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462B1 -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462B1
KR101013462B1 KR1020100062766A KR20100062766A KR101013462B1 KR 101013462 B1 KR101013462 B1 KR 101013462B1 KR 1020100062766 A KR1020100062766 A KR 1020100062766A KR 20100062766 A KR20100062766 A KR 20100062766A KR 101013462 B1 KR101013462 B1 KR 10101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air
fixing
fixe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갑식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One dimensional, e.g. filaments, wires, rop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시험을 위하여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 고정할 경우에 이동 대차부와 본체 프레임을 한 쌍의 수직 고정축으로 일체화 되게 고정함에 따라 큰 인장력으로 대형의 로프 시험편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대차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전,후방 레일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측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이동 구동부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로프 시험편의 한 쪽이 연결되는 이동 대차부와, 상기 이동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들 중 하나에 이동 대차부에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삽입 고정시켜 이동 대차부를 고정하는 수직삽입 고정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 시험편의 다른 한 쪽을 연결하여 시험편을 인장하는 인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LARGE-CAPACITY TENSILE TEST APPARATUS FOR A LARGE-CAPACITY WIRE ROPE}
본 발명은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 시험을 위하여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 고정할 경우에 이동 대차부와 본체 프레임을 한 쌍의 수직 고정축으로 일체화 되게 고정함에 따라 큰 인장력으로 대형의 로프 시험편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 대차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 시험은 재료에 인장력을 가해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는 재료시험을 말하는 것으로, 인장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에 고정시켜 시험을 수행한다.
즉 인장 시험기를 통해 인장 시험을 수행할 경우에는, 인장 시험편에 서서히 인장하중을 가해서 재료의 항복점·내력(耐力)·인장강도·신장(伸長)·드로잉(drawing) 등 기계적인 여러 성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인장 시험기는, 축이나 봉 등의 시험편을 측정하는 시험기가 널리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이용되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와이어 로프 슬링이나 글로멧 등의 시험편을 시험하는 인장 시험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에 알려진 와이어 로프 슬링이나 글로멧 등의 시험편용 인장 시험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8251호의 "대용량 인장시험기"(이하, "종래의 인장 시험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의 인장 시험기는, 한 쌍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양측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베드 프레임과; 상기 베드 프레임의 한쪽 측 또는 베드 프레임을 지지된 구조물에 그 위치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시험편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력 제공기구와; 상기 인장력 제공기구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드 프레임 사이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되고, 시험편의 인장력 시험시에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드 프레임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양쪽 고정핀 및 이 양쪽 고정핀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고정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력 제공기구 및 고정 대차에는 상기 시험편의 양쪽 부분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시험편 장착체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와이어로프 슬링이나 글로멧 등의 시험편의 인장 시험을 수행할 경우에는, 약 수백톤 이상의 큰 인장력을 가해 인장 시험이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큰 인장력으로 시험편을 당기게 되면, 고정 대차를 고정하기 위한 양쪽 고정핀이 관통된 양측의 베드 프레임이 큰 인장력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베드 프레임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고정 대차의 고정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정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고정홀에 관통 고정된 고정핀에 큰 하중이 걸리게 되면 수직으로 세워진 베드 프레임이 휘어지게 되는 변형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인장 시험중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베드 프레임의 변형으로 인하여 인장 시험의 측정 오차가 발생되고, 고정 대차가 유동되어 장치의 고장을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정 대차에 구비된 양 고정핀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가 고정 대차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정 대차에 장착된 시험편 장착체가 고정 대차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시험편 장착체의 미세한 위치 조정이 불가능함에 따라 길이가 틀린 시험편을 순차적으로 시험할 경우에는 고정 대차를 전체적으로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인장시험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인장시험에 따른 운전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인장력 제공기구 및 고정 대차에 구비된 시험편 장착체에 시험편의 양쪽을 연결한 상태에서, 초기에 시험편을 긴장시킬 경우에는 인장력 제공기구를 구성하는 메인 실린더를 작동시켜 인장력 제공기구의 시험편 장착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시험편을 긴장시켜 인장시험을 준비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초기에 시험편을 긴장시키기 위하여 메인 실린더를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초기 메인 실린더의 작동으로 인하여 운전비용이 과다가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대차부를 고정할 경우에 이동 대차부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관통 고정된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이동 대차부와 본체 프레임을 한 쌍의 수직 고정축으로 일체화 되게 고정함에 따라, 수백톤 이상의 큰 인장력으로 대형의 와이어 로프 슬링이나 글로멧 등의 시험편(이하, 총칭하여 "로프 시험편"이라 한다.)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할 경우에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통해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함에 따라, 큰 인장력을 통한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동 대차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대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승강시키는 구동 승강부를 이동 대차부의 상부에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각각의 수직 고정축이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수직 고정관부를 본체 프레의 상,하판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별도의 수평 보강판을 통해 보강할 수 있도록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대차부에 구비되어 로프 시험편이 연결되는 돌출 연결대의 돌출 길이를 별도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 대차부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길이가 다른 로프 시험편을 돌출 연결대의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인장시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초기에 로프 시험편을 긴장시키는 과정에서 대형의 인장 실린더를 작동시키지 않고 한 쌍의 보조 실린더를 통해 로프 시험편을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프레임의 상판 전,후방에 이동 대차부를 구성하는 상,하판의 전,후방 단부를 안내 지지하는 안전 레일을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전,후방 레일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측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이동 구동부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로프 시험편의 한 쪽이 연결되는 이동 대차부와, 상기 이동 대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들 중 하나에 이동 대차부에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삽입 고정시켜 이동 대차부를 고정하는 수직삽입 고정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 시험편의 다른 한 쪽을 연결하여 시험편을 인장하는 인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삽입 고정부는, 상기 이동 대차부에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와 상응되게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관통홀과, 상기 수직 관통홀에 승강되게 삽입되어 상기 수직 고정관부에 삽입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과,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구동 승강시키는 구동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승강부는, 수직의 전,후방 가이드축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와, 승강대와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와, 승강대의 전,후방과 이동 대차부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전,후방 한 쌍의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관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판에 형성된 상판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부의 외측둘레와 하부의 외측둘레가 본체 프레임의 상,하판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관부는, 고정관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둘레가 본체 프레임의 상판에 고정되는 수평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관은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축은 상,하부가 막혀 있고 상기 고정관과 상응되게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부는, 다수의 수직리브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부판과, 상,하부판의 사이인 인장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돌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돌출부분에는 로프 시험편을 연결하는 로프 연결부가 구비된 돌출 연결대와, 상기 삽입공간의 외측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 연결대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돌출 실린더와, 상기 돌출 연결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연결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공간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고정홀과, 상기 돌출 연결대에 한 쌍의 고정홀의 측 간격과 동일한 측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3개 이상의 수직 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과 수직 고정홀에 삽입되어 돌출 연결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축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을 구동 승강 시키는 구동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고정부는, 다수의 수직대에 의해 상기 상판과 이격되게 고정된 수평판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을 상호 연결하며 수직 가이드축을 따라 승강되게 구비된 승강대와, 상기 수평판에 구비되어 로드가 상기 승강대와 연결되어 한 쌍의 위치 고정축을 승강시키는 수직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구동부는, 이동 대차부의 양측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바퀴와, 상기 일측부의 전,후방 바퀴에 각각 구비되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부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인장로드가 본체 프레임의 반대편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장 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관에 이동되게 구비된 전,후 이동축과, 전,후 이동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드가 로드셀을 통해 연결되어 인장로드의 신축시 전,후방 이동축과 연동되게 이동되는 이동판과, 전,후 이동축의 내측에 전,후 이동축과 함께 이동되게 구비되고 내측에는 로프 시험편의 단부를 연결하는 로프 연결돌출부가 구비된 로프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부(5)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이동판(54)의 전,후방에 연결되어 초기에 이동판을 이동시켜 로프 시험편을 긴장 세팅시키는 전,후방 한 쌍의 보조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부 중앙에 본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중앙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연결대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중앙 바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부는 다수의 수직리브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판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판의 전,후방 단부를 틈을 가지면서 감싸 지지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상,하부의 안전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 고정할 경우에 이동 대차부와 본체 프레임을 한 쌍의 수직 고정축으로 일체화 되게 고정함에 따라 큰 인장력으로 대형의 로프 시험편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장 시험 중 측정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할 경우에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통해 이동 대차부를 본체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함에 따라 큰 인장력을 통한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동 대차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동 대차부의 유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치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동 대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을 승강시키는 구동 승강부를 이동 대차부의 상부에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함으로써, 구동 승강부의 제작이 용이하여 시험장치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직 고정축이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수직 고정관부를 본체 프레의 상,하판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별도의 수평 보강판을 통해 보강함에 따라, 큰 인장력을 통해 인장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직 고정관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동 대차부에 구비되어 로프 시험편이 연결되는 돌출 연결대의 돌출 길이를 별도로 조정하여 이동 대차부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길이가 다른 로프 시험편을 돌출 연결대의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인장시험을 가능함으로써, 인장 시험의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장시험의 운전비용을 최소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초기에 로프 시험편을 긴장시키는 과정에서 대형의 인장 실린더를 작동시키지 않고 한 쌍의 보조 실린더를 통해 로프 시험편을 긴장시킴으로써, 초기에 로프 시험편의 긴장 세팅시 인장 실린더의 작동으로 인한 운전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의 상판 전,후방에는 이동 대차부 상,하판의 전,후방 단부를 안내 지지하는 안전 레일을 더 구비하여 안전성을 좀더 향상시킴으로써, 이동 대차부에 지나치게 큰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동 대차부가 유동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대차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대차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인장 시험장치는, 상부에 전,후방 레일(13)(14)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1)과, 본체 프레임(1)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측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이동 구동부(38)에 의해 전,후방 레일(13)(1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로프 시험편(10)의 한 쪽이 연결되는 이동 대차부(3)와, 상기 이동 대차부(3)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이동 대차부(3)를 본체 프레임(1)에 고정하는 수직삽입 고정부(4)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 시험편(10)의 다른 한 쪽을 연결하여 로프 시험편(10)을 인장하는 인장부(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직삽입 고정부(4)는, 상기 본체 프레임(1)에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들 중 하나에 상기 이동 대차부(3)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삽입 고정시켜 이동 대차부(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 대차부(3)에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와 상응되게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관통홀(41)과, 상기 수직 관통홀(41)에 승강되게 삽입되어 상기 수직 고정관부(2)에 삽입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과,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구동 승강시키는 구동 승강부(4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승강부(43)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승강시켜 수직 고정축(42)을 상기 수직 고정관부(2)에 삽입시키거나 이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직의 전,후방 가이드축(432)을 통해 승강되는 승강대(431)와, 승강대(43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433)와, 승강대(431)의 전,후방과 이동 대차부(3)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대(431)를 승강시키는 전,후방 한 쌍의 승강 실린더(4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승강부(43)를 이동 대차부의 상부에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함으로써 구동 승강부(43)의 제작을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 구동부(38)는, 이동 대차부(3)의 고정이 해제 되었을 때 중량물인 이동 대차부(3)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동 대차부(3)의 양측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레일(13)(14)에 장착되는 바퀴(381)와, 상기 이동 대차부(3)의 외측부 전,후방 바퀴(381)에 각각 구비되어 바퀴(38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8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부(382)는 유압모터(382a)와 유압모터(382a)의 회전력을 바퀴(38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82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전,후방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수직 고정관부(2)는, 상기 수직삽입 고정부(4)의 수직 고정축(42)이 삽입되어 이동 대차부(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 고정관부(2)는, 본체 프레임(1)의 내부인 상,하판(11)(12)에 고정되어 충분한 장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판(11)에 형성된 상판 관통홀(21)과, 상기 상판 관통홀(21)에 삽입되어 상부의 외측둘레와 하부의 외측둘레가 본체 프레임(1)의 상,하판(11)(12)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고정관(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2)을 상,하판(11)(12)에 고정할 경우에는 결합강도가 우수한 용접을 통한 고정이 바람직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 고정관부(2)는, 상기 수직 고정관부(2)는, 고정관(22)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둘레가 본체 프레임(1)의 상판(11)에 고정되는 수평 보강판(24)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 보강판(24)은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판(11)의 상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22)의 상부에 돌출부(23)를 연장되게 구비하고, 수평 보강판(24)의 중앙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23)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판(11)에 수평 보강판(24)에 용접을 통해 고정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 고정관부(2)를 본체 프레임(1)의 상,하판(11)(12)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별도의 수평 보강판(24)을 통해 보강함으로써, 큰 인장력으로 인장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직 고정관부(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관부(2)를 구성하는 고정관(22)과 고정관(22)에 삽입되는 수직 고정축(42)은, 인장부(5)에서 발생되는 큰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각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관(22)은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축(42)은 상,하부가 막혀 있고 상기 고정관(22)과 상응되게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이동 대차부(3)에서 받는 큰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보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 대차부(3)는, 다수의 수직리브(33)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부판(31)(32)과, 상,하부판(31)(32)의 사이인 인장부(5)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삽입공간(34)과, 상기 삽입공간(34)에 돌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돌출부분에는 로프 시험편(10)을 연결하는 로프 연결부(351)가 구비된 돌출 연결대(35)와, 상기 삽입공간(34)의 외측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 연결대(35)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돌출 실린더(36)와, 상기 돌출 연결대(35)의 위치를 고정하는 연결대 고정수단(37)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 고정수단(37)은, 상기 삽입공간(34)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고정홀(371)과, 상기 돌출 연결대(35)에 상기 한 쌍의 고정홀(371)의 측 간격과 동일한 측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3개 이상의 수직 고정홀(372)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371)과 수직 고정홀(372)에 삽입되어 돌출 연결대(35)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구동 승강 시키는 구동 고정부(3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돌출 실린더(36)의 작동을 통해 중량물인 돌출 연결대(35)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하강시켜 돌출 연결대(35)의 돌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이동 대차부(3)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길이가 다른 로프 시험편(10)을 호환되게 시험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 고정부(374)는, 수직 승강 실린더(374e)의 구동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수직대(374b)에 의해 상기 상판(11)과 이격되게 고정된 수평판(374a)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상호 연결하며 수직 가이드축(374d)을 따라 승강되게 구비된 승강대(374c)와, 상기 수평판(374a)에 구비되어 로드가 상기 승강대(374c)와 연결되어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승강시키는 수직 승강실린더(374e)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인장부(5)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51)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인장로드(521)가 본체 프레임(1)의 반대편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장 실린더(52)와, 상기 고정프레임(51)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관(541)에 이동되게 구비된 전,후 이동축(542)과, 전,후 이동축(542)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드(521)가 로드셀(53)을 통해 연결되어 인장로드(521)의 신축시 전,후방 이동축(542)과 연동되게 이동되는 이동판(54)과, 전,후 이동축(542)의 내측에 전,후 이동축(542)과 함께 이동되게 구비되고 내측에는 로프 시험편(10)의 단부를 연결하는 로프 연결돌출부(551)가 구비된 로프 연결대(55)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53)은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로프 시험편(10)에 걸리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로서,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인장부(5)는, 상기 고정프레임(51)의 전,후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로드(561)가 상기 이동판(54)의 전,후방에 연결되어 이동판(54)을 이동시키는전,후방 한 쌍의 보조 실린더(56)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보조 실린더(56)는, 로프 시험편(10)을 초기에 세팅하는 과정에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키지 않고 이동판(54)을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초기에 로프 시험편(10)의 한쪽을 이동 대차부(3)의 로프 연결부(351)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인장부(5)의 로프 연결돌출부(551)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보조 실린더(56)를 작동시켜 이동판(54)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판(54)과 연동되게 이동되는 로프 연결대(55)를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대차부(3)의 로프 연결부(351)와 인장부(5)의 로프 연결돌출부(551)의 사이에 연결된 로프 시험편(10)을 당기는 과정을 통해 로프 시험편(10)을 직선형으로 긴장시켜 인장시험을 준비한다.
그러므로 인장 시험을 위하여 로프 시험편(10)을 초기에 세팅하기 위하여 로프 시험편(10)을 긴장시키는 과정에서는, 주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대형의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로프 시험편(10)을 직선형으로만 당기는 것으로, 초기에 로프 시험편(10)을 긴장시킴에 있어서 대형의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지 않고도 신속하면서도 적은 운전비용으로 로프 시험편(10)을 긴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다시말해 인장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초기에 로프 시험편(10)을 긴장시키는 과정에서 대형의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초기 인장 실린더(52)의 작동으로 인한 운전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은, 상부 중앙에 본체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중앙 레일(16)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 연결대(35)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 레일(16)을 따라 이동되는 중앙바퀴(35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레일(16)을 타고 이동되는 중앙바퀴(352)는, 큰 인장력으로 대용량의 로프 시험편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돌출 연결대(35)의 로프 연결부(351)가 미세하게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인장시험 중 미세한 측정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통한 인장 시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대차부(3)에 구비된 수직삽입 고정부(4)의 구동 승강부(43)를 상승 작동시켜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상승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상승시킴으로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이 본체 프레임(1)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로 부터 이탈되어 이동 대차부(3)를 자유로이 이동되게 한다.
다음 이동 대차부(3)에 구비된 이동 구동부(38)를 작동시켜 인장시험을 진행할 로프 시험편(10)의 길이와 상응되게 이동 대차부(3)를 이동 시킨다. 그리고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삽입 고정부(4)의 구동 승강부(43)를 하강 작동시켜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하강 시켜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다수로 구비된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 중 하나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동 대차부(3)를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고정한다.
다음 이동 대차부(3)에 구비된 돌출 연결대(35)의 로프 연결부(351)와 인장부(5)에 구비된 로프 연결대(55)의 로프 연결돌출부(551)에 시험하고자 하는 로프 시험편(10)의 양쪽을 고정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인장부(5)를 구성하는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켜 인장로드(521)를 신장시키는 과정을 통해, 로프 시험편(10)을 인장시킴에 따라 인장시험을 진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중 이동대차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는, 이동 대차부(3)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본체 프레임(1)의 내부에 관통 고정된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에 삽입 고정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이동 대차부(3)의 수직 관통홀(41)과 상기 수직 고정관부(2)에 삽입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으로 이동 대차부와 본체 프레임(1)을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으로 일체화 되게 고정함에 따라, 수백톤 이상의 큰 인장력으로 대형의 로프 시험편(10)을 시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내부에 구비된 수직 고정관부(2)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는 본체 프레임(1)을 구비하는 상,하판(11)(12)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이동 대차부(3)에서 큰 인장하중을 받더라도 본체 프레임(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부(3)를 본체 프레임(1)에 고정할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통해 이동 대차부(3)를 본체 프레임(1)에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큰 인장력을 통한 인장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동 대차부(3)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이동 대차부(3)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인장시험이 가능한데,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대차부(3)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 고정수단(37)을 구성하는 수직 승강실린더(374e)의 로드를 상승 작동시켜 양측에 한 쌍을 이루는 위치 고정축(373)을 상승시킴으로써,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이 돌출 연결대(35)에 구비된 수직 고정홀(372)로 부터 이탈되게 한다.
다음 돌출 연결대(35)를 이동시키는 돌출 실린더(36)를 작동시켜 인장시험을 진행할 로프 시험편(10)의 길이와 상응되게 돌출 연결대(35)를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수직 승강실린더(374e)의 로드를 하강 작동시켜 한 쌍을 이루는 위치 고정축(373)을 하강시킴으로써, 돌출 연결대(35)에 3개 이상으로 구비된 수직 고정홀(372) 중 2개에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돌출 연결대(35)의 돌출 길이를 조정한다.
다음 상기 돌출 연결대(35)의 로프 연결부(351)와 인장부(5)에 구비된 로프 연결대(55)의 로프 연결돌출부(551)에 시험하고자 하는 로프 시험편(10)의 양 쪽을 고정한 후, 인장부(5)의 인장 실린더(52)를 작동시켜 인장로드(521)를 신장시키는 과정을 통해 인장 시험을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프 시험편(10)이 연결되는 돌출 연결대(35)의 돌출 길이를 별도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이동 대차부(3)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길이가 다른 로프 시험편(10)을 돌출 연결대(35)의 간단한 조정만으로도 인장시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 대차부(3)는 다수의 수직리브(33)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판(1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1)은, 상판(11)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판(11)(12)의 전,후방 단부를 틈을 가지면서 감싸 지지하는 지지홈부(151)를 포함하는 상,하부의 안전 레일(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안전 레일(15)은 본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는 수직대에 의해 지지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체 프레임(1)의 상판(11) 전,후방의 상,하부에 안전 레일(15)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 대차부(3)에 지나치게 큰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이동 대차부(3)가 유동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본체 프레임
11 : 상판
12 : 하판
13 : 전방 레일
14 : 후방 레일
15 : 안전 레일
151 : 지지홈부
16 : 중앙 레일
2 : 수직 고정관부
21 : 상판 관통홀
22 : 고정관
23 : 돌출부
24 : 수평 보강판
3 : 이동 대차부
31 : 상부판
32 : 하부판
33 : 수직리브
34 : 삽입공간
35 : 돌출 연결대
351 : 로프 연결부, 352 : 중앙바퀴
36 : 돌출 실린더
37 : 연결대 고정수단
371 : 고정홀, 372 : 수직 고정홀,
373 : 위치 고정축, 374 : 구동 고정부,
374a : 수평판, 374b : 수직대,
374c : 승강대, 374d : 수직 가이드축,
374e : 수직 승강실린더
38 : 이동 구동부
381 : 바퀴, 382 : 회전 구동부
382a : 유압모터, 382b : 동력전달수단
4 : 수직삽입 고정부
41 : 수직 관통홀
42 : 수직 고정축
43 : 구동 승강부
431 : 승강대, 432 : 가이드축,
433 : 링크, 434 : 승강 실린더
5 : 인장부
51 : 고정프레임
52 : 인장 실린더
521 : 인장로드
53 : 로드셀
54 : 이동판
541 : 가이드관, 542 : 이동축
55 : 로프 연결대
551 : 로프 연결돌출부
56 : 보조 실린더
10 : 로프 시험편

Claims (14)

  1. 상부에 전,후방 레일(13)(14)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1)과,
    본체 프레임(1)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측 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이동 구동부(38)에 의해 전,후방 레일(13)(1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로프 시험편(10)의 한 쪽이 연결되는 이동 대차부(3)와,
    상기 이동 대차부(3)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들 중 하나에 이동 대차부(3)에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삽입 고정시켜 이동 대차부(3)를 고정하는 수직삽입 고정부(4)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 시험편(10)의 다른 한 쪽을 연결하여 로프 시험편(10)을 인장하는 인장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삽입 고정부(4)는,
    상기 이동 대차부(3)에 상기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고정관부(2)와 상응되게 구비된 전,후방 한 쌍의 수직 관통홀(41)과,
    상기 수직 관통홀(41)에 승강되게 삽입되어 상기 수직 고정관부(2)에 삽입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과,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을 구동 승강시키는 구동 승강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승강부(43)는,
    수직의 전,후방 가이드축(432)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431)와,
    승강대(43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고정축(4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433)와,
    승강대(431)의 전,후방과 이동 대차부(3)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대(431)를 승강시키는 전,후방 한 쌍의 승강 실린더(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고정관부(2)는,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판(11)에 형성된 상판 관통홀(21)과,
    상기 상판 관통홀(21)에 삽입되어 상부의 외측둘레와 하부의 외측둘레가 본체 프레임(1)의 상,하판(11)(12)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고정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고정관부(2)는,
    고정관(22)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둘레가 본체 프레임(1)의 상판(11)에 고정되는 수평 보강판(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2)은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축은 상,하부가 막혀 있고 상기 고정관(22)과 상응되게 양측 폭이 전,후방의 폭 보다 긴 사각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부(3)는,
    다수의 수직리브(33)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부판(31)(32)과,
    상,하부판(31)(32)의 사이인 인장부(5)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삽입공간(34)과,
    상기 삽입공간(34)에 돌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돌출부분에는 로프 시험편(10)을 연결하는 로프 연결부(351)가 구비된 돌출 연결대(35)와,
    상기 삽입공간(34)의 외측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 연결대(35)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돌출 실린더(36)와,
    상기 돌출 연결대(35)의 위치를 고정하는 연결대 고정수단(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고정수단(37)은,
    상기 삽입공간(34)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고정홀(371)과,
    상기 돌출 연결대(35)에 한 쌍의 고정홀(371)의 측 간격과 동일한 측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3개 이상의 수직 고정홀(372)과,
    상기 한 쌍의 고정홀(371)과 수직 고정홀(372)에 삽입되어 돌출 연결대(35)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구동 승강 시키는 구동 고정부(3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고정부(374)는,
    다수의 수직대(374b)에 의해 상기 상판(11)과 이격되게 고정된 수평판(374a)과,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상호 연결하며 수직 가이드축(374d)을 따라 승강되게 구비된 승강대(374c)와,
    상기 수평판(374a)에 구비되어 로드가 상기 승강대(374c)와 연결되어 한 쌍의 위치 고정축(373)을 승강시키는 수직 승강실린더(374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동부(38)는,
    이동 대차부(3)의 양측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레일(13)(14)에 장착되는 바퀴(381)와,
    상기 일측부의 전,후방 바퀴에 각각 구비되어 바퀴(38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5)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51)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인장로드(521)가 본체 프레임(1)의 반대편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장 실린더(52)와,
    상기 고정프레임(51)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관(541)에 이동되게 구비된 전,후 이동축(542)과,
    전,후 이동축(542)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로드(521)가 로드셀(53)을 통해 연결되어 인장로드(521)의 신축시 전,후방 이동축(542)과 연동되게 이동되는 이동판(54)과,
    전,후 이동축(542)의 내측에 전,후 이동축(542)과 함께 이동되게 구비되고 내측에는 로프 시험편(10)의 단부를 연결하는 로프 연결돌출부(551)가 구비된 로프 연결대(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5)는,
    상기 고정프레임(51)의 전,후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로드(561)가 상기 이동판(54)의 전,후방에 연결되어 초기에 이동판(54)을 이동시켜 로프 시험편(10)을 긴장 세팅시키는 전,후방 한 쌍의 보조 실린더(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13.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은, 상부 중앙에 본체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중앙 레일(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연결대(35)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 레일(16)을 따라 이동되는 중앙바퀴(35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부(3)는 다수의 수직리브(33)를 통해 상,하로 구비된 상,하판(11)(12)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은, 상판(11)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판(11)(12)의 전,후방 단부를 틈을 가지면서 감싸 지지하는 지지홈부(151)를 포함하는 상,하부의 안전 레일(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KR1020100062766A 2010-06-30 2010-06-30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KR10101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66A KR101013462B1 (ko) 2010-06-30 2010-06-30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66A KR101013462B1 (ko) 2010-06-30 2010-06-30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462B1 true KR101013462B1 (ko) 2011-02-14

Family

ID=4377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766A KR101013462B1 (ko) 2010-06-30 2010-06-30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46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1383A (zh) * 2015-06-08 2015-11-04 浙江海洋学院 一种钢悬链线立管整体分析试验装置
KR101736145B1 (ko) * 2017-01-11 2017-05-29 신강정밀공업(주) 강선의 인장강도 검사 장치
CN108279168A (zh) * 2018-02-01 2018-07-13 上海交通大学 一种拉力缓冲油缸模型试验模拟装置
CN108535117A (zh) * 2018-06-01 2018-09-14 浙江四兄绳业有限公司 一种缆绳磨损和破断复合试验机
CN109406295A (zh) * 2018-12-11 2019-03-01 西安工业大学 钢索拉伸测量仪
CN109470571A (zh) * 2018-12-05 2019-03-15 东华大学 一种束纤维拉伸微应变的测量机构及用途
CN109507032A (zh) * 2018-11-15 2019-03-2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一种钢丝绳静负荷试验装置
KR20190105426A (ko) * 2018-03-05 2019-09-17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CN110470543A (zh) * 2019-09-10 2019-11-19 洛阳理工学院 一种拉索预拉检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70U (ja) * 1991-08-08 1993-02-26 株式会社北川製作所 簡易引張試験機
KR100918251B1 (ko) 2009-05-06 2009-09-28 (주)고려기업 대용량 인장 시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70U (ja) * 1991-08-08 1993-02-26 株式会社北川製作所 簡易引張試験機
KR100918251B1 (ko) 2009-05-06 2009-09-28 (주)고려기업 대용량 인장 시험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1383A (zh) * 2015-06-08 2015-11-04 浙江海洋学院 一种钢悬链线立管整体分析试验装置
KR101736145B1 (ko) * 2017-01-11 2017-05-29 신강정밀공업(주) 강선의 인장강도 검사 장치
CN108279168A (zh) * 2018-02-01 2018-07-13 上海交通大学 一种拉力缓冲油缸模型试验模拟装置
CN108279168B (zh) * 2018-02-01 2024-04-23 上海交通大学 一种拉力缓冲油缸模型试验模拟装置
KR20190105426A (ko) * 2018-03-05 2019-09-17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KR102023333B1 (ko) 2018-03-05 2019-09-20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해양용 로프의 가속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
CN108535117A (zh) * 2018-06-01 2018-09-14 浙江四兄绳业有限公司 一种缆绳磨损和破断复合试验机
CN109507032A (zh) * 2018-11-15 2019-03-2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一种钢丝绳静负荷试验装置
CN109470571A (zh) * 2018-12-05 2019-03-15 东华大学 一种束纤维拉伸微应变的测量机构及用途
CN109406295A (zh) * 2018-12-11 2019-03-01 西安工业大学 钢索拉伸测量仪
CN110470543A (zh) * 2019-09-10 2019-11-19 洛阳理工学院 一种拉索预拉检测机
CN110470543B (zh) * 2019-09-10 2024-04-26 洛阳理工学院 一种拉索预拉检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462B1 (ko)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CN107191676B (zh) 埋地管道施工方法
CN106153327B (zh) 一种tbm斜井盾构管片加载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4831632B (zh) 一种桥梁索塔上横梁与下横梁施工方法
CN110255333A (zh) 一种包角可调的提升钢丝绳绳丝张力测定装置
JP6147166B2 (ja) 荷重試験装置
KR100918251B1 (ko) 대용량 인장 시험기
CN208937423U (zh) 高速铁路crtsⅲ型无砟轨道板静载试验台
CN208380117U (zh) 悬挑钢梁的全自动矫正装置
CN109928315A (zh) 一种钢结构施工用起吊装置
CN102745564B (zh) 电梯强度试验装置
JP5256337B2 (ja) 車両修正装置及び車両修正装置を固定する方法
CN111537210A (zh) 横担力学性能试验装置
CN116290798A (zh) 索组同步张拉装置及施工方法
KR101804021B1 (ko) 장경간 교량의 동(動) 하중 시험장치
CN109629450A (zh) 钢箱梁悬臂拼装横向线形匹配调整装置、系统及方法
KR20130105318A (ko) 러그 시험 장치
CN211200095U (zh) 一种架桥机支腿与主梁的配合结构
KR101104268B1 (ko) 유공압을 이용한 러그 로드 테스트 방법 및 그 장치
CN110389077A (zh) 一种多梁式混凝土弯曲徐变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20284613U (zh) 一种张拉千斤顶移动支撑台架
CN218646755U (zh) 一种集装箱角柱拉力试验平台
CN104261271B (zh) 移动式起重吊架设备
CN220748297U (zh) 一种钢筋挂布台车
CN219179130U (zh) 一种大型支柱绝缘子弯扭复合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