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64B1 -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64B1
KR102428264B1 KR1020200188730A KR20200188730A KR102428264B1 KR 102428264 B1 KR102428264 B1 KR 102428264B1 KR 1020200188730 A KR1020200188730 A KR 1020200188730A KR 20200188730 A KR20200188730 A KR 20200188730A KR 102428264 B1 KR102428264 B1 KR 10242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variable
vertical
bookshelf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358A (ko
Inventor
김재기
Original Assignee
김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기 filed Critical 김재기
Priority to KR102020018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적 또는 서류의 정보가 저장된 태그에 의해 저장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인출시에는 사용자가 식별 확인이 용이하도록 일부분 인출되고 서적 또는 서류의 높이에 따라 자동화 방식으로 보관 높낮이를 조정가능한 스마트 가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하강을 위한 이송축, 상기 이송축에 연결되어 보관물의 크기에 따라 승하강하는 받침부, 인출 대상 보관물의 위치를 식별하기 좋게 돌출시키는 푸쉬부, 작동 설정, 전원 제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하여; 서적이나 서류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 책장 정리가 깔끔하며 정리 정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How smart height-adjustable bookcases and height-adjustable bookcases work}
본 발명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적 또는 서류의 정확한 위치정보 파악과 인출을 통한 빠른 확인이 가능하고 서적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함에 따라 서적을 많이 취급 도서관, 학교, 관공서 등에 설치하여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주거공간의 양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책장의 크기와 형태도 각양각색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 소장하는 책의 크기가 변경되어 기존에 사용하던 책장에 꽂히지 못하는 경우, 충분히 더 사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버리고 새로운 책장을 장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이 안착되는 하판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조립식 책장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책장은, 좌우 측벽에 걸림턱을 한 쌍씩 체결하여 하판의 좌우측 저면이 4개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높이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걸림턱의 체결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판의 안착 높이 역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책장은, 상기 걸림턱이 측벽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바, 상기 걸림턱이 분실되어 하판 사용이 불가능해 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또한, 하판의 높이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4개의 걸림턱을 좌우 측벽으로부터 탈거시킨 후 새로운 높이에 다시 체결시켜야 하는바, 하판의 높이 조절에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책장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책장 구조가 개시되었다.
먼저, 조립용 책장은 평판 형상이며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판과,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체결되어 책장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마주하는 내부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측판의 양측면 안쪽에 접하는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선반과, 선반 각각이 측판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판에는 고정프레임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설치공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은 측판의 폭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다수개 구비되며 각각 수직하게 다수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한 쌍의 측판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덧판이 체결된다. 상기 덧판은 후술할 고정프레임의 설치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덧판은 측판에 체결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설치공은 고정프레임의 설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설치돌기는 측판과 덧판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선반은 후단 가장자리에 가이드편이 일정 형상으로 소정 높이 돌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편은 보관되는 책이 미끄러져 책장의 선반 상부면에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고정돌기가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고정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선반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선반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 고정하도록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배면에는 설치돌기가 가장자리에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돌기는 측판의 내측면에 상·하 일정거리 유지하며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공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설치돌기는 원하는 위치의 설치공에 삽설될 수 있도록 설치공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 하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에는 전술한 바 있는 선반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은 고정돌기가 억지 끼움 되도록 형성되어 선반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조립용 선반을 조립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정프레임의 설치돌기는 책장의 측판 내측면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설치공 중 임의의 위치에 삽설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프레임은 측판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지지편의 고정홈(36)에 선반의 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선반을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책장은 측판의 양쪽 내측면에 고정프레임의 상부가 노출되면서 모서리에 사용자가 긁히면서 다치는 등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고, 미관상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조립이 불편하고 폭과 길이의 변형이 자유롭지 못해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아울러, 현대 사회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IOT)를 기반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각종 관공서들의 기자재나 가구들이 변해가는 변화적인 추세에 있는데,기존의 책장이나 선반은 다양한 크기위 서적을 보관하기 위하여 수동적으로 높낮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편리함이나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책장이나 선반은 책을 보관할 때 책의 정보태그를 컴퓨터와 같은 관리장치에 인식시켜 보관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을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서적을 관리하는 관리원이나 사용자에 의해 서적의 보관 위치가 변동되면 정확한 보관 위치나 정보확인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보관하거나 전시할 서적의 정보 및 크기, 두께 등을 인식하여 서적의 보관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위치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서적의 크기에 따라 자동화 방식으로 서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과 찾기를 원하는 서적을 돌출시켜 사용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공개번호 제10-2012-0126713호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2. 공개번호 제20-2015-0002759호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가변 책장) 3. 등록번호 제20-0450183호 (보관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 4. 등록번호 제20-0521072호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적이나 서류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적이나 서류의 정보 및 크기를 인식하여 보관 높이 및 보관 면적을 미리 연산하여 보관위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찾을려는 서적이나 서류를 후방에서 밀어 돌출시켜 찾는 사람이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선반의 높낮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어 보관여건을 향상하고 다양한 서적이나 서류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작동하면서 서적이나 서류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판과 세로판을 각각 이동시기키거나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책장에 있어서, 한쌍으로 마주보는 세로프레임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이송축, 상기 이송축에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며 위치 고정을 위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는 정보칩이 형성된 보관물을 앞쪽으로 돌출 또는 밀어 내기 위한 푸쉬부, 상기 받침부에 올려져 보관되는 보관물의 정보칩을 통한 정보인식 및 받침부 및 푸쉬부의 작동과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을 구성한다.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책장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보관물의 제목, 내용, 크기, 두께, 지은이의 정보가 입력되어진 정보칩을 컴퓨팅장치를 이용하여 스캔인식하는 정보입력단계, 상기 정보입력단계를 거친 후, 컴퓨팅장치를 이용하여 보관공간을 검색이 완료되면 보관섹터를 검색하여 보관물의 보관위치를 설정하는 보관위치설정단계, 상기 보관위치설정단계를 거친후, 관리 담당자가 설정된 위치에 정보칩이 받침판의 수신칩과 동일한 방향인 전방을 향하도록 보관물의 보관하는 보관물보관단계, 상기 보관물보관단계를 거친 후, 보관물의 보관이 완료되면 정리부의 정리이송기가 정리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리판이 보관물을 일측을 밀어 직립시켜 보관물의 정리 작동과정을 완료하는 보관정리단계, 상기 보관정리단계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할 경우에는 인출자가 제어부의 키보드를 이용해 인출할 보관물의 정보 및 인출자의 정보를 기재하면 위치설정창을 통해 보관공간의 위치정보 확인과 위치표시창을 통해 보관섹터를 확인 후 인출확인하는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 상기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확인이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푸쉬부의 푸쉬이송기가 푸쉬레일을 따라 이동한 후 인출 대상에 해당하는 보관물에 위치한 후 푸셔의 푸쉬바가 돌출되면서 보관물을 밀어내는 보관물푸쉬단계, 상기 보관물푸쉬단계를 거친 후, 푸쉬부에 의해 밀려서 돌출된 보관물의 보관된 보관공간의 받침부의 받침판 표시등이 표시되어 인출자가 식별하여 직접 인출하는 보관물취득단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서적이나 서류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 책장 정리가 깔끔하며 정리 정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서적이나 서류의 정보 및 크기를 인식하여 보관 높이 및 보관 면적을 미리 연산하여 보관위치를 산정과 빈공간을 쉽게 파악하여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찾을려는 서적이나 서류를 후방에서 밀어 돌출시켜 표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찾는 사람이 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 선반의 높낮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어 보관여건을 향상하고 다양한 서적이나 서류의 활용도를 증대시켜 서적이나 서류를 온전하게 보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게 작동하면서 서적이나 서류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가로판과 세로판을 각각 이동시기키거나 동시에 이동할 수 있어 보관물의 크기에 따라 가로폭과 세로높이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변 책장 중 일체형 책장의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수납장 중 단위형태 수납장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수납장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수납장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축이 세로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된 부분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측면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축이 세로프레임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부분 구성도,
도 8은 도 4에 따른 측면 부분 단면도,
도 9에서 도면 a는 받침부의 일측면도, 도면 b는 도면 a의 종단면도, 도면 c는 도면 a의 반대편에서 투시한 타측면도,
도 10에서 도면 a는 받침부의 배면도, 도면 b는 받침부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승하강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의 푸쉬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리부의 정리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7은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가 적용된 단위수납장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의 일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의 작동으로 가변가로판이 이동하는 작동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부의 작동으로 가변세로판이 이동하는 작동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가로판과 가변세로판이 동시에 이동하는 가변부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가로판과 가변세로판이 동시에 이동하는 결합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가변부의 일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가로판과 가변세로판이 동시에 이동하는 작동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수납장의 작동방법 순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가변 책장은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책장에 관한 것으로, 승하강을 위한 이송축(10), 상기 이송축(10)에 연결되어 보관물의 크기에 따라 승하강하는 받침부(20), 인출 대상 보관물의 위치를 식별하기 좋게 돌출시키는 푸쉬부(30), 작동 설정, 전원 제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로 가변책장(100)을 구성한다.
상기 가변책장(100)은 두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일체의 형태와 단위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재질은 목재나 금속, 플라스틱 형태로 제작가능한 것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책장(100)의 일체형 형태는 세로프레임(1) 다수개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세로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 끝단 및 중앙부분에 등간격으로 가로프레임(3)을 각각 설치하여 사각형태의 보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보관공간에 받침부(20)가 이송축(10)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일체의 격자 형태로 설치한다.
상기 가변책장(100)의 일체형 형태에서는 사용 필요 개수에 따라 받침판(21)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책장(100)의 단위 형태는 세로프레임(1)을 한 쌍으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 끝단에 가로프레임(3)을 각각 설치한 후, 세로프레임(1) 사이의 각 보관공간에 받침부(20)를 이송축(1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단위책장(4)을 제작한다.
상기 단위책장(4)의 세로프레임(1)이나 가로프레임(3)의 일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한 지점에는 전원의 공급 또는 전달을 위한 접점단자(5)를 설치한다.
상기 단위책장(4)을 연속설치나 적층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단위책장(4)의 세로프레임(1)이나 가로프레임(3)의 일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한 지점에는 전원의 공급 또는 전달을 위한 접점단자(5)를 설치한다.
상기 접점단자(5)는 돌출단자(5a)와 접지단자(5b)로 형성하여 단위책장(4)을 적층하거나 일렬 배열시 서로 전원 공급을 위해 접점되도록 형성하며, 접점단자(5)의 설치 위치는 상부면 및 하부면, 양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로프레임(1)과 가로프레임(3)의 내부나 외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선이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단위책장(4)을 연속설치나 적층 설치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크기는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세로 방향 일자 배열, 가로 방향 일자 배열, 피라미드 배열 등으로 적층한 후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책장(100)의 설치하는 장소는 바닥면에 설치하는 바닥설치방식이거나, 벽면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면설치방식이거나, 천정면에 설치하는 천정설치방식으로 설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주보는 세로프레임(1)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이송축(10)을 설치하는데, 상기 이송축(10)을 렉기어 형태로 제작 설치한다.
상기 세로프레임(1)의 하부에는 이송축(10)이 설치된 지점으로 연결되는 설치홈(6)을 통해 받침부(20)를 삽입하여 이송축(10)에 연결되도록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욱 자세하게, 상기 이송축(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받침부(20)가 승하강 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한 내부 일측면에 고정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송축(10)을 4개로 설치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세로프레임(1)의 하부 양측면에는 이송축(10)에 받침부(20의 설치를 위해 전면으로 연통되도록 '┘┘'형태의 설치홈(6)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축(10)은 가변책장(100)이 일체 형태일 경우에는 세로프레임(1)의 길이에 맞게 설치되거나 승하강이 필요한 위치에 국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축(10)에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며 위치 고정을 위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받침부(20)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20)는 보관물이 올려지며 정보칩(2)을 무선방식으로 인식하며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수신칩(22) 및 보관공간의 용량 및 선택된 보관물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23)을 전방면에 형성한 받침판(21)을 설치한다.
상기 표시등(23)은 보관공간의 사용 상태 및 보관물의 보관할 위치, 보관된 위치를 각각 다른 색으로 점등하여 표시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받침판(21)의 하부면 4지점에는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며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24)를 형성하는데, 상기 승강모터(24)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보관공간에 설치되는 이송축(10)과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하며 전원이 인가될 경우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모터(24)의 하부에는 승강모터(24)의 작동 여부에 따라 이송축(10)을 클램핑하여 받침판(21)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퍼(25)를 형성하는데, 상기 클램퍼(25)는 승강모터(2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며 승강모터(24)의 몸체 하부에 고정설치 한다.
상기 클램퍼(25)는 승강모터(24)에 고정되는 작동기(26)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기(26)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틸팅 작동하는 연장단(27)의 끝단에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는 렉기어 형태의 스톱퍼(28)를 형성한다.
상기 클램퍼(25)는 제어부(4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으면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이 해제되고 전원이 해제되면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어 받침부(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램퍼(25)는 승강모터(24)의 작동으로 위치가 조정 된 후 받침부(20)의 받침판(21) 상부에 올려지는 보관물의 중량이나 받침부(20)의 자동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의 후방에는 정보칩(2)이 형성된 보관물을 앞쪽으로 돌출 또는 밀어 내기 위한 푸쉬부(30)를 형성한다.
상기 푸쉬부(30)는 받침판(21)의 후방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푸쉬레일(31)을 설치한다.
상기 푸쉬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푸쉬이송기(32)를 형성하는데 정역모터가 설시되어 정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푸쉬이송기(32)의 이동제어 및 인출을 원하는 보관물의 후방면에 접촉하여 밀어내도록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솔레노이드방식으로 푸쉬바(33)가 인출입 작동하는 푸셔(34)를 구성한다.
상기 푸쉬이송기(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푸쉬레일(31)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재(35)를 설치하는데, 상기 청소부재(35)는 푸쉬레일(31)에 부착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푸쉬이송기(32)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면서 푸쉬레일(31)에 접촉하여 제거하도록 브러쉬 형태나 긁어 내는 스크래퍼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레일(31)은 본 발명에서 보관공간 마다 구분되어 개별 설치되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가로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된 보관공간에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푸쉬레일(31)을 받침판(21)의 후방에 설치한 후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푸쉬부(30)가 이동하며 보관물을 밀어 내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의 받침판(21) 중앙부분에 가로방향으로 정리레일(51)을 설치하는데, 정리레일(51)의 설치를 위해 받침판(2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정리이송홀(55)의 일측 내벽면에 설치된다.
상기 정리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정리이송기(52)를 설치하는데 정역모터의 작동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정리이송기(52)의 이동제어 및 정리를 원하는 보관물의 일측면 하부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도록 정리이송기(52)의 전방에 설치하는 정리판(53)을 구성하는데, 상기 정리판(53)은 보관물의 하부 중앙에 접촉하여 밀도록 설치한다.
상기 정리판(53)에는 보관물과 접촉하는 전방에는 로드셀(54)을 설치하여 설정된 가압력에 도달할 때 까지 보관물을 밀어 받침판(21)의 상부에 보관시 직립되지 않고 기울어진 보관물을 일측으로 밀어 수직으로 정리하는 정리부(50)를 구성한다.
상기 정리이송기(52)와 로드셀(54)는 받침판(21)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관물의 보관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리판(53)난 받침판(21)의 상부면에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정리이송기(52)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정리이송기(5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정리레일(51)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부재(56)를 설치하는데, 상기 크리닝부재(56)는 정리레일(51)에 부착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정리이송기(52)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면서 정리레일(51)에 접촉하여 제거하도록 브러쉬 형태나 긁어 내는 스크래퍼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에 올려져 보관되는 보관물의 정보칩(2)을 통한 정보인식 및 받침부(20) 및 푸쉬부(30)의 작동과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성하여 전원 제어를 함께 수행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최외측에 위치되면 개방되어진 세로프레임(3)의 외측면이나 보관공간 중 하나의 보관공간을 폐쇄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변책장(100)이 설치되는 장소나 위치 또는 홈네트워크에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받침부(20)의 받침판(21) 하부면이나 최상부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3)의 하부에는 받침부(20)의 높낮이 조절과 위치 고정을 위한 승강모터(24)와 클램퍼(25)의 작동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감지 거리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감지센서(41)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21) 중 하나의 받침판(21)에 형성된 승강모터(24)는 모두 동시에 작동하며, 승강모터(24)의 작동 여부에 따라 클램퍼(25)는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40)는 보관물의 정보칩(2)을 스캔 또는 인식하는 컴퓨팅장치(42)를 형성하는데, 상기 컴퓨팅장치(42)는 보관물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정보칩(2)을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여 정보를 입력이나 인식한다.
상기 컴퓨팅장치(42)에 의해 스캔 또는 인식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43)을 형성하는데, 정보창(43)에는 각 보관공간에 보관된 보관물의 정보를 리스트 방식으로 표시한다.
상기 보관물을 빌리는 사람의 인출자정보창(43)를 형성하여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이 완료된 정회원의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보관물의 정보칩(2)을 통해 컴퓨팅장치(42)에 정보가 인식시 보관물의 두께 정보를 이용하여 받침부(20)의 수신칩(22)에서 받침부(20)의 여유 공간을 확인하고 보관되는 보관품의 보관 섹터를 파악하여 푸쉬부(30)나 정리부(50)의 작동 위치를 정확히 설정 및 제어한다.
상기 보관물 중 빌리는 대상의 보관물을 선택하거나 보관물의 보관할 위치를 가로방향 X구역과 세로방향 Y구역에 따른 보관공간설정 및 세부 위치 구역 섹터를 선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창(44)을 형성한다.
상기 보관물의 보관위치 및 빌리는 보관물의 위치 정보를 가로방향 X구역과 세로방향 Y구역에 따른 보관공간 및 보관공간내 세부 보관 위치 섹터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창(45)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위치설정창(44)에는 보관공간을 설정이나 검색시 가로방향 X 지점과 세로방향 Y지점을 선택, 검색시 [X 2][Y 2]의 방식으로 표시되며, 세부 보관 위치 섹터는 예를 들어 인출자가 선택한 보관공간내에 존재하는 보관물의 정확한 위치를 세부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보관물의 정보 및 설정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46)를 형성한다.
상기 위치설정창(44)에서 설정되는 보관공간 및 섹터를 수동방식으로 검색 및 설정하는 수동조작부(47)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한 제어시 승강모터(24), 클램퍼(25), 정보칩(2) 및 수신칩(22), 감지센서(41), 표시등(23), 정리부(50)의 정리이송기(52) 및 로드셀(54), 푸쉬부(30)의 푸쉬이송기(32) 및 푸셔(34)는 모두 일렬 번호나 그룹번호를 지정하여 설정 및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40)에는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등을 설치하여 각종 작동 관련 메시지나 오류메시진, 음향은 스피커를 통해 알려주며, 카메라는 보관물의 이미지 정보나 이용자의 이미지를 별도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저장가능하고,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방식으로 조작 및 설정 제어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도 18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책장(4)은 일측 세로프레임(1)과 상부측 가로프레임(3)의 내측면에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가변세로판(61)은 수평방향으로 가변가로판(62)은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거나,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가변부(60)를 구성한다.
상기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은 세로프레임(1)과 가로프레임(2)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어 보관공간에서 이동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가변부(60)는 가변세로판(61)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레일(61a)을 벗어나는 위치에 수직렉기어(61b)를 형성한다.
상기 가변부(60)는 가변가로판(62)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레일(62a)을 벗어나는 위치에 가로렉기어(62b)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은 단면 형상이 디귿자 형태의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의 레일을 일 끝단이 노출되도록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의 일측면에 매립하여 형성한다.
상기 수직렉기어(61b)과 가로렉기어(62b)는 일반적인 렉기어를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에 일 끝단이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것으로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이 설치된 일측면에 형성한다.
상기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에 각각 슬라이드 끼움되는 수직돌기(63)와 가로돌기(64)를 형성하며, 수직렉기어(61b)에 기어 연결되는 수직기어(65)와 가로렉기어(62b)에 기어 연결되는 가로기어(66)를 형성하는 양축모터(67)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돌기(63)와 가로돌기(64)는 단면의 형태가 T 형태로써 가로바 부분이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에 끼움되어 슬라이드 된다.
상기 양축모터(67)는 하나의 모터몸체(67a)의 양끝단에 각각 세로축(68)과 가로축(69)이 형성되며, 세로축(68)에는 수직기어(65)가 형성되고 가로축(69)에는 가로기어(66)가 결합된다.
상기 양축모터(67)는 전원이 인가되면 세로축(68)과 가로축(69)이 설정이나 제어에 의해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지정된 축만 국한하여 회전하고 나머지 축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에는 서로 맞물림되는 홈(60a)과 돌기(60b)를 다수개로 형성한다.
상기 수직돌기(63)와 가로돌기(64)가 수직안내홈(60a)과 가로안내홈(60a)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축모터(67)의 작동시 수직기어(65)가 수직렉기어홈(60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로기어(66)가 가로렉기어홈(60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의 홈(60a)과 돌기(60b)가 끼움되면서 보관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책장(100) 작용 및 효과,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하기 위하여 보관물의 제목, 내용, 크기, 두께, 지은이 등 각종 정보가 입력되어진 정보칩(2)을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하여 스캔인식하는 정보입력단계(S1)를 실시한다.
상기 정보입력단계(S1)에서는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한 스캐닝 방식이나 키보드(46)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한다.
이후, 상기 정보입력단계(S1)를 거친 후,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하여 보관공간을 검색이 완료되면 보관섹터를 검색하여 보관물의 보관위치를 설정하는 보관위치설정단계(S2)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관위치설정단계(S2)를 거친후, 관리 담당자가 설정된 위치에 정보칩(2)이 받침판(21)의 수신칩(22)과 동일한 방향인 전방을 향하도록 보관물의 보관하는 보관물보관단계(S3)를 실시한다.
상기 보관물보관단계(S3)에서 관리 담장자는 표시등(23)을 보고 보관할 보관공간을 확인하여 쉽게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보관물보관단계(S3)를 거친 후, 보관물의 보관이 완료되면 정리부(50)의 정리이송기(52)가 정리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리판(53)이 보관물을 일측을 밀어 직립시켜 보관물의 정리 작동과정을 완료하는 보관정리단계(S4)를 실시한다.
상기 보관정리단계(S4)에서는 제어부(40)를 통해 보관물의 정리 작동을 시행하면 받침판(21)의 상부 일측에 밀착되어 대기상태인 정리이송기(52)가 작동하면서 따라 정리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면, 정리판(53)이 이동하면서 보관물의 하부를 밀어 로드셀(54)의 설정된 값에 도달하도록 이동하여 보관물이 직립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한다.
이후, 상기 보관정리단계(S4)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할 경우에는 인출자가 제어부(40)의 키보드(46)를 이용해 인출할 보관물의 정보 및 인출자의 정보를 기재하면 위치설정창(44)을 통해 보관공간의 위치정보 확인과 위치표시창(45)을 통해 보관섹터를 확인 후 인출확인하는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를 실시한다.
상기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에서는 보관물의 확인과 인출 작동을 시행하기 위한 것을 정보창(43)을 통해서는 보관물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표시창(45)에 의해 위치를 확인 후 이상이 없으면 인출작동을 시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확인이 완료되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푸쉬부(30)의 푸쉬이송기(32)가 푸쉬레일(31)을 따라 이동한 후 인출 대상에 해당하는 보관물에 위치한 후 푸셔(34)의 푸쉬바(33)가 돌출되면서 보관물을 밀어내는 보관물푸쉬단계(S6)를 실시한다.
상기 보관물푸쉬단계(S6)에서는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의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인출할 보관물을 받침판(21)의 전면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약 3~5cm정도 돌출시킨다.
상기 보관물푸쉬단계(S6)에서의 푸쉬이송기(32)의 이동은 보관물의 정보칩(2)을 인식하는 받침부(20)의 수신칩(22) 신호를 제어부(40)를 통해 전달받아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면 푸셔(34)의 푸쉬바(33)가 돌출하면서 보관물의 후방면을 밀어서 돌출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보관물푸쉬단계(S6)를 거친 후, 푸쉬부(30)에 의해 밀려서 돌출된 보관물의 보관된 보관공간의 받침부(20)의 받침판(21) 표시등(23)이 표시되어 인출자가 식별하여 직접 인출하는 보관물취득단계(S7)를 실시한다.
상기 보관물취득단계(S7)는 인출자가 보관공관을 확인 후 보관물의 돌출 및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등(23)이 점등된 지점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보관물을 정확하며 간편하게 인출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보관물을 보관 구역의 공간 높이가 보관물의 높이보다 작거나 클 경우 제어부(40)를 통해 받침부(20)의 승강모터(24)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클램퍼(25)의 작동기(26)의 작동으로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승강모터(24)가 이송축(10)을 따라 승하강되어 받침판(21)의 높이를 조정을 완료하면, 승강모터(24)는 작동을 멈추는 동시에 스톱퍼(28)가 이송축(10)에 기어 연결되어 받침판(21)의 위치를 고정하는 높이조정단계(S8)를 실시한다.
상기 높이조정단계(S8)에서는 승강모터(24)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부(40)를 통해 설정된 값에 따라 받침판(21)의 하부에 설치된 감지센서(41)에 의해 감지되어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이동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60)를 이용하여 가변세로판(61)은 수평방향으로 가변가로판(62)은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세로판(61)의 수직레일(61a)에 양축모터(67)의 수직돌기(63)를 끼움한 후 가변가로판(62)의 가로레일(62a)에 양축모터(67)의 가로돌기(64)를 끼움한다.
상기 양축모터(67)의 수직기어(65)와 수직렉기어(61b)를 기어 연결하는 동시에 가로기어(66)와 가로렉기어(62b)를 기어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양축모터(67)의 세로축(68)을 작동시키면 수직기어(65)가 회전하면서 수직렉기어(61b)를 따라 이동하되 모터몸체(67a)의 수직돌기(63)는 수직레일(61a)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가로돌기(64)가 가로레일(62a)에 끼움되어 가변가로판(62)이 이동하는데, 수직렉기어(61b)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변가로판(62)이 승하강되면서 보관공간을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양축모터(67)의 가로축(69)을 작동시키면 가로기어(66)가 회전하면서 가로렉기어(62b)를 따라 이동하되 모터몸체(67a)의 가로돌기(64)는 가로레일(62a)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세로돌기(60b)가 수직레일(61a)에 끼움되어 가변세로판(61)이 이동하는데, 가로렉기어(62b)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변세로판(61)이 수평이동하면서 보관공간을 폭을 조절한다.
상기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이 선택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지 않는 가변세로판(61)이나 가변가로판(62)은 설치된 최초의 위치를 유지한 조건하에 작동한다.
한편, 상기 가변부(60)를 이용하여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이 동시에 이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세로판(61)의 수직레일(61a)에 양축모터(67)의 수직돌기(63)를 끼움한 후 가변가로판(62)의 가로레일(62a)에 양축모터(67)의 가로돌기(64)를 끼움한다.
상기 양축모터(67)의 수직기어(65)와 수직렉기어(61b)를 기어 연결하는 동시에 가로기어(66)와 가로렉기어(62b)를 기어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양축모터(67)의 세로축(68)과 가로축(69)을 작동시키면 수직기어(65)와 가로기어(66)가 회전하면서 각각 수직렉기어(61b)와 가로렉기어(62b)를 따라 이동하되 모터몸체(67a)의 수직돌기(63)는 수직레일(61a)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가로돌기(64)는 가로레일(62a)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수직돌기(63)는 수직레일(61a)을 통해 가변세로판(61)을 이동시키고, 가로돌기(64)는 가로레일(62a)을 통해 가변가로판(62)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의 홈(60a)과 돌기(60b)가 서로 끼움되면서 보관공간의 높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양축모터(67)의 세로축(68)과 가로축(69)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변세로판(61)은 승하강되며, 가변가로판(62)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어 조작 및 사용이 간편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세로프레임 2 : 정보칩
3 : 가로프레임 4 : 단위책장
5 : 접점단자 5a : 돌출단자
5b : 접지단자 6 : 설치홈
10 : 이송축
20 : 받침부 21 : 받침판
22 : 수신칩 23 : 표시등
24 : 승강모터 25 : 클램퍼
26 : 작동기 27 : 연장단
28 : 스톱퍼 30 : 푸쉬부
31 : 푸쉬레일 32 : 푸쉬이송기
33 : 푸쉬바 34 : 푸셔
35 : 청소부재
40 : 제어부 41 : 감지센서
42 : 컴퓨팅장치 43 : 정보창
44 : 위치설정창 45 : 위치표시창
46 : 키보드 47 : 수동조작부
50 : 정리부 51 : 정리레일
52 : 정리이송기 53 : 정리판
54 : 로드셀 55 : 정리이송홀
56 : 크리닝부재
60 : 가변부 60a : 홈
60b : 돌기 61 : 가변세로판
61a : 수직레일 61b : 수직렉기어
62 : 가변가로판 62a : 가로레일
62b : 가로렉기어 63 : 수직돌기
64 : 가로돌기 65 : 수직기어
66 : 가로기어 67 : 양축모터
67a : 모터몸체 68 : 세로축
69 : 가로축 100 : 가변책장
S1 : 정보입력단계 S2 : 보관위치설정단계
S3 : 보관물보관단계 S4 : 보관정리단계
S5 :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 S6 : 보관물푸쉬단계
S7 : 보관물취득단계 S8 : 높이조정단계

Claims (15)

  1.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책장에 있어서,
    한 쌍으로 마주보는 세로프레임(1)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다수개의 이송축(10),
    상기 이송축(10)에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며 위치 고정을 위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받침부(20),
    상기 받침부(20)의 후방에는 정보칩(2)이 형성된 보관물을 앞쪽으로 돌출 또는 밀어 내기 위한 푸쉬부(30),
    상기 받침부(20)에 올려져 보관되는 보관물의 정보칩(2)을 통한 정보인식 및 받침부(20) 및 푸쉬부(30)의 작동과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1) 다수개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세로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 끝단 및 중앙부분에 등간격으로 가로프레임(3)을 각각 설치하여 사각형태의 보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보관공간에 받침부(20)가 이송축(10)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일체의 격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1)은 한 쌍으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 끝단에 가로프레임(3)을 각각 설치한 후, 세로프레임(1) 사이의 각 보관공간에 받침부(20)를 이송축(10)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단위책장(4)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책장(4)의 세로프레임(1)이나 가로프레임(3)의 일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한 지점에는 전원의 공급 또는 전달을 위한 접점단자(5)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책장(4)을 연속설치나 적층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는 보관물이 올려지며 정보칩(2)을 무선방식으로 인식하며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수신칩(22) 및 보관공간의 용량 및 선택된 보관물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23)을 전방면에 형성한 받침판(21),
    상기 받침판(21)의 하부면 4지점에는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며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24),
    상기 승강모터(24)의 하부에는 승강모터(24)의 작동 여부에 따라 이송축(10)을 클램핑하여 받침판(21)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퍼(2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25)는 승강모터(24)에 고정되는 작동기(26),
    상기 작동기(26)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틸팅 작동하는 연장단(27)의 끝단에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는 렉기어 형태의 스톱퍼(28)를 형성하여,
    상기 클램퍼(25)는 제어부(4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으면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이 해제되고 전원이 해제되면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되어 받침부(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30)는 받침판(21)의 후방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푸쉬레일(31),
    상기 푸쉬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푸쉬이송기(32),
    상기 푸쉬이송기(32)의 이동제어 및 인출을 원하는 보관물의 후방면에 접촉하여 밀어내도록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솔레노이드방식으로 푸쉬바(33)가 인출입 작동하는 푸셔(34),
    상기 푸쉬이송기(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푸쉬레일(31)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재(3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의 받침판(21)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정리레일(51),
    상기 정리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정리이송기(52),
    상기 정리이송기(52)의 이동제어 및 정리를 원하는 보관물의 일측면 하부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도록 정리이송기(52)의 전방에 설치하는 정리판(53),
    상기 정리판(53)에는 보관물과 접촉하는 전방에는 로드셀(54)을 설치하여 설정된 가압력에 도달할 때 까지 보관물을 밀어 받침판(21)의 상부에 보관시 직립되지 않고 기울어진 보관물을 일측으로 밀어 수직으로 정리하는 정리부(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세로프레임(3)의 외측이나 보관공간, 별도의 장소나 위치에 설치하며, 받침부(20)의 받침판(21) 하부면이나 최상부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3)의 하부에는 받침부(20)의 높낮이 조절과 위치 고정을 위한 승강모터(24)와 클램퍼(25)의 작동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감지 거리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감지센서(41),
    상기 제어부(40)는 보관물의 정보칩(2)을 스캔 또는 인식하는 컴퓨팅장치(42),
    상기 컴퓨팅장치(42)에 의해 스캔 또는 인식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43),
    상기 보관물을 빌리는 사람의 인출자정보창(43),
    상기 보관물 중 빌리는 대상의 보관물을 선택하거나 보관물의 보관할 위치를 가로방향 X구역과 세로방향 Y구역에 따른 보관공간설정 및 세부 위치 구역 섹터를 선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창(44),
    상기 보관물의 보관위치 및 빌리는 보관물의 위치 정보를 가로방향 X구역과 세로방향 Y구역에 따른 보관공간 및 보관공간내 세부 보관 위치 섹터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창(45),
    상기 보관물의 각종 정보 및 설정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46),
    상기 위치설정창(44)에서 설정되는 보관공간 및 섹터를 수동방식으로 검색 및 설정하는 수동조작부(4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물의 정보칩(2)을 통해 컴퓨팅장치(42)에 정보가 인식시 보관물의 두께 정보를 이용하여 받침부(20)의 수신칩(22)에서 받침부(20)의 여유 공간을 확인하고 보관되는 보관품의 보관 섹터를 파악하여 푸쉬부(30)나 정리부(50)의 작동 위치를 정확히 설정 및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1)의 하부에는 이송축(10)이 설치된 지점으로 연결되는 설치홈(6)을 통해 받침부(20)를 삽입하여 이송축(10)에 연결되도록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책장(4)은 일측 세로프레임(1)과 상부측 가로프레임(3)의 내측면에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가변세로판(61)은 수평방향으로 가변가로판(62)은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거나,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가변부(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60)는 가변세로판(61)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레일(61a)을 벗어나는 위치에 수직렉기어(61b)를 형성하고,
    상기 가변부(60)는 가변가로판(62)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로레일(62a)을 벗어나는 위치에 가로렉기어(62b)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에 각각 슬라이드 끼움되는 수직돌기(63)와 가로돌기(64)를 형성하며, 수직렉기어(61b)에 기어 연결되는 수직기어(65)와 가로렉기어(62b)에 기어 연결되는 가로기어(66)를 형성하는 양축모터(6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에는 서로 맞물림되는 홈(60a)과 돌기(60b)를 다수개로 형성하여, 수직돌기(63)와 가로돌기(64)가 수직레일(61a)과 가로레일(6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축모터(67)의 작동시 수직기어(65)가 수직렉기어(61b)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로기어(66)가 가로렉기어(62b)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변세로판(61)과 가변가로판(62)의 홈(60a)과 돌기(60b)가 끼움되면서 보관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
  14. 서적이나 서류와 같은 보관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책장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보관물의 제목, 내용, 크기, 두께, 지은이의 정보가 입력되어진 정보칩(2)을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하여 스캔인식하는 정보입력단계(S1),
    상기 정보입력단계(S1)를 거친 후, 컴퓨팅장치(42)를 이용하여 보관공간을 검색이 완료되면 보관섹터를 검색하여 보관물의 보관위치를 설정하는 보관위치설정단계(S2),
    상기 보관위치설정단계(S2)를 거친후, 관리 담당자가 설정된 위치에 정보칩(2)이 받침판(21)의 수신칩(22)과 동일한 방향인 전방을 향하도록 보관물의 보관하는 보관물보관단계(S3),
    상기 보관물보관단계(S3)를 거친 후, 보관물의 보관이 완료되면 정리부(50)의 정리이송기(52)가 정리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리판(53)이 보관물을 일측을 밀어 직립시켜 보관물의 정리 작동과정을 완료하는 보관정리단계(S4),
    상기 보관정리단계(S4)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할 경우에는 인출자가 제어부(40)의 키보드(46)를 이용해 인출할 보관물의 정보 및 인출자의 정보를 기재하면 위치설정창(44)을 통해 보관공간의 위치정보 확인과 위치표시창(45)을 통해 보관섹터를 확인 후 인출확인하는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
    상기 보관물확인 및 인출단계(S5)를 거친 후, 보관물의 인출확인이 완료되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푸쉬부(30)의 푸쉬이송기(32)가 푸쉬레일(31)을 따라 이동한 후 인출 대상에 해당하는 보관물에 위치한 후 푸셔(34)의 푸쉬바(33)가 돌출되면서 보관물을 밀어내는 보관물푸쉬단계(S6),
    상기 보관물푸쉬단계(S6)를 거친 후, 푸쉬부(30)에 의해 밀려서 돌출된 보관물의 보관된 보관공간의 받침부(20)의 받침판(21) 표시등(23)이 표시되어 인출자가 식별하여 직접 인출하는 보관물취득단계(S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물을 보관 구역의 공간 높이가 보관물의 높이보다 작거나 클 경우 제어부(40)를 통해 받침부(20)의 승강모터(24)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클램퍼(25)의 작동기(26)의 작동으로 스톱퍼(28)가 이송축(10)과 기어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승강모터(24)가 이송축(10)을 따라 승하강되어 받침판(21)의 높이를 조정을 완료하면, 승강모터(24)는 작동을 멈추는 동시에 스톱퍼(28)가 이송축(10)에 기어 연결되어 받침판(21)의 위치를 고정하는 높이조정단계(S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KR1020200188730A 2020-12-31 2020-12-31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KR10242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30A KR102428264B1 (ko) 2020-12-31 2020-12-31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30A KR102428264B1 (ko) 2020-12-31 2020-12-31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58A KR20220096358A (ko) 2022-07-07
KR102428264B1 true KR102428264B1 (ko) 2022-08-02

Family

ID=8239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730A KR102428264B1 (ko) 2020-12-31 2020-12-31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1791A (zh) 2017-08-01 2018-01-16 赵国美 一种书柜led可见光快速定位查询和管理的方法
CN207885955U (zh) 2017-11-24 2018-09-21 北京京东广告有限公司 一种资料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31B1 (ko) * 2008-08-25 2011-01-18 김민기 회전식 책장
KR200450183Y1 (ko) 2008-10-31 2010-09-08 김성우 수납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선반)
KR101206149B1 (ko) * 2009-09-17 2012-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서관용 스마트 모빌랙
KR20120126713A (ko) 2011-05-12 2012-11-21 전임숙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KR200481737Y1 (ko) 2012-06-06 2016-11-04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1791A (zh) 2017-08-01 2018-01-16 赵国美 一种书柜led可见光快速定位查询和管理的方法
CN207885955U (zh) 2017-11-24 2018-09-21 北京京东广告有限公司 一种资料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35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9271572B2 (en) Lift system
US9593481B2 (en)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US5255970A (en) Storage cabinet
US8414093B2 (en) Motorized moveable shelf assembly for cabinet structures
WO2013119782A1 (en)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CA2433268A1 (en) Controlled access dispensing system
US9504323B1 (en) Drawer slide structure
US20110037360A1 (en) Adaptable bi-fold workstation
US20070241650A1 (en) Automated and movable shelving system for cabinetry
US20100289393A1 (en) Integrated Recycling System
WO2006125273A1 (en) Furniture
KR102428264B1 (ko) 스마트 가변 책장 및 가변 책장의 작동방법
US112616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wall-mounted devices
US20070034754A1 (en) Height-adjustable work surface affixed to a vertically extending surface
EP1945062B1 (en) Multi-user desk system
JPH07184725A (ja) 昇降式収納装置
CN105979819A (zh) 柜抽拉装置
JPH08205943A (ja) オフィス家具集合体
KR20180008131A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WO2007148961A1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djustable dimensions
US10405656B1 (en) Drawer sliding mechanism
US20160081470A1 (en) Cabinet with hidden swing-out bottom platform
US20190274422A1 (en) Expandable spice rack
KR10078630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