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46A - 듀얼 rfid 태그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rfid 태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46A
KR20240020046A KR1020220098018A KR20220098018A KR20240020046A KR 20240020046 A KR20240020046 A KR 20240020046A KR 1020220098018 A KR1020220098018 A KR 1020220098018A KR 20220098018 A KR20220098018 A KR 20220098018A KR 20240020046 A KR20240020046 A KR 2024002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module
rfid module
pow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세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세일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세일즈
Priority to KR102022009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46A/ko
Publication of KR2024002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communicating at a plurality of frequencies, e.g. for managing time multiplexed communication over at least two antennas of different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 RFID 태그 장치는 두 가지의 RFID를 지원하는 태그 장치이며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RFID 태그 장치이다. 하나의 RFID를 이용하여 태그 장치의 정보를 갱신하면 다른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도 갱신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데이터가 동기화되며,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데이터가 동기화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이다.

Description

듀얼 RFID 태그 장치 { DUAL RFID TAG DEVICE }
본 발명은 RFID 태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가지 방식의 RFID를 지원하는 RFID 태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즉, 전파를 이용하여 전자태그(tag)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RFID는 RFID 수신기인 RFID 리더기와 물건에 부착하는 RFID 태그로 구성된다. 이중 RFID 태그는 동력을 기준으로 수동형 태그(Passive tag), 반수동형 태그(Semi Passive tag), 능동형 태그(Active tag) 3가지 종류로 구분한다.
수동형 태그는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나 짧은 인식거리의 문제가 있고, 반수동형 태그는 수동형 태그에 자체 전원을 추가한 것으로 수동형 태그에 비하여 인식거리가 늘어나 자체적으로 RF 신호를 생성하지 못한다. 능동형 태그는 내장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30~100m의 비교적 긴 인식거리를 가진다.
RFID 태그는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도 구분한다. 125kHz 또는 134kHz의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LFID(Low Frequency Identification)와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HFID(High Frequency Identification)과 860MHz에서 96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UHFID(Ultra High Frequency Identification)으로 구분된다.
전자정보표시기, 전자가격표시기, 물류용 태그 등에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NFC를 기반으로 하는 RFID 또는 860~960MHz 대역을 사용하는 UHF RFID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는 NFC 기반의 RFID 또는 UHF RFID 중 어느 하나의 RFID 모듈만 탑재한다. 따라서, RFID 태그가 상품의 생산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서 한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야 하나, 상품이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는 비교적 짧은 인식거리를 갖는 NFC 기반의 RFID 리더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때와, UHF RFID 리더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편리할 때가 있다. 따라서, 이들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RFID 태그이면서도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되는 RFID 태그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두 가지 방식의 RFID를 지원하되, 각 방식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RFID와 동기화할 수 있는 RFID 태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전력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를 RFID 모듈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는 RFID 태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듀얼 RFID 태그 장치는 제1 RFID 모듈과, 제2 RFID 모듈과, 제어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제1 RFID 모듈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RFID 모듈로, 제1 RF 안테나와, 제1 RFID IC 칩을 포함한다.
제2 RFID 모듈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RFID 모듈로, 제2 RF 안테나와, 제2 RFID IC 칩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은 저전력 무선 통신을 위한 제3 RF 안테나와,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 각각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 연결과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용 GPIO 신호핀 연결과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과의 동기 방식 시리얼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 연결을 갖는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을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은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 RFID 모듈은 제1 RF 통신 시 생성된 자체 전력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모듈은 제1 RFID 모듈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2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고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제2 RFID 모듈은 제어 모듈의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으로부터 주기적으로 공급받는 전원을 사용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모듈은 제2 RFID 모듈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2 RFID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1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고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제어 모듈은 제어 모듈은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IoT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고,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한 후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듀얼 RFID 태그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어 모듈로부터 표시할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가지 방식의 RFID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RFID 모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더라도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RFID 모듈과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oT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전력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를 RFID 모듈의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듀얼 RFID 태그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어 모듈의 저전력 무선 통신 IC 칩의 GPIO 핀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블록도의 각 블록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품을 표현할 수 있으나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인 부품의 기능의 일부 혹은 복수의 물리적인 부품에 걸친 기능의 논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때로는 블록 혹은 그 일부의 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set)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들은 전부 혹은 일부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듀얼 RFID 태그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제어 모듈의 저전력 무선 통신 IC 칩의 GPIO 핀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듀얼 RFID 태그 장치(10)는 제1 RFID 모듈(100)과, 제2 RFID 모듈(120)과, 제어 모듈(140)과, 배터리 모듈(160)을 포함한다.
제1 RFID 모듈(100)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RFID 모듈로, 제1 RF 안테나와, 제1 RFID IC 칩을 포함한다. 제1 RFID는 약 10 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13.56 MHz 주파수 대역의 RFID 표준으로 양방향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사용하는 RFID 일 수 있다. 제1 RFID 모듈(100)은 NFC 리더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의 단말기를 10 cm 이내로 근접시킬 때 제1 RFID 모듈 자체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제1 RFID 모듈(1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제1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2 RFID 모듈(120)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RFID 모듈로, 제2 RF 안테나와, 제2 RFID IC 칩을 포함한다. 제2 RFID는 약 10 m 이내의 거리에서 860 ~ 960 MHz 주파수 대역의 RFID 표준으로 양방향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원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RFID 일 수 있다. 제2 RFID 모듈(120)은 UHF RFID 리더기에서 송신한 변조된 제2 RF 파를 제2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파를 정류하여 전력을 생성하여 자신의 전원으로 이용한다. 이때 생성되는 전력이 제2 RFID IC 칩에 전원으로 공급되어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제2 RFID 모듈(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제2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어 모듈(140)은 저전력 무선 통신을 위한 제3 RF 안테나와, 다수의 GPIO 신호핀을 갖는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을 포함한다. 저전력 무선 통신은 BLE, 지그비(ZigBee), 로라(LoRa) 등을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저전력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태그 장치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은 복수의 GPIO 신호핀을 포함하며, 그 중 일부가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과 연결되어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 각각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 용도,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용도,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과의 동기 방식 시리얼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 용도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GPIO#K는 제1 RFID 모듈(100)의 제1 RFID IC와 연결되어 제1 RFID 모듈(100)이 발생시킨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는 GPIO 신호핀이고 GPIO#L은 제2 RFID 모듈(120)의 제2 RFID IC와 연결되어 제2 RFID 모듈(120)이 발생시킨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는 GPIO 신호핀이며, GPIO#Y는 제1 RFID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GPIO 신호핀이고 GPIO#Z는 제2 RFID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핀이며, GPIO#M과 GPIO#X는 I2C 시리얼 통신을 위한 GPIO로 GPIO#M은 데이터 라인인 SDA와 연결된 GPIO 신호핀이고 GPIO#X는 클럭 라인인 SCL과 연결된 GPIO 신호핀이다. 도 2의 예는 시리얼 통신으로 I2C가 적용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듈간 시리얼 통신이 I2C로 한정되지 않으며, SPI를 포함하는 다른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시리얼 통신이 사용될 경우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GPIO 신호핀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 모듈(160)은 제어 모듈(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RFID 모듈(100)은 NFC에 기반한 RFID 모듈일 수 있다. 제1 RFID 리더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에 접근시키거나 태깅시키면, 제1 RFID 모듈(100)의 제1 RFID 안테나가 제1 RF 통신을 위해 단말기가 송출한 전자파를 정류하여 생성된 자체 전력을 사용하여 요청된 통신 절차를 완료하고, 제1 RFID 모듈(100)을 이용한 통신이 있었다는 것을 제어 모듈(140)에 알리기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 모듈(140)은 제1 RFID 모듈(100)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제1 RFID 모듈(100)을 통해 데이터의 읽기 및/또는 쓰기를 위한 통신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각 모듈들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제어 모듈(140)은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1 RFID 모듈(1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read)한다. 제어 모듈(140)은 제1 RFID 모듈(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2 RFID 모듈(120)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write)하여 제2 RFID 모듈(120)이 해당 데이터를 제2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제1 RFID 모듈(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따라서, 제1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제1 RFID 모듈(100)과 통신하여 정보가 갱신되더라도(예, 제1 RFID를 사용한 시간 정보, 접근 횟수 등) 이러한 정보가 동기화되어 각 모듈에 저장되므로 추후 제2 RFID 리더기만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사실(제1 RFID 모듈을 사용한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RFID 모듈(120)은 UHF RFID 모듈일 수 있다. 10m 이내의 거리에서 제2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로 변조된 신호를 송출하면, 제2 RFID 모듈(120)의 제2 RFID 안테나가 제2 RF 통신을 위해 단말기가 송출한 전자파를 정류하여 생성된 자체 전력을 사용하여 요청된 통신 절차를 완료한다. 다만, 제2 RFID 모듈(120)은 제1 RFID 모듈(100)과 달리 리더기가 송출한 신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력의 크기가 크지 않아 생성된 전력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한다.
제2 RFID 모듈(120)은 제1 RFID 모듈(100)과 달리 제어 모듈(140)의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으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2 RFID 모듈(120)은 제2 RFID 리더기와 통신 후 제어 모듈(140)의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제2 RFID 통신이 있었다는 것을 제어 모듈(140)에 알리기 위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 모듈(140)은 제2 RFID 모듈(120)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제2 RFID 모듈(120)을 통해 데이터의 읽기 및/또는 쓰기를 위한 통신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각 모듈들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제2 RFID 모듈(120)도 데이터 동기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후 제어 모듈(140)은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2 RFID 모듈(12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read)한다. 제어 모듈(140)은 제2 RFID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1 RFID 모듈(100)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write)하여 제1 RFID 모듈(100)이 해당 데이터를 제1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제2 RFID 모듈(12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따라서, 제2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제2 RFID 모듈(120)과 통신하여 정보가 갱신되더라도(예, 제2 RFID를 사용한 시간 정보, 접근 횟수 등) 이러한 정보가 동기화되어 각 모듈에 저장되므로 추후 제1 RFID 리더기만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사실(제2 RFID 모듈을 사용한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 모듈(140)에 구비된 저전력 무선통신 모듈은 BLE 모듈일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 주변에 설치된 각종 IoT 센서(예, IoT 온도계, IoT 습도계, IoT 가속도 센서 등)로부터 데이터(센싱 데이터)를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저전력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IoT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 후 RFID 모듈과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을 한다. 먼저 제어 모듈(140)은 각 모듈들과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100) 및 제2 RFID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제어 모듈(140)은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1 RFID 모듈(100)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write)하여 제1 RFID 모듈(100)이 해당 데이터를 제1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시리얼 통신(예, I2C)으로 제2 RFID 모듈(120)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write)하여 제2 RFID 모듈(120)이 해당 데이터를 제2 RFID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따라서, 제1 RFID 리더기 또는 제2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저전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갱신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듀얼 RFID 태그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디스플레이(182)와 디스플레이(182)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IC(181)를 포함된다.
본 발명의 RFID 태그 장치(10)는 전자정보표시기, 전자가격표시기일 수 있다. 특히 전자정보표시기 중 회수용 박스에 사용되는 지속 사용 가능한 전자레벨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보를 표시할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90)을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의 디스플레이(182)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예로 전원을 꺼도 표시된 이미지가 유지되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가 있다. 전자종이가 채택되는 경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방식,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 방식, MEMS(Micro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을 이용한 반사형 디스플레이인 iMoD(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방식,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방식, 광결정 디스플레이(Photonic Crystal Display) 방식 등의 전자종이가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80)이 채택하는 디스플레이(182)가 전자종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표시된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는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제어 모듈(140)로부터 표시할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며, 배터리 모듈(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 : 듀얼 RFID 태그 장치
100 : 제1 RFID 모듈 120 : 제2 RFID 모듈
140 : 제어 모듈 160 : 배터리 모듈
180 : 디스플레이 모듈
181 : 드라이버 IC
182 : 디스플레이

Claims (5)

  1. 제1 RF 안테나와, 제1 RFID IC 칩을 포함하여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1 RFID 모듈;
    제2 RF 안테나와, 제2 RFID IC 칩을 포함하여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2 RFID 모듈;
    저전력 무선 통신을 위한 제3 RF 안테나와,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 각각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 연결과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용 GPIO 신호핀 연결과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과의 동기 방식 시리얼 통신을 위한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 연결을 갖는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 및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RFID 모듈은 제1 RF 통신 시 생성된 자체 전력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모듈은 제1 RFID 모듈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2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고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 RFID 모듈은 제어 모듈의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으로부터 주기적으로 공급받는 전원을 사용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모듈은 제2 RFID 모듈과 연결된 인터럽트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2 RFID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1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고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IoT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전력 무선통신 IC 칩의 내부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고,
    각각의 전원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한 후 시리얼 통신용 GPIO 신호핀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1 RFID 모듈 및 제2 RFID 모듈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로부터 표시할 데이터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를 더 포함하는, 듀얼 RFID 태그 장치.
KR1020220098018A 2022-08-05 2022-08-05 듀얼 rfid 태그 장치 KR20240020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18A KR20240020046A (ko) 2022-08-05 2022-08-05 듀얼 rfid 태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18A KR20240020046A (ko) 2022-08-05 2022-08-05 듀얼 rfid 태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46A true KR20240020046A (ko) 2024-02-14

Family

ID=898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18A KR20240020046A (ko) 2022-08-05 2022-08-05 듀얼 rfid 태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RFID based attendance system
US8960531B2 (en) Data communication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C card, reader/writer, and program
US9858453B2 (e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of electronic label, and system thereof
CN100504918C (zh) 具有连续数据供应的射频标识设备及其连续数据供应方法
US20090221240A1 (en) Low power device activated by an external near-field reader
CN100545853C (zh) 在至少两个无接触数据储存介质间交换数据的系统
CN102822843B (zh) 通过第一便携式数据存储介质检测第二便携式数据存储介质的存在的系统和方法
EP2782045B1 (en) RFID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program
KR20050040451A (ko) 무선주파수 식별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주파수 식별 프로그래밍 방법
US9041515B2 (en)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KR20080059507A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3778455A (zh) 一种基于nfc的价格牌电子标签
US200902013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305659A1 (en)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and ic module of the same
JP2008015855A (ja) メータ用rfidタグシステム、rfidタグ、リーダ/ライタ、メータ用rfidタグ通信方法、及びメータ用rfidタグ通信用プログラム
US7834763B2 (en) Wireless tag reader/writer control system and wireless tag reader/writer control method
CN104217242A (zh) 一种有源13.56MHz RFID装置
KR20240020046A (ko) 듀얼 rfid 태그 장치
CN202153360U (zh) 便携式134.2k赫兹rfid多接口读写器
KR101739522B1 (ko) Nfc를 통해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CN104537749B (zh) 一种基于rfid的验票系统
US10810480B2 (en) Electronic tag and electronic system using the same
CN205453691U (zh) 一机多卡片的双频近场通信集成系统
CN113093103A (zh) 水下机器人定位检测方法及系统
CN203433821U (zh) 一种基于rfid的可定位wifi无线硬盘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