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74B1 -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74B1
KR101011774B1 KR1020057008640A KR20057008640A KR101011774B1 KR 101011774 B1 KR101011774 B1 KR 101011774B1 KR 1020057008640 A KR1020057008640 A KR 1020057008640A KR 20057008640 A KR20057008640 A KR 20057008640A KR 101011774 B1 KR101011774 B1 KR 10101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impeller
liquid supply
pump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794A (ko
Inventor
안드레아 도그리오니 마제르
Original Assignee
레아 벤도로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아 벤도로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레아 벤도로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8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10S415/911Pump having reversible runner rotation and separate outlets for opposing directions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oke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부재(3)와, 전기로 구동되는 펌핑그룹(101)을 구비하는 액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기 펌핑그룹(4;101)이 흡입개구부(102)와 하나 이상의 흡입덕트(8a,8b;8c,8d;8e,8f)를 구비하고, 임펠러(11a,11b,11c)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덕트(8a,8b;8c,8d;8e,8f)는 펌핑그룹(4a,4b,4c)의 임펠러(11a,11b,11c)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Liquid supply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판매기에서 예컨대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고 가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뜨겁게 제공되어야 하는 핫쵸코, 우유, 차, 수프, 또는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공급하는 자동판매기는 탱크를 구비해야 하는 바, 이로부터 펌프와, 가열부재, 전기밸브, 혼합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소비자에게 제공될 제품을 받아 가열시키고 공급하며 혼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자동판매기의 제조업자는, 탱크에 수용된 제품이 정확하고 일정한 흐름속도와 온도를 갖고서, 소비자에 제품을 정확히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다양한 시스템을 제안받았다.
예컨대, 자동판매기의 일부 제조업자는 자동판매기의 상부에 놓이고서 예컨대 물이나 다른 액체제품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탱크를 갖도록 자동판매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탱크는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는 가열부재를 구비하는데, 이는 알맞은 온도로 상기 탱크의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특히, 자동판매기의 상부에 탱크를 놓음으로써, 물에 축적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고, 탱크로부터 물을 빨아올리는 펌프를 사용하지 않게 하였다.
사실상, 상기 탱크는 소비자가 선택한 제품에 따라 작동되어야 하는 혼합장치를 선택하는 전기밸브의 하류에 있는 흡입파이프 또는 덕트의 시작점이다.
즉, 혼합장치는 한편으로 탱크 내에 있는 가열된 내용물을 받아들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품(또는 동시에 여러 제품)을 받아들여서, 이들이 혼합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특히,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 물은 소비자에게 제공될 제품용 공급노즐 근처 또는 그 옆에 위치된 혼합장치들 중 하나에 의해 예컨대 쵸콜릿이나 우유 또는 차와 혼합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탱크와 혼합장치들을 연결하는 아주 긴 파이프 또는 덕트를 필요로 하여서, 제품이 공급노즐 밖으로 나오기 전까지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하고, 무엇보다도 공급작동이 끝나면 연결파이프는 물로 채워진 채로 남게 되어 아주 뻔한 결과로 된다.
자동판매기의 다른 제조업자는, 예컨대 자동판매기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탱크를 놓고, 이 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위 아래에 임펠러를 갖춘 단지 하나의 전기펌프를 설치하며, 가열부재가 공급될 제품을 적당히 가열하도록 된 것을 제안하였다.
펌프의 임펠러를 통해 빨아올려지고 가열된 물은 흡입덕트로 유도된 후, 전기밸브에 의해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흡입덕트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기밸브는 흡입덕트가 혼합장치에 이어져 있기 때문에 하나 또는 다른 흡입덕트를 양자택일로, 즉 선택적으로 폐쇄되게 한다.
이러한 기술은 물탱크가 자동판매기의 아무 곳에나 놓일 수 있고, 더구나 탱크가 혼합장치의 옆에 놓여 길게 연결하는 덕트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매 공급작동 후에 연결용 덕트에 물이 없게 되기 때문에 확실히 바람직하게 된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공급시스템에 전기밸브가 있어서, 심각한 기술적 단점과 결점이 생길 수 있다.
사실상, 여러 번 사용된 후에 전기밸브는 석회석의 축적으로 인한 불완전한 폐쇄와, 고비용, 줄어든 신뢰기간 및, 상기 전기밸브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낮은 압력으로 인한 제한된 수의 혼합장치를 관리할 가능성 등을 나타낸다. 이는 소비자에게 적은 수의 음료수가 공급되게 하고, 제품의 선택을 제한되게 한다.
하지만, 자동판매기의 제조업자가 혼합장치의 수를 증대시키길 원한다면 전술된 바와 같이 전기밸브에 의해 가해질 압력이 부족하게 되고, 단순히 전기밸브의 수를 증대시키면 자동판매기의 다른 제조업자에 대해 거의 경쟁할 수 없는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더구나, 전기밸브는 작동시간과 정지시간 및 안전시간의 합으로 도출되는 길어진 공급시간을 갖게 되어서, 소비자의 요구와 실제 음료수의 공급 사이에 많은 지연이 생기게 되고, 이로써 소비자에게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전술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문제들 없이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를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액체공급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수의 혼합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종래기술의 공급장치보다 공급시간이 짧아진, 예컨대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시스템에 대해 공급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높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도면에서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공급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공급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포함된 부재들을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포함된 부재들을 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자면, 액체음료를 수용하는 탱크(2)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참조부호 1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탱크(2) 내에는 가열부재(3)와 다수의 펌핑그룹(4)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펌핑그룹은 각각의 펌프(4a,4b,4c)를 구비하고, 이들 펌프(4a,4b,4c)뿐만 아니라 가열부재(3)는 직접 전자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인 터페이스(5)는 본선의 전압, 즉 220 ~ 230V와 50Hz의 주파수가 공급된다.
상기 펌프(4a,4b,4c)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인터페이스(5)에 직접 연결되고서 소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어반(6)이 구비된다.
각각의 펌프(4a,4b,4c)에는 흡입파이프 또는 흡입덕트(8a,8b;8c,8d;8e,8f)가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펌프(4a,4b,4c)는 다수의 혼합장치(7a,...,7f)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각의 혼합장치(7a,...,7f)는 적어도 대응되는 흡입덕트(8a,8b;8c,8d;8e,8f)에 의해 펌프(4a,4b,4c)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펌프(4a,4b,4c)는 전동수단(10)을 통해 임펠러(11) 또는 지느러미형상의 디스크에 연결된 전기모터(9)를 구비하는데, 상기 임펠러는 바람직하기로 원통형인 박스형상의 체임버(12) 또는 고정자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체임버(12)는 흡입파이프 또는 흡입덕트(8a,8b;8c,8d;8e,8f)의 시작점으로서, 이는 탱크(2) 내에 수용된 액체음료를 대응되는 혼합장치(7a,...,7f)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흡입덕트(8a,8b;8c,8d;8e,8f)는 수직한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특히, 전기모터(9)의 축은 전동수단(10)에 의해 직접 구동되게 연결되어 전기모터(9)의 회전자의 축에서 직접 구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모터(9)의 회전속도에 대해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달라지게 하는 감속기어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재(3)는 탱크(2)의 바닥 근처에 배치되어, 공급될 음료수에 따라 상기 탱크(2) 내에 수용된 물 또는 다른 액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각각의 혼합장치(7a,...,7f)는 적어도 흡입덕트(8a,8b;8c,8d;8e,8f)를 지나서 그 입구에 공급덕트(13a,...,13f)와 함께 구비된다.
이 공급덕트(13a,...,13f)는 음료수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예컨대 쵸콜릿이나 우유, 차, 또는 수프와 같은 제품을 대응되는 혼합장치(7a,...,7f)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급덕트(13a,...,13f)에 의해 안내된 제품과 탱크(2)에 수용된 물의 혼합이 프로펠러 또는 팬(14)에 의해 혼합장치(7a,...,7f) 내에서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이 팬(14)은 전자인터페이스(5)에 의해 직접 전기에너지가 공급된다.
혼합단계가 일어난 후, 각각의 혼합장치(7a,...,7f)는 그 자신의 흡입덕트(16a,...,16f)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제품을 공급한다.
또한, 탱크(2)에는 공급될 음료수의 준비를 위해 가열되어질 물 또는 다른 액체나 유체물질을 이 탱크(2)에 공급할 수 있는 흡입덕트(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가열부재(3)는 탱크(2)의 바닥 근처에 놓여 있으며, 식품에 적합한 내식성의 도료로 코팅되고서 상이한 동력(power)을 가진 외장가열부재로 되어 있다.
이 가열부재(3)는 전자인터페이스(5)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고, 메인 플러그(3a,3b)를 구비하여 탱크(2)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서 신속하게 보 수유지작업을 이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가열부재는 실루민 또는 다른 알루미늄 합금, 파이로세람, 니켈-크롬 스테인레스강 또는 다른 비자성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들은 가능한 능률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열로 바꿀 수 있다.
특히, 가열부재(3)는 예컨대 전기안전성과 작업안전성 및 무엇보다도 충분한 열용량과 같은 특정한 요구성질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전기안전성이 관련되는 한, 가열부재(3)를 구성하는 3개의 주요 구성요소(즉 외장재료와 가열와이어 및 이 가열와이어용 산화물 코팅재)의 최적의 선택에 의하면 특별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한편, 작업안전성이 관련되는 한, 아주 간단한 가열부재(3)인 경우일지라도 이는 거의 끊어지지 않아서 사용상태에서 가열부재의 알맞은 수명을 확보하게 된다.
이제 가열용량을 고려하면, 상이한 양상으로 탱크(2)의 용량뿐만 아니라 예컨대 탱크(2)의 재료와 같은 것을 고려해서, 실제 동력은 1 ~ 2KW로 된다.
또한, 가열부재(3)는 탱크(2)의 내용물이 주어지고 요구되는 한계온도에 도달할 때 전류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예컨대 두 금속으로 된 감온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서, 이는 금속의 신장 또는 수축특성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개폐할 수 있어서, 이 "기본" 릴레이가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온도를 한정한다.
회로가 실제로 폐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감온스위치는 램프나 전등(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데, 램프나 전등이 켜지면 감온스위치는 온(on) 으로 되고 꺼지면 오프(off)로 된다.
감온스위치는 탱크(2)에 수용된 물에 잠겨 있으면서 본선의 전원과 히터의 가열부재(3)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두 금속으로 된 감온스위치는 가열부재(3) 내에 통합될 수 있어서, 소위 서모-히터 또는 감온스위치히터를 형성하게 된다.
두 금속으로 된 것보다 더욱 신뢰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감온스위치는 전자형으로, 이는 작은 케이블에 의해 전자인터페이스(5)에 연결되고 물에 잠겨 있거나 탱크(2)의 외부에 설치된, 온도에 민감한 반도체를 이용하고 있다.
온도는 전위차계에 의해 조절되되, 그 주요 특성은 가열부재(3)의 동력을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상, 이러한 유형의 감온스위치는 두 금속으로 된 감온스위치인 경우에 일어나는 것과 같이 전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나, 필요에 따라 가열부재(3)의 동력을 줄일 수 있다. 수온이 원하는 값보다 조금 낮게 될 때 상기 가열부재(3)는 최소 동력으로 작동하지만, 차이가 예컨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1℃ 크게 되면 상기 가열부재는 전체 용량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개념은 전자인터페이스(5) 내에 포함된 마이크로제어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처리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자면, 임펠러(11)는 블레이드를 갖춘 유형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프로펠러나 터빈 또는 디스크를 갖춘 유형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덕트(8a,8b)는 체임버(12)의 고정자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임펠러(11)의 회전동안 흡입개구부(4')를 통해 빨아올려진 유체가 단지 하나의 흡입덕트(8a 또는 8b)로 들어가게 된다.
분명히, 상기 흡입덕트(8a,8b)의 경사각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르나, 여하튼 임펠러(11)의 회전동안 하나의 흡입덕트만 선택될 수 있음에 따른 특성을 유지하도록 되어야 한다.
임펠러(11)에 의해 일어난 혼합효율을 결정하는 것은 전기모터(9)의 동력과 임펠러(11)의 형상이므로, 원하는 혼합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임펠러(11)와 체임버(12)는 임펠러(11)의 회전에 따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방위를 갖는 접선성분을 가진 운동을 유체에 전달한다. 그 후에, 흡입덕트(8a)는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임펠러(11)가 회전할 때 작용하게 되는 한편, 흡입덕트(8b)는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임펠러(11)가 반대로 회전할 때 작용하게 된다.
즉, 흡입덕트(8a)는 체임버(12)에 대해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방위를 가져서 임펠러(11a)가 회전할 때 흡입흐름을 받아들이고, 흡입덕트(8b)는 체임버(12)에 대해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방위를 가져서 임펠러(11a)가 상기 회전의 반대로 회전할 때 흡입흐름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펌프(4a)의 박스형상인 체임버(12)의 외형(16,17)이 임펠러(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입덕트(8a)를 작용하게 하는 반면, 흡입덕트(8b)는 작동하지 않게 하고, 역(逆)도 또한 같게 됨을 알 수 있다.
흡입덕트(8a,8b;8c,8d;8e,8f)는 예컨대 네오프렌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며, 수십 밀리미터의 내경을 갖고, 0℃와 10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그 관능(官能)성질을 변경시키지 않고서 탱크(2)에 수용된 물질이 흐를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 임펠러(11)가 간단한 블레이드를 구비한 원심펌프를 사용하는데, 즉 임펠러(11)는 전동수단(10)에 연결된 4개나 6개 또는 8개의 지느러미형상부를 갖추어 탱크(2)의 내용물을 다루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동수단(10)은 전기모터(9)와 동시에 회전하는 간단한 축으로 이루어진다.
원심펌프(4)의 주요 특징은 낮은 압력을 발생시키고, 50 또는 100센티미터의 송출헤드와 함께 분 당 수십 데시리터의 흐름속도를 갖고 있으며, 아주 효율적이고 조용하다는 것이다.
전기모터(9)는 예컨대 24V의 일정한 전압을 공급받는데, 220V ~ 230V와 50Hz인 본선의 전압은 전자인터페이스(5)에 설치된 적당한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전기모터(9)는 이 전기모터(9)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순간스위치가 설치된 직류(DC) 전기모터이며, 상기 스위치는 전자인터페이스(5)에도 설치되어 있다.
전자인터페이스(5)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임펠러(11)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인터페이스(5)는 탱크(2)의 내용물의 점도가 변화할 때 임펠러(7)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드백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본 선의 전류가 진동하는 경우에 속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준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혼합속도는 물보라와 거품 및 하중의 손실을 일으켜 저효율로 되게 하는 다른 결점을 방지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자면, 이들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전술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며, 펌핑그룹(101)이 다수의 펌프(4a,4b)로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펌프(4a,4b)는 이들이 전동수단(10)을 통해 대응되는 임펠러(11a,11b)에 운동을 전달하는 하나의 전기모터(9)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로 함께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1a,11b)는 고정자로 작용하면서 박스형상, 바람직하기로는 평행육면체와 같은 형상으로 된 체임버(103)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각각의 체임버(103)는 임펠러(11a,11b)가 작동되면 탱크(2)에 수용된 유체가 들어가게 하는 흡입개구부(102)를 포함하고 있다.
더구나, 각각의 체임버(103)는 탱크(2)에 수용된 액체음료를 대응되는 혼합장치(7a,...,7f)로 안내할 수 있는 흡입파이프 또는 흡입덕트(8a,8b)의 시작점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흡입덕트(8a,8b;8c,8d;8e,8f)는 수직한 접선방향으로 배치된다.
특히, 전기모터(9)의 축은 전동수단(10)에 의해 직접 구동되게 연결되어 전기모터(9)의 회전자의 축에서 직접 구동된다.
이제, 그 주요 구성이 위에서 설명된 상기 장치(1)의 작동을 새로운 양상으로 설명한다.
소비자가 그 혼합장치(7a,...,7f)들 중 하나를 통해 자동판매기에서 공급되는 어떤 음료수를 얻기 위해 제어반(6)의 버튼을 작동시키면, 제어용 전자인터페이스(5)가 가열부재를 작동시켜 탱크(2)에 수용된 제품을 가능한 한 바람직한 온도로 가열시키고, 작동되어야 할 펌프(4a 또는 4b 또는 4c)와 이 선택된 펌프를 위해 선택되어야 하는 회전방향, 즉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을 선택하게 된다.
펌프(4a)의 임펠러(11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작동된다고 가정하면, 흡입덕트(8a)가 작동되어 탱크(2)의 내용물을 이 흡입덕트와 관련된 혼합장치(7a)로 보내게 된다.
탱크(2)의 액체 속에 잠겨 있는 펌프(4a)의 임펠러(11a)의 회전운동은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바, 이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박스형상인 체임버(12)의 벽까지 액체가 이어지게 하며, 상기 체임버의 형상으로 인해 액체의 일부를 흡입덕트(8a)로 유도하게 된다.
선택된 제1음료수가 공급되고 나서, 소비자가 이전 것과 다른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동일한 전기모터(9)에 연결되었지만 전자인터페이스(5)는 펌프(4a)의 임펠러(11a)의 회전방향을 이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전환하여, 먼저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았던 흡입덕트(8b)를 이 흡입덕트와 관련된 혼합장치(7b)와 함께 작용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전기모터(9)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서, 펌프 (4a,4b,4c)의 하나의 흡입덕트(8a,8b;8c,8d;8e,8f)만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로 당연히 하나의 임펠러가 2개의 다른 혼합장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혼합장치를 관리할 수 있고, 선택될 수 있는 흡입덕트를 갖춘 전환가능한 펌프의 존재로 인해 소비자에게 매우 다양하고 따뜻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되는 바, 이 실시예는 사용된 펌핑그룹(101)에서 위에 설명된 것과 상이하다.
펌핑그룹(101)은 전동수단(10)을 통해 다수의 원심펌프, 예컨대 참조부호 400a와 400b로 표시된 2개의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기모터(9)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된 전동수단은 전기모터(9)와 직접 구동되게 또는 감속기어박스에 의해 연결되고서 각각의 펌프(400a,400b)의 임펠러(110a,110b)와 맞춰진 회전축(10)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원심펌프(400a,400b)는 그 자신의 임펠러(110a,110b)를 갖추고서 펌프의 고정자로 작용하는 박스형상, 바람직하기로는 평행육면체인 체임버(103a,103b)에 수용된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심펌프(400a,400b)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동축을 갖고 있어 양쪽이 동일한 회전축(10)에 의해 구동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옆에 놓이게 된다.
양쪽 체임버(103a,103b)는 대응되는 임펠러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앞끝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부호 103a로 표시된 체임버의 앞끝은 덮개(105)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에, 도면에서 참조부호 103b로 표시된 다른 체임버는 그 앞끝이 이 체임버가 놓이게 되는 상기 체임버의 본체로 폐쇄되기 때문에 덮개가 필요없게 된다.
각각의 체임버(103a,103b)는 탱크(2) 안에 있는 유체가 펌프로 들어가게 하는 그 자신의 흡입개구부(102a,102b)를 갖추고 있다.
더구나, 각각의 체임버(103a,103b)는 탱크(2) 안에 있는 액체물질을 대응되는 혼합장치(7a,...,7f: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지 않음)로 안내하는 그 자신의 흡입덕트(800a,800b)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 흡입덕트(800a,800b)는 회전축(10)에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펌핑그룹 안에서 뻗어 있으며, 대응되는 체임버(103a,103b)에 형성된 대응되는 흡입플러그(104a,104b)에 의해 공급된다.
분명히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플러그(104a,104b)뿐만 아니라 흡입개구부(102a,102b)는 간섭하지 않도록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벗어나 있다.
특히, 도 4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흡입덕트(800b)가 체임버(103b)의 흡입플러그(104b)로부터 시작하는 한편, 흡입덕트(800a)가 흡입플러그(104a)의 체임버(103a)에서 시작하는 방식을 알 수 있게 된다. 흡입덕트(800a)는 체임버(103a)를 통해 혼합장치(7a)까지 이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임펠러(110a,110b)의 지느러미형상부는 이 임펠러가 반대방향의 회전방향으로 구동될 때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전술된 임펠러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윗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그 자신의 체임버 안에 수용된다. 그 결과, 회전축(10)이 어떤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양쪽 임펠러(110a,110b)가 회전하게 되나, 임펠러의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쪽 임펠러 중 하나(예컨대 임펠러(110a))만 그 자신의 체임버 안에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대응되는 흡입덕트(800a)로 유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축(10)의 회전방향을 전환(반시계방향으로)시킴으로써, 날개가 반대로 배치된 임펠러(110b)만 그 자신의 체임버 안에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대응되는 흡입덕트(800b)로 유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2개의 펌프(400a,400b)는 대응되는 흡입덕트의 작용을 위해 임펠러의 날개가 반대로 배치되어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갖게 되어 흡입덕트를 통한 유체의 흡입은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요컨대, 펌핑그룹(101)의 구조는, 전기모터(9)에 의해 회전축(10)에 주어진 회전방향, 즉 양쪽 임펠러(110a,110b)에 주어진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흡입덕트 또는 다른 것으로 유체를 보낼 수 있다. 사실상, 양쪽 임펠러(110a,110b)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나, 전술된 바와 같이 이는 임펠러가 그 자신의 체임버 안에서 소용돌이를 일으켜 대응되는 흡입덕트로 유체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반면에, 반대방향으로 날개가 배치된 임펠러는 상기 대응되는 흡입덕트로 유체를 유도하는 송출헤드를 그 자신의 흡입덕트 안에 생기게 할 수 없다.
바람직하기로, 각각의 흡입플러그(104a,104b)는 체임버 안에서 대응되는 임펠러(110a,110b)에 의해 발생된 소용돌이로 생긴 흡입흐름을 받아들이는 것을 증진시키는, 직각이 아닌 바람직하기로는 접선의 방향으로 대응되는 체임버(103a,103b)에 대해 방위를 갖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이는 배출덕트의 직경이 종래의 시스템보다 크게 되어서 침전을 방 지하고 석회석의 형성을 방지하기 때문에, 밀봉부의 석회석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장치는 저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명백히, 응급 및 특정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전술된 장치에 대해 다양하게 변형시키고 응용할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다음 청구범위로 한정된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부재(3)와, 펌프(4a, 4b, 4c)를 구비하고 전기로 구동되는 펌핑그룹(4;101)과, 다수의 혼합장치(7a, 7b, 7c, 7d, 7e, 7f)를 구비하되, 상기 펌핑그룹(4;101)은 흡입개구부(4';102a,102b)와, 상기 펌프(4a, 4b, 4c)를 상기 혼합장치(7a, 7b, 7c, 7d, 7e, 7f)에 연결시키게 되어 있는 흡입덕트(8a,8b;8c,8d;8e,8f;800a,800b)를 구비하는, 음료수용 자동판매기의 액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핑그룹(4;101)에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 (11a,11b,11c,110a,11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덕트(8a,8b;8c,8d;8e,8f)를 통한 유체흡입은 펌핑그룹(4;101)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11a,11b,11c)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그룹(4)은 하나 이상의 임펠러(11a,11b,11c)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펌프(4a,4b,4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펌프(4a,4b,4c)는 원심펌프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임펠러(11a,11b,11c)는 외피로 형성된 체임버(12,103) 내에 수용되며, 상기 흡입덕트(8a,8c,8e)는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체임버(12)에 대한 방위를 가져 상기 임펠러(11a,11b,11c)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입흐름을 받아들이는 한편, 상기 흡입덕트(8b,8d,8f)는 직각이 아닌 방향으로 체임버(12)에 대한 방위를 가져 상기 임펠러(11a,11b,11c)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입흐름을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12,103)는 박스형상이고, 흡입덕트(8a,8c,8e)와 흡입덕트(8b,8d,8f)는 체임버(12)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방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펌프(4a,4b,4c)는 전동수단(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임펠러(11a,11b,11c)에 연결된 전기모터(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그룹은 전동수단(10)에 의해 동일한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2개의 펌프(400a,400b)를 구비하되, 각 펌프는 임펠러(110a,110b)와, 흡입개구부(102a,102b) 및, 임펠러(110a,110b)의 주어진 회전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흡입덕트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2개의 펌프(400a,400b)는 대응되는 흡입덕트의 작용을 위해 임펠러의 날개가 반대로 배치되어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펌프(4a,4b,4c,400a,400b)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11a,11b,11c,110a,110b)의 회전방향은 제어반(6)으로부터 전자인터페이스(5)로 보내어진 신호에 따라 전자인터페이스(5)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8.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덕트 (8a,8b;8c,8d;8e,8f;800a,800b)는 각각 하나 이상의 혼합장치(7a,...,7f)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혼합장치(7a,...,7f)는 이 하나 이상의 혼합장치(7a,...,7f)에 용해가능한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덕트(13a,...,13f)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는 제어반(6)으로부터 전자인터페이스(5)로 보내어진 신호에 따라 전자인터페이스(5)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10)은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공급장치.
KR1020057008640A 2002-11-15 2002-11-15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KR101011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02/000725 WO2004045351A1 (en) 2002-11-15 2002-11-15 Liquid supply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94A KR20050087794A (ko) 2005-08-31
KR101011774B1 true KR101011774B1 (ko) 2011-02-07

Family

ID=3232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640A KR101011774B1 (ko) 2002-11-15 2002-11-15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624896B2 (ko)
EP (1) EP1567037B1 (ko)
JP (1) JP4095988B2 (ko)
KR (1) KR101011774B1 (ko)
CN (1) CN100486500C (ko)
AU (1) AU2002358972B2 (ko)
BR (1) BR0215410B1 (ko)
CA (1) CA2505986C (ko)
DE (1) DE60217560T2 (ko)
DK (1) DK1567037T3 (ko)
ES (1) ES2280605T3 (ko)
IL (1) IL168367A (ko)
MX (1) MXPA05005052A (ko)
NZ (1) NZ539760A (ko)
PT (1) PT1567037E (ko)
WO (1) WO2004045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0204B2 (en) * 2007-07-02 2012-05-15 Brewl Technologies, Inc.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SG185789A1 (en) 2010-05-31 2013-01-30 Tuttoespresso Srl Devic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with differing tastes
EP2688416A2 (en) * 2011-03-23 2014-01-29 IMI Cornelius Inc. Hot/cold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DE102011111180A1 (de) * 2011-08-25 2013-02-28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Zusatzstoffdosierer
JP6574166B2 (ja) * 2013-05-24 2019-09-11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飲料製造装置用の圧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671052B2 (en) 2015-10-27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Collet securing device for joining two fluid lines and providing lateral support at the connection of the two fluid lines
US10557469B2 (en) 2016-03-22 2020-02-11 Whirlpool Corporation Multi-outlet fluid flow system for an appliance incorporating a bi-directional motor
US10655266B2 (en) 2016-11-30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Lint processing fluid pump for a laundry appliance
US10662574B2 (en) 2017-02-27 2020-05-26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heater exchanger plate
US10619289B2 (en) 2017-02-27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diverter valve
US10480117B2 (en) 2017-02-27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sump cover
US10634412B2 (en) 2017-04-10 2020-04-28 Whirlpool Corporation Concealed upstream air tower guide vanes
IT201700086645A1 (it) 2017-07-27 2019-01-27 De Longhi Appliances Srl Monta latte e macchina da caffè che incorpora un tale monta latte
US10697700B2 (en) 2018-01-17 2020-06-3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247A (en) 1999-01-19 2000-07-04 Keurig, Inc. Apparatus for consecutively dispensing an equal volume of liquid
EP1106126A1 (fr) 1999-12-01 2001-06-13 Moulinex S.A. Ensemble de distribution d'eau de machine à café espress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275A (en) * 1969-11-13 1971-10-19 Curtiss Wright Corp Control means for bidirectional rotary fluid motor system
US3773432A (en) * 1971-07-13 1973-11-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ingle stage bi-directional pump
DE2608503C3 (de) * 1975-03-21 1981-01-29 Dagma Deutsche Automaten- Und Getraenkemaschinen Gmbh & Co Kg, 2067 Reinfeld Verfahren und Gerät zum Herstellen von Getränken unter dosiertem Abgeben und Mischen von Wasser und selbstkonservierenden Konzentraten oder Sirupen hoher Viskosität
US4094446A (en) * 1976-03-01 1978-06-13 Wyott Corporation Heated dispenser for hot toppings and the like
JPS5848922Y2 (ja) * 1979-04-27 1983-11-08 久紀 割橋 ウインドウオッシャ−用ポンプユニット
US4396353A (en) * 1981-04-13 1983-08-02 Flint & Walling, Inc. Submersible sump pump
JPS62261693A (ja) * 1986-04-30 1987-11-13 Maruko Keihouki Kk 選択型送出ポンプ
JPH058427Y2 (ko) * 1987-03-16 1993-03-03
IT1210354B (it) * 1987-03-17 1989-09-14 Nuova Sme S P A Pompa a doppia mandata selezionabile
US4900235A (en) * 1988-03-07 1990-02-13 Mccord Winn Textron Inc. Reversible pump assembly
EP0540440A1 (fr) * 1991-10-30 1993-05-05 Reneka Industries Poste d'injection perfectionné pour machine à café comprenant une régulation de la température de l'eau chaude près du point d'injection
US5265518A (en) * 1992-11-05 1993-11-30 Unidynamics Corporation Dual brewer for tea and coffee
CN2188910Y (zh) * 1993-07-23 1995-02-08 高发育 多功能饮料调理机
KR950024736A (ko) * 1994-02-28 1995-09-15 배순훈 식기세척기의 펌프
DK0709131T3 (da) * 1994-10-26 1999-11-01 Nestle Sa Blanding af væsker
US5537838A (en) * 1994-11-02 1996-07-23 Jet Spray Corp. Beverage dispenser
US5793294A (en) * 1995-09-18 1998-08-11 Schepka; Louis F. Sump alarm
US6149390A (en) * 1999-06-29 2000-11-21 General Electric Company Sump pump system and apparatus
US6366053B1 (en) * 2000-03-01 2002-04-02 Metropolitan Industries, Inc. DC pump control system
AUPQ687700A0 (en) 2000-04-11 2000-05-11 Barista Holdings Pty Ltd Liquid beverage dispenser
CN100405962C (zh) * 2000-11-13 2008-07-30 托马斯·E·小丹尼尔斯 饮料混合器
EP1210893A3 (en) 2000-12-01 2002-06-12 Sanden Corporatio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247A (en) 1999-01-19 2000-07-04 Keurig, Inc. Apparatus for consecutively dispensing an equal volume of liquid
EP1106126A1 (fr) 1999-12-01 2001-06-13 Moulinex S.A. Ensemble de distribution d'eau de machine à café espres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39760A (en) 2005-10-28
DE60217560T2 (de) 2008-02-28
JP4095988B2 (ja) 2008-06-04
CN100486500C (zh) 2009-05-13
WO2004045351A1 (en) 2004-06-03
MXPA05005052A (es) 2006-02-22
EP1567037B1 (en) 2007-01-10
CN1719995A (zh) 2006-01-11
PT1567037E (pt) 2007-04-30
JP2006506165A (ja) 2006-02-23
KR20050087794A (ko) 2005-08-31
US20060151532A1 (en) 2006-07-13
US7624896B2 (en) 2009-12-01
DK1567037T3 (da) 2007-05-14
AU2002358972A1 (en) 2004-06-15
DE60217560D1 (de) 2007-02-22
AU2002358972B2 (en) 2009-01-08
BR0215410B1 (pt) 2012-06-26
CA2505986A1 (en) 2004-06-03
CA2505986C (en) 2010-08-17
BR0215410A (pt) 2004-12-14
EP1567037A1 (en) 2005-08-31
ES2280605T3 (es) 2007-09-16
IL168367A (en)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774B1 (ko) 자동판매기용 액체공급장치
JP7364562B2 (ja) 食品処理のための調整された熱発生
CN111315273A (zh) 用于食物处理器的受控热量管理
ES2700793T3 (es) Máquina y método para el tratamiento de mezclas alimentarias líquidas o semilíquidas
JP2020513258A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EP2688416A2 (en) Hot/cold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KR20010005931A (ko) 인체 국부 세정 장치
RU22983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ей для торгового автомата
US3632980A (en) Convector surface cooking unit
US20060054305A1 (en) Heating and refrigerating water device
EP2288572B1 (en) Water reservoir of a drink dispenser with integrated pump
PL205468B1 (pl) Urządzenie dostarczające płyn do automatu sprzedającego
EP3321619B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 motor
CN216060215U (zh) 烹饪器具
ZA200503491B (en) Liquid supply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JPH03268712A (ja) 電気湯沸かし器の出湯装置
KR0112708Y1 (ko) 생수통 생수토출부 상향 설치식 생수 냉 · 온수기
SU1755014A1 (ru) Нагреватель жидкости
JPH04241821A (ja) 電気ポット
JP2000333836A (ja) 給湯装置のポンプの配置構造
AU2017201540A1 (en) Spa With Adaptive Water Pumping Provi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