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948B1 -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948B1
KR101011948B1 KR1020067000497A KR20067000497A KR101011948B1 KR 101011948 B1 KR101011948 B1 KR 101011948B1 KR 1020067000497 A KR1020067000497 A KR 1020067000497A KR 20067000497 A KR20067000497 A KR 20067000497A KR 101011948 B1 KR101011948 B1 KR 10101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oadcast
user
authenti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795A (ko
Inventor
히로유키 킥코지
노조무 오쿠자와
나쓰미 사이토
신스케 야마시타
준 모리야
야스히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설정정보 송신수단(1c)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이 재생장치(1)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지역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한다. 외부장치로부터는,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장치(1)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 등의 리스트 정보가 회신되고,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은 표시수단(1e)에 의해 표시되고, 유저는 표시된 방송국명을 확인하여 입력 조작하고, 기록수단(1f)은 이 입력 조작에 따라, 수신된 리스트 정보의 일부(예를 들어, 주파수와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를 각각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재생장치, 방송 수신, 리스트 정보, 정보 설정, 방송국명

Description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REPRODUCTION DEVICE, INFORMATION SETTING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한 수신 주파수를 호출함으로써 선국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장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설정 방법 및 정보 설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FM 방송 등의 방송국은 자국에서 방송한 프로그램이나 그 중에서 방송한 악곡 등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라디오의 수신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기기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추고, 방송된 악곡의 관련정보 등을 이 오디오 기기에 의해 인터넷을 통하여 취득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고안되고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FM 방송의 수신중에, 방송된 악곡을 유저가 마음에 들었을 경우에, 정보제공을 행하고 있는 서버에 액세스하여, 그 악곡의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오디오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한 관련정보를 보존해 둘 수도 있다.
그런데, 오디오 기기에서는, 수신 주파수를 특정한 값에 맞춤으로써,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최근의 오디오 기기에서는, 수신가능한 복수의 주파수를 프리세트(preset)하여 두고, 버튼 조작 등에 의해 번호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수신 주파수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 것이 많다. 또한, 이러한 수신가능한 주파수의 설정을 자동으로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프리세트한 수신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에 관한 정보제공을 행하고 있는 서버나 웹 페이지 등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라디오방송국에서의 방송신호는 수신가능한 지역이 한정되므로, 동일한 방송 주파수를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라디오국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라디오 방송국의 식별은 방송 주파수만으로는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 방송국에 고유하게 배정된 「콜 사인」이라고 불리는 식별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이나 방송 악곡 등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함께, 상기 정보제공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 서버를 만들어 둔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방송 주파수, 지역 및 콜 사인을 대응시킨 테이블과, 콜 사인 및 그 방송국에 대응하는 정보제공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오디오 기기에서 방송 주파수의 프리세트를 행할 때에, 서비스 관리 서버에 대하여, 그 방송 주파수와, 수신하고 있는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우편번호 등)를 송신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는, 이들 수신 정보로부터, 오디 오 기기에서 수신하고 있는 방송국의 콜 사인을 특정하여, 오디오 기기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기기에서, 방송 주파수와 콜 사인을 관련시켜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등의 관련정보를 취득할 때에는, 유저가 오디오 기기상에서 프리세트 번호에 의해 방송국을 지정함으로써, 그것에 대응하는 콜 사인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송신되고, 서비스 관리 서버는 그 콜 사인에 대응하는 정보제공 사이트의 URL을 오디오 기기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기기는 그 URL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이나 방송 악곡 등의 관련정보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가능한 방송 채널을 확실하게 선국하는 것이 가능한 종래의 수신기로서, 미리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선국에 관한 정보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 채널의 선국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키 조작부의 각 선국 조작 키에 대응시켜서 프리세트 메모리에 기억하고, 이때,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고 인식된 복수의 방송 채널에 대한 선국에 관한 정보를, 선국 조작 키의 선국 변경 조작 방향을 따라 근접하도록 하여 기억하는 수신기가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11-308135호 공보(단락번호[0041]∼[0078], 도 1).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이, 방송 주파수나 콜 사인 등을 프리세트할 때에, 우편번호 등의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와, 수신 주파수로부터 콜 사인을 특정하는 방법에서는, 실제로는 콜 사인을 잘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오리지날 방송 주파수 와 상이한 주파수가 케이블 텔레비전 국에서 할당되어 있을 수가 있다. 또한, 케이블 텔레비전에서는, 원래 그 지역에서는 수신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지역의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고 있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는 그 수신 주파수에 대응하는 콜 사인을 특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신지역이나 수신방법에 따라 주파수와 콜 사인을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사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수신지역이나 수신방법에 따라 주파수와 콜 사인을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사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할 때에, 수신지역이나 수신방법에 따라 주파수와 콜 사인을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사전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설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한 수신 주파수를 호출함으로써 선국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주파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수단과, 방송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송신호 재생수단과, 유저에 의해 설정된, 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설정정보 송신수단과, 외부장치에 의해 검출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과,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재생장치에서는, 방송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의 방송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방송신호가 방송신호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다. 또한, 설정정보 송신수단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이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이 설정정보를 수신한 외부장치는,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이 재생장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 등을 검출하여 이들을 리스트 정보로서 회신하고,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은 이 외부장치로부터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수단은 수신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고, 기록수단은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대응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따라서, 유저는, 표시수단에 의해 수신가능한 방송국명을 확인하여 기록수단에 기록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신가능한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정확하게 대응하게 하여 기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응시킨 이들 정보를 나중에 호출하여 선국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선국한 방송국을 식별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에서 수신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하기 위한 정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설정정보 송신스텝과, 외부장치에 의해 검출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스텝과, 수신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 설정 방법에서는, 설정정보 송신스텝에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이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이 설정정보를 수신한 외부장치가,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이 재생장치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 등을 검출하여 이들을 리스트 정보로서 회신하고, 리스트 정보 수신스텝에서, 이 외부장치로부터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스텝에서는, 수신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고, 기록스텝에서는,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대응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따라서, 유저는 표시스텝에서 표시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을 확인하여, 기록스텝에서 기록매체에 기록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신가능한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기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응시킨 이들 정보를 나중에 호출하여 선국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선국한 방송국을 식별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신방법으로서, 재생장치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유저 ID와 패스워드와 함께 포털 서버에 송신하고, 재생장치가 복수의 서비스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을 발행하는 포털 서버는 유저 ID와 패스워드에 의거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을 허가할 때,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인 리스트 정보를 재생장치에 송신하고, 재생장치는 수신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고,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표시수단에 의해 수신가능한 방송국명을 확인하고, 기록수단에 기록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신가능한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사전에 기록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대응시킨 이들 정보를 나중에 호출하여 선국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선국한 방송국을 식별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고, 선국한 방송국에 대응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설정 방법에 의하면, 유저는 수신가능한 방송국명을 표시에 의해 확인하고, 기록매체에 기록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수신가능한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정확하게 대응시켜서 사전에 기록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대응시킨 이들 정보를 나중에 호출하여 선국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선국한 방송국을 식별하는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고, 선국한 방송국에 대응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합 서비스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프로그램 모듈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콜 사인 및 URL 특정 서비스 제공시에 있어서의 총합 서비스 서버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총합 서비스 서버가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주파수를 프리세트할 때의 단말장치의 전체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방송국 리스트의 정보를 매뉴얼 조작으로 프리세트하는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방송국명을 일람 표시한 화면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방송국 리스트 수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디렉토리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포털 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물건판매 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라디오 방송정보 배신 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포털 서버간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1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간의 유저 인증 처리 순 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2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3은 물건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4는 라디오 방송정보(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1)을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5는 라디오 방송정보(나우 온에어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2)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이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재생장치(1)와, 방송국을 특정하는 처리 등을 행하는 방송국 특정서버(2)가 네트워크(3)에 의해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3)에는, 방송국이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악곡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정보 서버(4)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재생장치(1)는,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출력하는 방송 수신기능과, 재생장치(1)가 설치된 지역의 정보 등을 방송국 특정서버(2)에 송신하여 수신가능한 방송국을 특정하기 위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를 프리세트하기 위한 설정기능 을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기능은, 특정한 주파수의 방송신호를 전파 혹은 케이블로부터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수단(1a)과,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송신호 재생수단(1b)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설정기능은, 설정정보 송신수단(1c),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 표시수단(1e) 및 기록수단(1f)에 의해 실현된다.
설정정보 송신수단(1c)는, 재생장치(1)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여기서는 방송국 특정서버(2))에 대하여 송신한다. 설정정보는 유저에 의하여 설정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재생장치(1)가 설치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 설정정보는 방송국 특정서버(2)에 송신되기 직전에 유저에 의해 입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미리 유저에 의해 설정해 둔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 서버(4)로부터의 정보제공 서비스를 받기 위한 온라인에서의 등록시에, 그 등록정보를 재생장치(1)에 기록해 두고, 설정정보 송신수단(1c)가 이 정보의 일부를 설정정보로서 판독하여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는 방송국 특정서버(2)에 의해 검출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 리스트 정보는 재생장치(1)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로 이루어진다.
표시수단(1e)는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에 의해 수신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수신가능한 방송국을 확인한다. 기록수단(1f)는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수신된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각각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수신가능한 방송국명과 방송국 식 별정보, 주파수를 관련시켜서 프리세트하여 둘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프리세트한 정보를 호출하여 방송신호 수신수단(1a)의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선국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정보 송신수단(1c)은 방송신호 수신수단(1a)에서의 수신 주파수를 프리세트하는 처리시에 동작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방송신호 수신수단(1a)의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방송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프리세트해 간다. 혹은, 이러한 프리세트 동작이 재생장치(1)에서 자동으로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주파수의 프리세트가 종료한 후, 설정정보 송신수단(1c)은 설정정보를 방송국 특정서버(2)에 송신한다.
방송국 특정서버(2)는 재생장치(1)로부터의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송신처인 재생장치(1)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재생장치(1)가 설치된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을 특정한다. 그리고, 각 방송국의 방송국명과 방송국 식별정보와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장치(1)에 송신한다.
재생장치(1)에서는,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에 의해, 방송국 특정서버(2)로부터의 리스트 정보가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이 표시수단(1e)에 의해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수단(1e)에 의해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프리세트하여 둔 주파수로의 할당으로서 올바른지 아닌지를 판단한 다음, 리스트 정보 내의 일부 정보, 예를 들어, 주파수,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록수단(1f)에 의해 기록매체에 프리세트시킬 수 있다.
혹은,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에 의해 리스트 정보가 수신된 후, 프리세트하여 둔 주파수 중, 리스트 정보 내에 존재하는 주파수에 대해서는, 이것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를 기록수단(1f)에 의해 자동으로 프리세트시키고, 또한, 남은 주파수가 존재할 경우에,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수단(1e)에 표시시키며, 유저의 매뉴얼 입력에 의해, 그들 주파수에 대하여 리스트 정보 내의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록수단(1f)에 기록시켜도 좋다.
기록수단(1f)의 동작에 의해, 기록매체에는 예를 들어, 방송신호 수신수단(1a)에서 실제로 수신가능한 주파수와,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 등이 관련시켜서 기록되므로, 이 후에 방송을 수신할 때에, 기록된 정보를 호출하여 그 주파수를 방송신호 수신수단(1a)에 설정하고, 선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생장치(1)에서는, 예를 들어, 수신한 방송국의 프로그램이나, 방송한 악곡에 관한 관련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서버(4)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경우, 방송국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정보 서버(4)나 그 정보제공 사이트 등의 위치정보(URL 등)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그 방송국을 정확하게 특정할 필요가 있고, 그 특정을 위하여 방송국 식별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수신수단(1a)에 의해 수신된 방송국에서 방송된 악곡의 관련정보를 취득하고 싶을 경우에, 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식별정보를 방송 국 특정서버(2)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국 특정서버(2)로부터 그 방송국에 대응하는 URL을 수신하고, 수신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관련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상의 재생장치(1)에 의하면, 유저는 프리세트하여 둔 주파수에 대하여, 표시수단(1e)에 표시된 방송국명을 확인하면서, 그 주파수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 내의 정보를 관련시켜서 다시 프리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특히, 방송신호 수신수단(1a)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에, 예를 들어, 이 지역에서 원래 전파에 의해 수신가능한 주파수와 상이한 것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등에도, 주파수나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등의 관련시키기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사태는 예를 들어, 케이블 텔레비전에 의해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상황에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할당이 전파의 경우와 상이할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프리세트의 처리를 용이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제로 수신된 방송국의 프로그램 등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나 사이트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리세트하여 둔 주파수 중, 수신한 리스트 정보 내에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가 있고, 방송국명이나 방송국 식별정보 등의 프리세트를 할 수 없었을 경우에는, 또한, 재생장치(1)로부터, 송신한 설정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방송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의 송신을, 방송국 특정서버(2)에 요구하여도 좋다. 이러한 사태는, 예를 들어, 케이블 텔레비전에 의해, 그 지역에서 전파에 의해 수신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방송국에 의한 라디오 방송이 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정보로서 지역정보에 대응하지 않 는 방송국, 즉, 그 지역에서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방송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따라 방송국 특정서버(2)로부터 송신된 리스트 정보를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1d)가 수신하면, 상기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표시수단(1e)에 의해 그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서 수신할 수 없는 방송국의 명칭을 표시수단(1e)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표시된 것 중에서 방송국명을 선택함으로써, 이 방송국명 및 대응하는 방송국 식별정보를, 실제로 수신된 주파수와 정확하게 관련시켜서, 기록수단(1f)에 의해 프리세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관한 관련정보를 2차 기억장치에 보존(보관)하는 처리를, 클립으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클립에 의해 보존된 정보를 클립정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장치(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다. 서버로서는,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음악배신 서버(33), CD 숍 서버(34), 인터넷 라디오 서버(35), 총합 서비스 서버(36) 등이 있다.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는 시판되고 있는 음악 CD(Compact Disc)에 수 록되어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앨범 타이틀 등을 배신하는 서비스를 행한다.
방송국 서버(32)는 FM 방송이나 텔레비전(TV) 방송 등의 방송국(37)이 관리하는 서버이다. 방송국(37)은 안테나(38)를 통해 무선에 의한 방송을 행하고 있고, 방송국 서버(32)는 방송되는 악곡의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를 행한다.
또한, 방송국 서버(32)에 의해 제공되는 관련정보의 제공 기능은 크게 구별하여 다음의 2개로 나누어진다. 제1기능은 현재 방송중인 악곡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기능(나우 온에어(Now OnAir))이다. 제2기능은 단말장치(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이미 방송한, 혹은 방송 예정인 악곡의 리스트(온에어(OnAir)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이다(온에어 리스트에는 각 악곡의 관련정보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한 악곡의 관련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정된 시간대 내에 방송한 악곡의 관련정보를 제공하거나 한다.
음악배신 서버(33)는 악곡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악곡 데이터)를 배신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음악배신 서버(33)는 악곡의 구입 수속을 행한 유저의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음악배신 서버(33)는 배신하는 악곡의 관련정보나, 시청용의 음성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CD 숍 서버(34)는 음악 CD의 통신 판매를 위한 주문 접수 등을 행하는 서버이다. CD 숍 서버(34)는 시청용의 음성 데이터 등의 배신 서비스나, 판매하고 있는 CD에 수록된 악곡의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도 행한다.
인터넷 라디오 서버(35)는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프로 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총합 서비스 서버(36)는 네트워크(30)를 통한 서비스의 제공 창구(포털 사이트)로서 기능하고, 상기한 각 서버 등을 사용한 각종 총합 서비스의 제공을 중개한다. 예를 들어, 방송되고 있는 악곡의 관련정보의 배신원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URL)를 단말장치(10)에 배신한다. 또한, 수신지역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콜 사인을 단말장치(10)에 배신한다. 또한, 상기한 각종 총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유저의 등록 수속이나, 이용시의 인증 수속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30)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관한 정보의 제공 서비스를 행하고 있다. 즉, 각 서버가 네트워크(30)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의 소스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음악배신 서버(33)와 CD 숍 서버(34)는 악곡구입 가능 서버이다. 따라서, 유저가 단말장치(10)를 조작하여 악곡구입 가능 서버에 액세스하면, 네트워크(30)를 통해 실제로 악곡이나 악곡의 집합을 구입할 수 있다. 단말장치(10)의 유저는 음악배신 서버(33)에 대하여 구입 수속을 행함으로써, 음악배신 서버(33)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의 유저는 CD 숍 서버(34)에 대하여 구입 수속을 행함으로써, 음악 CD를 자택에 택배로 배달하게 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CD(29a), MD(Mini Disc)(29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21) 등의 기록매체에, 로컬상의 악곡 또는 악곡 집합의 소스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CD(29a)와 MD(29b)는 가반형 기록매체이며,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어떤 로컬 소스가 준비될지는 단말장치(10)의 종류, 목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안테나(26)를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로컬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의 소스는 일례이다. 즉, 단말장치(10)의 로컬에 존재하는 기록매체이면, 악곡 또는 악곡집합을 기록함으로써, 로컬상의 악곡 또는 악곡 집합의 소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클립한 관련정보(클립정보)를 기억하는 클립정보 기억장치(21a)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정보 기억장치(21a)는 단말장치(10)의 2차 기억장치이다. 예를 들어, HDD(21) 등의 기억영역의 일부를 클립정보 기억장치(21a)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는 클립을 악곡에 대하여도, 악곡집합에 대하여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음에 드는 악곡이 다수 포함된 FM 프로그램, CD 앨범 등에 대해서는 통째로 클립함으로써, 1회의 클립 동작으로 마음에 드는 악곡집합의 관련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3은 총합 서비스 서버(36)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총합 서비스 서버(3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6a)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36a)에는, 버스(36g)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36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36c), 그래픽 처리부(36d), 입력 인터페이스(I/F)(36e) 및 통신 인터페이스(36f)가 접속되어 있다.
RAM(36b)에는, CPU(36a)에 의해 실행되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36b)에는, CPU(36a)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HDD(36c)에는,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HDD(36c)에는, 특정한 지역마다에,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후술하는 콜 사인 및 주파수를 대응시켜서 기억한 데이터베이스나, 콜 사인과, 그 콜 사인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관련정보 제공 서버의 URL을 기억한 데이터베이스 등이 저장된다.
그래픽 처리부(36d)에는 표시장치(36h)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처리부(36d)는 CPU(36a)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표시장치(36h)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입력 인터페이스(36e)에는, 키보드(36i)와 마우스(36j)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6e)는 키보드(36i)나 마우스(36j)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버스(36g)를 통해 CPU(36a)에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6f)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6f)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처리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총합 서비스 서버(36)의 하드웨어 구성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서버도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장치(10)는 악곡의 재생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기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도 4는 단말장치(1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일반적인 시스 템 구성과 동일한 외관을 하고 있다. 단말장치(10)는 장치 본체(10a), 스피커(25a, 25b) 및 리모트 콘트롤러(40)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10a)에는, CD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재생기능, MD의 녹음재생기능 및 FM 방송이나 TV 방송의 수신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0a)에서 생성한 음성신호가 스피커(25a 및 25b)에 보내짐으로써, 스피커(25a 및 25b)로부터 소리가 출력된다.
또한, 장치 본체(10a)에는 표시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장치(17)에는, 재생중인 악곡의 관련정보나, 클립에 의해 보존된 관련정보 등이 표시된다.
리모트 콘트롤러(40)는 장치 본체(10a)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리모트 콘트롤러(40)에는 복수의 조작 키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에 의해 조작 키가 눌러지면,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수단에 의해, 눌러진 조작 키에 따른 신호가 리모트 콘트롤러(40)로부터 장치 본체(10a)에 송신된다.
조작 키로서는, 방향 키(41a∼41d), 결정 키(42), 펑션 선택 키(43a∼43c), 툴 키(44), 되돌아감 키(45) 등이 설치된다.
방향 키(41a∼41d)는 예를 들어, 표시장치(17)에 표시된 커서나, 힘이 닿는 장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4개의 방향 키(41a∼41d)는 각각 상, 하, 좌, 우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고 있고, 눌러진 방향 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커서 등이 이동한다.
결정 키(42)는 예를 들어, 표시장치(17)에 표시된 내용을 확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펑션 선택 키(43a∼43c)는 기능의 선택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3개의 펑션 선택 키(43a∼43c)는 각각 총합 서비스 이용기능, 튜너기능, 로컬 콘텐츠 관리기능에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펑션 선택 키(43a∼43c)의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장치 본체(10a)는 눌러진 펑션 선택 키에 대응하는 기능의 동작 모드가 된다.
툴 키(44)는 표시장치(17)상에 툴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툴 메뉴 내에는, 표시장치(17)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따른 커맨드가 표시된다. 툴 메뉴로부터 유저가 임의의 커맨드를 선택하고, 그 커맨드에 따른 처리를 단말장치(10)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방향 키(41a∼41d)를 조작하여 임의의 커맨드를 선택하고, 또한 결정 키(42)를 누름으로써, 선택된 커맨드에 따른 처리가 단말장치(10)에서 실행된다.
되돌아감 키(45)는 표시장치(17)의 표시 내용을 직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리모트 콘트롤러(40)에는, 도 4에 도시한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조작 키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량조절 키, 음악 CD 등의 재생 키, 정지 키 등이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말장치(10)에 의해, 악곡 등의 여러 가지 소스의 관리, 기록, 재생이 가능해진다.
CPU(11)는 기동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단말장치(10) 전체의 제어,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를 통한 통신 동작, 유저에 대한 입출력 동 작, 미디아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이나 클립, HDD(21)로의 콘텐츠 기억이나 그것을 위한 관리, 클립정보 등에 의거한 네트워크(30)를 통한 정보검색 등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말장치(10)가 대응하여 기록재생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오디오 콘텐츠 데이터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가 있다. CPU(11)는 버스(12)를 통해 각 회로부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ROM(Read Only Memory)(13)은 CPU(11)가 실행해야 할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나, 각종 연산 계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또한, RAM(20)에는, CPU(11)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이 전개된다. 또한,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15)는 단말장치(10)의 케이싱에 설치된 조작 키나 죠그 다이얼,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조작자 등을 가진다. 또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조작을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가 조작 입력부(15)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조작 입력부(15)에서 입력된 정보는 입력 처리부(1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시행되고, CPU(11)에 대하여 조작 커맨드로서 전송된다. CPU(11)는 입력된 조작 커맨드에 응답한 기기로서의 동작이 얻어지도록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표시장치(17)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각종 정보표시가 행해진다. CPU(11)가 각종 동작 상태나 입력 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 표시정보를 표시 처리부(16)에 공급하면, 표시 처리부(16)는 공급된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장치(17)에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7)에는, 서버 등으로부터 배신된 관련정보의 내용이나, 클립정보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네트워크(30)를 통한 악곡의 검색이 행해졌을 경우, 검색 결과가 표시장치(17)에 표시된다.
미디아 드라이브(19a 및 19b)는 가반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악곡 등의 콘텐츠를 기록, 재생(기록매체에 의해 재생만 하는 경우도 있다) 할 수 있는 드라이브이다. 또한, 미디아 드라이브(19a 및 19b)의 각각이 기록 또는 재생가능한 기록매체의 종류는 1종류라고는 할 수 없다. 즉,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디아 드라이브(19a)가 CD, DVD의 재생을 행하고, 미디아 드라이브(19b)가 MD의 기록재생을 행한다.
또한, 악곡 등의 콘텐츠를 기록하는 가반형 기록매체로서는, CD, DVD 등의 광학적인 기록매체에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 기록매체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플래시 메모리의 리더라이터가 버스(12)에 접속된다.
유저는, 미디아 드라이브(19a, 19b)에, 임의의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CD, DVD, MD 등)를 삽입하고, 리모트 콘트롤러(40)의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악곡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리모트 콘트롤러(40)를 조작하고, 미디아 드라이브(19a)에 의한 재생 지시를 행하면, CPU(11)는 미디아 드라이브(19a)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한다. 이것에 따라, 미디아 드라이브(19a)는 장전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지정된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판독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독된 콘텐츠가 오디오 콘텐츠일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CPU(11)의 처리에 의해 디코드 처리 등이 시행된 후, 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 전송된다. 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서는, 이퀄라이징 등의 음장처리나 음량조정, D/A 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시행되어, 스피커부(25)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스피커부(25)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복수의 스피커(25a 및 25b)로 구성되고, 스테레오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아 드라이브(19a 및 19b)에서 재생된 콘텐츠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HDD(21)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서 축적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오디오 ㄷ데이터 파일의 형식으로서는, 음악 CD 포맷에 대응하는 샘플링 주파수 44.1 KHz, 16비트 양자화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도 좋다. 또한, HDD(21)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소정의 방식에 따라 압축 처리가 시행된 형식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압축 방식으로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TRAC(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 상표) 방식이나 MP3(MPEG Audio Layer-3)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튜너(27)는 예를 들어, AMㆍFM 라디오 튜너로 하고,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테나(26)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한다. 물론, 텔레비전 튜너나 위성방송 튜너, 디지털 방송 튜너 등으로서의 튜너라도 좋다. 복조된 방송 음성신호는 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서 필요한 처리가 시행되고, 스피커부(25)로부터 방송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통신 처리부(22)는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는 통신 처리부 (22)에서 인코드된 송신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소정의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 처리부(22)에 주고받는다. 통신 처리부(22)는 수신한 정보를 CPU(11)에 전송한다.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하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FM 방송 등에서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관련정보나, 음악 CD 등의 타이틀에 포함되는 악곡의 정보가 있다.
적외선 통신부(28)는 리모트 콘트롤러(40)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수단으로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적외선 통신부(28)는 리모트 콘트롤러(40)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고, CPU(11)에 대하여 조작 커맨드로서 전송한다. CPU(11)는 입력된 조작 커맨드에 응답한 기기로서의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단말장치(10)의 구성은 이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하게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1394, Bluetooth 등의 통신방식에 의한 주변기기와의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에 의해 네트워크(30)를 통해 다운로드한 오디오의 ㅋ콘텐츠나, 상기 USB, IEEE 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어 온 오디오의 콘텐츠에 관해서도, HDD(21)에 대하여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이나 외부의 헤드폰의 접속에 사용할 수 있는 단자나, DVD 재생시에 대응하는 비디오 출력단자, 라인 접속단자, 광 디지털 접속단자 등이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슬롯, 메모리카드 슬롯 등이 형성되어,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나 오디오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단말장치(10)에 의해 실행시키는 처리를 기술한 정보이며, 프로그램 모듈에 의거하여 단말장치(10)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을, 그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6은 단말장치의 프로그램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은 OS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장치(10)는 각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에 의해,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음악배신 서버(33), CD 숍 서버(34), 총합 서비스 서버(36), 인터넷 라디오 서버(35), 그 밖의 각종 서버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메시지 프로그램(111)은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CD 숍 서버(34) 및, 총합 서비스 서버(36) 등의 각종 서버와의 사이의 교환을 HTTP 통신dmfh 행하는 것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은 총합 서비스 서버(36) 등과 각종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의 상위(유저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기능)에는, 콘텐츠의 코덱을 해석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모듈(113), 저작권보호에 관한 정 보를 다루는 저작권 보호정보 관리 모듈(114)이 위치한다. 콘텐츠 재생 모듈(113)의 상위에는, 인터넷 라디오의 선국 및 재생을 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선국재생 모듈(118)이 설치되어 있다. 저작권 보호정보 관리 모듈(114)의 상위에는, 악곡구입 및 시청곡의 재생을 주관하는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이 설치되어 있다.
그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118),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의 상위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브라우져(151)가 설치된다. XML 브라우져(151)는 각종 서버로부터 보내지는 XML 파일의 내용을 해석하여, 표시장치(17)에 대하여 화면표시를 행한다. 또한, 단말장치(10)가 총합 서비스 이용 모드시에 유저가 단말장치(10)에 대해 행한 입력 내용은 XML 브라우져(151)에서 해석된다. 그리고, XML 브라우져(151)로부터 다른 모듈에, 입력 내용에 따른 처리 요구 등이 인도된다. 예를 들어, XML 브라우져(151)를 통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악곡은 악곡 구입재생 모듈(119)에서 구입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를 통해 HDD(21)에 기록된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에는, 라이브러리(130)의 인증 라이브러리(131)가 접속되어 있다. 인증 라이브러리(131)는 총합 서비스 서버(36)나 그 밖의 각종 서버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의 상위에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가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은 HDD(21)에 구축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한다.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은 HDD(21)에 저장된 콘텐츠 에 액세스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는 HDD(21)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의 상위에는,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 및, 악곡 구입재생 모듈(119)이 설치되어 있다.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라디오국이 방송한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 이름 등을 표시장치(17)에 표시한다.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은 라디오국을 선국하거나, 이 라디오국으로부터 수신한 악곡의 콘텐츠를 HDD(21)에 녹음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유저인터페이스(AudioUI)(152)를 통해 선국된 라디오국으로부터 수신한 악곡은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을 통해 HDD(21)에 기록된다.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에 의해 현재 라디오국이 방송하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이름 등을 관련정보로서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등으로부터 HTTP 메시지 프로그램(111)을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것을 오디오 유저인터페이스(152)를 통해 표시장치(17)에 표시한다.
또한, 오디오 유저인터페이스(152)를 통해 표시장치(17)에 표시한 관련정보는 라이브러리(130)의 클립 라이브러리(132)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관련정보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을 통해 HDD(21)에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로서는, CD를 재생하기 위한 CD 재생 모 듈(141)과, HDD(21)를 재생하기 위한 HDD 재생 모듈(142)이 포함되어 있고, 재생 결과를 오디오 출력 처리부(24) 및 스피커부(25)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단말장치(10)를 사용한 클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장치(10)에서는, 단말장치(10) 내의 각 기억매체나, 네트워크(30) 상에 존재하는 악곡이나 악곡집합에 대하여, 그들에 관한 정보를 클립하고, 클립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장 기본적인 클립 처리는, FM 방송 등의 방송 수신중에, 방송되고 있는 악곡에 관한 관련정보를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취득하는 것이다(나우 온에어). 이 경우,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는 30초 라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수신중인 방송국(37)에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에 액세스하고, 최신 관련정보(이미 방송된 혹은 방송 예정인 악곡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로부터의 클립 조작을 검출하면, 그 시점에서 취득하고 있던 관련정보를 클립정보로서 보존한다.
클립한 관련정보에는, 그 악곡의 곡명, 아티스트 이름 외에, 예를 들어,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명이나, 그 앨범의 식별 ID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유저는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음악배신 서버(33)나 CD 숍 서버(34)에 액세스하고, 클립정보 중의 앨범의 식별 ID를 이들 서버에 통지함으로써, 그 앨범의 구입 수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립 처리에서는, 악곡단위 외에, 악곡집합의 단위로 그들에 관한 정보를 클립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중인 클립 처리에서는, 클립시에 방송중인 프로그램에서 방송되는 악곡의 리스트(온에어 리스트) 를 단위로 하여, 하나의 클립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국 서버(32)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한 클립 처리에서 취득하여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는 현재 방송중인 것을 포함하는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는 단말장치(10)에서 날짜나 시간대 등을 검색조건으로서 지정하고, 방송국 서버(32)에 송신하여, 검색 결과로서 악곡이나 악곡집합을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정보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클립하고, 클립정보로서 보존한다.
이와 같이, 클립에 의해 방송국 서버(32)로부터 관련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수신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정보 제공원을 단말장치(10)가 취득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총합 서비스 서버(36)가 각 방송국에 대한 관련정보 제공원의 URL을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방송국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로서 콜 사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대하여 콜 사인을 송신함으로써, 총합 서비스 서버(36)에서 검색된 URL을 수신하고, 그 URL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FM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는 수신가능한 지역이 한정되므로, 동일한 방송 주파수를,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라디오국이 사용하고 있을 경우가 있고, 수신 주파수와 콜 사인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총합 서비스 서버(36)는 단말장치(10)로부터 지역을 특정하는 지역정보를 수신하여, 이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콜 사인 및 주파수를 대응시킨 정보의 리 스트인 방송국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도 7은 방송국 리스트 제공시에 있어서의 총합 서비스 서버(36)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스텝 S11에서, 단말장치(10)로부터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방송국 리스트의 수신 요구를 받았는지를 판단하여, 스텝 S12로 진행한다. 여기서, 수신하는 정보로서는, 도도부현의 이름이나 우편번호, 시외국번, 지역명 등이 적용된다.
스텝 S12에서,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특정하고, 이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정보를, HDD(32c) 내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S13에서,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방송국명 및 콜 사인 등의 대응 정보의 리스트인 방송국 리스트 정보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
스텝 S14에서, 처리의 종료를 판단하여,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1로 되돌아가서 단말장치(10)로부터의 신호를 대기한다.
또한, 상기한 처리에서는, 도도부현의 이름이나 우편번호 등의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복수의 주파수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주파수와, 수신한 주파수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그 주파수의 방송국명과 콜 사인을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처리에서,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중,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존재하였을 경우에는, 그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은 방송국 리스트 제공을 위하여, 총합 서비스 서버(36)가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총합 서비스 서버(36)는 전파에 의해 전송하고 있는 주파수, 그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수신가능한 지역에 대응시켜서 기억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검색키로서 지역을 지정함으로써, 이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주파수,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조합한 정보의 리스트가 추출되어 방송국 리스트로서 송신된다. 또한, 총합 서비스 서버(36)는 이 밖에 지역을 특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 예를 들어, 우편번호나 도도부현 이름 등과, 도 8의 데이터베이스 상의 지역명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단말장치(10)는 수신하는 주파수와 프리세트 번호를 대응시켜서 미리 기억(프리세트)하여 두고, 프리세트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그 주파수를 선국하여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는 수신 주파수의 프리세트시에, 상기와 같은 총합 서비스 서버(36)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 단말장치(10)에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수신 주파수에 관련시켜서 프리세트하여 둠으로써, 콜 사인에 대응하는 관련정보 제공원의 URL을 취득하여 액세스하고, 방송국 서버(32)로부터의 관련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단말장치(10)에서는, 라디오방송을 전파에 의해 수신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케이블텔레비전의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고 있을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라디오방송을 전송하고 있는 주파수는 전파에 의해 전송하 고 있는 주파수와 상이할 경우가 있다. 또한, 그 지역에서 전파로는 수신할 수 없는 먼 곳의 방송국의 라디오방송을 전송하고 있을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에서는, 지역정보만으로는 주파수와 콜 사인을 관련시킬 수 없다.
그래서, 단말장치(10)에서는,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그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주파수와, 프리세트한 주파수가 일시하지 않을 경우에, 방송국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장치(17)에 일람 표시하여,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의해 그 중에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역이나 수신 방법에 따라 프리세트를 정확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주파수를 프리세트할 때의 단말장치(10)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주파수를 프리세트할 때의 단말장치(10)의 전체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는, 오토 프리세트 및 매뉴얼 프리세트의 2종류의 프리세트 방법이 준비되고,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토 프리세트에서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를 자동으로 검출(오토 튜닝)하여 프리세트 번호를 할당하고, 또한, 검출된 각 주파수에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자동으로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또한, 매뉴얼 프리세트에서는, 이상의 처리가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라 행해진다. 또한, 유저의 조작입력은 기본적으로 리모트 콘트롤러(40)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라 프리세트 방법이 선택된다. 오토 프리세트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22로 진행하고, 매뉴얼 프리세트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수신 주파수를 서서히 변화시켜서, 방송이 수신된 주파수를 자동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주파수에 프리세트 번호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기억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단말장치(10)가 설치된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방송국 리스트를 수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스텝 S23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텝 S24에 있어서,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로부터, 스텝 S22에서 프리세트된 것과 일치하는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이 주파수에 관련시킨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대응하는 프리세트 번호에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스텝 S25에 있어서, 스텝 S22에서 기억된 모든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이 기억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전체 번호에 대하여 기억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방송국 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가 기억된 프리세트 번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스텝 S28로 진행하고, 이들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유저의 매뉴얼 입력에 의해 프리세트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 S21에서 매뉴얼 프리세트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6에 있어서, 유저 조작에 따라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방송이 수신된 주파수에 대하여 프리세트 번호를 할당하여 기억한다.
스텝 S27에 있어서, 단말장치(10)가 설치된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방송국 리스트를 수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한, 이 처리는 스텝 S23과 마찬가지이며,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텝 S28에 있어서, 각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의 정보를 유저 조작에 따라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10은 상기한 스텝 S28에 대응하는, 방송국 리스트의 정보를 매뉴얼 조작으로 프리세트하는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스텝 S31에 있어서,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프리세트 번호마다, 방송국명을 일람 표시하여 유저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표시장치(17)에 표시한다. 이 처리에서는, 상기한 스텝 S23 또는 S27, 또는 후술하는 스텝 S38에서 수신된 방송국 리스트로부터 방송국명이 추출되어 일람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에는, 일람 표시되지 않은 다른 지역에 있어서의 방송국명의 일람을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도 표시하고, 유저가 선택가능하도록 해 둔다. 또한, 이때의 화면표시 예에 대해서는, 나중의 도 11의 도시하기로 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리모트 콘트롤러(40)의 방향키(41a, 41b) 및 결정키(42)를 사용함으로써, 일람 표시 중에서 방송국명이 선택되고, 확정되면,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 중에서, 스텝 S32에서 선택된 방송국명과, 이것에 대응하는 콜 사인을 추출하여, 이 프리세트 번호에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모든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로 되돌아오고,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이 기억되지 않고 있는 다음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처리를 속행한다.
또한, 스텝 S35에 있어서, 스텝 S31에서 표시된 방송국명의 일람 표시화면으로부터, 방송국명이 아니라, 일람 표시된 것 외의 다른 지역의 방송국의 일람 표시를 요구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 프리세트 번호에 대하여 방송국명 등의 프리세트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4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 있어서, 수신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장치(17)에 표시한다. 유저는 방향 키(41a, 41b) 및 결정키(42)를 이용하여 지역을 선택하고, 확정한다.
스텝 S37에 있어서, 선택된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송신하여, 이 지역에 대응하는 방송국 리스트를 요구한다.
스텝 S38에 있어서, 송신한 지역에 대응하는 방송국 리스트를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 S31로 되돌아오고,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 내의 방송국명을 일람 표시하여, 유저에 의한 조작입력을 대기한다. 또한, 이 처리로부터 스텝 S35∼S38로 다시 진행함으로써, 다시 그 외의 지역의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선택하고, 프리세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상기한 스텝 S31에 있어서, 방송국명을 일람표시한 화면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화면에 있어서, 표시부(171)에는, 선택된 프리세트 번호와, 수신 주파수가 표시되고, 그 아래의 일람 표시부(172)에 방송국 리스트 중 방송국명이 일람 표시된다. 또한, 그 아래에는, 다른 지역에서의 방송국의 일람 표시를 요구하 기 위한 지시 항목(173)이 표시된다. 그리고, 방향키(41a 및 41b)에 의해 일람 표시부(172) 내의 어느 하나의 방송국명에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결정키에 의해 확정함으로써, 그 방송국명과 대응하는 콜 사인을 프리세트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지시 항목(173)에 대하여 포커스를 이동시켜서 확정함으로써, 다른 지역의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취득하고, 그 중 방송국명을 다시 동일한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서는, 단말장치(10)가 설치된 지역에서 전파로 수신가능한 방송국명 및 그 콜 사인을 일람 표시시켜서 유저가 선택함으로써, 매뉴얼 프리세트를 선택한 경우는 물론, 오토 프리세트를 선택한 경우에도, 이들 정보를 프리세트 번호 및 주파수에 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관련시켜서 기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텔레비전 등에 의해 전파의 경우와 상이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라디오방송이 전송되어 있었을 경우라도, 방송국명 및 콜 사인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프리세트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명의 일람 표시화면에, 다른 지역의 방송국의 일람 표시를 요구하는 지시 항목을 만들고, 그것에 대응하는 방송국 리스트를 취득하여 또한 방송국명을 일람 표시하고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케이블텔레비전 등에 의해, 원래 전파로는 수신할 수 없는 다른 지역의 방송이 전송되어 온 경우에도, 그 방송국의 명칭 및 콜 사인을 용이하게 프리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프리세트한 콜 사인을 이용하여,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의 URL을 취득하고, 그 URL에 액세스함으 로써, 수신하고 있는 방송국의 프로그램의 관련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의 수신 형태에 관계없이, 실제로 단말장치(1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방송국의 프로그램의 관련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초기 설정을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9의 스텝 S23 및 S27에서의 방송국 리스트 수신 처리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방송국 리스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대하여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를 송신하면 좋다. 그것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유저 조작에 의해 예컨대 도도부현의 이름이나 우편번호, 시외국번 등을 입력시키고 송신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단말장치(10)는 텐키나 문자입력용의 키보드 등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의 입력 조작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하는, 혹은 입력 조작의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방송국 서버(32)로부터 프로그램이나 악곡의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나우 온에어)를 받기 위해서는, 사전의 등록 수속이 필요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등록 수속은 총합 서비스 서버(36)에서 행해진다.
등록 수속에서는, 유저는 성명이나 주소 등의 유저의 개인정보와 함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등록한다. 또한, 하나의 유저가 복수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각 단말장치에 대하여 유저가 임의의 명칭을 등록하도록 이루어 져 있다. 그리고, 유저는 단말장치로부터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액세스하여 콜 사인을 송신할 때, 유저 ID, 패스워드 및 단말장치의 명칭을 통지함으로써 인증이 행해지고, 정규 유저라고 판단되면, 그 콜 사인에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의 URL을 취득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에 이미 등록완료된 유저에 대해서는, 그 유저의 등록정보 중에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주소, 우편번호 등)가 포함되어 있고, 방송국 리스트를 요구할 때에 사용함으로써, 유저의 입력 조작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한 등록 처리시에 등록정보를 단말장치에 기록해 둠으로써 실현된다.
도 12는 방송국 리스트 수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이하의 처리에서는, 예로서,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로서 우편번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에 등록완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어, 단말장치(10)의 HDD(21) 내부에 등록정보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행한다. 등록완료인 경우에는 스텝 S42로 진행하고, 미등록인 경우에는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단말장치(10)에 기억되어 있던 등록정보 중에서 유저의 주소 중 우편번호를 추출하여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송신하고, 스텝 S4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43에 있어서, 우편번호의 입력 화면을 표시장치(17)에 표시한 다. 그리고, 스텝 S44에 있어서, 입력된 우편번호를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송신하고, 스텝 S45로 진행한다.
스텝 S45에 있어서, 총합 서비스 서버(36)로부터 송신된 방송국 리스트를 수신한다. 수신한 방송국 리스트는 예를 들어, RAM(20)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이와 같이,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에 대하여 사전에 등록을 행한 경우에는, 지역을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처리 예에서는, 단말장치 내에 기억시켜 둔 등록정보를 사용하고 있지만,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있어서, 방송국 리스트의 요구 때문에 액세스해 온 유저의 등록정보로부터, 우편번호 등의 지역정보를 추출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방송국 리스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말장치로부터 총합 서비스 서버(36)에 액세스할 때에, 자동으로 혹은 유저의 입력 조작에 따라, 유저ID, 패스워드 및 단말장치의 명칭을 통지한다.
또한, 상기한 단말장치(10)의 처리 기능은, 이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단말장치(10) 내의 CPU(11)에서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동일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의 CPU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단말장치(10)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서는, 자기기록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기록장치에는, HDD, 플렉시블디스크(FD), 자기테이프 등이 있다. 광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이 있다. 광자기 기록매체에는, MO(Magneto- Optical disk) 등이 있다.
프로그램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저장하여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예를 들어, 가반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단말장치(10)의 경우, 예를 들어, HDD(21) 등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가반형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차차 받은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장치(10)가 프리세트된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사이에, 이 단말장치(10)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 13에 도시하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도 14∼도 2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싱글 사인 온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주로 도 25를 사용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정보 서버(4)는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정보 배신 서버(1006)에 해당하다. 또한,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2)는 예를 들어, 포털 서버(1003)에 해당하다. 또한, 상기 재생장치(1)(단말장치(1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3)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NT1000에 해당한다.
(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시스템 구성
도 13에 있어서, 1000은 전체로서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관리하는 포털 서버(1003)와,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음악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1004 내지 1008)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는 ATRAC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3), AAC(Advanced Audio Coding), WMA(Windows Media Audio), RealAUDIO G2 Music Codec,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으로 되는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배신하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물판 서버(1005)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통하여 유저에게 판매하는 물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는, 라디오 방송국을 통하여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배신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서버(1007)는 인터넷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NT1000을 거쳐서 라디오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배신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향해 방송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것에 더하여, 과금 서버(1008)는 포털 서버(1003)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유저에 대하여 여러 가지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금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1-2)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구성
(1-2-1)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그 케이싱 표면이나 리모트 콘트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이 되는 조작 입력부(1020)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면, 해당 조작 입력부(102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해당 조작에 상응한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102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1021)는 조작 입력부(1020)로부터 제공되는 조작 입력 신호를 특정한 조작 커맨드로 변환해 버스(1022)를 통하여 제어부(1023)로 송출한다.
제어부(1023)는 버스(1022)를 통해 접속된 각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조작 커 맨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이들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024)는 버스(1022)를 통해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1025)에 제공한다.
표시부(1025)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케이싱 표면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표시부(1025)는 제어부(1023)에 의한 처리 결과나 각종 영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부(1024)를 통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공급되면,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한 영상을 표시한다.
음성 제어부(1026)는 버스(1022)를 통하여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얻을 수 있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1027)로 송출한다. 스피커(1027)는 음성 제어부(102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CD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외장 케이스에 내포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등록상표)등의 외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고, 또는 해당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재생부이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그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표시 제어부(1024)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025)에 공급한다.
또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그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음성 제어부(1026)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음성 제어부(1026)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27)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023)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 내부의 기억 매체(1029)로 송출, 그 기억 매체(1029)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이하, 이렇게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1029)에 기억하는 것을 릿핑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기억 매체(10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그 판독한 영상 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표시 제어부(1024)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023)는 기억 매체(10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그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음성 제어부(1026)에 공급한다.
이것에 더하여 제어부(1023)는 기억 매체(1029)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여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그 음악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도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030)는 각 라디오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여 튜너부(1031)로 공급한다.
튜너부(1031)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부(1030)를 통하여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어, 조작 입력부(1020)를 통하여 지정된 라디오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하여 소정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고, 이 결과 얻을 수 있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통하여 음성 제어부(1026)로 송출한다.
음성 제어부(1026)는 튜너부(1031)에서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27)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스피커(1027)로부터 라디오 방송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키고, 이렇게 하여 유저에 대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튜너부(1031)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기억 매체(1029)로 송출하여 기억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네트워크 NT1000에 접속하고, 해당 네트워크 NT1000상의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1004 내지 1007)에 액세스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 서버 (1003)나 기타 서버(1004 내지 1007)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코더/디코더부(1034)는 네트워크 NT1000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혹은 기억 매체(1029)나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復號)하여 표시 제어부(1024)나 음성 제어부(1026)로 송출한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부(1034)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나, 튜너부(1031)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 부호화하고, 그 압축 부호화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1029)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디코더부(1034)에서 압축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기억 매체(1029)에 기억된다.
저작권 관리부(1035)는 네트워크 NT1000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나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저작권 관리부(1035)에서 생성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시켜서 기억 매체(1029)에 등록된다.
또한, 저작권 관리부(1035)는 기억 매체(1029)와 특정한 외부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Check Out) 할 때나, 해당 특정 외부기록매체와 기억 매체(1029)와의 사이에서 해당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 할 때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내용을 적절히 갱신함으로써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한다.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네트워크 NT1000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파일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파일 등의 페이지 정보를 해석하여 표시부(102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통하여 접속되는 네트워크 NT1000상의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1004 내지 1007)에 대하여 인증정보를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송신하는 등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인증정보 기억부(1038)는 인증 처리부(1037)가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1004 내지 1007)에 대하여 액세스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인증정보를 기억한다.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현재 유저에 의한 청취용으로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해당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 송신한다.
그 결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네트워크 NT1000상의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방송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함과 동시에 그 수신한 라디오 방송 정보를 표시 제어부(1024)로 송출함으로써 표시부(10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름이나, 해당 수신중인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 이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라디오 방송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1-2-2) 디렉토리 관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기억 매체(1029)에 대하여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도 15에 나타내는 디렉토리(Directory) 구성으로 관리한다. 우선 「root」디렉토리의 하층에 대하여는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 「folder」디렉토리가 작성된다. 이 「folder」디렉토리는 예를 들어,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 또는 소유 유저 등에 대응하여 작성된다.
이 「folder」디렉토리의 하층에는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 「album」디렉토리가 작성되고, 그 「album」디렉토리는 예를 들어, 1개의 앨범 타이틀마다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album」디렉토리의 하층에 있어서는, 그 「album」디렉토리에 속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track」파일이 저장되고, 이 「track」파일이 1개의 악곡 즉,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디렉토리 관리는, 기억 매체(102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의해 행해진다.
(1-3) 포털 서버(1003)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16을 이용하여 포털 서버(1003)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포털 서버(1003) 내의 제어부(1050)는 버스(105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052)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기타 서버(1004 내지 1008)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유저의 유저ID(Identification)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시켜서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가 관리하는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페이지 정보는 XML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고,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 및 인터넷 라디오 서버(1007) 등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수신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되면, 해당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세션ID 정보)를 발행하고, 그 발행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이때,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자용 페이지 정보를 포털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을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인증 처리부(1056)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유저에 대한 인증 처리가 수행된 결과, 해당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취득하여 송신되는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되면,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와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해당 유저에 대응하는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 (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로서, 정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처리를 실행하고, 그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확인 결과 정보를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해당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반신한다.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에는 지역을 특정 가능한 우편번호 등의 지역 코드와 그 지역 코드가 나타내는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라디오 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 해당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는 라디오 방송국의 명칭 (이하, 이것을 라디오국 이름이라고 부른다) 및 해당 라디오국마다 유니크(Unique)한 식별 정보인 콜 사인이 대응시켜서 기억되고 있다.
URL 기억부(1059)에는, 라디오 방송용의 라디오국마다 콜 사인과, 그 콜 사인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제공하는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하여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름이나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등으로 이루어지는 라디오 방송 정보 (이하, 이것을 특별히 나우 온에어 정보라고 부른다)를 취득 가능한 URL 정보가 대응시켜서 기억되고 있다.
(1-4)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17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내의 제어부 (1070)는 버스(107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072)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 등과 각종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에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유저의 유저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시켜서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07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가 관리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소개하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음악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 배신 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107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해당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에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75)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75)는 포털 서버(1003)로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 (즉, 전술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반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07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 ID(Session ID 정보)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1077)에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에는 상기의 ATRAC3형식이나 MP3형식등에서 압축 부호화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각각의 콘텐츠ID 정보등의 검색 키와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1079)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해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 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어 그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되면, 그 수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로부터 그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079)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중 복수의 음악 데이터 속에서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70)는 그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70)는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의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 처리용의 과금 정보를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1008)에 대하여 해당 유저에 대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상응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킨다.
(1-5) 물판 서버(1005)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18을 이용하여 물판 서버(1005)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물판 서버(1005) 내의 제어부(1090)는 버스(109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092)는 제어부(109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에는 물판 서버(1005)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유저의 유저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시켜서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09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는 물판 서버(1005)가 관리하는 판매 대상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아(Package Media)를 소개하는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고 있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구입을 희망하는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아를 선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기억된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 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에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95)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95)는 포털 서버(1003)로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전술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반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09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그 유저 인증 처리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발행한 다.
이때,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1097)에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패키지 미디아 정보 기억부(1098)에는 판매 대상 CD나 DVD 등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아에 관한 정보(이하, 이것을 패키지 미디아 정보라고 부른다)가 각각의 패키지 미디아 ID 정보등의 검색키와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1099)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특정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아에 관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되면, 그 수신된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로부터 해당 특정의 패키지 미디아 검색용의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099)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아 정보 기억부(1098)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아 정보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아의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90)는 그 검색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하고, 이렇게 하여 유저에 대해 특정 패키지 미디아에 관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의 특정 패키지 미디아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로의 그 특정 패키지 미디아의 인도 수속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90)는 특정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 처리용 과금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1008)에 대해 해당 유저에 대한 특정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에 상응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1090)는 과금 서버(1008)에 의한 유저에 대한 과금 처리가 완료하면,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을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1-6)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19를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내의 제어부(1110)는 버스(1111)를 통해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112)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유저의 유저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 부여되어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11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관리하고, 해당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 의해 이미 방 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이하, 이것을 특별히 온에어 리스트 정보라고 부른다)의 취득에 이용시키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 페이지 정보는 XML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 정보나 프로그램 이름 등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대한 검색 키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 박스(Box) 등이 설치된다.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이름, 프로그램방송 개시 시각 및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간 등과,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흘러나온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을 리스트화하여 생성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 기억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을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그 결과, 검색부(1118)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상에서 입력된 취득 희망 온에어 리스트 정보 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어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그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로부터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118)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내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10)는 그 검색된 취득 희망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또한,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이름, 프로그램 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간,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흘러나오고 있는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으로 이루어지는 나우 온에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1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의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에 고객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115)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유저 인증 처리와는 다른 유저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15)는 포털 서버(1003)로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 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 (즉, 전술의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반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유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115)는 유저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그 유저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에 기억되어 있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을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한 유저 인증 처리 결과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110)는 유저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이 요구되었을 때 해당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했을 때에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배신하지만,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그 유저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의 배신 서비스와 같은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를 받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1120)에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유저 인증 처리할 때 필요로 하는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1-7) 각 서버의 처리 개요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그 밖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 개요를 설명한다.
(1-7-1)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포털 서버(1003)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
우선 도 20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사이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제어부(1023)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조작이 수행되고, 또는 유저에 의해 조작 입력부(1020)의 특정 조작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그 조작 입력부(1020)에서 인식된 조작 입력 신호가 입력 처리부(1021)에서 조작 커맨드로 변환되어 주어지면,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하면 스텝 SPlOOO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미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받아들인 접속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접속 요구 신호를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증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가 유저 인증 처리 등 각종 처리의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이다.
또한, 이러한 인증 세션 ID정보에 대하여는 유저 인증 처리 등으로 이용한 뒤에 포털 서버(1003)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 기한(예를 들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인증 세션 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그 인증 세션 ID 정보를 유효 기한 이내에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포털 서버(1003)에 의해 해당 인증 세션ID 정보에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포털 서버(1003)는 과거에 발행한 인증 세션 ID 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지 않은 유저에 의해 유저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가 이전에 유저 인증 처리 등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했을 때 그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가 송신되면, 이것에 상응하여 스텝 SPlOOl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접속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로서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등에 의거하여 유저 인 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등의 유효 기한이 마감되는 등 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 할 수 없었을 때에는,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O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이것에 상응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하고 있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lOO3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유저 인증 처리로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 ID (Session Identity)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O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로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된 그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O5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 (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 SPlOO3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해 발행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스텝 SPlOO6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1056)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로부터 유저에 의해 취득 요구된 페이지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그 판독한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O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수신한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유효 기한 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로 송출한다.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페이지 정보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의 링크가 매립된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부터 주어진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포털 서버(1003)의 페이지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 SPlOO4에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1-7-2)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각 서버(1004 내지 1006) 사이의 유저 인증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 사이에서 실행하는 유저 인증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 이러한 유저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도 21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이 포털 서버(1003)로 페이지 정보를 일단 취득하고, 계속하여 그 페이지 정보에 매립된 링크에 의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액세스하여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가 있다.
또 이러한 유저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포털 서버(1003)의 페이지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미리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에 의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직접 액세스하여 실행되는 유저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도 있다.
단,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대하여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어떠한 조합이어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관하여도,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어떠한 조합이어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의 액세스에 사용하는 URL 정보의 취득 방법만 다른 것으로 해당 URL 정보의 취득 이후에는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 의 양쪽 모두에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액세스 지점으로서 설명을 간략화한 다음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를 대표로서 사용하고, 또한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를 통합하여 하나의 유저 인증 처리로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PlOlO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페이지 정보에 링크된 URL 정보 또는 이미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을 따르고,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다른 물판 서버(1005)나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서는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나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 페이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진다)를 취득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와 함께 인증정보 기억부(1038)로부터 판독한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유저 인증 처리 등의 각종 처리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액세스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이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 세션ID 정보에 대하여는, 전술한 인증 세션 ID정보와 같이 유저 인증 처리 등에 이용한 뒤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 기한(예를 들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버(1004 내지 1006)로부터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그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유효 기한 이내에 발행자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이들 발행자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의해 해당 서비스 세션ID 정보에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배신 서버(1006)는 과거에 발행한 서비스 세션ID 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지 않은 유저에 의해 유저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이전에 유저 인증 처리 등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했을 때, 그 액세스 지점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스텝 SPlOll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 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인증 처리부(107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7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75)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이미 마감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는 인증할 수 없다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와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를 식별하는 숍 코드(Shop Code)를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 및 숍 코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에러 정보에 의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에서 유저가 정규 유저로서 인증되지 않았던 것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숍 코드 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숍 코드 및 이미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13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숍 코드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이미 마감되어 있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는 인증할 수 없다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후술하는 스텝 SPlO18로 이동한다.
스텝 SPlO1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함과 동시에, 그 판독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15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 말(1002)로부터 수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 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1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ID 정보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의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다시 포털 서버(1OO3)에 대하여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그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숍 코드 및 이 때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있어서,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숍 코드를 일시 기억해 두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사이에서 스텝 SPlO12 내지 스텝 SPlO16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숍 코드를 순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숍 코드를 일시 기억하지 않아도 스텝 SPlO16에서 포털 서버(1003)에 대해 숍 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PlO17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숍 코드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이 경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lO18로 이동한다.
스텝 SPlO18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상기의 스텝 SPlO17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숍 코드 및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에 의거하여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해당 숍 코드가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티켓 등을 발행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그 발행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1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등과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를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 송신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37)는 이때,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 SPlO16에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스텝 SPlO20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해당 인증 티켓 등의 확인을 요구하는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21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에 따라 그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인증 티켓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티켓 등을 비교하게 하여 해당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에 대한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이 정규 인증 티켓 등으로 확인되면, 해당 인증 티켓 등을 정규의 인증 티켓 등으로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확인 결과 정보를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 송신한다.
스텝 SPlO2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확인 결과정보를 인증 처리부(1075)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그 확인 결과정보에 상응하고 서버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 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그 발행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77)에 일시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2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의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시킨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 송신한다.
스텝 SPlO24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75)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 SPlO22에서 이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해 발행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77)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75)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이 경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lO25로 이동한다.
스텝 SPlO25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로부터 유저에 의해 취득 요구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그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 서비스 세션ID 정보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2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 SPlO23에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부터 주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1025)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를 표시한다.
(1-7-3)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
계속하여 도 22 내지 도 25에 있어서, 도 21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사이에서 실행된 유저 인증 처리 순서의 종료 후에, 해당 유저 인증 처리 순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 물판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취득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 정보,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 정보 및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 페이지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물판 서비스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1-7-3-1)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우선, 도 22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lO3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이미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 송신한다.
스텝 SPlO3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75)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7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 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lO32로 이동한다.
스텝 SPlO32에 있어서, 검색부(1079)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검색부(1079)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의 스텝 SPlO3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lO33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로부터 검색부(1079)에 의해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그 판독한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를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3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희망 음악 데이터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 매체(1029)에 기억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1004)가 제공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유저에 의해 취득이 희망된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1-7-3-2) 물판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3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물판 서버(1005)로부터 물판 서비스 제공을 받을 때의 물판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lO4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패키지 미디아 판매용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상응한 특정 패키지 미디아에 관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물판 서버(1OO5)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물판 서버(1005)로 송신한다.
스텝 SPlO41에 있어서, 물판 서버(1005)의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95)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제어부(109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여 패키지 미디아에 관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의 스텝 SPlO42로 이동한다.
스텝 SPlO42에 있어서, 검색부(1099)는 미디아 정보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아 정보 기억부(10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아 정보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패키지 미디아의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090)는 검색부(1099)에 의해 패키지 미디아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의 스텝 SPlO43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lO43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패키지 미디아 정보 기억부 (1098)로부터 검색부(1099)에 의해 검색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그 판독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4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물판 서버(1005)로부터 송신된 패키지 미디아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물판 서버(100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물판 서버(1005)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패키지 미디아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025)로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패키지 미디아 정보를 표시하게 하면, 다음의 스텝 SPlO45 로 이동한다.
스텝 SPlO45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하게 한 패키지 미디아 정보에 대응하는 패키지 미디아를 구입 요구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그 패키지 미디아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구입 요구 신호를 이미 물판 서버(1005)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즉,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물판 서버(1005)로 송신한다.
스텝 SPlO46에 있어서, 물판 서버(1005)의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구입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 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95)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제어부(109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게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여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을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의 스텝 SPlO47로 이동한다.
스텝 SPlO47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구입 요구된 패키지 미디아를 넘겨주기 위한 수속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해당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에 따르는 유저에 대한 과금 처리용 과금 정보를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그 과금 서버(1008)에 대하여 해당 유저에 대한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에 상응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스텝 SPlO48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과금 처리 종료 후 패키지 미디아의 구입 처리가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4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물판 서버(1005)로부터 송신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 송출함과 동시에 그 물판 서버(100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물판 서버(1005)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02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구입 완료 페이지를 표시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물판 서버(1005)가 제공하고 있는 물판 서비스를 이용하고, 유저에 대하여 원하는 패키지 미디아를 구입하게 할 수 있다.
(1-7-3-3)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4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로서 특별히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lO6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하게 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 배신용 페이지 상에서 입력 박스(box)에 대하여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검색용 검색 키가 입력되고 그 입력된 검색키를 나타내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그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 송신한다.
스텝 SPlO61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1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115)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게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요구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의 스텝 SPlO62로 이동한다.
스텝 SPlO62에 있어서, 검색부(1118)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내의 온에어 리 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해당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검색부(1118)에 의해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의 스텝 SPlO63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lO63에 있어서 제어부(1110)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로부터 검색부(1118)에 의해 검색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그 판독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6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 송출함과 동시에 그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025)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해 그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제공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유저에 대하여 원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취득시킬 수 있다.
(1-7-3-4) 나우 온에어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5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로서 특별히 나우 온에어 정보 배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나우 온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는 라디오국(콜 사인)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는 초기 상태에서 각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URL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대하여는 각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URL정보를 라디오국의 콜 사인마다 포털 서버(1003)가 관리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국마다 방송 주파수를 자동 등록(Pre-set)하기 위하여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해당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요구할 때에,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일시 기억하고 있지는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송신하게 된다.
스텝 SPlO7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각 라디오국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조작 커맨드가 입력되면, 이것에 따라 각 라디오국의 수신 가능한 방송 주파수의 주파수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주파수 정보 요구 신호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지역 코드와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71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정보 요구 신호, 지역 코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유저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등록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현 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하고, 그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이렇게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의 스텝 SPlO72로 이동한다.
스텝 SPlO72에 있어서,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지역 코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 내의 복수의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이름 및 콜 사인의 리스트 중에서 해당 지역 코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을 검색하여 리스트화해 판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로부터 리스트화하여 판독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을 상기의 스텝 SPlO71에서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 ID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7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 리스트와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해당 포털 서버(1073)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함과 동시에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1024)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24)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 리스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리스트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1023)는 이때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커맨드에 근거하여, 선택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 이름 및 콜 사인을 기억 매체(1029)에 pre-set 로서 기억하고, 다음의 스텝 SPlO74로 옮긴다.
스텝 SPlO74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는 튜닝 제어 커맨드에 따라 튜너부(1031)를 라디오 방송파 속에서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에서 방송되어 있는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튜너부(1031)는 방송신호 수신부(30)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 파 속에서 그 방송 주파수에서 방송되어 있는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하여 복호 등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음성 제어부(1026)로 송출한다.
따라서 음성 제어부(1026)는 튜너부(10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27)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스피커(1027)로부터 선택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스텝 SPlO75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기억 매체(1029)로부터 상기의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콜 사인을 판독함과 동시에 해당 판독한 콜 사인을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포털 서버(1003)로 송신한다.
스텝 SPlO76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콜 사인 및 인증 세션ID 정보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 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0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 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이 유효 기한 내의 것이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여 콜 사인을 송신한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lO77로 이동한다.
스텝 SPlO77에 있어서,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콜 사인에 의거하여 URL 기억부(1059) 내의 복수의 URL정보 중에서 해당 콜 사인에 대응 부여된 URL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URL 기억부(1059)로부터 그 검색한 URL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해당 판독한 URL 정보를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URL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함과 동시에 URL 정보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로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으로 덮어쓰게 하여 일 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URL 정보를 기억 매체(1029)에 기억하고 있는 콜 사인에 대응 부여하여 기억 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기억 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한 URL 정보에 따라, 나우 온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되어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SPl078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 송신하는 처리가 도 22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 SPlOlO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 SPlO78의 처리에 계속되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 및 포털 서버(1003)에 있어서 도 22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 SPlOll 내지 스텝 SPlO13 및 스텝 SPlO18 내지 스텝 SPlO22와 같은 유저 인증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 후 계속되는 스텝 SPlO79로 이동한다.
스텝 SPlO7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다시 기억 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URL 정보를 따라서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 송신한다.
스텝 SPlO80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의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 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15)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115)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120)에 대해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11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를 정규 유저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유저가 정규 유저라고 인증되면, 해당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해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 장시켜서, 다음의 스텝 SPlO81로 이동한다.
스텝 SPlO81에 있어서, 제어부(1110)는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 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거쳐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 송신한다.
스텝 SPlO8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에어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 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함과 동시에 나우 온에어 정보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게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정보 기억부(1038)에 대해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나우 온에어 정보를 표시 제어부(1024)를 통하여 표시부(1025)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해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스텝 SP1079에서의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정기적으로 반복 실행함과 동시에 라디오 방송 정보 배신 서버(1006)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그 취득 요구를 받아서 스텝 SPlO80 및 스텝 SPlO81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는,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름, 프로그램 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간,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재 흐르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을 나우 온에어 정보로서 시시각각 갱신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표시부(102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에서 설명한 프로그램 모듈에 있어서 HTTP 메시지 프로그램(111) 및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통신 제어부(1032)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모듈(113)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인코더/디코더부(1034)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저작권 보호 관리 모듈(114)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저작권 관리부(1035)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118)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 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 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악곡 구입 재생 모듈(119)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 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XML 브라우져(151)는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입력 처리부(1021) 및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하드 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 및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 및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130)의 인증 라이브러리(131)는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인증 처리부(1037) 및 인증정보 기억부(1038)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130)의 클립 라이브러리(132)는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 제어부(1026) 및 튜너부(1031)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오디오 유저 인터페이스(152)는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입력 처리부(1021) 및 제어부(1023) 및 표시 제어부(1024)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CD 재생 모듈(141)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음성 제어부(1026) 및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HDD 재생 모듈(142)은 도 14에 대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 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런데, 도 3에서 설명한 총합 서비스 서버(36)에서는, CPU(36a)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6c) 등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각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포털 서버(1003)(도 16)의 통신제어부(1052), 인증 처리부(1056) 등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총합 서비스 서버(36)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6c)는 CPU(36a)의 제어하에, 포털 서버(1003)의 인증정보 기억부(1057), URL 기억부(1059), 주파수정보 기억부(1058),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 등과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재생장치(1), 단말장치(10)) 이, 라디오국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복수 종류의 방송신호 중에서,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수신 주파수)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재생장치(1), 단말장치(10))이,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선택된 인터넷 라디오 서버의 URL에 의거하여, 이 인터넷 라디오 서버로부터 라디오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수신가능한 방송으로서 라디오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라디오방송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인터넷 라디오 방송이나 위성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그 관련정보 및 라디오방송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거나, 또는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고, 그 텔레비전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방송정보 등을 네트워크 NT1000 상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도 6)을 클라이언트 단말(1002)(재생장치(1), 단말장치(10))에 실장했을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휴대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 클라이언트 단말(1002) 이외의 여러 단말에 설치하여도 좋고, 이들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실장한 단말이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정정보에, 예를 들어 재생장치(1)가 설치된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정보(우편번호 등)가 포함될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이것 대신에, 설정정보에, 재생장치(1)의 유저에 대하여 고유하게 할당된 유저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고, 설정정보에, 재생장치(1)에 대하여 고유하게 할당된 장치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재생장치(1)가 유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방송국 특정 서버(2)에 대하여 송신하였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전제로서 방송국특정 서버(2)는, 유저 식별 정보와, 이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의 재생장치(1)가 수신가능한 방송국정보(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방송 주파수 등)를 대응시켜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있다. 방송국 특정서버(2)는 재생장치(1)로부터 유저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이 수신한 유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국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방송국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재생장치(1)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다음으로 재생장치(1)가 장치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방송국 특정 서버(2)에 대하여 송신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제로서 방송국 특정 서버(2)는 장치식별 정보와, 이 장치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장치(1)가 수신가능한 방송국정보(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방송 주파수 등)를 대응시켜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있다. 방송국 특정 서버(2)는 재생장치(1)로부터 장치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이 수신한 장치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국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방송국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재생장치(1)에 대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사전에 설정한 수신 주파수를 호출함으로써 선국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 재생장치 1a : 방송신호 수신수단 1b : 방송신호 재생수단
1c : 설정정보 송신수단 1d :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
1e : 표시수단 1f : 기록수단 2 : 방송국 특정 서버
3 : 네트워크 4 : 프로그램 정보 서버
1000 :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2 : 클라이언트 단말
1003 : 포털 서버 1004 : 음악 데이터 배신 서버
1005 : 물판 서버 1006 : 라디오 방송정보 배신 서버
1007 : 인터넷 라디오 서버 1008 : 과금 서버

Claims (14)

  1. 사전에 설정한 수신 주파수를 호출함으로써 선국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장치로서,
    특정한 주파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방송신호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송신호 재생수단과,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설정정보 송신수단 -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재생장치가 방송을 수신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포함하고 - 과,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방송국명, 상기 방송국의 방송국 식별정보 및 상기 방송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검출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수신된 상기 리스트 정보의 일부 각각을,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수신수단의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상기 방송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를 특정하는 주파수 특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주파수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와, 이 리스트 정보 내의 적어도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관련시켜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주파수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리스트 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의 주파수와, 이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나머지의 방송국명 및 이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나머지 방송국 식별정보를,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관련시켜서 상기 기록매체에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미리 유저에 의해 입력되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송신 직전에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상기 방송국 식별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식별정보 송신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국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원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9.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에서 수신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하기 위한 정보 설정방법으로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설정정보 송신스텝 -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재생장치가 방송을 수신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포함하고 - 과,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방송국명, 상기 방송국의 방송국 식별정보 및 상기 방송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검출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스텝과,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의 일부 각각을,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스텝 이전에, 수신하는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방송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를 특정하는 주파수 특정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스텝에서는, 상기 주파수 특정스텝에서 특정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리스트 정보 수신스텝에서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와, 이 리스트 정보 내의 적어도 방송국명 및 방송국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관련시켜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설정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유저ID와 패스워드와 함께 포털 서버로 송신하는 것-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재생장치가 방송을 수신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장치가 복수의 서비스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을 발행하는 상기 포털 서버는, 상기 유저ID와 상기 패스워드에 의거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며 - 과, 인증을 허가할 때,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방송국명, 상기 방송국의 방송국 식별정보 및 상기 방송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장치는,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고,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의 일부 각각을,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4. 방송신호의 수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정보 설정 프로그램을 내부에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재생장치 자신의 방송 수신에 관한 설정정보를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설정정보 송신스텝 -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재생장치가 방송을 수신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포함하고 - 과,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가능한 방송국의 방송국명, 방송국 식별정보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스텝과,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 내의 방송국명을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수신한 상기 리스트 정보의 일부 각각을, 유저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관련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7000497A 2003-07-14 2004-05-18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011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4302 2003-07-14
JP2003274302 2003-07-14
JPJP-P-2003-00291741 2003-08-11
JP2003291741 2003-08-11
JPJP-P-2003-00313167 2003-09-04
JP2003313167 2003-09-04
JP2003338520 2003-09-29
JPJP-P-2003-00338520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795A KR20060052795A (ko) 2006-05-19
KR101011948B1 true KR101011948B1 (ko) 2011-01-31

Family

ID=3406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497A KR101011948B1 (ko) 2003-07-14 2004-05-18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73122B2 (ko)
JP (1) JPWO2005006577A1 (ko)
KR (1) KR101011948B1 (ko)
WO (1) WO2005006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722B (fi) * 2002-03-28 2004-05-31 Isi Industry Software Ab Oy Menetelmä lähetyksen vastaanottimien asettamiseksi, lähetyksen vastaanotin ja palvelin
GB2415860B (en) * 2004-06-30 2007-04-18 Nokia Corp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 service at a remote terminal
JP4419936B2 (ja) * 2005-09-13 2010-02-24 船井電機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
CN101341748A (zh) * 2005-12-19 2009-0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管理系统
US20070141989A1 (en) * 2005-12-21 2007-06-21 Patent Navigation Inc. Proximity facilitate device pairing
JP4314253B2 (ja) 2006-07-24 2009-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機器システム
JP4263203B2 (ja) 2006-07-24 2009-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視聴システム
KR101064443B1 (ko) * 2008-12-19 201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컨텐츠 분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00365B1 (ko) * 2010-09-17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서버 및 저장 매체
US9712566B2 (en) * 2012-02-10 2017-07-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roviding session identifiers
US9800635B2 (en) * 2013-08-07 2017-10-24 C21 Patents, Llc System for selectively displaying information in a secured manner and method thereof
US9893825B1 (en) 2016-12-20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preset radio stations using a wireless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402A (ja) * 1997-03-07 1998-09-25 Toshiba Corp チャンネル設定登録システム
JP2001243190A (ja) * 2000-02-29 2001-09-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プリケーション・チャンネル変換通信方式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610A (en) * 1989-09-27 1991-11-05 Ing Communications, Inc. Broadcasting system with supplemental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USRE38600E1 (en) * 1992-06-22 2004-09-28 Mankovitz Ro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formation relating to radio television programs
JP3279379B2 (ja) 1993-03-08 2002-04-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
JPH07312563A (ja) * 1994-05-19 1995-11-28 Pioneer Electron Corp Rdsデータ受信表示方法及び装置
JPH08223059A (ja) * 1995-02-16 1996-08-30 Pioneer Electron Corp 放送局関連情報を有するデータベースを備えたrbds受信装置
US6282412B1 (en) * 1998-07-22 2001-08-28 Lucent Technologies Inc. Geographically adaptive portable broadcast receiver
JP2002132267A (ja) * 2000-10-20 2002-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生装置および音楽提供システム
JP4024014B2 (ja) 2001-05-21 2007-12-19 富士通株式会社 双方向センタ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3591775B2 (ja) 2001-07-09 2004-11-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受信装置
JP2003037788A (ja) 2001-07-26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セットアップ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051798A (ja) * 2001-08-06 2003-02-21 Sharp Corp 放送配信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れらを接続した放送配信システム
US7054592B2 (en) * 2001-09-18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JP2003124827A (ja) 2001-10-10 2003-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送受信装置
JP2003153218A (ja) 2001-11-16 2003-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及びポータルサーバ及び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4200686B2 (ja) * 2002-05-08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受信方法、情報配信方法
US7200611B2 (en) * 2002-05-13 2007-04-03 Microsoft Corporation TV program database
JP4518768B2 (ja) 2003-09-16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機器
JP2005092477A (ja) 2003-09-17 2005-04-07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取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402A (ja) * 1997-03-07 1998-09-25 Toshiba Corp チャンネル設定登録システム
JP2001243190A (ja) * 2000-02-29 2001-09-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プリケーション・チャンネル変換通信方式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6577A1 (ja) 2005-01-20
JPWO2005006577A1 (ja) 2006-08-24
US20060259931A1 (en) 2006-11-16
US7373122B2 (en) 2008-05-13
KR20060052795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257B1 (ko)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0991172B1 (ko) 정보기록장치 및 정보기록방법
KR101036588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US20100175095A1 (en) Data-processing apparatus, data-processing method and data-processing program
CN1816971B (zh) 重现装置和信息设置方法
KR101011948B1 (ko)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4569828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5274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통신 방법
KR100991983B1 (ko) 기록장치 및 기록 방법
KR100988578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60061349A (ko)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067691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통신방법
KR20060055514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정보처리 프로그램
JP437087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