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85B1 -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85B1
KR101012285B1 KR1020030070267A KR20030070267A KR101012285B1 KR 101012285 B1 KR101012285 B1 KR 101012285B1 KR 1020030070267 A KR1020030070267 A KR 1020030070267A KR 20030070267 A KR20030070267 A KR 20030070267A KR 101012285 B1 KR101012285 B1 KR 10101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xternal air
vehicle
inter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555A (ko
Inventor
이정엽
전태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3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은,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모터, 및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공기를 선택하는 내외기(intake) 도어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으로서, 구동 단계 및 종료 단계를 포함한다. 구동 단계에서는, 송풍 모터가 턴-온(turns on) 또는 턴-오프(turns off)될 때마다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 종료 단계에서는, 시동이 종료되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Method for adaptively driving automobile intake door}
도 1은 본 발명의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차량의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 구동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 구동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 구동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 구동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 구동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 1a...마이크로프로세서,
2...강우량 감지기, 3...외기온도 감지기,
4...차내습도 감지기, 5...온도조절 도어,
6...풍향조절 도어, 7...송풍 모터,
8...내외기 도어, 9...에어컨 구동부,
10...사용자 입력부, 11...시동 검출부.
본 발명은, 차량의 내외기(intake) 도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모터, 및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공기를 선택하는 내외기(intake) 도어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차량의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가 구동될 뿐이다. 이에 따라, 운전중인 사용자는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면, 송풍 모터를 턴-온(turns on)시키는 동작과,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동작을 취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중에 상기 동작들을 모두 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될 확률이 높고, 안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한편, 내외기 도어가 내기 모드의 상태가 되어 차량이 상당한 시간 동안 주차된 경우, 차량의 실내와 실외 사이에 온습도의 차이가 커져서 유리창에 포깅이 형성되고,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에 남아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중이거나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안전 운전에 일조하며,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실내의 악취를 자연스럽게 방출할 수 있게 하는 적응적인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은,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공기를 선택하는 내외기(intake) 도어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으로서, 구동 단계 및 종료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단계에서는, 상기 송풍 모터가 턴-온(turns on) 또는 턴-오프(turns off)될 때마다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 상기 종료 단계에서는, 시동이 종료되면, 상기 외기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
본 발명의 상기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에 의하면, 상기 구동 단계에서 상기 내외기 도어가 적응적으로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는 포깅 가능 지역에서 단순히 상기 송풍 모터만 구동되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안전 운전에 일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료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내외기 도어가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이 수행되는 차량의 전자동 온도 조절(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시스템을 보여준다.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1)는 제어기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a) 및 그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이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1)에 입력되는 신호들은 강우량 감지기(rainfall sensor, 2)로부터의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서의 강우량 신호, 외기온도 감지기(3)로부터의 외기온도 신호, 및 차내습도 감지기(4)로부터의 차내습도 신호이다. 또한,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1)에 의하여 구동되는 대상은 온도조절 도어(5), 풍향조절 도어(6), 송풍 모터(7), 유입 공기를 내기 또는 외기로 전환하기 위한 내외기 도어(8) 및 에어컨 구동부(9)이다. 시동 검출부(1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시동 여부를 검출하여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1)에 입력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0)는 사용자 예를 들어, 운전자의 각종 조작에 따른 사용자 명령을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1)에 입력시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a)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8) 구동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된다(단계 S2).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 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를 구동한다(단계 S3). 한편,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8)를 구동한다(단계 S4 및 S5).
또한,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오프(turns off)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6).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오프(turns off) 신호가 입력되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를 구동한다(단계 S7).
이에 따라, 내외기 도어(8)가 적응적으로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는 포깅 가능 지역에서 단순히 송풍 모터(7)만 구동되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안전 운전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단계(S2 내지 S7)는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8). 또한, 상기 모든 단계들(S1 내지 S8)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1).
도 1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8) 구동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8)를 구동한다(단계 S4 및 S5). 이 구동 단계들(S4 및 S5)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8).
다음에, 시동이 종료되면,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S9).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가 아니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단계 S10). 이에 따라, 시동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내외기 도어(8)가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자연스럽게 제거될수있다.
상기 모든 단계들(S1 내지 S10)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1).
도 1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8) 구동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 최근 시동 종료시에 기록된 동작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1a). 단계 S8 및 S8a를 미리 참조하면, 시동이 종료된 직후에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가 기록됨을 알 수 있다.이에 따라,잠시시동이 중단된 후에 주행이다시 시작되는경우, 운전자가 내외기 도어(8)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 확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8)를 구동한다(단계 S4 및 S5). 이 구동 단계들(S4 및 S5)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8).
다음에,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시동 종료 직전 의 동작 모드가 기록된다(단계 S8a). 이 기록된 동작 모드는 차후 시동이 시작된 직후의 동작 모드로서 사용된다(상기 단계 S1a 참조).
상기 모든 단계들(S1 내지 S8a)는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1).
도 1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내외기 도어(8) 구동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 최근 시동 종료시에 기록된 동작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1a). 단계 S8 및 S8a를 미리 참조하면, 시동이 종료된 직후에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가 기록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시 시동이 중단된 후에 주행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운전자가 내외기 도어(8)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 확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들 S4 및 S5). 이 단계들(S4 및 S5)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8).
다음에,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가 기록된다(단계 S8a). 이 기록된 동작 모드는 차후 시동이 시작된 직후의 동작 모드로서 사용된다(상기 단계 S1a 참조).
다음에,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S9).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가 아니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단계 S10). 이에 따라, 시동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내외기 도어(8)가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모든 단계들(S1 내지 S10)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1).
도 1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외기 도어(8) 구동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1), 최근 시동 종료시에 기록된 동작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1a). 단계 S8 및 S8a를 미리 참조하면, 시동이 종료된 직후에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가 기록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잠시 시동이 중단된 후에 주행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운전자가 내외기 도어(8)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 확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된다(단계 S2).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3). 한편,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온(turns on)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4 및 S5).
또한,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오프(turns off)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6).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송풍 모터(7)의 턴-오프(turns off) 신호가 입력되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7). 이에 따라, 내외기 도어(8)가 적응적으로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는 포깅 가능 지역에서 단순히 송풍 모터(7)만 구동되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안전 운전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단계(S2 내지 S7)는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8).
다음에, 시동 검출부(11)로부터 시동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가 기록된다(단계 S8a). 이 기록된 동작 모드는 차후 시동이 시작된 직후의 동작 모드로서 사용된다(상기 단계 S1a 참조).
다음에,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인지 확인된다(단계 S9). 내외기 도어(8)가 현재 외기 모드의 상태가 아니면,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가 구동된다(단계 S10). 이에 따라, 시동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내외기 도어(8)가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모든 단계들(S1 내지 S10)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1).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에 의하면, 구동 단계(S2 내지 S7)에서는, 송풍 모터(7)가 턴-온(turns on) 또는 턴-오프(turns off)될 때마다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내외기 도어(8)가 적응적으로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는 포깅 가능 지역에서 단순히 송풍 모터(7)만 구동되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안전 운전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종료 단계(S9 및 S10)에서는, 시동이 종료되면(단계 S8), 외기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외기 도어(8)가 외기 모드의 상태가 되므로, 장시간 주차중인 차량의 유리창에 포깅(fogging)이 발생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의 악취 예를 들어, 에어콘의 가동으로 인한 증발기로부터의 누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시동이 시작되면(단계 S1), 최근 시동 종료시에 기록된 동작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8)가 구동된다(단계 S1a). 이에 따라, 잠시 시동이 중단된 후에 주행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운전자가 내외기 도어(8)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 확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공기를 선택하는 내외기(intake) 도어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송풍 모터가 턴-온(turns on) 또는 턴-오프(turns off)될 때마다 외기 유입을 위한 외기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구동 단계,
    (b) 시동이 종료되면, 상기 외기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종료 단계 및
    (c) 상기 (b) 종료 단계에서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 구동 단계에서 시동이 시작되면 최근의 시동 종료 직전 단계에서 기록된 동작 모드로써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구동단계에서,
    상기 송풍 모터의 동작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
  3. 삭제
  4. 차량의 실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공기를 선택하는 내외기(intake) 도어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시동이 종료되면 외기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단계,
    (b) 시동이 시작되면 최근의 시동 종료 직전의 동작 모드로써 상기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단계 및
    (c)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내외기 도어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기 도어 구동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30070267A 2002-10-22 2003-10-09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 KR101012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539 2002-10-22
KR20020064539 200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55A KR20040035555A (ko) 2004-04-29
KR101012285B1 true KR101012285B1 (ko) 2011-02-08

Family

ID=3733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267A KR101012285B1 (ko) 2002-10-22 2003-10-09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22U (ja) * 1993-03-12 1994-09-27 株式会社カンセイ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328422A (ja) 2000-05-19 2001-11-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144851A (ja) * 2000-11-08 2002-05-22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JP2003080937A (ja) * 2001-09-12 2003-03-1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22U (ja) * 1993-03-12 1994-09-27 株式会社カンセイ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328422A (ja) 2000-05-19 2001-11-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144851A (ja) * 2000-11-08 2002-05-22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JP2003080937A (ja) * 2001-09-12 2003-03-1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55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244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012285B1 (ko) 차량의 내외기 도어를 적응적으로 구동하는 방법
KR20070028937A (ko) 자동차의 정차시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50058661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609606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021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49776A (ko) 자동차용 김서림 방지장치 및 방법
KR0143649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덕트 습기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841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강제 외기 모드 해제 방법
KR2012006639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61368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100391325B1 (ko) 자동차용 fatc-hvac 시스템
KR100932076B1 (ko) 차량 유리창의 습기 제거 장치
KR20040009346A (ko) 강우량 감지에 의한 차량의 안개 제거 방법
KR0172219B1 (ko) 주차중 에어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71723B1 (ko) 자동차용 차실공기 배출장치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097616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인테이크 도어 제어방법
KR100427216B1 (ko) 자동차의 글래스 결빙제거를 위한 공조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17517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0356193A (zh) 汽车防止起雾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913013B1 (ko)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창의 김서림 방지방법
KR960000556A (ko) 차량의 환기제어방법
JPH0755134Y2 (ja) 空調装置
KR19990021235A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내외기 자동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