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619B1 -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 Google Patents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619B1
KR101009619B1 KR1020080109217A KR20080109217A KR101009619B1 KR 101009619 B1 KR101009619 B1 KR 101009619B1 KR 1020080109217 A KR1020080109217 A KR 1020080109217A KR 20080109217 A KR20080109217 A KR 20080109217A KR 101009619 B1 KR101009619 B1 KR 1010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ayer
towers
fixing membe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70A (ko
Inventor
치아-후이 리우
Original Assignee
킹 유안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 유안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 유안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4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having integrally laminated metal sheets or special power co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tallurg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탑(Power Tower)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층 인쇄 회로 기판에 있어 복수의 전원탑을 구비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각 전원탑의 핀(Pin)은 다층 인쇄 기판에 삽입되고 상기 기판 내의 전원층(Power Laye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선(Power Wire)은 동일한 전원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전원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나사 홀(Screw Hole)은 전원탑에 제공되며 전원선의 한 말단에는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단자는 전원탑과 전원선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원탑의 나사 홀에서 나사에 의해 조여지고 고정된다. 나아가, 전원선이 훼손될 경우 상기 나사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신속히 상기 전원선을 대체하기 위해 풀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원선의 표면은 전원선을 보호하고 고온에서의 산화 또는 예비 연소 과정에서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피복층이 유리섬유로 덮여 있다.
전원탑(Power Tower), 인쇄 회로 기판, 예비 연소대(Bench)

Description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Multi-layered Pre-burning Board Structure Having Power Towers}
도 1은 종래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및 예비 연소대(Bench)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예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예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8은 전원탑에 전원선을 배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다층 예비 연소 기판의 구조, 특히, 전원탑을 포함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의 구조와 관련된다.
발명의 배경
최근, 인쇄 회로 기판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인쇄 기판 기술은 단층 기판에서 복층 기판으로 진화하였을 뿐 아니라, 상기 복층 기판의 배선 밀도 또한 나날이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기판내의 단일-선(Single Wire)의 직경은 점점 얇아지고 있고, 각 선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저항의 증가 및 전위차의 증가를 초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예비 연소 기판(9)은 복수의 IC 소켓(Socket)(91, 92)을 가지며, 상기 IC 소켓(91)은 다층 예비 연소판(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IC 소켓(92)은 다층 예비 연소판(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상기 상부에 위치한 IC 소켓(91)과 상기 하부에 위치한 IC 소켓(92) 사이의 전위차는 0.1 V 이상이 된다. 따라서, 예비 연소 과정을 거친 칩들의 경우, 예비 연소 이후, 상부 말단과 하부 말단에 위치한 칩들의 품질은 다를 것이고 따라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출된 명세서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IC 소켓(91)과 IC 소켓(92)간의 전위차를 줄이기 위해 IC 소켓(91)과 IC 소켓(92) 사이의 전원층을 가로지르는 파워 바(Power Bar)(94)를 설치하였다. 상기 파워 바(94)를 설치하는 방법은 일시적으로 고온을 발생시키는 특수 도구를 이용하여 다층 예비 연소판(9)의 전원층에 파워 바(94)의 도전 플러그(Conductive Plug)를 납땜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과정은 복잡하고 또한 용이하지도 않다.
게다가, 파워 바(94)는 표면이 절연층으로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고온에서 장시간 작업하는 동안 산화가 일어나기 쉬워, 사용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상기 파워 바(94)가 훼손된 경우, 상기 파워 바(94) 전체가 특수 도구에 의해 상기 다층 예비 연소판(9)에서 제거된 후, 상기 특수 도구에 의해 새로운 파워 바(94)가 상기 다층 예비 연소판(9)에 납땜된다. 그러한 과정은 시간, 노동력 및 비용이 많이 든다.
더욱이, 상기 바워 바(94)는 표면에 절연층이 코팅되지 않았기 때문에, 만일 전도성 물체(Conductive Article)가 부주의하게 파워바(94, 95)사이에 떨어졌다면, 누전으로 인한 일시적인 고전압의 발생으로 상기 다층 예비 연소판(9) 전체와 실험용 칩(Chip)들에 화재가 발생함과 동시에 훼손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 및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은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에 각각 일치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과 함께 제공되는 다층 인쇄 회로 기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을 경유하여 다층 인쇄 회로 기판의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 및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과 일치되게 삽입되어 위치하고,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각각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특별한 간격으로 각각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 그리고 각각 양 말단에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들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 각각과 일치되게 고정되며, 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외부 피복층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회로 기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나의 다층 인쇄 회로 기판(PCB), 적어도 두개의 전원탑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을 포함하는, 전원탑들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층 인쇄 회로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과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Through Hole)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은 각각 이에 일치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Guiding hole)이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적 어도 하나의 핀을 거쳐 상기 다층 인쇄 회로 기판의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 및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들 각각은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들은 하나하나가 특정 간격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 각각은 이들의 말단에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은 상기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거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에 일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표면은 외부 피복층으로 덮여 있다.
전원탑에는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전원선에는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고, 또한 전원탑과 전원선은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 및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거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 중 하나가 훼손된 경우, 새로운 전원선이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신속히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전원선의 표면은 외부 피복층으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 전원선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예비 연소 과정 중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다층 PCB는 복수의 실험용 IC 소켓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소켓은 전원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내부 전원선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원탑 은 하나의 상부판(Top Plate)과 두 개의 측면판(Side Plate)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측면판은 각각 상부판의 두 반대편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두 측면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리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다리의 지름은 각각의 전원층의 가이드 홀의 지름보다 다소 작다.
각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나사 및 나사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 홀은 상기 상부판에 개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상기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Terminal)를 가리키며, 상기 단자에는 고정 홀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는 단자의 고정 홀에 전원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홀과 일치되게 관통된다.
각각의 전원탑은 탄성 패드(Resilient Pad)를 더 포함하며, 이는 나사와 단자 사이의 고정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각 전원선의 단자와 나사 사이에 위치한다.
각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탄성 클립과 요면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요면 부위는 상부판에 오목하게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적력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를 가리키며, 상기 단자에는 고정판이 제공되고, 두 개가 적층된 형태의 상기 고정판들은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의 요면(Recess)부위에 위치하며 탄성 클립에 의해 고정된다.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탄성 클립을 포함하며, 탄성 클립의 전면부(Front Edge)에는 말단에 후크(Hook)가 함께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 를 나타내며, 상기 단자에는 고정판이 제공되고, 상부판에 두 개가 적층된 형태의 두 고정판은 탄성클립에 의해 고정되고 후크에 의해 상부판의 측면에 걸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외부 피복층은 유리 섬유층이다. 다층 PCB는 가장자리 연결부(Edge Connector)를 포함하며, 이는 다수의 금속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금속 접촉부는 다수의 실험용 IC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는 다층 PCB의 고정을 위해 변형 가능한(Convertible) 지지대(16)를 더 포함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2,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및 예비 연소대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상기 구체예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체예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다층 예비 연소 기판(10)은 다수의 실험용 칩들(101)의 예비 연소를 위해 예비 연소대로 삽입된다. 상기 칩들(101)의 예비 연소가 완료된 후, 다층 예비 연소 기판(10)은 예비 연소대(5)에서 제거되고 다수의 칩들(101)은 다층 예비 연소 기판(10)으로부터 제거되는데, 상기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10)의 각 층은 다층 인쇄 회로 기판(1),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2)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3, 32)을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체예는 두 개의 전원탑(2)과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3,32)이 다층 인쇄 회로 기판(PCB)(1) 내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반면 전원 탑(2)들은 특히 전원 통로(Power Passage)를 형성하기 위해 특수한 간격 S로 각각 이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PCB(1)는 가장자리 연결부(15)를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연결부는 다수의 금속 접촉부(151)(소위 "황금 손가락들")를 포함하며, 각각의 금속 접촉부들(151)은 다수의 실험용 IC 소켓(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각각의 다층 예비 연소기판(10)은 상기 다층 PCB(1)를 예비 연소 대(5)에 삽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층 PCB(1)를 고정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지지대(16)를 더 포함한다.
도3 및 도4를 함께 참고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상기 구체예의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인쇄 회로 기판(1)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11)과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14)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11)은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14)에 각각 대응하기 위해 거기에 투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12)을 제공한다.
게다가, 다층 인쇄 회로 기판(1)은 주로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신호선층(Signal Line Layer)(13)을 포함하며, 각 신호선층(13)은 이에 제공되는 두 개의 스로우 홀(14)을 가지며, 여기서 각 스로우 홀(14)의 홀 지름(D2)은 전원층(11)의 각 가이드 홀(12)의 홀 지름(D1)보다 크며, 이는 전원탑(2)의 다리가 다층 예비 연소 기판(10)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신호선층(13)의 (미도시)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추측할 수 있다.
도3,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도5는 본 발명의 상기 첫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원탑(2)은 적어도 하나의 다리(221)를 갖는다. 상기 구체예에서, 4개의 다리(221)는 전원탑(2) 내에 포함되어 있고, 각 전원탑(2)은 다리(221)를 통해 다층 인쇄 회로 기판의 스로우 홀(14) 및 가이드 홀(1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각 전원탑(2)은 가이드 홀(12)에 다리(221)를 납땜하기 위해 스로우 홀(14)로 땜납을 주입함으로써 전원층(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각 전원탑(2)들은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3)의 두 말단 각각에는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30)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3)은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30)를 거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2)들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20)에 일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3)의 표면은 유리 섬유층으로 구성된 외부 피복층(31)으로 덮여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원탑(2)들은 상부판(21) 및 두 개의 측면판(22)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측면판(22)은 각각 상부판(21)의 두 반대 면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두 측면판(22)중 적어도 하나는 두 다리(221)를 가지며, 상기 각 다리(221)의 지름(D11)은 가이드 홀(12)로 다리를 삽입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각 전원층(11)의 가이드 홀(12)의 각 홀 직경(D1)보다 다소 작다.
더욱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PCB(1)는 실험용 다수의 IC 소켓이 제공되며, 각 소켓은 전원층(1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내부 전원선(41)을 포함하고 있다.
도5에서, 각 전원탑(2)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20)는 나사(23) 및 나사 홀(211)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 홀(211)은 각 전원탑(2)의 상부판(21)에 개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원선(3, 32)들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30)는 각각 단자(301 및 303)들을 나타내고, 상기 단자(301 및 303)들에는 각각 고정 홀(302 및 304)이 제공되며, 상기 나사(23)는 상기 각각의 전원탑(2)들의 나사 홀(211)에 상기 전원선(3, 32)의 단자(301,303)를 조이고 고정하기 위해 상기 단자의 고정 홀을 관통하므로 상기 전원선(3, 32)이 일반적인 스크류 드라이버로 편리하게 고정되고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전원탑(2)은 탄성 패드(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는 나사(23)와 각각의 단자(301, 302) 사이의 고정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각 전원선(3, 32)의 단자(301, 302)와 나사(23) 사이에 위치한다.
도3,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원탑(2)들은 나사 홀(211)이 제공되고, 각 전원선(3)의 한 말단은 각각 단자들(301, 302)이 제공되여, 각 전원탑(2) 및 각 전원선(3,32)들은 나사(23)에 의해 상기 단자(301,303)들을 각 전원탑들의 나사 홀(211)에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선(3,32)들 중 하나가 훼손된 경우, 전원선(3 또는 32)은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상기 나사(23)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전원선(3,32)들의 표면은 외부 피복층(31)으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선(3,32)들이 고온에서 산화 되거나, 예비 연소 과정에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을 참고하면, 상기 도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구체예에서, 전원탑(6)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60)는 탄성 클립(612) 및 요면 부위(612)를 포함하며, 상기 요면 부위(612)는 전원탑(6)의 상부판(61)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원선(7, 72)들의 각 말단에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70)는 단자(701, 703)들을 나타내며, 상기 단자(701, 703)들에는 각각 고정판(702, 704)이 제공되며, 두 개가 적층된 형태의 상기 고정판(702, 704)들은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60)의 요면 부위에 일치하여 위치하며, 또한 탄성 클립(611)에 의해 포개져서 고정되고, 상기 전원선(7, 72)들은 통상의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 편리하게 조여지고 제거될 수 있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의 전원탑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상기 구체예에서, 전원탑(8)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80)는 탄성 클립(81)과 상부판(82)을 나타내며, 전원선(7,72)들의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70)는 단자(701, 703)들 중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단자(701, 703)들 각각은 고정판(702, 704) 중 하나가 제공되며, 탄성 클립(81)의 전면부가 상기 고정판들에 끼워지고 후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702, 704)들은 상부판(82)에 두 개로 적층되고, 탄성클립(8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탄성 클립(81)을 사용하여 고정판(702,704)들의 고정력(Clamping Force)을 강화하기 위해 후크(811)에 의해 상부판(82)의 측면부(83)에 고정되어서 일반적인 수공구(Hand Tool)가 편리하게 상기 전원선(7, 72)들을 조이거나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8을 참고하면, 도8은 전원탑에 전원선을 배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전원탑과 전원선의 연결부위는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T1, T2 및 T3 배선방법이 전원탑과 전원선의 연결에 사용된다.
T1 배선방법은 제1 전원탑(840)과 제2 전원탑(841) 사이에 전원선을 연결하고, 제2 전원탑(841)과 세 번째 전원탑(842) 사이에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며, 되풀이하여 누진적으로 연결하면서 이에 의해 배선 유닛(Wiring Unit)을 형성하는 것이다.
T2 배선방법은 첫 번째 전원탑(850)과 제2 전원탑(851) 사이에 전원선을 연결하고, 첫 번째 전원탑(850)과 세 번째 전원탑(852) 사이에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며, 되풀이하여 누진적으로 연결하면서 이에 의해 배선 유닛(Wiring Unit)을 형성하는 것이다.
T3 배선방법은 첫 번째 전원탑(860)과 제2 전원탑(861) 사이에 첫 번째 전원선을 연결하고, 첫 번째 전원탑(860)과 세 번째 전원탑(862) 사이에 제2 전원선을 연결하며, 첫 번째 전원탑(860)과 네 번째 전원탑(863) 사이에 세 번째 전원선을 연결하고, 첫 번째 전원탑(860)과 네 번째 전원탑(864) 사이에 네 번째 전원선을 연결한다.
상기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청구항에 의해 청구하나, 상기 구체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IC 소켓 간의 전위차를 줄이면서도 종래 파워 바와는 달리 설치 및 제거에 비용과 시간이 들지 않는 전원탑 및 전원선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전원선의 표면은 유리 섬유로 덮여 있어 전원선을 보호하고 고온에서의 산화 또는 예비 연소 과정에서의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 및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은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에 각각 일치하여 투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이 제공되는 다층 인쇄 회로 기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을 경유하여 다층 인쇄 회로 기판의 적어도 두 개의 스로우 홀 및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홀과 일치되게 삽입되어 위치하고,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 중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특정한 간격으로 하나씩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각의 양 말단에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이 상기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원탑들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 각각과 일치되게 고정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표면은 외부 피복층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전원탑은 상부판과 두 개의 측면판을 구비하며, 각 측면판들은 상부 판의 두 반대 면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측면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나사와 나사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나사 홀은 상부판에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를 가리키고, 상기 단자에는 고정 홀이 제공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 홀에 상기 전원선을 조이고 고정하기 위해 상기 단자의 고정 홀을 통해 상응하여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탄성 클립 및 요면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요면 부위는 상부판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를 나타내며, 상기 단자에는 고정판이 제공되고, 상기 두 고정판들은 요면 부위 내에 상응하여 수용되고 탄성 클립에 의해 포개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탑의 제1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의 전면부에는 후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각 말단에 위치한 제2 제거 가능한 고정 부재는 단자를 나타내며, 상기 단자는 고정판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판들은 상기 상부판에 일치되게 적층되고, 탄성 클립에 의해 고정되며, 후크에 의해 상기 상부판의 측면부에 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의 외부 피복층은 유리 섬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탑들을 구비하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KR1020080109217A 2008-07-25 2008-11-05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KR101009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28327 2008-07-25
TW097128327A TW201006322A (en) 2008-07-25 2008-07-25 Multilayer burn-in board structure with power t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70A KR20100011870A (ko) 2010-02-03
KR101009619B1 true KR101009619B1 (ko) 2011-01-21

Family

ID=4173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17A KR101009619B1 (ko) 2008-07-25 2008-11-05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74091B2 (ko)
KR (1) KR101009619B1 (ko)
TW (1) TW2010063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9240B (zh) * 2019-01-07 2020-03-21 新賀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獨立大電流供應層之預燒板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557A (ja) *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ーンインボード
JP2005156407A (ja) * 2003-11-27 2005-06-16 Espec Corp バーンイン基板、およびバーンイ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557A (ja) *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ーンインボード
JP2005156407A (ja) * 2003-11-27 2005-06-16 Espec Corp バーンイン基板、およびバーンイ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3199B (ko) 2011-11-21
JP2010032483A (ja) 2010-02-12
TW201006322A (en) 2010-02-01
KR20100011870A (ko) 2010-02-03
JP4774091B2 (ja)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0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acts
JP2016197120A (ja) パッケージ化された半導体デバイスを試験するよう構成された高温セラミックソケット
KR101009619B1 (ko) 전원탑을 갖는 다층 예비 연소 기판 구조
TWI261389B (en) Conductor connection module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2009289447A (ja) 配線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
KR101167509B1 (ko) 프로브 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9871A (ko) 발광모듈
JP3604233B2 (ja) 検査用ヘッド
KR20170125230A (ko) 릴레이 소켓, 릴레이 소켓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보드 어셈블리
KR101011714B1 (ko) 테스트 트레이
KR200423102Y1 (ko) 단자대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
US20130137309A1 (en) Micro-connector with flatly disposed pins
KR20060069396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0831048B1 (ko) 엘이디 회로 기판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조립체
KR20070029481A (ko) 릴레이 소켓을 구비한 릴레이 실장용 인쇄회로기판
CN101644741B (zh) 具有电源塔的多层预烧板结构
US8467194B2 (en) AC adapter
KR100226572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어셈블리
JP3133087U (ja) ジャンパー線保持具
JPS6340391A (ja) 表面実装プリント配線板
JPS62257072A (ja) バ−ンイン装置
KR101228528B1 (ko) 전기 통전 부품 및 제조 방법
KR200352764Y1 (ko) 2열 통전 처리된 터미널을 갖는 만능기판
KR200385625Y1 (ko) 반도체 번인 테스트용 커넥터 보드
KR20140021890A (ko) 도전 검사용 프로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