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297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297A
KR20190111297A KR1020180033247A KR20180033247A KR20190111297A KR 20190111297 A KR20190111297 A KR 20190111297A KR 1020180033247 A KR1020180033247 A KR 1020180033247A KR 20180033247 A KR20180033247 A KR 20180033247A KR 20190111297 A KR20190111297 A KR 20190111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holder
catheter
tub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975B1 (ko
Inventor
김홍립
강태영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가상의 중심을 가지며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 그리고 상기 가상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피부를 관통하여 혈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중심은 상기 피부를 기준으로 4°내지 7°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혈관, 소화관, 요관 등의 인체 관상 기관에 삽입되어, 인체내의 병변관찰, 약물주입 또는 협착된 내강들을 확장시키는 등의 다양한 치료 및 검사 또는 처치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용 도관이다.
카테터는 관상 기관(이하, 혈관이라 함)에 삽입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된 홀더를 포함한다. 홀더의 형상에 의해 튜브가 혈관에 삽입될 때 삽입 각도가 20°이상 되면서 혈관을 관통하거나 튜브의 단부가 혈관 내부둘레에 박히어 수액이 혈관으로 주입되지 않았다.
또한, 튜브가 혈관에 삽입되었다 하더라도 홀더 테이핑 시 홀더가 피부방향으로 눌리게 되면서 튜브와 홀더의 연결부분에 부하가 발생한다. 이에 홀더와 튜브의 연결 부분이 꺾임에 매우 취약하며, 특히 튜브가 혈관 삽입 각도가 커서 꺾이기가 쉽다. 튜브가 꺾이게 되면 수액이 혈관에 주입되지 못한다. 튜브가 혈관에 삽입되었더라도 작은 움직임에도 튜브가 빠지게 되었다.
그리고 튜브가 혈관에 삽입되면 빠지지 않도록 홀더를 피부에 테이핑한다. 이때 홀더와 피부의 접촉면적이 협소하여 홀더를 피부에 고정하기 어려웠으며 홀더가 접하고 있는 피부표면 밑 정맥 부분이 집중적으로 압박되어 부종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부종은 홀더가 정맥을 따라서 위치하게 되고 그 부분을 압박하게 되면서 동맥을 통해 말초혈관으로 갔던 혈액이 압박에 의해 눌려 회수되지 못해 홀더가 위치한 부분에 발생한다.
공개특허 제10-2011-0006438호 (2011.01.20.) 등록특허 제10-1010225호 (2011.01.17.)
본 발명은 혈관에 삽입이 용이하고 피부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가상의 중심을 가지며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 그리고 상기 가상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피부를 관통하여 혈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중심은 상기 피부를 기준으로 4°내지 7°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상기 피부와 접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가상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받침대 상면에서 돌출된 지지부재 및 상기 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막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받침대 상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받침대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상면에는 복수의 접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접힘홈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접힘홈은,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접힘홈은,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방향 접힘홈 및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방향 접힘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 접힘홈과 상기 제2 방향 접힘홈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상기 받침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 주변을 감싸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와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체를 감싸며 신축성을 갖는 고정띠, 그리고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띠 타단이 걸리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가 삽입되는 피부를 기준으로 4°내지 7°각도로 경사져 있어 홀더가 피부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튜브를 혈관으로 삽입하면 튜브는 피부의 피하지방을 통과하여 혈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와 연결된 마개 또는 수액 줄을 지지부재가 지지하고 있어 마개 또는 수액 줄을 들뜨지 않는다. 이에 테이핑 시 마개 또는 수액 줄이 피부방향으로 눌리지 않아 튜브와 홀더가 연결된 부분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재에 홀더와 연결된 수액 줄이 결속되므로 홀더 주변의 수액 줄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카테터 주변에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마개 또는 수액 줄은 홀더와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에 의해 테이핑을 위한 테이프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카테터의 사용성이 높고 피부표면에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접힘홈에 의해 강도를 갖는 받침대가 실리콘과 같이 자유롭게 휘어지므로 피부표면에 보다 안전적으로 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을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홀더(10) 및 튜브(20)를 포함한다.
홀더(1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피부와 접할 수 있다. 홀더(10)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10)는 가상의 중심(13)을 가지며 외부둘레에는 피부와 접하는 평면(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상의 중심(13)은 평면(12)을 기준으로 4°내지 7°각도(D)로 경사져 있다. 삽입홈(11)의 중심과 가상의 중심이 일치하여 삽입홈(11)은 홀더(10) 내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0)의 평면(12)은 생략될 수 있다. 홀더(10)는 기설정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튜브(2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가상의 중심(13)에 위치하여 일측이 홀더(10) 타측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피부표면(S)을 관통하여 혈관으로 삽입될 수 있다. 튜브(20) 또한 가상의 중심(13)과 동일하게 평면(12)을 기준으로 4°내지 7°각도로 경사져 있다. 즉, 튜브(20)는 피부를 기준으로 4°내지 7°각도로 경사져 있다. 튜브(20) 내부로 강도를 갖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고 평면(12)이 피부와 접한 상태에서 튜브(20)의 타측은 피부의 피하지방을 통과하여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13)이 피부를 기준으로 4°미만일 경우 튜브(20)의 타측이 혈관 위치까지 삽입되지 못하고 피하지방에 위치하게 되며 7°초과할 경우 튜브(20)의 타측이 깊숙하게 삽입되어 혈관을 관통할 수 있다.
튜브(20)가 혈관에 삽입되면 홀더(10)로 수액 줄이 연결될 수 있고 수액은 삽입홈(11) 및 튜브(20)를 유동하여 혈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마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30)는 홀더(10)에 수액 줄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홀더(10)에 결합되어 튜브(20) 및 삽입홈(11)으로 유입된 혈액 응고를 방지하고 삽입홈(11) 내부로 이물질 따위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삽입홈(11)을 막는다.
마개(30)는 홀더(10) 일측에 위치하여 전방은 홀더(10)에 결합되어 있고 후방은 홀더(1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마개(30)는 삽입홈(11)을 이루는 홀더(10) 외부둘레에 결합되어 있다. 즉, 홀더(10)의 일측이 마개(3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마개(30)의 전방부분이 삽입홈(11)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마개(30) 후방 외부둘레는 피부와 마주한다. 마개(30) 후방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한편, 마개(30)의 외부둘레 일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개(30)의 평면은 피부와 접한다. 삽입홈(11)에 결합된 마개(30)는 피부로부터 들뜨지 않는다.
만약, 마개(30)가 들뜨면 카테터(1)를 피부에 고정하기 위해 테이핑할 때 마개(30) 후방이 눌리게 되며 홀더(10)의 타측이 들뜨다. 튜브(20)가 피부에 삽입되어 있어 튜브(20)와 홀더(10)가 연결된 부분이 휘어지게 되면서 수액이 튜브(20)를 유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마개(30)가 피부와 접하고 있어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수액은 튜브(2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을 Ⅵ-Ⅵ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홀더(10), 튜브(20), 마개(30) 및 받침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10), 튜브(20) 및 마개(30)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튜브 및 마개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받침대(4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면에는 홀더(10)가 위치하고 하면이 곡면상태인 피부표면에 전체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카테터(1)는 고정위치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곡면의 곡률은 카테터(1)가 고정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홀더(10)는 받침대(40) 상면을 벗어나지 않는다. 받침대(40)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지지부재(5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재(50)는 가상의 중심과 일치하여 홀더(10) 후방에서 받침대(40)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재(50)는 받침대(40)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0)는 홀더(10)에 결합된 마개(30) 후방을 지지하여 마개(30) 후방과 받침대(40) 사이가 들뜨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마개(30)의 외부둘레 일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 경우 지지부재(50)는 생략되며, 이때 마개(30)의 평면은 지지부재(50) 상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50)는 홀더(10)에 수액 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수액 줄을 지지한다. 이에 마개(30) 또는 수액 줄 테이핑 시 마개 또는 수액 줄은 피부방향으로 눌리지 않아 튜브와 홀더의 연결부분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결속부재(60)를 더 포함한다.
결속부재(60)는 받침대(40) 상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어 있다. 결속부재(60)의 개수는 카테터(1)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속부재(60)는 내부를 관통하고 외부둘레 일부분이 생략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10)와 연결된 수액 줄(L)은 결속부재(60)의 생략된 부분을 통해 결속부재(60)에 끼워져 결속된다. 홀더(10) 주변의 수액 줄(L)은 움직이지 않고 카테터(1) 상면에 고정된다. 결속부재(60)는 수액 줄(L)이 끼워질 때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하여 수액 줄(L)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는 접착층(70)을 더 포함한다.
접착층(70)은 받침대(40) 하면에 형성되어 피부표면에 접하며 카테터(1)를 피부표면에 고정한다. 이에 카테터(1)를 피부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테이핑 과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접착층(70)은 이형지(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보호되어 있으며, 이형지는 카테터(1)를 피부표면에 고정할 때 제거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받침대 상면에 접힘홈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받침대(40)의 상면에는 하면 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접힘홈(80)이 형성되어 있다. 접힘홈(80)을 기준으로 받침대(40)가 휘어질 수 있도록 접힘홈(80)의 깊이는 받침대(40) 두께 1/2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힘홈(80)은 브이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힘홈(80)을 브이홈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테터(1)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접힘홈(80)은 받침대(40)의 제1 ??향(Y)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다. 접힘홈(80)에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받침대(40)는 제2 방향으로 휘어짐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에 플라스틱의 받침대(40)가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실리콘과 같이 자유롭게 휘어지므로 신체 다양한 부위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더 참고하면, 접힘홈(80)은 받침대(40)의 제1 ??향(Y)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방향 접힘홈(81)과 받침대(40)의 제2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방향 접힘홈(82)을 포함한다. 제1 방향 접힘홈(81)과 제2 방향 접힘홈(82)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한다. 그러나 제1 방향 접힘홈(81)과 제2 방향 접힘홈(82)은 사선 형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방향 접힘홈(81)과 제2 방향 접힘홈(82)에 의해 받침대(40)는 제1 ??향(Y)과 제2 방향(X)으로 휘어짐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에 받침대(40)가 신체 피부표면을 따라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어 피부표면에 안정감 있게 접촉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홀더(10)와 연결된 마개(30) 또는 수액 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고정부재(90)는 홀더(10) 일측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90)는 고정띠(91) 및 클립(92)을 포함한다.
고정띠(91)는 기설정된 길이와 넓이를 가지며 신축성을 갖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띠(91) 일단은 받침대(40) 상면과 연결되어 홀더(10) 일측과 홀더(10)와 연결된 마개(30) 또는 수액 줄(L)을 덮어 감싼다. 고정띠(91) 타단에는 걸림홈(911)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92)은 홀더(10) 일측을 사이에 두고 고정띠(91) 일단과 마주하며 하부측이 구부러져 있다. 클립(92)의 구부러진 상단에 고정띠(91)의 타단이 걸림홈(911)을 통해 걸릴 수 있다. 클립(92)은 고정띠(91) 타단이 걸릴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띠(91)가 클립(92)에 걸리면 늘어나 홀더(10)와 연결된 마개(30) 또는 수액 줄(L)이 홀더(10)와 분리되지 않도록 눌러 고정한다. 이에 마개(30)와 수액 줄(L)은 별도의 테이핑 없이 받침대(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카테터 10: 홀더
11: 삽입홈 12: 평면
13: 가상의 중심 20: 튜브
30: 마개 40: 받침대
50: 지지부재 60: 결속부재
70: 접착층 80: 접힘홈
81: 제1 방향 접힘홈 82: 제2 방향 접힘홈
90: 고정부재 91: 고정띠
911: 걸림홈 92: 클립
L: 수액 줄

Claims (12)

  1. 가상의 중심을 가지며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 그리고
    상기 가상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있는 튜브
    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피부를 관통하여 혈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중심은 상기 피부를 기준으로 4°내지 7°경사져 있는
    카테터.
  2. 제1항에서,
    상기 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상기 피부와 접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4. 제3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5. 제3항에서,
    상기 가상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받침대 상면에서 돌출된 지지부재 및
    상기 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을 막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마개
    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6. 제3항에서,
    상기 받침대 상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7. 제3항에서,
    상기 받침대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8. 제3항에서,
    상기 받침대 상면에는 복수의 접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접힘홈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는 카테터.
  9. 제8항에서,
    상기 접힘홈은,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카테터.
  10. 제8항에서,
    상기 접힘홈은,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방향 접힘홈 및
    상기 받침대의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2 방향 접힘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접힘홈과 상기 제2 방향 접힘홈은 서로 교차하는
    카테터.
  11. 제3항에서,
    상기 받침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 주변을 감싸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12. 제11항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와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체를 감싸며 신축성을 갖는 고정띠, 그리고
    상기 받침대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띠 타단이 걸리는 클립
    을 포함하는
    카테터.
KR1020180033247A 2018-03-22 2018-03-22 카테터 KR10211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47A KR102114975B1 (ko) 2018-03-22 2018-03-22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47A KR102114975B1 (ko) 2018-03-22 2018-03-22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97A true KR20190111297A (ko) 2019-10-02
KR102114975B1 KR102114975B1 (ko) 2020-05-27

Family

ID=6842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47A KR102114975B1 (ko) 2018-03-22 2018-03-22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981B1 (ko) 2020-08-19 2022-10-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테터 고정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38A (ko) 2009-07-14 2011-01-20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카테터용 가이드와이어 삽입장치
KR101010225B1 (ko) 2008-08-19 2011-01-21 민선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KR101511303B1 (ko) * 2014-07-09 2015-04-16 최형찬 카테터 고정장치
KR101622741B1 (ko)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의료용 튜브부재 고정장치
KR101830593B1 (ko) * 2017-01-09 2018-02-21 최형찬 카테터 안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25B1 (ko) 2008-08-19 2011-01-21 민선호 혈관 카테터 자동 삽입 장치
KR20110006438A (ko) 2009-07-14 2011-01-20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카테터용 가이드와이어 삽입장치
KR101511303B1 (ko) * 2014-07-09 2015-04-16 최형찬 카테터 고정장치
KR101622741B1 (ko)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의료용 튜브부재 고정장치
KR101830593B1 (ko) * 2017-01-09 2018-02-21 최형찬 카테터 안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75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5484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7270593B2 (ja) カテーテルアダプターのための軟質プッシュタブ
CN206630963U (zh) 组装式静脉导管装置
JP3834724B2 (ja) カテーテル固定装置
US10357636B2 (en) IV access device having an angled paddle grip
US9878129B2 (en) Infusion site retainer for maintaining infusion tubing
JPH08511972A (ja) モジュール式の要素を相互連結する支持プレート
KR20070082516A (ko) 저프로파일 주입 세트
JP2007216029A (ja) 直立型挿入安全注入セット
US20070161969A1 (en) Lock for a guide wire or an intravascular catheter
JP2018531759A (ja) 延長チューブ歪み除去
CN104602751A (zh) 针尖护罩及固定装置
US9746052B2 (en) Ret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9511935A (ja) 保護装置
US5415647A (en) Flexible, multi-grooved vascular immobilizer
KR20210057728A (ko) 카테터 안정화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N103619397A (zh) 通过成一体的固定条的导管固定装置
FR3027524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element allonge sur le corps d'un patient, necessaire de traitement et procede associe
US20180339135A1 (en) Cannula securing device
JP5854271B2 (ja) 留置針装置
KR20190111297A (ko) 카테터
KR20210134674A (ko) 에코 발생 구조를 갖는 시스 조립체.
JP2012055601A (ja) 接続補助具及びそれを備えたカテーテル装置
US6066116A (en) Adjustable intravenous injection aid
US8652107B1 (en) Article for securing a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