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331B1 - 회전식 책장 - Google Patents

회전식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331B1
KR101008331B1 KR1020080082865A KR20080082865A KR101008331B1 KR 101008331 B1 KR101008331 B1 KR 101008331B1 KR 1020080082865 A KR1020080082865 A KR 1020080082865A KR 20080082865 A KR20080082865 A KR 20080082865A KR 101008331 B1 KR101008331 B1 KR 10100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rail
body housing
main bod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149A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08008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3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trays revolving on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2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레일에 장착된 책꽂이부가 상호 걸리지 않고 회전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있는 원하는 책을 책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살펴보고 꺼낼 수 있는 회전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책장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레일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다수개의 책꽂이부와; 스위치를 누를 때 상기 책꽂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책꽂이부가 배치되지 않은 회전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꽂이부를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칸부로 이동시켜 상기 책꽂이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책장, 레일, 책꽂이, 센서

Description

회전식 책장 { ROTARY TYPE BOOKCASE }
본 발명은 회전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레일에 장착된 책꽂이부가 상호 걸리지 않고 회전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있는 원하는 책을 책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살펴보고 꺼낼 수 있는 회전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책을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거나 정리하기 위하여 책장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책장은 여러 단으로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단에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비교적 많은 분량의 책을 정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서관이나 서점 등에서는 많은 분량의 책을 정리해놓기 때문에 책장의 높이가 높아지고, 높은 곳에도 책을 꽂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어린이 등 키 작은 사람은 책장의 위쪽에 있는 책을 꺼내 보기가 불편하여, 도서관이나 서점 등에서 의자를 가져다가 의자 위에 올라가서 꺼내거나, 키가 큰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꺼내는 등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너무 낮은 곳에 있는 책을 살펴보고 꺼낼 때에도 몸을 최대한 낮춰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레일에 장착된 책꽂이부가 상호 걸리지 않고 회전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있는 원하는 책을 책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살펴보고 꺼낼 수 있는 회전식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책장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레일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다수개의 책꽂이부와; 스위치를 누를 때 상기 책꽂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책꽂이부가 배치되지 않은 회전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꽂이부를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칸부로 이동시켜 상기 책꽂이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책꽂이부의 뒷면에는 걸림돌기가 장착되고, 상기 레일에는 다수개의 가동돌기가 장착되되, 상기 책꽂이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가동돌기에 걸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걸림돌기의 저면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와 경사면은 상기 책꽂이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꺽쇠결합한다.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책꽂이부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책꽂이부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가 되면 상기 회전칸부로 인식하고 상기 책꽂이부를 상기 회전칸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식 책장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책꽂이가 회전하기 때문에 높은 곳에 있는 책을 중간 위치로 가져올 수 있으므로 어린이도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책을 꺼낼 수 있다.
둘째, 노약자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도 높은 곳에 있는 책을 쉽고 간편하게 꺼내 볼 수 있다.
셋째, 위의 효과와 반대로 너무 낮은 곳에 있는 책 또한 책꽂이를 회전시켜 중간위치로 올린 후에 편하게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책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레일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측에 있는 책꽂이부가 이동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2레일의 작동으로 인하여 좌측에 있는 책꽂이부가 이동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주요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책꽂이부의 양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책장은, 본체하우 징(100)과, 레일(210,220,230,240)과, 구동부와, 책꽂이부(300)와, 제어부(500)와, 센서(810,820,830,8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상면과 하면과 좌측면과 우측면과 배면으로 이루어지고, 정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면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좌측, 우측, 상측, 하측 부분에 상기 레일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책장의 외곽틀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개방된 정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책꽂이부(300)가 삽입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면과 하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각각 상기 센서(810,820,830,840)가 장착되어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810,820,830,840)는 제1센서(810)와, 제2센서(820)와, 제3센서(830)와, 제4센서(8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센서(81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우측면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 수평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제2센서(82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면 좌측 부분에 장착되고, 좌측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제3센서(83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좌측면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 수평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제4센서(84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하면 우측 부분에 장착되고, 우측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배면 내부에는 상기 레일(210,220,230,240)이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레일(210,220,230,240)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210,220,230,240)은 제1레일(210)과, 제2레일(220)과, 제3레일(230)과, 제4레일(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일(21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레일(22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좌측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3레일(23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4레일(24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우측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레일(210,220,230,24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미도시)와 기어(261)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261)는 상기 레일(210,220,230,24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레일(210,220,230,24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레일(210,220,230,24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261)에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210,220,230,24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배면에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 각각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각각의 상기 레일공(110)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레일(210)과, 제2레일(220)과, 제3레일(230)과, 제4레일(240)의 일부는 각각 상기 본체하우징(100)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10,220,230,24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가동돌기(710,720,730,740)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돌기(710,720,730,740)에는 경사면(711,721,731,741)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돌기(710,720,730,740)는 제1가동돌기(710)와, 제2가동돌기(720)와, 제3가동돌기(730)와, 제4가동돌기(7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동돌기(710)는 상기 제1레일(210) 위에 다수개로 장착되고, 상기 제1가동돌기(710)의 우측면 즉 상기 제1레일(210)의 회전방향으로 제1경사면(7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711)은 상기 제1가동돌기(710)가 돌출되면서 확장됨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가동돌기(720)는 상기 제2레일(220) 위에 다수개가 장착되고, 상기 제2가동돌기(720)의 상면 즉 제2가동돌기(720)의 돌출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721)이 형성된다.
상기 제3가동돌기(730)는 상기 제3레일(230) 위에 다수개가 장착되고, 상기 제3가동돌기(730)의 좌측면 즉 상기 제3레일(230)의 회전방향으로 제3경사면(731)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경사면(731)은 상기 제3가동돌기(730)가 돌출되면서 확장됨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4가동돌기(740)는 상기 제4레일(240) 위에 다수개가 장착되고, 상기 제4가동돌기(740)의 상면에는 상기 제4가동돌기(740)의 돌출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4경사면(741)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꽂이부(300)는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에는 상기 가동돌기(710,720,730,740)에 대응되는 걸림돌기(600)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돌기(600)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부, 좌측, 우측에 각각 경사부(6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600)의 저면은 하향 경사지고, 상면은 상향 경사지고, 좌측면은 좌측방향으로 경사지고, 우측면은 우측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부(610)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레일(210) 위에 위치하는 상기 책꽂이부(300)가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600)의 상기 경사부(610)가 상기 제1경사면(711)과 꺽쇠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책꽂이부(300)가 이동할 때, 상기 제1레일(210) 위에서는 상기 경사부(610)의 좌측면은 상기 제1경사면(711)과 꺽쇠결합하고, 상기 제2레일(220) 위에서는 상기 경사부(610)의 저면은 상기 제2경사면(721)과 꺽쇠결합하며, 상기 제3레일(230) 위에서는 상기 경사부(610)의 우측면은 상기 제3경사면(731)과 꺽쇠결합하고, 상기 제4레일(240) 위에서는 상기 경사부(610)의 저면은 상기 제4경사면(741)과 꺽쇠결합한다.
즉 상기 책꽂이부(300)는 상기 걸림돌기(600)와 상기 가동돌기(710,720,730,740)에 걸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에는 상기 책꽂이부(300)가 배치되지 않은 회전칸부(4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칸부(400)는 상기 책꽂이부(300)가 배치되지 않은 빈 칸을 말하며, 상기 회전칸부(400)의 크기는 상기 책꽂이부(300)의 크기와 거의 같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칸부(400)는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책꽂이부(300)의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하나의 상기 회전칸부(400)를 형성하였다.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는 상기 센서(810,820,830,840)에 의해 감지된다.
즉 상기 회전칸부(400)는 상기 제1센서(810)와 제3센서(830)에 의해 감지된 수평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의 수평길이와 같을 때 상기 책꽂이부와(300)의 사이 공간을 말한다.
또한 상기 회전칸부(400)는 상기 제2센서(820)와 제4센서(840)에 의해 감지된 수직방향에 위치한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이 수직길이와 같을 때 상기 책꽂이부와(300)의 사이 공간을 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좌측면 내부에 형성된 하부 공간에는 상기 제어부(500)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810,820,830,840)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810,820,830,84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센서(810)와 제3센서(83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의 수평길이가 되면 상기 회전칸부(400)로 인식하고, 상기 제2센서(820)와 제4센서(84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의 수직길이가 되면 상기 회전칸부(400)로 인식하여, 상기 구동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레일(210,220,230,240)에 의해 상기 책꽂이부(300)를 상기 회전칸부(400)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와 센서(810,820,830,840)와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좌측면 외측에 스위치(900)를 장착하였다.
이때,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키와 책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책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책장으로써 상기 스위치(9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사용자들이 쉽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하였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의 책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다.
즉 상기 회전칸부(400)는 책장의 상부 우측에 위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책장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9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1센서(810)와 제2센서(820)와 제3센서(830)와 제4센서(840)는 모두 작동된다.
상기 센서(810,820,830,840)는 상기 책꽂이부(3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810,820,830,840)에서 받은 신호를 통해 현재 상기 회전칸부(400)가 책장의 상부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어 상기 회전칸부(400)가 위치한 곳의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센서(810)와 수평방향에 있는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의 수평길이와 같기 때문에 상기 제1센서(810)와 상기 책꽂이부(300)의 사이 공간을 상기 회전칸부(400)로 인식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레일(210)에 장착된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261) 또한 회전한다.
상기 기어(261)에 형성된 톱니는 상기 제1레일(210)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부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레일(210)은 회전된다.
따라서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의 상부 좌측에 있던 상기 책꽂이부(300)는 상기 제1레일(210)의 회전에 의해 책장의 상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책장의 상부 좌측은 상기 회전칸부(400)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센서(81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센서(810)와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기 책꽂이부(300)가 더 이 상 이동할 거리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레일(210)을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상기 제1레일(21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때 작동중이던 상기 제1센서(810)와 제2센서(820)와 제3센서(830)와 제4센서(840) 중에서 상기 제2센서(820)에 의해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는 바로 감지된다.
즉 상기 제2센서(820)와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거리가 상기 책꽂이부(300)의 수직길이와 같기 때문에 상기 제2센서(820)는 상기 책꽂이부(300)와의 사이 공간을 상기 회전칸부(400)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를 감지한 상기 제2센서(820)는 상기 제어부(500)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전칸부(400)가 위치한 상기 제2레일(220)을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레일(2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레일(220)의 위에 위치한 다수개의 상기 책꽂이부(300)는 상승하여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 후,상기 제2레일(22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는 책장의 하부 좌측으로 변하게 되고,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3센서(830)가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3레일(230)을 회전시켜 책장의 하부 우측에 위치하고 있던 상기 책꽂이부(300)를 책장의 하부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3레일(23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상기 회전칸부(400)는 책장의 하부 우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4센서(840)가 상기 회전칸부(4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4레일(240)이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레일(210)과 제2레일(220)과 제3레일(230)과 제4레일(240)을 순차적으로 반복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책꽂이부(30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인 회전식 책장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책장의 사시도,
도 2는 제1레일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측에 있는 책꽂이부가 이동한 사시도,
도 3은 제2레일의 작동으로 인하여 좌측에 있는 책꽂이부가 이동한 사시도,
도 4는 주요부분의 사시도,
도 5는 책꽂이부의 양방향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하우징, 110 : 레일공, 210 : 제1레일, 220 : 제2레일, 230 : 제3레일, 240 : 제4레일, 261 : 기어, 300 : 책꽂이부, 400 : 회전칸부, 500 : 제어부, 600 : 걸림돌기, 610 : 경사부, 710 : 제1가동돌기, 711 : 제1경사면, 720 : 제2가동돌기, 721 : 제2경사면, 730 : 제3가동돌기, 731 : 제3경사면, 740 : 제4가동돌기, 741 : 제4경사면, 810 : 제1센서, 820 : 제2센서, 830 : 제3센서, 840 : 제4센서, 900 : 스위치.

Claims (4)

  1.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레일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다수개의 책꽂이부와; 스위치를 누를 때 상기 책꽂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책꽂이부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책꽂이부가 배치되지 않은 회전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책꽂이부를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칸부로 이동시켜 상기 책꽂이부를 회전시키되,
    상기 책꽂이부의 뒷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레일에는 다수개의 가동돌기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책꽂이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가동돌기에 걸려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에 돌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돌기는 돌출되면서 점점 확장되어 상면에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돌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와 경사면은 상기 책꽂이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꺽쇠결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책꽂이부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가 되면 상기 회전칸부로 인식하고 상기 책꽂이부를 상기 회전칸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책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82865A 2008-08-25 2008-08-25 회전식 책장 KR10100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65A KR101008331B1 (ko) 2008-08-25 2008-08-25 회전식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65A KR101008331B1 (ko) 2008-08-25 2008-08-25 회전식 책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149A KR20100024149A (ko) 2010-03-05
KR101008331B1 true KR101008331B1 (ko) 2011-01-18

Family

ID=4217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865A KR101008331B1 (ko) 2008-08-25 2008-08-25 회전식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34A (ko) 2014-07-21 2016-02-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책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820A (ko) 2014-12-23 2016-07-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회전식 책장, 이를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서관리 시스템
KR101893685B1 (ko) * 2017-03-13 2018-08-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이동식 선반이 구비된 책장
CN106963137B (zh) * 2017-03-23 2018-10-30 陆韬 自动鞋柜
CN110522196A (zh) * 2019-09-16 2019-12-03 安徽信息工程学院 智能旋转书架
KR102428264B1 (ko) * 2020-12-31 2022-08-02 김재기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49A (en) * 1974-05-03 1976-07-20 Sperry Rand Corporation Gravity stabilized internesting carrier system for mechanized filing and storage cabinets
US4017132A (en) * 1975-09-19 1977-04-12 Sperry Rand Corporation Mechanized file carrier stabilization system
JPS6392510A (ja) * 1986-10-06 1988-04-23 Nec Home Electronics Ltd 自動収納庫
KR0185163B1 (ko) * 1996-09-18 1999-04-01 김봉기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49A (en) * 1974-05-03 1976-07-20 Sperry Rand Corporation Gravity stabilized internesting carrier system for mechanized filing and storage cabinets
US4017132A (en) * 1975-09-19 1977-04-12 Sperry Rand Corporation Mechanized file carrier stabilization system
JPS6392510A (ja) * 1986-10-06 1988-04-23 Nec Home Electronics Ltd 自動収納庫
KR0185163B1 (ko) * 1996-09-18 1999-04-01 김봉기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34A (ko) 2014-07-21 2016-02-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책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149A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331B1 (ko) 회전식 책장
CN211609006U (zh) 一种酒柜
US7918742B2 (en) Motor drive feedback control for a child motion device
US20090146444A1 (en) Configuration for Operating Interior Device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ES2268268T3 (es) Disposicion de mesa abatible para vehiculos.
KR20060011224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06321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020190615A1 (en) Structure of a garbage-box
ES2317778B2 (es) Panel de control localizado en el reposabrazos de una puerta de un vehiculo.
WO2003095912A1 (en) A household appliance
CN111425064B (zh) 门组件和储物柜
US20170365125A1 (en) Game vending machine
AU2019283768A1 (en) Refrigerator
CA2573432A1 (en) Expandable play set
JP6754547B2 (ja) 冷蔵庫
CN211984546U (zh) 一种智能防盗床头柜
US20040055913A1 (en) Casing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n electric appliance with such a casing
CN209391416U (zh) 一种医用低值耗材存放柜
CN219354671U (zh) 一种定时提示服药药盒
KR100520843B1 (ko) 전동식 수납가구
KR20060045235A (ko)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이동제어장치
CN220624546U (zh) 具有翻转把手的门体结构、冰箱
CN215777386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5271281U (zh) 一种可翻转的层架以及储物柜
JP3116505U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