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225B1 -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225B1
KR101010225B1 KR1020080080838A KR20080080838A KR101010225B1 KR 101010225 B1 KR101010225 B1 KR 101010225B1 KR 1020080080838 A KR1020080080838 A KR 1020080080838A KR 20080080838 A KR20080080838 A KR 20080080838A KR 101010225 B1 KR101010225 B1 KR 10101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atheter
supply pipe
needl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256A (ko
Inventor
민선호
민경태
Original Assignee
민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선호 filed Critical 민선호
Priority to KR102008008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2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6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self-propelled, e.g. autonomous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obo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과 반응부에 수용된 과산화수소수가 반응하여 발생된 산소를 이용하여, 니들이 삽입된 삽입관을 혈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전진시킴으로써, 삽입관이 혈관(동맥 또는 정맥)속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니들의 일측에 장착되어 니들을 통해 들어오는 혈액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 공급관과, 카테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니들의 혈관 삽입 후 카테터를 혈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와, 공급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과산화수소수가 수용된 반응부를 포함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혈관, 카테터, 과산화수소수, 니들, 혈액, 삽입관, 실린더부, 반응부

Description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Apparatus for auto-inserting intra-vascular catheter}
본 발명은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 및 과산화수소수가 반응하여 발생하는 산소를 이용하여 니들이 삽입된 삽입관을 혈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전진시킴으로써, 삽입관이 혈관(동맥 또는 정맥)속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경피적(percutaneous)으로 혈관에 삽입하는 굴곡이 가능한 카테터(Catheter)는 먼저 혈관에 곧은 철심의 주사바늘과 같이 삽입된 다음 주사바늘을 따라 혈관 속으로 밀어 넣게 되고 주사바늘을 빼낸 후, 동맥혈관에서는 수술환자나 중환자의 동맥혈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거나 동맥혈의 가스분석을 위해 사용되고, 정맥혈관에서는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거나 혈관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편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경피적 혈관 카테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1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관(20)과, 상기 삽입관(20)과 결합되는 주사바늘(10)과, 삽입관(20)에 후단에 연결되되 소정 크기의 강성이지만 혈관 내에서는 굴곡이 가능한 카테터(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카테터(30)에 주사바늘 몸체(11)를 삽입하고, 삽입관(20)에 주사바늘(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주사바늘(10) 및 삽입관(20)을 혈관 속으로 함께 삽입한다.
이후, 주사바늘(10) 및 주사바늘 몸체(11)를 카테터(30) 외부로 빼내면 상기 삽입관(20)을 통해 카테터(30)로 혈액이 누출되며, 이때, 상기 카테터에 주사기를 결합하면 주사기로 혈액을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30)는 혈액에 약물 또는 조영제를 주입하거나 수액세트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카테터의 구체적인 사용방법, 즉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3c는 종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의 혈관 속 삽입을 실패하게 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 속의 혈관을 찾아 주사바늘(10)을 꽂은 다음, 혈액이 주사바늘(10)로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 카테터의 삽입관(20)이 혈관 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혈관 속으로 밀어 넣어 안정적인 삽입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계속해서 주사바늘(10) 및 주사바늘 몸체(11)를 제거한 다음, 카테터(30) 후단에는, 동맥혈의 경우 동맥압 측정을 위한 감시장치를 연결하고 정맥혈의 경우 약물 등의 주입을 위한 고무관 등을 연결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안정적이고, 또 한 번에 카테터 삽입을 마치기 위해서는 주사바늘(10)을 꽂은 후 주사바늘(10) 및 주사바늘 몸체(11)를 움직임 없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카테터의 삽입관(20)을 혈관 속으로 집어넣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숙련도가 떨어지는 사용자의 경우,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을 꽂은 다음 카테터의 삽입관을 혈관 속에 밀어 넣을 때, 주사바늘 몸체를 움직인다거나, 혹은 습관적으로 카테터 삽입관을 앞쪽으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주사바늘을 뒤쪽으로 빼냄으로 인해 삽입관이 혈관 속으로 들어가기도 전에(또는, 끝이 들어갔더라도) 혈관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카테터 삽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에 사용되는 주사바늘은 단부(베벨)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개방 구조로 이루어져, 주사바늘의 단면 일부가 혈관에 삽입되어도 혈액이 주사바늘로 유입되므로 이 경우 카테터의 혈관삽입은 실패하게 된다. 왜냐하면,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속에 위치한 주사단면의 일부를 통해서도 혈액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한 사용자가 삽입관 후단이 혈관밖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삽입관을 밀어 넣게 되면, 삽입관이 혈관에 삽입되지 못하고 혈관 외벽을 밀게 하여 혈관 삽입이 실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혈관에 삽입되는 니들의 후단부가 공급관에 의해 반응부와 연결되어 니들 및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이 반응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반응부의 전단에는 실린더부가 설치되어 혈액과 과산화수소가 반응하여 발생한 산소 압력에 의해 삽입관이 혈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니들을 혈관에 삽입된 후 니들이 삽입된 삽입관이 자동으로 혈관 방향으로 전진하여 혈관 속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혈관에 삽입되는 제 1 종단 및 제 2 종단을 갖는 니들; 내부 통로에 상기 니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삽입관; 및 선단부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선단부에 상기 삽입관이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가 수용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상기 공급관의 말단 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상기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혈관에 삽입되는 제 1 종단 및 제 2 종단을 갖는 니들; 내부 통로에 상기 니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삽입관; 선단부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제 1 종단이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과 연통되도록 장착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공급관 내에 배치되며, 나선형 구조를 갖는 공급로; 선단부에 상기 삽입관이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가 수용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상기 공급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상기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혈액이 유입되는 공급관에 과산화수소수가 포함된 반응부를 설치하여 혈액 및 과산화수소수의 반응에 의해 산소가 발생하고, 반응부 일측에 실린더부를 장착하여 산소의 압력에 의해 삽입관이 이동함으로써, 삽입관을 혈관 속에 정확히 삽입할 수 있다.
2)동맥 혈관에 니들을 삽입 시 나선형 구조의 공급로가 추가 장착된 공급관을 사용함으로써 니들이 혈관 내에 위치한 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카테터를 동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개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다른 실시 예 개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의 상세 개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의 개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혈관에 삽입되며, 경사진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 1 종단 및 제 2 종단을 갖는 니들(100)을 통해 혈액이 유입되며, 상기 혈액은 상기 니들(100)의 제 2 종단과 연통되는 공급관(110)내에는 나선형(111)(동맥혈) 또는 직선형(정맥혈)의 공급로를 경유하여 반응부(120)로 공급되고, 공급관(110)의 양측에는 실린더부(130)가 설치되며, 반응부내로 공급된 혈액과 반응부내에 수용된 과산화수소수가 반응하여 발생한 산소 압력에 의해 삽입관(140)이 혈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니들(100)은 통상적인 카테터와 마찬가지로 삽입관(140)에 장착된 상태로 혈관에 삽입되는바, 니들(100)이 혈관에 삽입된 후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한 뒤에는 니들(100)을 뽑고 수액세트, 수혈장치 등의 튜브를 삽입관(140)이 장착 된 카테터(14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100)은 통상 니들(100)의 경사진형상의 단면을 갖는 종단면에 바늘구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형상의 단면을 갖는 종단으로부터 연장된 둘레면에 바늘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구성하는 니들(100)은 혈관에 일정 길이 이상만큼 삽입되어야 혈액이 바늘구(101)를 통해 니들(100)로 유입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의 둘레면에 바늘구(101)를 형성하게 되면 삽입관(140)이 니들(100)과 함께 혈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혈액의 유입이 진행되므로, 삽입관(140)의 혈관 삽입 실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100)의 제 2 종단부에는 원통형의 공급관(110)이 일체로 연결되어, 니들(100)이 혈관 삽입 후 니들(100)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이 반응부(120)로 이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관(110)은 선단부가 상기 카테터(141)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고, 그 내부에 니들(100)의 제 2 종단부가 수용되며, 말단부에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며 과산화수소수가 수용된 반응부(120)가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제 1 종단이 상기 니들(100)의 제 2 종단과 연통되도록 장착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공급관 내에 배치되며, 나선형 구조를 갖는 공급로(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선형 구조를 갖는 공급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정맥혈관에 비해 높은 압력을 갖는 동맥혈관으로부터 유출되는 혈액의 유동을 나선형 구조를 갖는 공급로를 통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혈액의 유출 시간을 길게 하여 니들(100)이 동맥혈관 내에 위치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동 위치에서 카테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상기 카테터(141)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110)이 수용된 실리더부(130) 및 상기 실린더부(130)와 상기 반응부(120) 사이에 소정의 공간(151)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130)와 반응부(120)가 수용되는 하우징(15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피스톤(131) 및 상기 피스톤(131)에 연결막대(132)로 연결되되,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연결 장착되는 플런져(1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131)과 하우징(150)에 의해 소정의 공간(151)이 형성된다.
한편, 공급관(110)의 말단부에는 반응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관(110)내에 유동하는 혈액이 반응부(120)로 유입되며, 유입된 혈액은 반응부(120)에 수용된 반응액체(121)와 반응한다.
이때, 상기 반응액체(121)는 과산화수소수(H2O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혈액과 반응하여 빠른 시간 내에 산소 등의 무해성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응액체(121)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부(120)에 유입된 혈액의 헤모글로빈이 과산화수소수를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반응부(120)에는 그 양측에 배출홀(122)이 각각 형성되어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가 하우징(150) 및 실린더부(130)의 피스톤(131)으로 이루어진 공간(15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부(120)에 수용되는 과산화수소수의 양은 피스톤(131)을 가압하여 플런져(133) 및 플런져와 연결된 카테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압력에 필요한 산소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는 상기 공급관(110) 및 반응부(120) 사이에 장착되어 혈액(200)이 공급관(110)을 통해 반응부(120)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는 공급관(110)을 통해 혈관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체크 밸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구성하는 공급관(110)의 내면에는 체크 밸브(160)를 향하여 유입되는 혈액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입 제어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크 밸브(160)는 상기 유입 제어 턱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밸브 본체 및 밸브 본체와 반응부(120)에 각각 연결되며, 본체와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통상의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160)는 단면 형상이 원인 통상적인 볼 타입 구조로 형성되되, 이러한 체크 밸브(160)를 일 방향 유동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공급관(110)의 일부 영역을 얇은 고무 튜브(111)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니들(100) 및 삽입관(140)이 혈관에 삽입 시, 혈액(200)이 니들(100)을 따라 공급관(110)을 통해 반응부(120)로 유입되어 반응부(120)에 함유된 과산화수소수와 반응함으로써 산소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후, 산소의 발생으로 인해 밀폐된 반응부(120)의 압력이 공급관(110)의 압력보다 상승하는 경우 공급관(110) 양측의 고무 튜브(111)가 내측으로 수축되어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가 혈관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한편, 볼 타입 체크 밸브(160)는 스프링(165)에 의해 반응부(120) 이면에 장착되어, 체크 밸브(160)와 반응부(120)간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혈액이 반응부(12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한다.
반대로, 반응부(120)의 과산화수소수 또는 산소의 역류 시에는 체크 밸브(160)가 스프링(165)의 탄성력을 이기고 공급관(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과산화수소수 또는 산소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즉, 체크 밸브(160)의 밸브 본체는 형상이 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유입 제어 턱에 의해 형성된 유입로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며, 산소 등의 역류 시 밸 브 본체가 공급관(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로를 폐쇄하게 된다.
체크 밸브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크 밸브(160a)는 공급관(110) 내부 공간(체크 밸브가 장착되는 공간)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인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체크 밸브(160a)가 반응부(120)에서 발생된 산소의 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가 유입 제어 턱에 의해 형성된 유입로를 폐쇄하여 과산화수소수가 니들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165)에 의해 탄성 제어되는 원리는 상기 볼 타입 체크 밸브와 동일하다.
또한, 체크 밸브(160a)와 반응부(120) 사이에는 가림막(162)이 장착되어 혈액이 공급관(110) 내로 유입되기 전 반응부(120) 내의 과산화수소수가 체크 밸브(160a)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한다.
이때 체크 밸브(160a)에는 반응부(120)를 향하여 연장된 돌출핀(161)이 형성되어, 혈액이 니들을 통해 공급관(110)에 유입되는 경우 체크 밸브(160a)가 반응부(12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핀(161)이 가림막(162)을 가압하여 찢음으로써, 혈액이 반응부(120)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림막(162)은 반응액체를 함유하는 밀폐구조로 형성된 상태로 반응부(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이 가림막(162)은 체크 밸브(160a)와 반응부(120)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게 되고, 이후, 돌출핀(161)이 가압 시 상기 가림막(162)이 터지면서 반응액체를 배출하는 동시에 혈액이 유입되는 통로를 개방하 게 된다.
상기 카테터(141)의 말단부에는 실린더부(130)가 설치되어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의 압력을 이용해 카테터(141) 및 삽입관(140)을 혈관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130)는 공급관(110)과 하우징(15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피스톤(131)과, 상기 피스톤(131)과 연결막대(132)로 연결되되 카테터(141)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플런져(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스톤(131) 및 플런져(133)는 연결막대(132)에 의해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반응부(120)에서 산소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산소는 배출홀(122)을 통하여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간(151)으로 유동된 후, 상기 실린더부(130)의 피스톤을 가압하게 된다. 이후 이러한 압력에 의해 실린더부(13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우징(150)이 밀려나게 되며, 상기 하우징(150)을 고정시킨 경우에는 실린더부(130)와 연결된 카테터(141)가 혈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테터(141) 및 삽입관(140)은 자동적으로 혈관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피스톤(131)의 이동 경로가 되는 공급관(110)의 외측 또는 하우징(150)의 내측에는 스토퍼(180)가 장착되어 피스톤(131)이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는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톤(131)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는 삽입관(140)이 혈관을 이탈하거나 지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80)는 삽입관(140)이 이동하기 전 상태의 피스톤(131)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거리는 삽입관(140)의 최대 전진 길이가 되며 삽입관(14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느다란 삽입관(140)을 사용하는 카테터에서 스토퍼(180)와 피스톤(131)의 거리는 약 1cm, 상대적으로 굵은 삽입관(140)을 사용하는 카테터에서 그 거리는 약 1.5cm 내외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작동도이다.
우선,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관(140) 및 삽입관(140)에 의해 감싸진 니들(100)의 제 1 종단부가 스킨을 뚫고 혈관에 삽입 되면, 혈액이 혈관으로부터 니들(100)을 통해 공급관(110)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니들(100)이 삽입되는 혈관이 정맥인 경우 직선형의 공급관(110)을 사용하고, 동맥인 경우 나선형의 공급로(111)가 추가 설치된 공급관(110)을 사용함으로써, 혈액의 압력에 따라 혈액이 반응부(120)로 들어오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관(110)을 따라 유입된 혈액(200)은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60)를 지나 반응부(120)로 공급되어 반응부(120)에 포함된 과산화수소수와 반응함으로써, 산소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공급관(110) 및 반응부(120) 사이에는 볼 타입, 고무 튜브 타입 등의 체크 밸브(160)를 장착하여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가 공급관(110)을 통하여 혈관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반응부(120)에서 발생한 산소에 의해 하우징(150) 및 피스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하우징(150)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131)은 혈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스톤(131)과 연결막대(132)로 연결된 플런져(133)는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져(133)에 장착된 카테터(141) 및 삽입관(140)은 혈관 방향으로 전진하여 혈관으로 더욱 깊이 삽입된다.
이때, 삽입관(140)은 니들(100)과 삽입관(140)이 혈관에 처음 삽입되었을 때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삽입되되,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관(140) 전진 시 혈관 내벽을 따라 안정적인 삽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관(140) 및 카테터(141)로부터 니들(100), 하우징(150) 등이 일체로 형성된 바디를 이탈시키고, 지속적인 동맥혈압의 측정, 동맥혈 가스분석, 정맥 혈액 채취, 수액 공급 등의 동, 정맥 혈관과 관련된 의료 행위를 실시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니들(100)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을 이용하여 니들(100)이 삽입된 삽입관(140)을 혈관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전진시킴으로써, 삽입관(140)이 혈관 속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혈관에 삽입된 삽입관(140)을 통해 수술실과 중환자실에서의 지속적인 동맥혈압의 측정과 동맥혈 가스분석이 용이해지고 정맥혈에서는 혈액 및 기타 수액이 제대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개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a, 3b, 3c는 종래 일반적인 혈관 카테터의 혈관삽입 실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개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다른 실시 예 개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의 상세 개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의 개시도.

Claims (14)

  1. 카테터의 선단부에 장착된 삽입관을 혈관 내로 삽입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상기 공급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2. 카테터의 선단부에 장착된 삽입관을 혈관 내로 삽입시키는 장치로서,
    삽입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니들;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일 종단이 상기 니들의 일 종단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 내에 배치된 공급로;
    상기 공급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 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는 그 내부 유동로가 나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막대로 연결되되,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연결 장착되는 플런져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과 하우징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반응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반응부내에서 발생된 기체가 공급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에는 반응부를 향하여 연장된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체크 밸브와 반응부 사이에는 가림막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내면에는 체크 밸브를 향하여 유입되는 혈액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입 제어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유입 제어 턱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밸브 본 체 및 밸브 본체와 반응부에 각각 연결되며, 본체와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밸브 본체의 단면 형상이 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유입 제어 턱에 의해 형성된 유입로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일부 영역은 고무 튜브로 형성되어, 팽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11. 혈관에 삽입되는 제 1 종단 및 제 2 종단을 갖는 니들;
    내부 통로에 상기 니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삽입관;
    선단부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혈액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 공급관;
    선단부에 상기 삽입관이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니들의 제 2 종단부가 수용 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상기 공급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상기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삽입 혈관 카테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막대로 연결되되,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연결 장착되는 플런져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과 하우징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과 반응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반응부내에서 발생된 기체가 공급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14. 카테터의 선단부에 장착된 삽입관을 혈관 내로 삽입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삽입관의 내부 통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삽입관의 외부로 노출된 제 1 종단의 둘레면에 혈액이 유입되는 바늘구가 형성된 니들;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실린더부;
    상기 공급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반응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부와 반응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반응부 내에서 유입된 혈액과 반응액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실린더부와 반응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실린더부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와 연결된 카테터를 혈관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KR1020080080838A 2008-08-19 2008-08-19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KR10101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38A KR101010225B1 (ko) 2008-08-19 2008-08-19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38A KR101010225B1 (ko) 2008-08-19 2008-08-19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56A KR20100022256A (ko) 2010-03-02
KR101010225B1 true KR101010225B1 (ko) 2011-01-21

Family

ID=4217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838A KR101010225B1 (ko) 2008-08-19 2008-08-19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97A (ko) 2018-03-22 2019-10-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59B1 (ko) 2014-06-23 2016-03-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액선 카테터 및 이를 갖는 타액선 시술 키트
KR102163628B1 (ko) 2015-11-18 2020-10-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액선 카테터와 타액선 시술 키트와 타액선 소공 확장기와 타액선 도관 확장기 및 확장기 세트
KR102213149B1 (ko) * 2019-04-18 2021-02-05 충남대학교병원 혈관 확인이 용이한 정맥카테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175A (en) 1977-01-28 1978-08-22 Orton Dale W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US5312361A (en) 1991-09-13 1994-05-17 Zadini Filiberto P Automatic cannulation device
KR20040039358A (ko) * 2001-09-14 2004-05-10 프로모네사 에스.에이. 카테터와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175A (en) 1977-01-28 1978-08-22 Orton Dale W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US5312361A (en) 1991-09-13 1994-05-17 Zadini Filiberto P Automatic cannulation device
KR20040039358A (ko) * 2001-09-14 2004-05-10 프로모네사 에스.에이. 카테터와 이의 사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97A (ko) 2018-03-22 2019-10-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56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30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jecting media contrast
JP5023121B2 (ja) 薬剤供給用流体制御装置
US6520937B2 (en) Fluid injection device
JP4660589B2 (ja) 流体製剤を投与する投与装置
JP6138921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KR101010225B1 (ko)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JP2009219929A (ja) ルアー受領血管アクセスシステム
US7445604B2 (en) Blood sampling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10369981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air and backflow elimination
CN111225709A (zh) 危险药液注入用冲洗装置及危险药液注入装置
JP2009532151A (ja) 薬剤を高圧により送達するための無針注射システム
WO2005051464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用注射針
JP4132454B2 (ja) 動脈穿刺針のハブ
JPS61162956A (ja) リ−クバル−ンカテ−テル
JPH1134220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20220902A1 (en) Inner diameter measurement instrument and priming method therefor
JP2015136524A (ja) 医療用体外回路との接続に利用される留置針
WO2004108192A1 (ja) 薬液供給制御方法、その方法に使用する薬液供給制御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薬液投与セット
KR102246870B1 (ko) 지혈 밸브 장치
JP6719546B2 (ja) 薬剤注入カテーテルおよび薬剤注入システム
RU2785614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инъец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и обеспечения слежения за местом инъекции перед инъекцией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и шприц,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насадку
CN110720970B (zh) 一种动脉留置针
KR102245714B1 (ko) 지혈 밸브 장치
JP2002272853A (ja) 留置針セット
CN214805216U (zh) 一种新型肝内外门静脉造影管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