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464B1 -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464B1
KR101013464B1 KR1020090037397A KR20090037397A KR101013464B1 KR 101013464 B1 KR101013464 B1 KR 101013464B1 KR 1020090037397 A KR1020090037397 A KR 1020090037397A KR 20090037397 A KR20090037397 A KR 20090037397A KR 101013464 B1 KR101013464 B1 KR 10101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ver
light
cabin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626A (ko
Inventor
이정율
최명금
윤권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4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객실 측벽을 이루는 인사이드패널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조명등; 상기 제1조명등의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조명등; 및 상기 제1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이 객실 천장을 이루는 실링패널로 조사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제2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객실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조명창을 포함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ㆍ제2조명등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이 제1ㆍ제2조명등으로 구분되어 선택적으로 제1ㆍ제2조명등 중 어느 하나를 소등함으로써 객실 외부의 밝기 변화에 따라 객실 내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승객들이 조도의 높음 또는 낮음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ㆍ제2조명등 각각의 디퓨저와 제2조명등에 대한 반사부재 및 조명창이 모두 조명커버에 구비되고, 이 조명커버가 인사이드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ㆍ제2조명등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그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전구의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철도차량, 객실, 조명장치, 조도 조절

Description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Lighting apparatus for cabin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객실 외부의 밝기 변화에 따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 설치가 간편하며, 전구의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실내를 비추기 위한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는 크게 직접조명방식과 간접조명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종래에는 조명등의 빛이 직접 실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직접조명방식이 주로 적용되었지만, 이러한 직접조명방식은 승객이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므로, 근래에는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켜 반사된 빛이 실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간접조명방식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이러한 간접조명방식이 적용된 종래의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철도차량은 아웃사이드패널(1)의 내면에 브래킷(2)을 매개로 인사이드패널(3)이 고정되고, 이 인사이드패널(3)에 보강프레임(5) 및 실링패널(4)의 일단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아웃사이드패널(1)과 인사이드패널(3)에 고정된 차체프레임(6)에 데코레이션 몰드(7)의 하부와 선반(8)이 고정되고, 상기 보강프레임(5)에 데코레이션 몰드(7)의 상부가 고정되며, 차체프레임(6)의 둘레 내부에 윈도우(9)가 장착된다.
종래의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10)는, 이러한 철도차량의 구조의 보강프레임(5) 선단에 고정되어 빛을 방출하는 조명등(11)과 조명등(11)에서 방출된 빛이 승객에게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 및 반사하는 데코레이션 몰드(7)의 굴곡부(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명등(11)의 조명은 데코레이션 몰드(7)의 굴곡부(12)와 실링패널(4)에 반사된 후 실내를 비추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10)는 밤과 낮 등과 같은 객실 외부의 밝기 변화에 따라 객실 내의 조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승객들은 조도가 지나치게 높아 밝거나 낮아 어두움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고, 조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유지될 때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간접조명방식이지만, 빛을 분산시켜 통과한 빛을 부드럽게 하는 디퓨저(diffuser)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객실 내로 조사되는 빛이 다소 거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명등(11)을 덮는 형태로 별도의 디퓨저가 구비된 개량품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개량품의 경우 전구의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을 할 때, 해당 디퓨저를 분리 후 재조립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택적인 소등을 통해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구성요소들을 커버에 일체화시켜 설치가 간편하며 유지 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는, 철도차량의 객실 측벽을 이루는 인사이드패널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조명등; 상기 제1조명등의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조명등; 및 상기 제1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이 객실 천장을 이루는 실링패널로 조사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제2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객실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조명창을 포함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ㆍ제2조명등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제1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디퓨저; 및 상기 제2조명등에서 방출되어 상기 반사부재에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반사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는 제2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은, 상기 제2조명등 하측의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고정된 연결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는, 상기 제1조명등의 양측의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고정된 한 쌍의 걸이부재, 및 상기 조명커버의 양측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 또는 분리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제1ㆍ제2조명등을 덮어 폐쇄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걸이부재에서 분리되게 회동된 경우 상기 걸이부재에 걸린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조명커버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돌출되는 가압나사에 의해 가압 회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광원이 제1ㆍ제2조명등으로 구분되어 선택적으로 제1ㆍ제2조명등 중 어느 하나를 소등함으로써 객실 외부의 밝기 변화에 따라 객실 내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객실 내의 조도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어 승객들이 조도의 높음 또는 낮음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도가 높게 유지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ㆍ제2조명등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조명커버에 제1ㆍ제2조명등 각각에 대한 디퓨저와 제2조명등에 대한 반사부재 및 조명창이 모두 구비되어 그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조명커버를 개방함으로써 전구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는, 철도차량의 객실 측벽을 이루는 인사이드패널의 상단부,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사된 빛이 객실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간접조명방식으로 구현된 조명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100, 이하 줄여서 '조명장치'라고 한다)는, 제1조명등(110), 제2조명등(120), 조명커버(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명등(110)은 철도차량의 객실 측벽을 이루는 인사이드패널(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객실 천장을 이루는 실링패널(30)을 반사체로 하여 객실 내부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다.
상기 제1조명등(110)은 인사이드패널(20)에 설치된 제1지지프레임(21)을 통 해 인사이드패널(20)에 고정되는데, 이 제1지지프레임(21)은 제1조명등(110)이 실링패널(30)을 향해 빛을 방출할 수 있게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V'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조명등(120)은 제1조명등(110)의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인사이드패널(20)에 설치되는 제1조명등(110)과 별도로 구비되는 제2의 광원이다. 상기 제2조명등(120)은 후술되는 조명커버(130)의 반사부재(134)를 반사체로 하여 객실 내부에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한다.
상기 제2조명등(120)은 제1조명등(110)과 유사하게, 인사이드패널(20)에 설치된 제2지지프레임(22)을 통해 인사이드패널(20)에 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조명등(12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되는데,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22)은 제2조명등(120)이 반사부재(134)를 향해 빛을 방출할 수 있게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1지지프레임(21)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커버(130)는 인사이드패널(20)에 회동 가능하게 경첩(130a)으로 연결되어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일종의 덮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첩(130a)은 인사이드패널(20)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2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프레임(23)은 조명커버(130)를 인사이드패널(20)로부터 적절히 이격시킴으로써 인사이드패널(20)과 조명커버(130) 사이에 제1ㆍ제2조명 등(110, 12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명커버(130)를 인사이드패널(2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조명커버(130)를 'ㄷ'자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하측 끝단에 설치된 경첩을 통해 회동되면 조명장치(100) 하측의 선반(40)과 조명커버(130)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조명커버(130)가 연결프레임(23)을 통해 인사이드패널(20)에 연결되도록 상기 경첩(130a)은 연결프레임(2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명커버(130)에는 제1ㆍ제2조명등(110, 120)에서 방출된 빛을 부드럽게 산란시키는 디퓨저(132, 133)와 제2조명등(120)에서 방출된 빛을 객실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134)가 설치되고, 반사부재(134)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객실 내부로 통과시키는 조명창(13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명커버(130)는 제1조명등(110)의 상측 및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의 전방을 덮을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제1조명등(110)에서 방출된 빛이 실링패널(30)에 조사될 수 있도록 제1조명등(110)의 상측인 상단부에 개구부(1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조명등(110)에서 방출된 빛은 개구부(131)를 통과한 후 실링패널(30)에 반사되어 객실 내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31)에는 제1조명등(110)에서 방출된 빛을 부드럽게 산란시키는 제1디퓨저(1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명커버(130)의 중심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패널(20) 측으로 반사부재(134)가 구비되는데, 이 반사부재(134)는 제2조명등(120) 에서 방출된 빛을 객실 내부로 반사할 수 있도록 제2조명등(120)의 상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커버(130)에는 반사부재(134)에 의해 반사된 빛이 객실 내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객실 내부 측으로 조명창(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조명등(120)에서 방출된 빛이 반사부재(134)에 입사되기 전에 부드럽게 산란될 수 있도록 반사부재(134)의 하측에 제2디퓨저(1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명등(120)에서 방출된 빛은 제2디퓨저(133)를 통과하면서 부드럽게 산란되고, 반사부재(134)에서 조명창(135) 측으로 반사된 후, 조명창(135)을 통과하여 객실 내부에 조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명창(135)에는 투명한 커버플레이트(135-1)가 구비될 수 있고, 빛이 더욱 부드럽게 산란되도록 반투명의 산란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플레이트(135-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창(135)은 별도의 커버플레이트(135-1)가 구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커버(130)는 제1ㆍ제2디퓨저(132), 반사부재(134), 조명창(135)과 같은 제1ㆍ제2조명등(110, 120)에서 방출된 빛이 객실 내부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모두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를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하기 매우 간편하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130)는 경첩(130a)을 통해 인사이드패널(20)에 설치되어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으므로, 전구 교체 등과 같은 제1ㆍ제2조명등(110, 12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134)는 제2조명등(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조명등(120)이 제1조명등(110)과 보다 근접된 곳에 구비되고, 반사부재는 제2조명등(120)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반사부재는 제2조명등(120)에서 방출된 빛이 객실 내부에 조사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구비된 반사부재(134)와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31) 및 반사부재(134)의 하측에는 제1ㆍ제2디퓨저(132, 133)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ㆍ제2조명등(120)에 사용되는 전구의 종류 등에 따라 이러한 제1ㆍ제2디퓨저(132, 133)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커버(130)를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을 덮어 폐쇄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이 수행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조명커버(130)가 인사이드패널(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40)는 걸이부재(141), 회동부재(142), 가압나사(143), 및 탄성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부재(141)는 제1조명등(110)의 좌측 및 우측의 인사이드패널(20)에 고정된다. 상기 걸이부재(141)는 회동부재(142)가 걸릴 수 있도록 객실 내부 측의 끝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142)는 조명커버(130)의 양측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142-1)로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걸이부재(141)에 걸리거나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동부재(142)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그 일단은 걸이부재(141)의 갈고리 형상 끝단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그 중심부는 조명커버(130)에 힌지(142-1)로 연결되며, 그 타단은 가압나사(14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조명커버(130)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42)의 돌출된 형상을 갖는 일단이 걸이부재(141)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나사(143)에 의해 가압되면, 힌지(142-1) 연결에 의해 회동되면서, 회동부재(142)와 걸이부재(141)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커버(13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가압나사(143)는 조명커버(130)에 형성된 관통구(130b)에 설치되고,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명커버(130) 내부로 돌출되어 회동부재(142)를 가압하여 회동시킨다.
상기 탄성체(144)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비됨으로써, 회동부재(142)가 가압나사(143)에 의해 가압되어 걸이부재(141)에서 분리된 경우, 회동부재(142)를 다시 걸이부재(141)에 걸린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러한 탄성체(144)에 의해 회동부재(142)에 대한 가압나사(143)의 가압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회동부재(142)의 위치는 복원되어 걸이부재(141)와 회동부재(142)가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44)는 걸이부재(141)와 회동부재(142)가 서로 걸린 상 태에서 회동부재(142)가 임의로 회동되어 그 걸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즉, 철도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동부재(142)가 임의로 회동될 할 경우, 탄성체(144)의 탄성력이 걸이부재(141)와 회동부재(142)가 서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부재(142)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회동부재(142)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4)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부재(142)의 위치를 복원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탄성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가 설치된 철도차량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철도차량의 운행 중에 상기 조명장치(100)가 사용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커버(130)가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을 덮어 폐쇄한 상태로 인사이드패널(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1조명등(110)에서 방출된 빛은 제1디퓨저(132)를 거치며 부드럽게 산란되고, 실링패널(30)에 반사되어 간접적으로 객실 내부에 조사된다. 그리고, 제2조명등(120)에서 방출된 빛은 제2디퓨저(133)를 거치며 부드럽게 산란되고, 반사부재(134)에 반사된 후 조명창(135)을 거쳐 간접적으로 객실 내부에 조사된다.
여기서, 주간 운행 시에는 제1ㆍ제2조명등(110, 120)을 모두 점등하여 높은 조도를 확보하고, 야간 운행 시에나 터널 내부 운행 시에는 제1ㆍ제2조명등(110, 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소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조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철도차량 운행 중에 조명커버(130)가 안정적으로 인사이드패널(20)에 고정되는 것은 걸이부재(141)와 회동부재(142)가 서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인데, 전구 교체 등과 같이 제1ㆍ제2조명등(110, 12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가압나사(143)를 조작하여 조명커버(130)를 내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회동부재(142)가 가압나사(143)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동되고, 회동부재(142)와 걸이부재(141)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조명커버(13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조명커버(130)를 객실 내부 측으로 당기면 경첩(130a)이 회동되면서 개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ㆍ제2조명등(110, 12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해당 유지 보수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조명커버(130)를 밀어 인사이드패널(20)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나사(143)를 조작하여 회동부재(14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그러면, 회동부재(142)는 탄성체(144)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위치가 복원되면서 걸이부재(141)에 걸림으로써, 조명커버(130)의 재설치가 간편하게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100)에 의하면, 광원이 제1ㆍ제2조명등(110, 120)으로 구분되어 둘 중 어느 하나를 소등함으로 써 객실 내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디퓨저(132, 133)와 반사부재(134), 조명창(135)이 모두 하나의 조명커버(130)에 구비되어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의 객실 내부에서 바라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의 도 2에 도시한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의 빛이 객실 내부로 조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의 도 2에 도시한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에 구비된 조명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가 구비된 철도차량의 객실 내부의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인사이드패널 21 : 제1지지프레임
22 : 제2지지프레임 23 : 연결프레임
30 : 실링패널 40 : 선반
50 : 창문 100 :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110 : 제1조명등 120 : 제2조명등
130 : 조명커버 130a : 경첩
130b : 관통구 131 : 개구부
132 : 제1디퓨저 133 : 제2디퓨저
134 : 반사부재 135 : 조명창
135-1 : 커버플레이트 140 : 고정부
141 : 걸이부재 142 : 회동부재
142-1 : 힌지 143 : 가압나사
144 : 탄성체

Claims (5)

  1. 철도차량의 객실 측벽을 이루는 인사이드패널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조명등;
    상기 제1조명등의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조명등; 및
    상기 제1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이 객실 천장을 이루는 실링패널로 조사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제2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객실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조명창을 포함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경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ㆍ제2조명등을 함께 덮어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제1조명등에서 방출된 빛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디퓨저; 및
    상기 제2조명등에서 방출되어 상기 반사부재에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반사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는 제2디퓨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제2조명등 하측의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고정된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등의 양측의 상기 인사이드패널에 고정된 한 쌍의 걸이부재, 및 상기 조명커버의 양측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 또는 분리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커버를 상기 제1ㆍ제2조명등을 덮어 폐쇄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걸이부재에서 분리되게 회동된 경우 상기 걸이부재에 걸린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조명커버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돌출되는 가압나사에 의해 가압 회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KR1020090037397A 2009-04-29 2009-04-29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KR10101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397A KR101013464B1 (ko) 2009-04-29 2009-04-29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397A KR101013464B1 (ko) 2009-04-29 2009-04-29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626A KR20100118626A (ko) 2010-11-08
KR101013464B1 true KR101013464B1 (ko) 2011-02-14

Family

ID=4340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97A KR101013464B1 (ko) 2009-04-29 2009-04-29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1377B2 (ja) * 2018-10-22 2023-03-01 株式会社総合車両製作所 鉄道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879A (en) 1999-03-23 2000-07-04 Myburgh; Herman Combination light fixture/HVAC duct/advertising card holder for mass transit vehicles
KR200227908Y1 (ko) 2000-12-18 2001-06-15 이윤희 열차객실용 형광등 커버
KR20020027908A (ko) * 2000-10-06 2002-04-15 이계안 쇽업소버 시스템
JP2006079918A (ja) 2004-09-09 2006-03-23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用灯具
KR100766396B1 (ko) 2006-08-25 2007-10-12 주식회사 로템 이중 고리를 갖는 철도차량용 형광등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879A (en) 1999-03-23 2000-07-04 Myburgh; Herman Combination light fixture/HVAC duct/advertising card holder for mass transit vehicles
KR20020027908A (ko) * 2000-10-06 2002-04-15 이계안 쇽업소버 시스템
KR200227908Y1 (ko) 2000-12-18 2001-06-15 이윤희 열차객실용 형광등 커버
JP2006079918A (ja) 2004-09-09 2006-03-23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用灯具
KR100766396B1 (ko) 2006-08-25 2007-10-12 주식회사 로템 이중 고리를 갖는 철도차량용 형광등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626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6523B (zh) 照明装置及使用了该照明装置的门衬里
JP5921649B2 (ja) 照明装置
JP2000211369A (ja) 自動車のスライディングヘッドライナ―
US5144538A (en) Illuminated tail light handle
CN109185826A (zh) 一种led车灯
KR101013464B1 (ko) 철도차량의 객실용 조명장치
KR100830571B1 (ko) Psd의 광고용 고정 도어
KR101693112B1 (ko) 긴급차량의 서치라이트 내장형 경광등
JP2007099109A (ja) 車両用照明装置
CN113619692A (zh) 盖板及车辆
JP2009040186A (ja) 車両用照明器具
CN206846470U (zh) 照明装置及包括其的坐便器
US20160076723A1 (en) Rotatory color-temperature-changing device for vehicle lamp
KR102453855B1 (ko) 도로터널의 내부 조명시설
KR100718056B1 (ko) 도로 터널 내부의 조명시설
JPH06139805A (ja) 車両用照明器具
JP5192958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2037330B1 (ko) 여객 운송수단에 설치된 좌석 등받이 후방에 설치되는 독서등
KR200349469Y1 (ko) 철도차량 비상 도어용 안내장치
JPH02303942A (ja) 車室内照明装置
US1572623A (en) Screen for automobile lamps
KR101578362B1 (ko) 발광다이오드 터널등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CN109373285A (zh) 防眩目自动调节汽车照明装置
KR101664566B1 (ko) 스팟 램프를 이용한 선글라스 케이스 무드 조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