(6)에서는 그 시점에서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내용을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복사하고, 무선 통신 단말(4)을 사용하는 구간의 끝의 장소에 설치한 동기 장치(6)에서는 그 시점에서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내용을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RFID 태그(3)에 복사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4) 사용 구간에서 무선 통신 단말(4)에 추가된 변경을 RFID 태그(3)에 재기입한다는 사용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보존할 수 있는 정보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RFID 태그(3) 및 / 혹은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정보 중에 타임 스탬프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시각 정보를 타임 스탬프로서 기록해 두고, 동기 처리를 행할 때에는 RFID 태그(3)가 유지하는 정보와 무선 통신 단말(4)이 유지하는 정보의 스탬프를 비교해, 보다 갱신 시각이 새로운 것을 바른 것으로 하여 이것에 기초하여 오래된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덮어 쓴다.
동기 장치(6)에 서버 장치를 접속해 두어, 동기 처리가 행해질 때마다 RFID 태그(3) 및 / 혹은 무선 통신 단말(4)이 갖는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LAN 무선 통신 기지국(9) 등]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도록 하면 제품 관리상 유용하다.
이 경우, RFID 태그(3) 및 / 혹은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억된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서버 장치[LAN 무선 통신 기지국(9) 등] 상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유지할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RFID 태그(3)가 유지할 수 있는 정보량은 겨우 수백 byte 정도로 제한되어 있으나 무선 통신 단말(4)이면 수백 Mbyte 정도의 정보를 갖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용이하여 훨씬 많은 정보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4)에 정보를 유지시키고 있는 구간에 있어서는 RFID 태그(3)의 정보 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 대용량의 관련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유지시켜 두고, 동기 처리를 행할 때에는 그러한 대용량의 정보는 동기 장치(6)에 접속한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등의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에만 보존하고, RFID 태그(3)에는 정보 중 일부분만을 동기 보존한다는 사용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해 두면 후에 RFID 태그(3)의 고유 ID 번호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검색할 수도 있어 제품 관리상 유용하다.
반대로 RFID 태그(3)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4)로 동기 처리를 행할 경우, 서버 장치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된, 관련된 대용량 정보를 RFID 태그(3)의 고유 ID 번호 등의 정보로부터 검색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하고, 그 후의 처리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동기 장치(6)가 다른 정보 관리 장치인 LAN 무선 통신 기지국(9) 등의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RFID 태그(3) 및 / 혹은 상기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RFID 태그(3)가 임의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의 가치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제품 반송 시스템이나 가공 반송 시스템 등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이하에 기재한다.
우선, 이 시스템의 개요를,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궤도(R) 상을 복수의 반송체(1)가 이동하면서, 입하 에어리어(A)에서 제조 라인으로부터 제품을 수취하여 출하 에어리어(B)에서 출하 라인으로 제품을 인도하는 시스템이다.
궤도 상의 이동 경로에는 검사 에어리어(C)나 처리 에어리어(D)가 있으며, 각 에어리어에서 작업원이 제품의 검사를 행하고, 또한 검사 결과에 따른 출하 처리를 행하게 되어 있다.
반송체(1)는 도1과 같은 구성이며, RFID 태그(2)와, 예를 들어 IEEE 802.11g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 단말(4)을 내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무선 통신 단말(4)은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해 동기 장치(6) 내의 동기 제어 장치(10)와 통신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작업원이 든 무선 대응 PDA(8)나, LAN 무선 통신 기지국(9)과 교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입하 에어리어(A)」 「출하 에어리어(B)」에는 동기 장치(6-1, 6-2)가 설 치되어 있어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과 제품에 부가된 RFID 태그(3)의 동기 처리를 행한다. 동기 장치(6)에는 제품 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서버(12)가 네트워크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동기 장치(6)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와 같은 것이나,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또한 「검사 에어리어(C)」 「처리 에어리어(D)」에는 무선 통신 기지국(7-1, 7-2)이 설치되어 있어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과 작업원이 든 무선 대응 PDA(8)의 통신을 매개한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할지의 개략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반송체(1)가 「입하 에어리어(A)」에 도달하면 반송체(1)에는 제조 라인으로부터 RFID 태그(3)의 부가된 제품(관리 대상물2)이 탑재된다. 「입하 에어리어(A)」에는 동기 장치(6-1)가 설치되어 있어, RFID 태그(3)의 정보와 무선 통신 단말(4)의 정보가 동기된다.
이때, 무선 통신 단말(4)에는 하등 제품에 관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RFID 태그(3)의 정보가 무선 통신 단말(4)로 전기(轉記)된다. 이 수법으로서는 「입하 에어리어(A)」에 있어서의 동기 방식으로서 기계적으로 「RFID 태그(3)의 정보를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한다」로 하여 동기해도 된다. 혹은, RFID 태그(3)에 타임 스탬프 첨부의 정보를 갖게 하여 RFID 태그(3)가 갖는 정보에 대응하는, 보다 새로운 정보가 무선 통신 단말(4)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4)이 그러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RFID 태그(3)의 정보를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한다」로 하여 동기해도 된다.
이때 「입하 에어리어(A)」의 동기 장치(6-1)는 제품 관리 서버(12)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RFID 태그(3)의 고유 ID 번호를 키워드로, 그 제품에 관한 RFID 태그(3)에는 기입되어 있지 않은 부가적인 정보를 제품 관리 서버(12)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해도 된다.
제품이 탑재되어, 동기 처리에 의해 제품에 관한 정보가 무선 통신 단말(4)측의 데이터 기억 장치(5)에 기입되면 반송체(1)는 궤도(R)를 따라 이동하여 「검사 에어리어」에 도달한다.
「검사 에어리어(C)」에서는 무선 대응 PDA(8-1)를 든 작업원이 무선 통신 기지국(7-1)을 통하여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에 액세스하여 무선 통신 단말(4)이 가진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를 행하여, 검사 결과를 동일하게 무선 대응 PDA(8-1)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한다. 이때, 작업원은 무선 통신 단말(4)의 통신 범위가 넓기 때문에, 통상 RFID 태그(3)의 판독·기입을 할 수 없는 거리로부터에서도 무선 통신 단말(4)의 기입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상 RFID 태그(3)에의 기록·판독 시에는 반송체(1)의 이동 속도를 1㎞/h 정도의 저속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무선 통신 단말(4)의 경우에는 그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여도 된다.
그런데, 반송체(1)는 「검사 에어리어(C)」를 통과하면 다음에 「처리 에어리어(D)」에 도달한다. 「처리 에어리어(D)」에서는 무선 대응 PDA(8-2)를 든 작 업원이 무선 통신 기지국(7-2)을 통하여 반송체(1) 상의 무선 통신 단말(4)에 액세스하여 무선 통신 단말(4)이 가진 제품 정보나 「검사 에어리어(C)」에서 부가된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고, 또한 처리 결과를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한다. 혹은 단순히 결과를 기입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무선 통신 기지국(7-1)을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4)에 기입해도 된다. 반송체(1)에의 기입 거리나 기입 시의 통신 속도에 자유도가 있는 것은 「검사 에어리어」와 마찬가지이다.
최종적으로 반송체(1)는 「출하 에어리어(B)」에 도달하여 여기에 설치된 동기 장치(6-2)를 통과할 때에 무선 통신 단말(4)[데이터 기억 장치(5)]에 부가되거나 혹은 변경된 정보가 RFID 태그(3)에 전기된다. 이 판단은 「출하 에어리어(D)」에 있어서의 동기 방식으로서 기계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4)의 정보를 바른 것으로서 이용하여 RFID 태그(3)에 기입한다」로 하여 동기해도 되고, RFID 태그(3) 및 무선 통신 단말(4)에 타임 스탬프 첨부의 정보를 갖게 하여, 양자가 갖는 정보의 타임 스탬프를 비교하여 오래된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덮어 쓰는 형태로 동기해도 된다.
이때 「출하 에어리어」의 동기 장치(6-2)는 제품 관리 서버(12)와 접속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4)이 갖는 정보는 생산 관리 서버(12)의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무선 통신 단말(4)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데이터 등 RFID 태그(3)의 기억 용량에 들어가지 않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들 정보는 RFID 태그(3)에는 전기되지 않고, 상기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만 기록되나 이것은 후에 RFID 태그(3)의 고유 ID 번호에 의해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어떠한 조건에 의해, 상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제품으로부터 RFID 태그(3)를 떼어내야 하는 경우에도 「입하 에어리어(A)」에서 동기 처리를 행한 후에 RFID 태그(3)를 떼어내고 「출하 에어리어(D)」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기 전에 새로운 RFID 태그(3)를 부착함으로써 RFID 시스템으로서 연속성을 가진 상태로 문제없이 기능한다.
다음에, 도3에서의 2개의 동기 장치(6-1, 6-2) 중 동기 장치(6-1)의 동작에 대해 도4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기 장치(6-1)는 궤도를 둘러싸도록 루프 형상으로 RFID 안테나(11)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체(1)는 안테나(11)의 루프의 중심점을 통과한다. 또한 무선 통신 기지국(7)은 지향성 안테나에 의해 RFID 안테나(11)의 루프의 근방에서만 통신 가능하고, 또한 루프의 중심 부근에서 가장 신호 강도가 강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체(1)가 궤도(R) 상을 이동하여, 이 동기 장치(6)의 에어리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할 경우 RFID 태그(3), 동기 제어 장치(10), 및 무선 통신 단말(4)에 의해 이하와 같은 순서가 실행된다.
우선, 리드 라이트 장치(RW-1)에 의해 RFID 태그(3)의 판독을 행하기 위하여 반송체(1)는 이동 속도를 1㎞/h 정도 떨어뜨려 에어리어 내로 진입한다. 리드 라이트 장치(RW)의 근방만 속도 규제하는 것뿐이므로, 이 제어는 간단하고 실행 가능하다.
반송체(1)가 RFID 안테나(11)의 루프를 통과할 때에 반송체(1) 상의 관리 대상물(2)에 부가된 RFID 태그(3)의 정보는 동기 장치(6)의 리드 라이트 장치(RW)에 의해 판독되어 동기 제어 장치(10)로 판독된다.
그것을 트리거로 하여 무선 통신 단말(4)의 데이터 기억부(5)가 가진 정보도 무선 통신 기지국(7)을 통하여 동기 제어 장치(10)로 판독되나, 무선 통신 기지국(7)과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4)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전파 강도 등의 우선도에 따라 선택된 무선 통신 단말(4)의 정보가 판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체(1)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 통신 단말(4)의 정보와, 반송체(1)가 운반하고 있는 관리 대상물(2)에 부가된 RFID 태그(3)의 정보가 동기 제어 장치(10)로 판독되고, 그 후 그들 정보는 전술한 소정의 수속에 의해 동기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각각 RFID 태그(3), 무선 통신 단말(4)의 데이터 기억부(5)로 기입하여, 재기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동기 장치(6-2)의 동작에 대하여 도5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기 장치(6-2)에는 유선으로 접속된 가동식의 리드 라이트 장치(RW-2)가 접속되어 있으며, 작업원이 이 리드 라이트 장치(RW-2)를 반송체(1)가 운반하고 있는 관리 대상물(2)에 부가된 RFID 태그(3)에 갖다댐으로써 동기를 행한다. 또한, 동기 장치(6-2)의 무선 통신 기지국(7)은 무선 강도가 강하므로, 어느 정도의 넓이를 갖는 일정한 에어리어를 균일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또한 상당한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대상과도 교신할 수 있으므로, 이 에어리어 내이면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4) 과 마찬가지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에어리어에서는 반송체(1)는 통상과 동일한 정도의 속도(예를 들어 10㎞/h)로 에어리어 내로 진입해도 무선 통신 단말(4)과 교신할 수 있다.
동기 제어 장치(10)는 에어리어 내로 반송체(1)가 진입해 오면, 침입해 온 순서대로 무선 통신 단말(4)이 가진 IP 어드레스 등의 식별 번호를 메모리 내의 리스트에 보존한다.
다음에, 작업원이 가동식 리드 라이트 장치(RW-1)를 RFID 태그(3)에 갖다대어, RFID 태그(3)의 정보를 판독하면 동기 제어 장치(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 중 가장 오래된 단말과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그 후 메모리 상의 그 무선 통신 단말(4)의 정보는 소거한다. 즉, 동기 제어 장치(10)의 리스트에서는 다음으로 오래 전에 진입해 온 무선 통신 단말(4)이 다음의 동기 대상으로 된다.
혹은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RFID 태그(3)가 가진 고유 ID 번호가 무선 통신 단말(4)이 가진 동기 대상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작업원이 RFID 태그(3)의 정보를 판독한 시점에서 영역 내의 모든 무선 통신 단말(4)로부터 고유 ID 번호를 판독하여, 고유 ID 번호가 RFID 태그(3)와 일치하는 무선 통신 단말(4)을 선택하여 그 무선 통신 단말(4)과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RFID 태그(3)의 사용이 어려운 멀리 떨어진 대상과도 교신할 수 있어 무선 LAN 등의 무선 시스템의 조합에 의해 보다 편리성이 높은 생산 관리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2006년 2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번호2006-042629의 이익을 주장하고, 당해 출원의 내용은 인용함으로써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 반송 시스템이나 가공 반송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9)

  1.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3.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 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5. 정보 동기 시스템이며,
    제1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1 정보 기억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보다 넓은 제2 무선 통신 범위를 갖는 제2 정보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제1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는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동기시키는 동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판독한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한 후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판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미리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범위에 들어갔을 때,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판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단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만 통신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의 강도는 미리 정한 강도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의 강도보다도 큰 정보 동기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가 가진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 제1 고유 정보를 갖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고유 정보와 상이한 제2 고유 정보를 갖고,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1 고유 정보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말의 상기 제2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단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의 통신 범위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만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로 설정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은 그 중에 단 1개의 반송체밖에 들어갈 수 없는 통신 거리를 갖는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은 이동 가능한 반송체에 설치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반송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기 장치에 설치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기지국과,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반송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기 장치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가 상기 동기 장치와는 별도로 반송 가능한 휴대 장치에 설치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동기 장치와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반송체와 함께 이동시키는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라이트 장치를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반송체와 함께 이동시키는 리드 라이트 장치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를 동기시킬 경우에 상기 동기 제어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로 동기시킬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의 상기 정보로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말이 유지하는 동기 대상의 정보에 관한 교신 시각에 기초하여 어느 것으로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시킬지를 결정하는 장치는, 가장 교신 시각이 새로운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시키는 정보 동기 시스템.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유지시키는 정보 동기 시스템.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유지시키는 정보 동기 시스템.
  2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전송하여 유지시키는 정보 동기 시스템.
  2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는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한 정보 동기 시스템.
  2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한 정보 동기 시스템.
  2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가 정보 관리 장치와 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정보 중 동기시킬 것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유지시킬 것을 임의로 선택 가능한 정보 동기 시스템.
  2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제어 장치와 접속된 관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기억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기억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기입하는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정보 동기 시스템.
  29. 삭제
KR1020087020237A 2006-02-20 2007-02-20 정보 동기 시스템 KR101013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2629A JP3946748B1 (ja) 2006-02-20 2006-02-20 情報同期システム
JPJP-P-2006-00042629 2006-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554A KR20080096554A (ko) 2008-10-30
KR101013663B1 true KR101013663B1 (ko) 2011-02-10

Family

ID=3834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237A KR101013663B1 (ko) 2006-02-20 2007-02-20 정보 동기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09299A1 (ko)
EP (1) EP1998473B1 (ko)
JP (1) JP3946748B1 (ko)
KR (1) KR101013663B1 (ko)
CN (1) CN101361297B (ko)
BR (1) BRPI0707754A2 (ko)
ES (1) ES2536081T3 (ko)
TW (1) TW200818750A (ko)
WO (1) WO2007097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1678B2 (ja) * 2007-11-19 2010-08-11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0114812A (ja) * 2008-11-10 2010-05-20 Nec Mobiling Ltd 情報交換システム、情報交換方法および情報交換プログラム
JP6065392B2 (ja) * 2012-03-13 2017-01-25 小柳建設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システムを運用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6019676B2 (ja)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019675B2 (ja)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5867319B2 (ja) 2012-07-03 2016-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00228B2 (ja) 2012-08-06 2016-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264815B2 (ja) 2013-09-30 2018-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402494B2 (ja) 2014-05-30 2018-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システム、機能実行装置、及び、通信端末
CN109034677B (zh) * 2017-06-09 2021-12-28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运单及其商业应用方法、系统、设备
JP6443512B2 (ja) * 2017-08-16 2018-1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ES2723898A1 (es) * 2018-02-27 2019-09-03 Happy Punt S L U Sistema y procedimiento identificador de productos
CN110083136A (zh) * 2019-05-17 2019-08-02 北京益企云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中工件加工监控系统及方法
CN111596976B (zh) * 2020-04-30 2022-07-12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信息读写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090515A (ja) * 2020-12-07 2022-06-17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349A (ja) 2002-01-21 2003-07-30 Ntt Data Corp 非接触icタグ、貨物管理システム、貨物管理方法、貨物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223822A (ja) 2004-02-09 2005-08-18 Olympus Corp 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568A (en) * 1996-06-26 1999-09-28 Par Goverment Systems Corporation Measuring distance
BR9908714A (pt) * 1998-03-13 2000-11-21 Motorola Inc Identificador rfid, leitora rfid, e sistema rfid incluindo identificadores com tamanhos de memória diferentes
WO2001055931A1 (en) * 2000-01-28 2001-08-02 Trafficop,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logistics services
CA2519970A1 (en) * 2003-04-17 2004-10-28 Symbol Technologies, Inc. Multimode wireless local area network/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sset tag
JP4334980B2 (ja) * 2003-09-05 2009-09-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物品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6042629A (ja) 2004-08-02 2006-02-16 Ryukyu Shokuryo Kk 栄養付加着色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2757443Y (zh) * 2004-11-04 2006-02-08 凯明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码分多址移动通信系统中的初始同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349A (ja) 2002-01-21 2003-07-30 Ntt Data Corp 非接触icタグ、貨物管理システム、貨物管理方法、貨物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223822A (ja) 2004-02-09 2005-08-18 Olympus Corp 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7754A2 (pt) 2011-05-10
EP1998473A4 (en) 2011-03-23
ES2536081T3 (es) 2015-05-20
US20090009299A1 (en) 2009-01-08
EP1998473A1 (en) 2008-12-03
JP3946748B1 (ja) 2007-07-18
CN101361297B (zh) 2016-04-06
WO2007097348A1 (ja) 2007-08-30
KR20080096554A (ko) 2008-10-30
CN101361297A (zh) 2009-02-04
EP1998473B1 (en) 2015-04-22
TW200818750A (en) 2008-04-16
TWI340564B (ko) 2011-04-11
JP2007221682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663B1 (ko) 정보 동기 시스템
US10834617B2 (en) Automated RFID reader detection
EP2201441B1 (en) Identifying mobile devices
CN103187997B (zh) 使用近距离无线通信标签提供服务的系统与方法
EP2705481A1 (en) Method and arrangements for electronic shelf labels
CN103782292A (zh) 在设备之间执行数据的无线内部拷贝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JP5212006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CN105247820A (zh) 用于提供无线通信的方案
JP2017039601A (ja) 物流管理システム
KR20160002487A (ko) 관제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물류 수단
US20070027922A1 (en) Computer system and base transceiver stations
JP2007324945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
US106274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0984418B1 (en) Method for tracking and tracing goods
KR20080008852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에서의 태그 리딩 장치 및 방법
JP2019172442A (ja) 配送監視装置、配送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0735580B1 (ko) 물품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유니트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JP2007089434A (ja) 個体移動管理システム
JP2006065780A (ja) 移動可能機器の位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40976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部品確認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40020046A (ko) 듀얼 rfid 태그 장치
JP2012103877A (ja) Rfidシステム
CN111044967A (zh) 物品定位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储存介质
TW202009521A (zh) 用於預定範圍的追踪定位系統
JP2009146104A (ja) Rfid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