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485B1 - 게이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게이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485B1
KR101008485B1 KR1020090049625A KR20090049625A KR101008485B1 KR 101008485 B1 KR101008485 B1 KR 101008485B1 KR 1020090049625 A KR1020090049625 A KR 1020090049625A KR 20090049625 A KR20090049625 A KR 20090049625A KR 101008485 B1 KR101008485 B1 KR 10100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ball
inner diameter
groov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884A (ko
Inventor
백이용
Original Assignee
대주정공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정공 (주) filed Critical 대주정공 (주)
Priority to KR102009004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48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 G01D5/16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by relative movement of a point of contact or actuation and a resistive t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블록의 피스톤 홈과 같은 구멍의 내경 및 깊이와 같은 가공 치수를 한번에 검사 가능한 게이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는, 측정제품의 홈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내경게이지(1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측정제품의 홈 내부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볼(200)과;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200)이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볼커버(3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20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입게이지(4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재료비의 절감을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실린더, 게이지, 측정, 검사

Description

게이지 어셈블리{Gauge assembly}
본 발명은 게이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블록의 피스톤 홈과 같은 구멍의 내경 및 깊이와 같은 가공 치수를 한번에 검사 가능한 게이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굴착기나 산업기계 그리고, 에어콘 등 다양한 기기에는 유압펌프와 모터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압펌프나 모터(선회모터 등)에는 피스톤(piston)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 블록이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은 실린더 블록의 피스톤(piston) 홈의 내경 크기와 내부의 단차 깊이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절개한 다음, 내경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로트(LOT)작업시 시작품 1개를 가공한 다음, 이를 3차원 측정으로 측정하여 내경 및 단차 형성위치를 검사하거나, 제품을 절개하여 내경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측정 방법에 의하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이 작업 전에 시작품을 먼저 가공한 다음, 이를 절개하여 측 정하고 폐기처분하게 되므로 재료의 낭비는 물론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그리고, 작업 중 공구의 파손이나 교체시에도 다시 시제품을 절개하여 검사하여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재료 및 시간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3차원 측정이나 제품 절개는 제품 모두를 검사할 수 없다. 즉, 100% 전수검사가 불가능하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피스톤 홈을 측정하기 위한 맞춤형 게이지(gauge)가 없으므로, 숙련된 기술자나 고(高)기능자가 아니면, 검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을 절개하지 않고도 홈 내부의 내경 크기와 단차 위치 등을 간편하게 검사 가능한 게이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는, 측정제품의 홈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내경게이지와; 상기 내경게이지의 일단에 구비되며, 측정제품의 홈 내부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볼과; 상기 내경게이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이 내경게이지의 일단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볼커버와; 상기 내경게이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입게이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게이지 어셈블리는, 내경게이지와 볼 그리고 삽입게이지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 홈의 내경과 단차 위치 등 다수의 수치가 동시에 측정 가능하므로 검사 능률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품을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의 낭비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게이지 어셈블리에 의하면, 작업 중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속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품 검사시 공정을 멈출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수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는, 내경게이지의 삽입과 삽입게이지의 삽입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품 측정이 가능하므로, 숙련된 측정자가 아닌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다. 즉, 저(低)기능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품의 절개가 불필요함은 물론, 검사 방법이 간단하여, 전수(100%)검사도 가능하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의 구성이 부분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와 도 2b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경게이지의 부분 절개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와 도 3b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볼커버의 정면도와 좌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삽입게이지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는, 측정제품의 홈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내경게이지(1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측정제품의 홈 내부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볼(200)과,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200)이 내경게이지(100)의 일단 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볼커버(3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20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입게이지(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경게이지(100)는, 실린더 등과 같은 측정제품의 피스톤 홈 내경 크기 및 단차 위치의 깊이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게이지(gauge)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경게이지(100)는, 제품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측정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1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10)는, 측정시 제품의 홈 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내경게이지(100)는 전체적으로 약 87.2mm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 상기 삽입부(110)는 약 67.2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삽입부(110)의 좌측(도 2a에서)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부(120)의 외면에는 측정자(사람)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고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격자무늬의 엠보싱(embossing) 등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삽입부(110)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110)는 중앙 부분의 몸체부(112)와, 끝단 부분의 선단부(114) 등으로 나누어져 단차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부(120)의 우측단(도 2a에서)에는 외경 크기가 약 24mm(Ø24)가 되는 몸체부(112)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몸체부(112)의 우측단(도 2a에서)에는 외경 크기가 약 23.5mm(Ø23.5)가 되는 선단부(114)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0)에는, 상기 볼(200)이 안착되는 볼안착홈(116)과, 제품의 홈 내부에 형성된 단차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차홈(118)이 구비된다.
상기 볼안착홈(116)은, 상기 삽입부(110)의 선단부(114) 우측단(도 2a에서) 형성되며, 이러한 볼안착홈(116)의 반지름 크기는 약 3.5mm(R 3.50)이다.
상기 볼안착홈(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도 2a에서)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볼안착홈(116)의 우측은 상기 볼커버(300)에 의해 감싸여진다.
상기 내경게이지(100)에는,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내측홀(13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도시(도 2a에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부 중앙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내측홀(130)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홀(130)의 크기는 약 12.5mm로 상기 삽입부(110) 외경 크기의 약 1/2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볼안착홈(116)은, 상기 내측홀(130) 외측으로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홀(130)의 상하좌우에 4개의 볼안착홈(11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차홈(118)은, 제품의 홈 내부에 형성된 단차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삽입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110)의 우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삽입 부(110)의 선단부(114) 우측(도 2a에서)으로부터 약 66.70mm 거리에 약 0.6±0.01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약 0.25mm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단차홈(118)은, 상기 삽입부(110)의 우측단으로부터 약 66.70mm에서 67.30mm 사이에 형성되며, 소정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우측면(도 2a에서)에는 다수의 체결홈(14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40)은, 상기 볼트(접시머리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체결홈(140)에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볼커버(300)가 내경게이지(100)의 우측단(도 2a에서)에 결합된다.
상기 볼커버(300)는, 상기 내경게이지(100)에 볼트(접시머리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볼(2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선단부(114) 우측(도 2a에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볼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커버홀(3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310)은 상기 삽입게이지(400)의 선단부분이 관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홀(310)의 내경 크기는 상기 내측홀(130)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즉, 약 12.55mm(Ø12.55)의 내경 크기를 가진다.
상기 볼커버(300)에는 볼홈(320)도 더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홈(320)은 상기 볼안착홈(116)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볼안착홈(116)과 볼홈(320)에 의해 볼(200)의 좌,우측이 감싸여진다.
상기 볼커버(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홀(330)이 더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330)은, 상기 볼커버(300)가 내경게이지(10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홀(330)에는 볼트(접시머리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볼안착홈(116)과 볼홈(320) 사이에는 구(球) 형상의 볼(200)이 구비된다. 상기 볼(200)은, 강구(剛球)로 이루어지며 Ø6.00±0.005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볼(200)은, 상기 볼안착홈(116)에 수용된 상태로 내,외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볼(200)은 상기 볼안착홈(116)과 볼홈(320) 사이에 안착되며, 상하로는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측홀(130)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볼(200)이 삽입게이지(40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삽입게이지(400)는,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홀(130)에 삽입되는 환봉 형상의 내부삽입부(410)와, 상기 내부삽입부(410)의 외경 및 내측홀(13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목부(420)와, 상기 목부(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측정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삽입손잡이부(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게이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도 4에서)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손잡이부(430)는 약 Ø25 정도의 외경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목부(420)는 약 Ø17.5 정도의 외경을 가지며 약 8m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목부(420)의 우측면(도 4에서)은 밀착면(422)을 형성하며, 이러한 밀착면(422)이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좌측면(도 1 및 도 2a에서)과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내부삽입부(410)는, 상기 내측홀(130)에 삽입되는 것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3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내부삽입부(410)는, 상기 목부(420)로부터 우측(도 4에서)으로 연장된 입구부(412)와, 상기 입구부(412)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된 중앙부(414) 그리고 상기 중앙부(414)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된 끝단부(4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부(412)와 끝단부(416)는 약 Ø12.5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414)는 약 Ø12.25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412)는 약 31m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414)는 40mm, 상기 끝단부(416)는 20mm의 길이를 가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게이지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게이지 어셈블리는 통과측 게이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며, 이하에서도 이러한 통과측 게이지로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볼안착홈(116)과 볼커버(300)의 볼홈(320) 사이에 볼(200)을 넣은 다음, 상기 볼커버(300) 내경게이지(100)에 체결한다. 즉, 볼트(bolt)를 상기 볼커버(300)의 체결홀(330)에 삽입한 상태에서 내경게이지(100)의 체결홈(140)에 볼트(bolt)를 체결하면, 볼커버(300)가 내경게이지(1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경게이지(100)를 제품의 피스톤 홈에 삽입하여 홈 크기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에 의한 측정방법은, 입구측 내경측정단계와, 단차 위치 측정단계 및 내측 내경측정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측 내경측정단계는, 측정 제품(500)의 홈(510) 입구 부분의 크기가 설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으로, 도 5의 (a)와 같이 진행된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상기 내경게이지(100)가 제품(500)의 홈(510)에 삽입되면, 내경(Ø24)의 크기가 적어도 설계치보다 작은 크기로 가공되지 않았음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와 같이 단차부의 위치 측정을 확인하는 단차 위치 측정단계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상기 내경게이지(100)에 볼커버(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내경게이지(100)를 완전히 밀어넣는다. 즉, 내경게이지(100)를 우측(도 5에서)으로 완전히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내경게이지(100)가 우측으로 완전히 들어가서, 제품(500)의 홈(510) 입구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단차홈(118) 위치와 일치하게 되면, 홈(510) 내부의 단차 위치는 정확하게 가공된 것임을 의미한다. 즉, 제품(500)의 홈(510) 내부 깊은 곳에는 단차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차의 형성 위치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이 상기 단차 위치 측정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측정단계가 완료된 다음에는, 연이어 상기 삽입게이지(400)를 내측홀(130)에 삽입하여 상기 제품(500)의 홈(510) 내부 깊숙한 곳의 내경크기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상기 내측 내경측정단계이며, 도 5의 (c)와 같은 상태이다. 즉, 상기 삽입게이지(400)를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좌측(도 5에서)으로부터 우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내측홀(130)을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삽입게이지(400)의 목부(420) 우측단의 밀착면(422)이 내경게이지(100)의 좌측면과 밀착되면 내측 내경의 크기는 적어도 작은 크기로 가공되지는 않았다는 것이 확인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게이지(400)가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볼(200)이 삽입게이지(400)에 밀려 외측(도 5의 (c)에서는 상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볼(200)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홈(510)의 내측 깊은 곳의 내경 크기가 적어도 설계치 이상의 크기로 가공된 것임이 확인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홈 내경의 통과측 게이지 측정이 완료된다. 정지측 게이지는 상기에서 설명한 통과측게이지와 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치수가 달라질 뿐이다. 그리고, 정지측 게이지의 경우에는 통과측 게이지의 경우와 달리 게이지가 홈에 삽입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통과측과 정지측 게이지의 특성 및 작용은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정지측 게이지의 수치 구성과 사용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경게이지의 부분 절개 정면도와 우측면도.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볼커버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삽입게이지의 부분 절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내경게이지 110. 삽입부
120. 손잡이부 130. 내측홀
200. 볼 300. 볼커버
310. 커버홀 320. 볼홈
400. 삽입게이지 410. 내부삽입부
420. 목부 430. 삽입손잡이
500. 제품 510. 홈

Claims (5)

  1. 제품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측정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120)가 구비되어, 측정제품의 홈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내경게이지(1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측정제품의 홈 내부 내경을 측정하기 위한 볼(200)과;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볼(200)이 내경게이지(100)의 일단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볼커버(300)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20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삽입게이지(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110)에는,
    상기 볼(200)이 안착되는 볼안착홈(116)과, 제품의 홈 내부에 형성된 단차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단차홈(118)이 구비되고;
    상기 내경게이지(100)에는, 상기 삽입게이지(4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내측홀(13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안착홈(116)은, 상기 내측홀(130) 외측으로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200)은, 상기 볼안착홈(116)에 수용된 상태로 내,외측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삽입게이지(400)는,
    상기 내측홀(130)에 삽입되는 환봉 형상의 내부삽입부(410)와;
    상기 내부삽입부(410)의 외경 및 내측홀(13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목부(420)와;
    상기 목부(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측정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삽입손잡이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0)는,
    중앙 부분의 몸체부(112)와, 상기 몸체부(1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끝단 부분의 선단부(114)로 나누어져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게이지(400)의 선단부분이 관통되는 커버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홀(310)의 내경 크기는, 상기 내측홀(130)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커버(300)에는,
    상기 볼안착홈(116)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볼홈(3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볼안착홈(116)과 볼홈(320)에 의해 볼(200)의 좌,우측이 감싸여지고;
    상기 내부삽입부(410)는,
    상기 목부(420)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입구부(412)와, 상기 입구부(412)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입구부(41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중앙부(414)와, 상기 중앙부(414)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412)와 동일한 외경 크기를 가지는 끝단부(4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2)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우측단에 형성되며, 외경 크기가 24mm(Ø24)가 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114)는, 상기 몸체부(112)의 우측단에 형성되며, 외경 크기가 23.5mm(Ø23.5)가 되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안착홈(116)은,
    상기 삽입부(110)의 선단부(114) 우측단에 형성되며, 반지름 크기가 3.5mm(R 3.50)이고;
    상기 내측홀(130)은,
    상기 삽입부(110) 외경 크기의 1/2인 12.5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118)은,
    제품의 홈 내부에 형성된 단차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0)의 우측단으로부터 66.70mm에서 67.30mm 사이에 형성되고, 0.25mm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310)의 내경 크기는,
    상기 내측홀(130)의 내경 크기와 대응되는 12.55mm(Ø12.55)의 내경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볼(200)은,
    강구(剛球)로 이루어지며 Ø6.00±0.005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홈(116)과 볼홈(320) 사이에 안착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손잡이부(430)는 Ø25의 외경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목부(420)는 Ø17.5의 외경과 8m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부(420)의 우측면은 상기 내경게이지(100)의 좌측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밀착면(422)을 형성하며;
    상기 입구부(412)는 외경 Ø12.5 및 길이 31mm의 크기, 상기 중앙부(414)는 외경 Ø12.25 및 길이 40mm의 크기, 상기 끝단부(416)는 외경 Ø12.5 및 길이 2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지 어셈블리.
KR1020090049625A 2009-06-04 2009-06-04 게이지 어셈블리 KR10100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625A KR101008485B1 (ko) 2009-06-04 2009-06-04 게이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625A KR101008485B1 (ko) 2009-06-04 2009-06-04 게이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84A KR20100130884A (ko) 2010-12-14
KR101008485B1 true KR101008485B1 (ko) 2011-01-14

Family

ID=4350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625A KR101008485B1 (ko) 2009-06-04 2009-06-04 게이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28B1 (ko) 2017-07-06 2018-08-16 정천교 축 가공물 검사용 지지 센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518B (zh) * 2015-10-23 2018-11-02 河南省西峡汽车水泵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座体大面到锥面测量圆高度的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847A (ko) * 1995-12-13 1997-07-26 김태구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결합내경 측정장치
US20040216585A1 (en) * 2003-03-13 2004-11-04 Microsoft Corporation Generating a music snippet
JP2007333511A (ja) * 2006-06-14 2007-12-27 Nsk Ltd スプライン内径測定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847A (ko) * 1995-12-13 1997-07-26 김태구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결합내경 측정장치
US20040216585A1 (en) * 2003-03-13 2004-11-04 Microsoft Corporation Generating a music snippet
JP2007333511A (ja) * 2006-06-14 2007-12-27 Nsk Ltd スプライン内径測定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28B1 (ko) 2017-07-06 2018-08-16 정천교 축 가공물 검사용 지지 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884A (ko)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8156B2 (ja) 歯科技術的な成形部分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および該成形部分を製作する方法
AU2004323338B2 (en) Calibrating device
CN106795904B (zh) 紧固件
CN202361926U (zh) 集成环规
CN104180742B (zh) 一种断路器保持扣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008485B1 (ko) 게이지 어셈블리
US20140290813A1 (en) Tread profile of a pneumatic vehicle tire with an indicator for regrooving the profile
CN106643374A (zh) 一种检测工件内孔半梯形环槽位置的专用检具
US8387267B1 (en) Tools and methods for locating a blind hole
CN203274642U (zh) 一种测量小孔内环槽直径的塞规组件
CA2752607C (en) Test gauge
CN205175272U (zh) 一种检测工件内孔半梯形环槽位置的专用检具
ES2339290T3 (es) Dispositivo de medicion para una pluralidad de secciones de tubos.
US20180095006A1 (en) Method for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JP2007302413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シーブ溝測定装置
RU2496629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режущих кромок сборных многолезвий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KR101571892B1 (ko) 머시닝센터에 부착 적용되는 무선 송수신을 이용한 불량진단 모듈
KR200170682Y1 (ko) 체크밸브용 밸브자리의 테이퍼 측정장치
US11009485B2 (en) Method of identifying and removing surface irregularities before ultrasonic inspection and device for identifying surface irregularities
CN201413105Y (zh) 内孔游标卡尺
KR102346012B1 (ko) 체인 진단 장치 및 방법
CN212674037U (zh) 深孔角度检具
CN214923629U (zh) 用于检测t型刀加工部位的安全检具
CN213543430U (zh) 一种内沟槽距离检测系统
CN214333633U (zh) 一种快速检测零件内孔轮廓度的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