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163B1 -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 Google Patents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163B1
KR0185163B1 KR1019960041456A KR19960041456A KR0185163B1 KR 0185163 B1 KR0185163 B1 KR 0185163B1 KR 1019960041456 A KR1019960041456 A KR 1019960041456A KR 19960041456 A KR19960041456 A KR 19960041456A KR 0185163 B1 KR0185163 B1 KR 018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movable body
gear
frame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337A (ko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김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기 filed Critical 김봉기
Priority to KR101996004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1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7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a noria li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꽂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스위치(3)(4)를 조작하여 감속모타(55)의 체인기어(56)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함에 따라 회전휘일(48)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동력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을 회전시키며,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5)의 회전휘일(40)이 회전할 때 기어(41)가 래크기어(43)를 물고 회전이동을 함으로서 결국 이동체(35) 전체는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체(35)에 조립되어 있는 책꽂이(80) 또한 이동체(35)와 함께 직사각형의 궤적을 형성하면서 책꽂이(8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위치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이며, 또한 본 발명의 책꽂이(80)는 이동체(35)가 수평, 수직으로 이동함에 따라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어느 위치에서든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책꽂이의 기능상 아무런 문제가 없고 어린이나 노약자 그리고 지체장애자들이 앉은 상태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높은 위치에 있는 책을 빼 보거나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꽂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 3, 4, 6, 7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제8, 9, 10도는 본 발명의 운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배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에서 배면의 아래쪽만을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프레임 2 : 돌출단
3, 4 : 작동스위치 5 : 공간부
6, 54 : 구멍 7, 18, 25 : 단
8, 19, 26 : 핀지지쇠접촉단 9, 20, 27, 30 : 핀이동홈
10, 21, 28 : 더블체인접촉턱 11, 14, 17, 23 : 이동체가이드
12, 24 : 경사면 13 : 중앙프레임
15 : 경사면 16 : 세로프레임
22 : 상단프레임 29 : 체인카바
31 : 뒷카바 32 : 구멍
33 : 브라키트 34 : 보스(boss)
35 : 이동체 36, 37 : 사각판
38 : 팔각축 39 : 원형축
40 : 회전휘일 41 : 기어
42 : 체인기어 43 : 래크기어
44 : 어태치먼트 더블체인 45 : 핀지지쇠
46 : 핀 47 : 축
48 : 회전휘일 49, 50 : 체인기어
51 : 세트볼트 52, 53 : 베어링
55 : 감속모타 56 : 체인기어
57 : 볼트 58, 59, 60, 61, 62 : 리니어베어링
63, 64 : 전선 65, 66, 67, 69 : 나사
68 : 보강쇠 70, 71, 72, 73, 74, 75, 76 : 나사구멍
77, 78, 79 : 래크기어끼움턱 80 : 책꽂이
81 : 나사구멍 82 : 나사
본 발명은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꽂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이동체(35)에 부착된 책꽂이(80)가 이동체(35)와 함께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이 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책꽂이의 개념을 쇄신시켜 심미감이 탁월함은 물론 높은 위치 혹은 낮은 위치에 있는 책을 앉은 상태에서 빼 보거나 정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통상의 책꽂이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타입의 함체내부에 여러단의 선반을 부착시킨 것인데 이는 높이가 높아서,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들 그리고 지체장애자들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책을 빼 보거나 정리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고 특히 지체장애자들은 낮은 위치에 있는 책도 빼 보거나 정리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높은 곳에 있는 책을 빼 보거나 정리하기 위해서는 의자 혹은 탁자를 밟고 올라서거나 사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낮은 위치에 있는 책을 빼 보거나 정리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깊게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통상의 책꽂이는 외관이 너무 획일적이며 단순하여 심미감이 매우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분위기를 무미건조케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로 인해 통상의 책꽂이는 10미터 혹은 20미터 등 매우 높은 구조로 제작되지는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책꽂이의 개념을 완전히 쇄신시켜 심미감이 탁월케 함은 물론 높은 곳 또는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책을 앉은 상태에서 빼 보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한 책꽂이를 제공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돌출단(2)의 앞쪽에 작동스위치(3)(4)가 부착되고, 앞쪽에는 이동체가이드(11)가 형성되며 그 좌우 끝에는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12)이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래크기어끼움턱(77)과 더블체인접촉턱(10)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지지쇠접촉단(8), 핀이동홈(9) 그리고 여러개의 나사구멍(74)이 있는 단(7)이 형성되고 아래로 공간부(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선(63)(64)이 통과하는 구멍(6)(54)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동체가이드(11)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1)이 부착되고 배면의 테두리에 여러개의 나사구멍(73)이 있는 베이스프레임(1)과; 네 모퉁이에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15)이 형성된 이동체가이드(14)가 앞쪽 사방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로는 리니어베어링(58)(59)이 부착되며, 배면으로는 수십개의 나사구멍(75)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3)과; 앞쪽으로 이동체가이드(17)가 형성되고 그 뒤로는 래크기어끼움턱(78)과 더블체인접촉턱(21)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이동홈(20), 핀지지쇠접촉단(19)과 여러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된 단(18)이 형성되고 테두리로도 여러개의 나사구멍(71)이 형성되며, 이동체가이드(17)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0)이 부착된 세로프레임(16)과; 앞쪽으로 이동체가이드(23)가 형성되며 그 좌우측 끝에는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그 뒤로는 래크기어끼움턱(79)과 더블체인접촉턱(28)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이동홈(27), 핀이동쇠접촉단(26) 및 여러개의 나사구멍(70)이 있는 단(25)이 형성되고 테두리로도 여러개의 나사구멍(76)을 가지며 이동체가이드(23)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2)이 부착된 상단프레임(22)과; 네 모퉁이가 원호형을 이루는 래크기어(43)와; 핀(46)과 핀지지쇠(45)를 가지는 어태치먼트 더블체인(44)과; 핀이동홈(30)이 안쪽 전체에 형성되고 네 모퉁이가 원호형으로 된 체인카바(29)와; 아래쪽에 구멍(32)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뒷카바(31)와; 사각판(36)(37) 사이에 팔각축(38)이 형성되고 뒤로는 원형축(39)이 형성되며, 기어(41)와 직경이 같은 체인기어(42)가 일체로 가공된 회전휘일(40)이 베어링(53)을 회전매체로하여 전기한 원형축(39)에 조립될 때 그 양단은 스냅링으로 고정시킨 이동체(35)와; 체인기어(56)를 가지는 감속모타(55)가 볼트(57)에 의해 고정되고 체인기어(49) 및, 이동체(35)의 체인기어(42)와 잇수가 같은 체인기어(50)가 일체로 가공된 회전휘일(48)이 축(47)에 세트볼트(51)로 고정되며, 축(47)은 베어링(52)을 회전매체로하여 보스(34)에 삽입되어 스냅링으로 고정시킨 브라키트(33)와; 책꽂이(80)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1) 위에 세로프레임(16)을 좌우로 위치시키고 세로프레임(16) 위에 상단프레임(22)을 위치시키며, 이들의 중앙에 중앙프레임(13)을 위치시켜 뒷카바(31)와 보강쇠(68)로서 전체를 고정시키는데, 이때 중앙프레임(13)의 상하좌우에 있는 이동체가이드(14)가 이동체(35)의 사각판(36)(37)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 후 베이스프레임(1)의 래크기어끼움턱(77)에 래크기어(43)의 하단을 끼워 세우고, 그 좌우로 세로프레임(16)을 접근시켜 래크기어끼움턱(78)에 래크기어(43)가 삽입되도록 한다음, 상단프레임(22)을 조립하여 래크기어끼움턱(79) 사이에 래크기어(43)가 삽입되도록하여 이동체(35)의 기어(41)가 래크기어(43)에 치합되도록 하고,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의 핀이동홈(9)(20)(27)에 핀(46)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안쪽체인은 이동체(35)의 체인기어(42)에 물리도록 하고 체인카바(29)를 덮어 나사(67)로 조립한 다음, 상술한 브라키트(33)를 뒷카바(31)에 나사(66)로 조립하고 체인기어(56)과 체인기어(49) 사이에 체인을 조립한 후 뒷카바(31)를 부착하되 브라키트(33)의 체인기어(50)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바깥쪽 체인에 물리도록 하고 뒷카바(31)를 조립, 중앙프레임(13)이 중앙에 위치토록 하면서 전체가 견고히 조립되도록 하여, 작동스위치(3)(4)를 조작하여 감속모타(55)의 체인기어(56)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함에 따라 회전휘일(48)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동력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을 회전시키며,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5)의 회전휘일(40)이 회전할 때 기어(41)가 래크기어(43)를 물고 회전이동을 함으로서 결국 이동체(35) 전체는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체(35)에 조립되어 있는 책꽂이(80) 또한 이동체(35)와 함께 직사각형의 궤적을 형성하면서 책꽂이(8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위치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 위에 세로프레임(16)을 좌우로 위치시키고 세로프레임(16) 위에 상단프레임(22)을 위치시키며, 이들의 중앙에 중앙프레임(13)을 위치시켜 뒷카바(31)와 보강쇠(68)로서 전체를 고정시키는데, 이때 중앙프레임(13)의 상하좌우에 있는 이동체가이드(14)가 이동체(35)의 사각판(36)(37)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이동체(35)의 숫자는 본 발명의 사이즈와 책꽂이(80)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히 지정될 것이다.
즉, 책꽂이(80)는 이동할 때 서로 간섭받지 않아야 함으로 본 발명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숫자가 정해지는 것이다.
중앙프레임(13)의 이동체가이드(14) 상에 적정수의 이동체(35)가 조립되면 이어서 래크기어(43)를 조립하여야 하는데 래크기어(43)의 하단은 베이스프레임(1)의 래크기어끼움턱(77)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가 되면 베이스프레임(1)과 중앙프레임(13)은 서로 정확한 위치를 가지게 되고 이동체(35)의 기어(41)는 래크기어(43)에 치합이 된다.
다음, 세로프레임(16)을 좌우에서 조립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도 래크기어(43)가 래크기어끼움턱(78) 속에 삽입이 되도록 한다.
이 상태가 되면 세로프레임(16) 역시 베이스프레임(1) 및 중앙프레임(13)과 함께 제 위치를 찾게 된다.
다음, 상단프레임(22)을 상기한 바와 같은 요령에 의해 조립시킨다.
이 상태는 이동체(35)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 중앙프레임(13)이 정확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제8도)
따라서 이동체(35)의 팔각축(38)은 각 이동체가이드(11)(14)(17)(23)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사각판(36)(37)의 안쪽면은 리니어베어링(58)(59)(60)(61)(62)에 접촉이 된다.
리니어베어링(58)(59)(60)(61)(62)은 이동체(35)가 이동할 때 사각판(36)(37)이 잘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마찰계수를 낮추어 동력손실을 줄여준다.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의 이동체가이드(11)(17)(23)와 중앙프레임(13)의 이동체가이드(14) 사이의 간격은 이동체(35)의 팔각축(38)의 폭[팔각축(38)의 가로와 세로가 동일하므로 폭이라 칭함] 보다 약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0.3m/m 이하의 공차가 좋다.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 중앙프레임(13)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면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을 조립하여야 하는데 핀(46)은 각 핀이동홈(9)(20)(27) 속에 삽입이 되도록 하고 안쪽의 체인은 더블체인접촉턱(10)(21)(28)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안쪽의 체인은 이동체(35)의 체인기어(42)와 물리도록 한다.(제9도)
다음, 핀이동홈(30)이 안쪽으로 형성된 체인카바(29)를 덮고 나사(67)로 조립하는데 이때 핀이동홈(30) 속에 핀(46)이 삽입되도록 한다.(제10도)
이 상태는 동력전달기술만 제외시키고 완성된 상태가 된다.
다음, 동력전달요령을 설명한다.
전술한 브라키트(33)의 축(47)에는 회전휘일(48)과 감속모타(55)가 조립되어 있고 회전휘일(48)에는 2개의 체인기어(49)(50)가 형성되어 있는데, 나사(66)를 사용하여 브라키트(33)를 뒷카바(31)에 조립한다.
그리고 뒷카바(31)의 구멍(32)은 회전휘일(48) 및 감속모타(55)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브라키트(33)를 뒷카바(31)에 조립한 후 감속모타(55)의 체인기어(56)와 회전휘일(48)의 체인기어(49) 사이에 체인을 조립한다.
다음, 뒷카바(31)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에 앞서 회전휘일(48)의 체인기어(50)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바깥쪽 체인에 물리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기술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최종적으로 뒷카바(31)를 조립할 때 나사(65)를 사용하는데 뒷카바(31)가 조립되면 본 발명의 각 프레임(1)(13)(16)(22) 전체는 일체화가 되는 것이다.
물론 중앙프레임(13)은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 사이에 머물게 된다.
보강쇠(68)는 각 프레임끼리 더욱 견고히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부착하는 것인데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책꽂이(80)는 이동체(35)의 바깥쪽에 있는 사각판(36)에 나사구멍(8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82)로서 간단히 부착이 된다.
그러나 책꽂이의 부착방법은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립이 완성되면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감속모타(55)의 동력을 높이면 세로프레임(16)의 높이를 10미터 또는 20미터 혹은 그 이상까지도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작동이 가능하다.
작동스위치(3)(4)는 감속모타(55)의 정역회전을 선택하는데 사용자의 임의대로 선택이 된다.
그러나 자신이 보고자 하는 책이 꽂혀 있거나 정리하여야 할 책꽂이가 가까이 있는 쪽을 기준하여 작동스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제적일 것이다.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면 감속모타(55)가 작동하여 체인기어(56)가 회전하게 되며 체인기어(56)의 회전에 의해 브라키트(33)의 회전휘일(48)이 회전을 함에따라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바깥쪽 체인에 물려있는 체인기어(50)가 회전을 하며 이는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을 이동시키게 된다.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은 제9도의 도시와 같이 핀(46)이 핀이동홈(9)(20)(27)(30) 속에 삽입되어 있어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을 하게 되는데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이 운동을 하면 이동체(35)의 회전휘일(40)이 당연히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휘일(40)의 기어(41)는 래크기어(43)를 타고 회전을 함과 동시에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요령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체(35)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것인데 중앙프레임(13)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좌우 경사면(24)(12)은 이동체(35)의 팔각축(38)이 무리없이 코너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팔각축(38)은 코너링을 할 때 중앙프레임(13)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좌우 경사면(24)(12)에 의해 슬라이딩을 하게 됨으로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무리없는 코너링이 가능한 것인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팔각축(38)을 선택한 것이다.
팔각축(38)은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이 중앙프레임(13)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좌우 경사면(24)(12)을 타고 미끄러지기 때문에 결국 책꽂이(80)의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인데, 중앙프레임(13)의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경사면(24)(12) 사이의 간격은 팔각축(38)의 폭 보다 약간 크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이 공차는 기어(41)의 회전시 기어(41)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과 팔각축(38)이 코너링을 할 때 팔각축(38)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경사면과 평행하게 이동) 사이에 생기는 오차를 탄력있게 수용하여 준다.
그러나 기어(41)의 회전시 기어(41)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과 팔각축(38)이 코너링을 할 때 팔각축(38)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 사이에 생기는 오차는 크지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동에는 큰 문제가 없다.
[실시예]
* 기어(41)의 직경 : 100m/m * 팔각축(38)의 폭 : 40m/m
이때 기어(41)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과 팔각축(38)의 중심이 이루는 코너링궤적의 차이는 최대치가 약 4m/m 정도였다.
따라서 중앙프레임(13)의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경사면(24)(12) 사이의 간격은 팔각축(38)의 폭 보다 약 4m/m정도만 크게 하여 주면 팔각축(38)의 코너링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팔각축(38)은 수평을 유지한 채 경사면(15)을 미끄러져 내려와 하강하였는데, 이 경우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과 체인기어(42)의 조립공차 및 이동체(35)의 조립공차에 의해 중앙프레임(13)의 경사면(15)과 상단프레임(22)과 베이스프레임(1)의 경사면(24)(12) 사이의 간격은 팔각축(38)의 폭 보다 약 3m/m정도만 크게하여도 작동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회전휘일(40)은 이동체(35)의 원형축(39)에 조립되어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체(35)를 수평상태 혹은 수직상태로 운동을 시켜주기 때문에 이동체(35)에 부착되어 있는 책꽂이(80)는 수평을 유지한 채 이동체(35)와 함께 위치이동이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작동됨으로서 본 발명의 책꽂이(80)는 이동체(35)가 수평, 수직으로 이동함에 따라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어느 위치에서든지 항상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책꽂이의 기능상 아무런 문제가 없고 어린이나 노약자 그리고 지체장애자들이 앉은 상태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높은 위치에 있는 책을 빼 보거나 정리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의자나 탁자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하기에 편리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은 소형화하여 책상위에 설치가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소형화할 경우에는 큰 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수동으로 작동이 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높이를 가지는 책꽂이로도 제작할 수 있고 이 경우 많은 숫자의 책꽂이를 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굳이 책꽂이의 용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각종 물품(상품)의 진열대 또는 소장품의 진열대, 완구, 그릇보관대, 각종 산업기기로도 훌륭하게 응용이 될 수 있어 산업적 이용가치가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돌출단(2)의 앞쪽에 작동스위치(3)(4)가 부착되고, 앞쪽에는 이동체가이드(11)가 형성되며 그 좌우 끝에는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12)이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래크기어끼움턱(77)과 더블체인접촉턱(10)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지지쇠접촉단(8), 핀이동홈(9) 그리고 여러개의 나사구멍(74)이 있는 단(7)이 형성되고 아래로 공간부(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선(63)(64)이 통과하는 구멍(6)(54)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동체가이드(11)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1)이 부착되고 배면의 테두리에 여러개의 나사구멍(73)이 있는 베이스프레임(1)과; 네 모퉁이에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15)이 형성된 이동체가이드(14)가 앞쪽 사방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로는 리니어베어링(58)(59)이 부착되며, 배면으로는 수십개의 나사구멍(75)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3)과; 앞쪽으로 이동체가이드(17)가 형성되고 그 뒤로는 래크기어끼움턱(78)과 더블체인접촉턱(21)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이동홈(20), 핀지지쇠접촉단(19)과 여러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된 단(18)이 형성되고 테두리로도 여러개의 나사구멍(71)이 형성되며, 이동체가이드(17)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0)이 부착된 세로프레임(16)과; 앞쪽으로 이동체가이드(23)가 형성되며 그 좌우측 끝에는 45도로 각이 진 경사면(24)이 형성되고, 그 뒤로는 래크기어끼움턱(79)과 더블체인접촉턱(28)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핀이동홈(27), 핀이동쇠접촉단(26) 및 여러개의 나사구멍(70)이 있는 단(25)이 형성되고 테두리로도 여러개의 나사구멍(76)을 가지며 이동체가이드(23)의 전후로 리니어베어링(62)이 부착된 상단프레임(22)과; 네 모퉁이가 원호형을 이루는 래크기어(43)와; 핀(46)과 핀지지쇠(45)를 가지는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과; 핀이동홈(30)이 안쪽 전체에 형성되고 네 모퉁이가 원호형으로 된 체인카바(29)와; 아래쪽에 구멍(32)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뒷카바(31)와; 사각판(36)(37) 사이에 팔각축(38)이 형성되고 뒤로는 원형축(39)이 형성되며, 기어(41)와 직경이 같은 체인기어(42)가 일체로 가공된 회전휘일(40)이 베어링(53)을 회전매체로 하여 전기한 원형축(39)에 조립될 때 그 양단은 스냅링으로 고정시킨 이동체(35)와; 체인기어(56)를 가지는 감속모타(55)가 볼트(57)에 의해 고정되고 체인기어(49) 및, 이동체(35)의 체인기어(42)와 잇수가 같은 체인기어(50)가 일체로 가공된 회전휘일(48)이 축(47)에 세트볼트(51)로 고정되며, 축(47)은 베어링(52)을 회전매체로하여 보스(34)에 삽입되어 스냅링으로 고정시킨 브라키트(33)와; 책꽂이(80)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1) 위에 세로프레임(16)을 좌우로 위치시키고 세로프레임(16)위에 상단프레임(22)을 위치시키며, 이들의 중앙에 중앙프레임(13)을 위치시켜 뒷카바(31)와 보강쇠(68)로서 전체를 고정시키는데, 이때 중앙프레임(13)의 상하좌우에 있는 이동체가이드(14)가 이동체(35)의 사각판(36)(37)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 후 베이스프레임(1)의 래크기어끼움턱(77)에 래크기어(43)의 하단을 끼워 세우고, 그 좌우로 세로프레임(16)을 접근시켜 래크기어끼움턱(78)에 래크기어(43)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단프레임(22)을 조립하여 래크기어끼움턱(79) 사이에 래크기어(43)가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체(35)의 기어(41)가 래크기어(43)에 치합되도록 하고, 베이스프레임(1)과 세로프레임(16), 상단프레임(22)의 핀이동홈(9)(20)(27)에 핀(46)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안쪽 체인은 이동체(35)의 체인기어(42)에 물리도록 하고 체인카바(29)를 덮어 나사(67)로 조립한 다음, 상술한 브라키트(33)를 뒷카바(31)에 나사(66)로 조립하고 체인기어(56)와 체인기어(49) 사이에 체인을 조립한 후 뒷카바(31)를 부착하되 브라키트(33)의 체인기어(50)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바깥쪽 체인에 물리도록 하고 뒷카바(31)를 조립, 중앙프레임(13)이 중앙에 위치토록 하면서 전체가 견고히 조립되도록 하여, 작동스위치(3)(4)를 조작하여 감속모타(55)의 체인기어(56)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함에 따라 회전휘일(48)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동력은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을 회전시키며,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5)의 회전휘일(40)이 회전할때 기어(41)가 래크기어(43)을 물고 회전이동을 함으로서 결국 이동체(35) 전체는 어태치먼트더블체인(4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체(35)에 조립되어 있는 책꽂이(80) 또한 이동체(35)와 함께 직사각형의 궤적을 형성하면서 책꽂이(8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위치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꽂이 장치.
KR1019960041456A 1996-09-18 1996-09-18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KR018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456A KR0185163B1 (ko) 1996-09-18 1996-09-18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456A KR0185163B1 (ko) 1996-09-18 1996-09-18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337A KR19980022337A (ko) 1998-07-06
KR0185163B1 true KR0185163B1 (ko) 1999-04-01

Family

ID=1947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456A KR0185163B1 (ko) 1996-09-18 1996-09-18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31B1 (ko) * 2008-08-25 2011-01-18 김민기 회전식 책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31B1 (ko) * 2008-08-25 2011-01-18 김민기 회전식 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337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8225A (en) Device in which a bookrack mov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US20060032830A1 (en) Shelving system
CA2356531A1 (en) Sliding height-adjustable tray shelf unit
US20060265805A1 (en) Lift bed
EP0307369A2 (en) Table
CA2026168A1 (en) Segmented sidewall cart
KR0185163B1 (ko) 책꽂이가 수직과 수평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책꽃이장치
US20050006331A1 (en) Revolving slide
JP2004173959A (ja) 物品収納棚
JP3040426U (ja) 本立て等が垂直と水平に位置を移動する本立て等の装置
USD362051S (en) Furniture unit with wash basin, mirror, lateral cupboard and suspended drawers
CN108903514B (zh) 一种艺术作品多方位展示装置
JPH0522Y2 (ko)
CN111419016A (zh) 旋转书屋
JPH0130093Y2 (ko)
CN220631402U (zh) 一种隐藏式驱动安装结构
JP2533583B2 (ja) 収納装置
KR200400956Y1 (ko) 침대용 수납장
CN215913946U (zh) 一种办公座椅进深调节结构承载结构
CN214855080U (zh) 新型三角形管材的智能升降立柱及具有其的办公桌架
JP3056398B2 (ja) 上下移動戸棚
KR960010670B1 (ko) 냉장고용 선반의 장착장치
JP3184686B2 (ja) 家具移動装置
KR200198008Y1 (ko)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CN211533286U (zh) 一种多功能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