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213B1 - 열교환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213B1
KR101011213B1 KR1020070134835A KR20070134835A KR101011213B1 KR 101011213 B1 KR101011213 B1 KR 101011213B1 KR 1020070134835 A KR1020070134835 A KR 1020070134835A KR 20070134835 A KR20070134835 A KR 20070134835A KR 101011213 B1 KR101011213 B1 KR 10101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aight pipe
base material
heat exchange
spl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265A (ko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주)지아노니 두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아노니 두발 filed Critical (주)지아노니 두발
Priority to KR102007013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2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staggered to form tortuous flui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관의 곡관부와 직관부를 일일이 용접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작업 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열교환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수개의 직관부(12)와 곡관부(14)를 갖는 형상의 모재관체(10)을 성형하되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거리(D1)가 상기 곡관부(14)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는 모재관체 성형과정(S10)과, 상기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상기 직관부(12)의 양단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를 균일한 거리(D2)로 맞추어 복수개의 나란한 성형 직관부(22) 양단부에 성형 곡관부(24)가 이어진 구조의 열교환관(20)을 형성하는 모재관체 압착과정(S20)과, 상기 열교환관(20)의 상기 성형 직관부(22) 외주면에 복수개의 방열핀(30)을 일정 간격으로 조립하는 방열핀 조립과정(S30)과, 상기 열교환관(20)과 상기 방열핀(30)을 상호 고착시키는 접합과정(S60)을 포함하며, 상기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에서는 상기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상기 직관부(12)의 양단부 중에서 상기 곡관부(14)와 인접한 단부 근방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기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를 균일한 거리(D2)로 맞추어 상기 열교환관(20)의 상기 성형 곡관부(24)를 서로 나란하도록 성형하는 과정이며, 상기 방열핀(30) 중에서 최외곽의 좌우측 방열핀(30)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열교환관(20)에 좌우 측면판(40)을 조립하는 측면판 조립과정(S40)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측면판(40)은 두 개의 제1 및 제2분할판(42,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결합홈(46a,48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분할판(42)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분할판(44)은 제1분할판(42)을 향하는 단부에 키이형 결합편(44a)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의 각 결합홈(46a,48a)을 상기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제1분할판(42)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에 상기 제2분할판(44) 단부의 키이형 결합편(44a)을 끼워서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재관체, 열교환관, 직관부, 곡관부, 압착, 작업 공수, 생산성

Description

열교환기 제조 방법{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열교환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관의 곡관부와 직관부를 용접하여 구성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여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생산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열교환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나 오일펌프 등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열교환기는 내부에 열교환유체가 통과하는 열교환관의 둘레부에 복수개의 방열핀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열교환관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중간에 복수개의 서로 나란한 직관부가 구비되고, 중간의 직관부 양단부에는 곡관부가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열교환관의 입구측 직관부의 단부와 출구측 직관부의 단부는 열교환유체 공급부에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열교환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곡관을 직관부의 양단부에 일일이 용접 접합하여 곡관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용접 공정으로 인하여 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관의 곡관부와 직관부를 용접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작업 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새로운 열교환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수개의 직관부와 곡관부를 갖는 형상의 모재관체을 성형하되 서로 이웃한 직관부의 거리가 상기 곡관부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는 모재관체 성형과정과, 상기 모재관체의 서로 이웃한 상기 직관부의 양단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직관부 사이의 거리가 균일한 거리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하여 열교환관을 형성하는 모재관체 압착과정과, 상기 열교환관의 상기 직관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방열핀을 일정 간격으로 조립하는 방열핀 조립과정과, 상기 열교환관과 상기 방열핀을 상호 고착시키는 접합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모재관체 성형과정에서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 수개의 직관부와 곡관부를 갖는 형상의 모재관체를 성형하되, 모재관체의 서로 이웃한 직관부의 거리가 곡관부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고, 모재관체 압착과정에서는 모재관체의 서로 이웃한 직관부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직관부 사이의 거리가 균일한 거리로 이루어진 열교환관을 성형함으로써, 열교환관을 제작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곡관을 직관부의 양단부에 일일이 용접 접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용접 공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 제조방법의 주요 공정 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열교환기의 주요부인 방열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측면판을 조립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측면판을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열교환관 확관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로서 열교환관 확관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중간에 복수개의 직관부(12)가 구비되고 직관부(12)의 양단부에는 복수개의 곡관부(14)가 구비된 형상의 모재관체(10)를 제작하는 모재관체 성형과정(S10)을 갖는다. 모재관체 성형과정(S10)에서는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거리(D1)가 곡관부(14)측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특징을 이룬다.
상기 모재관체 성형과정(S10) 이후에는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을 수행한다.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에서는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가 균일한 거리(D2)로 된 열교환관(20)을 성형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방향은 이웃한 직관부(12)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이며, 이러한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이웃한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가 균일한 거리(D2)로 된 열교환관(20)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에서 직관부(12)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사이의 거리(D1)는 서로 균일한 거리로 맞출 수 있으면서도 성형 곡관부(24)의 곡률 반경은 줄어들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중에서 입구측 성형 직관부(22)의 단부와 출구측 성형 직관부(22)의 단부를 압착하는 마무리 압착과정(S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재관체 압착과정(S20) 이후에 방열핀 조립과정(S30)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30)은 복수개의 관삽입공(32)이 형성되고, 관삽입공(32)의 일측부에는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삽입을 위한 개구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열핀(30)의 일면으로는 스페이서(36)가 돌출 형성된다.
방열핀 조립과정(S30)은 이러한 방열핀(30)의 관삽입공(32) 일측부에 형성된 개구부(34)를 통해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둘레부에 방열핀(30)의 관삽입공(32)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방열핀(30)을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각 방열핀(30)의 일면에 형성된 스페이서(36)에 의해 각각의 방열핀(30) 간격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는 단면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성형 직관부(22)의 둘레부에 끼워지는 방열핀(30)의 관삽입공(32)도 타원형으로 구성되는데, 성형 직관부(22)의 지름이 큰 부분이 방열핀(30)의 관삽입공(32) 일측부의 개구부(34) 방향을 향하고 성형 직관부(22)의 지름이 작은 부분은 지금이 큰 부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방열핀(30)의 대경부(d1)가 일측부의 개구부(34) 방향을 향하고 소경부(d2)는 대경부(d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방열핀(30)을 끼워줄 때, 방열핀(30)이 개구부(34)를 통해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접합과정(S60)에서는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둘레부에 끼워진 방열핀(30)을 은납으로 용접하여 접합한다. 즉, 은납 성분의 용접봉을 방열핀(30)과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인접된 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가열로에 이들을 투입하여 용접봉을 용융시켜 열교환관(20)과 방열핀(30)을 상호 용접 접합한다. 이때, 용융 온도는 700℃~800℃이며, 용융 시간은 대략 10분 정도이다. 그리고, 용접 접합과정(S60)에서 열교환관(20)과 방열핀(30)을 서로 용접 접합한 다음에는 풀림 처리하여 응력을 제거하는 풀림 처리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면판 조립 과정(S40)에서는 방열핀(30) 중에서 최외곽의 좌우측 방열핀(30) 외측에 위치되도록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 둘레부에 좌우 측면판(40)을 조립한 다음, 역시 은납 성분의 용접봉을 용융시켜 열교환관(20)에 좌우 측면판(40)을 용접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조립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모재관체 성형과정(S10)에서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수개의 성형 직관부(12)와 곡관부(14)를 갖는 형상의 모재관체(10)를 성형하되,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거리(D1)가 곡관부(14)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고, 상기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에서는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가 균일한 거리(D2)로 된 열교환관(20)을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열교환관(20)을 제작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곡관을 직관부의 양단부에 일일이 용접 접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용접 공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면판 조립 과정(S40)에서는 최외곽의 좌우측 방열핀(30) 외측에 위치되도록 열교환관(20)의 둘레부에 좌우 측면판(40)을 조립한다.
이때, 측면판(40)은 두 개의 제1 및 제2분할판(42,44)으로 이루어지고,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대략 반 타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제1분할판(42)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이 구비되고, 제2분할판(44)은 제1분할판(42)을 향하는 단부에 키이형 결합편(44a)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의 각 반 타원형 결합홈을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끼움과 동시에 제1분할판(42)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에 제2분할판(44) 단부의 키이형 결합편(44a)을 끼움으로써,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으로 이루어진 측면판(40)을 열교환관(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한 다음, 측면판(40)을 용접 접합하여 열교환관(2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열교환관 확관 과정(S50)을 더 포함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관 확관 과정(S50)은 열교환관(20)의 내부에 가압유체(2)를 주입하여 성형 직관부(22)를 확관시킨다. 그러면, 성형 직관부(22)가 확관되면서 방열핀(30)의 관삽입공(32)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견고한 결합 구조를 취하여 열교환관(20)에서 방열핀(30)이 이탈될 가능성을 더 확실하게 배제함으로써, 열교환기 자체의 제품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 제조방법의 주요 공정의 일부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열교환기의 주요부인 방열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측면판을 조립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측면판을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열교환관 확관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Claims (6)

  1.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수개의 성형 직관부(12)와 곡관부(14)를 갖는 형상의 모재관체(10)을 성형하되 서로 이웃한 직관부(12)의 거리(D1)가 상기 곡관부(14)에서 반대편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성형하는 모재관체 성형과정(S10)과, 상기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상기 직관부(12)의 양단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를 균일한 거리(D2)로 맞추어 복수개의 나란한 성형 직관부(22) 양단부에 성형 곡관부(24)가 이어진 구조의 열교환관(20)을 형성하는 모재관체 압착과정(S20)과, 상기 열교환관(20)의 상기 성형 직관부(22) 외주면에 복수개의 방열핀(30)을 일정 간격으로 조립하는 방열핀 조립과정(S30)과, 상기 열교환관(20)과 상기 방열핀(30)을 상호 고착시키는 접합과정(S60)을 포함하며,
    상기 모재관체 압착과정(S20)에서는 상기 모재관체(10)의 서로 이웃한 상기 직관부(12)의 양단부 중에서 상기 곡관부(14)와 인접한 단부 근방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하여 상기 직관부(12) 사이의 거리(D1)를 균일한 거리(D2)로 맞추어 상기 열교환관(20)의 상기 성형 곡관부(24)를 서로 나란하도록 성형하는 과정이며,
    상기 방열핀(30) 중에서 최외곽의 좌우측 방열핀(30)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열교환관(20)에 좌우 측면판(40)을 조립하는 측면판 조립과정(S40)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측면판(40)은 두 개의 제1 및 제2분할판(42,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결합홈(46a,48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분할판(42)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분할판(44)은 제1분할판(42)을 향하는 단부에 키이형 결합편(44a)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분할판(42)과 제2분할판(44)의 각 결합홈(46a,48a)을 상기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제1분할판(42)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기역자형 결합편(42a)에 상기 제2분할판(44) 단부의 키이형 결합편(44a)을 끼워서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20)의 내부에 가압유체(2)를 주입하여 상기 성형 직관부(22)를 확관시키는 열교환관 확관과정(S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30)은 관삽입공(32)의 일측으로 상기 열교환관(20)의 성형 직관부(22)가 유입되는 개구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제조 방법.
KR1020070134835A 2007-12-21 2007-12-21 열교환기 제조 방법 KR10101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835A KR101011213B1 (ko) 2007-12-21 2007-12-21 열교환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835A KR101011213B1 (ko) 2007-12-21 2007-12-21 열교환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265A KR20090067265A (ko) 2009-06-25
KR101011213B1 true KR101011213B1 (ko) 2011-01-26

Family

ID=4099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835A KR101011213B1 (ko) 2007-12-21 2007-12-21 열교환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2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731A (ko) * 1986-06-04 1988-03-29 에이에이 루프케 맨프리드 이중구조 파형 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
JPH11320005A (ja) * 1998-05-13 1999-11-24 Showa Alum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3755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JP2005283043A (ja) * 2004-03-31 2005-10-13 Kubota Corp 自動販売機用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ユニット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731A (ko) * 1986-06-04 1988-03-29 에이에이 루프케 맨프리드 이중구조 파형 파이프를 제조하는 장치
JPH11320005A (ja) * 1998-05-13 1999-11-24 Showa Alum Corp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3755A (ko) * 2002-07-04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JP2005283043A (ja) * 2004-03-31 2005-10-13 Kubota Corp 自動販売機用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ユニット
KR200403755Y1 (ko)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265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337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CS210605B2 (en) Tabular composition with plates for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53135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019544A (zh) 热水器和形成热水器的方法
JP3299148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KR100974214B1 (ko) 열교환기
CN101219577A (zh) 塑料毛细管垫及其制造方法和制造设备
KR101011213B1 (ko) 열교환기 제조 방법
JP5406114B2 (ja) 配管接続方法、および拡管治具、並びに拡管治具を用いた拡管方法
KR101052278B1 (ko) 열교환기용 순환관 가공장치 및 방법과, 이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열교환기용 순환관
KR101471123B1 (ko) 다관절 맨드릴 및 다관절 맨드릴을 이용한 타원형 벤딩관의 제조방법
JP2000356409A (ja) 熱交換器
US20060150669A1 (en) Method of connecting thin tube to heat transfer tube
KR101396424B1 (ko) 열교환기
JP2009025002A (ja) 熱交換器
CN101776413A (zh)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
KR100740699B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JP3775947B2 (ja) 熱交換器の加工方法
KR20200027061A (ko) 열 교환용 이중관
KR100600538B1 (ko) 인너핀이 내장된 이중관형 열교환기 제조방법
JP2013066907A (ja) 捩り管形熱交換器および捩り管形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7117349B2 (ja) 熱交換器
JP7335690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3026754B2 (ja) パラレルフロータイプ熱交換器のヘッダパイプの製造方法
JP2017089927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