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28B1 -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28B1
KR101007828B1 KR1020057012626A KR20057012626A KR101007828B1 KR 101007828 B1 KR101007828 B1 KR 101007828B1 KR 1020057012626 A KR1020057012626 A KR 1020057012626A KR 20057012626 A KR20057012626 A KR 20057012626A KR 101007828 B1 KR101007828 B1 KR 10100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lipid
polyglycerol
general formula
lipid membrane
membra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931A (ko
Inventor
카즈히로 쿠보
치카 이토
šœ스케 오오하시
토오루 야스코치
유스케 오오카와
히로시 키꾸찌
노리오 스즈끼
미호 타카하시
히토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3Polymersomes; Liposomes with polymerisable or polymerised bilayer-form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09Esters of phosphoric acids
    • C07F9/10Phosphatides, e.g. lecith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08G65/260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containing aliphatic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5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08G65/335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34Oligomeric, e.g. cyclic olig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는 생체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고, 리포좀 등의 약물운반 시스템 등으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6373573-pct00021
(1)
상기 식에서,
R1CO 및 R2CO는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2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 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k1, k2 및 k3은
2≤k≤50,
1≤k1≤(k+2)/2,
k2≥0,
k1+k2+k3=k+2를 만족하는 수이다.
인지질 유도체, 폴리글리세린, 약물운반 시스템

Description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Phospholipid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가용화제(solubilizer), 화장재료용 분산제(dispersing agent) 및 지질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 제제로 대표되는 미립자성 약제의 담체 및 단백질 제제 등의 폴리펩티드는 정맥 내에 투여한 경우, 혈액 중에서의 체류성이 나쁘고, 간장, 비장 등의 세망 내피계조직(reticuloendothelial system: 이하, 「RES」라 약함)에 포획되기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S의 존재로 인하여, RES 이외의 장기에 의약을 전달시키는 목표형 제제(targeting type preparation)나 장시간에 걸쳐 혈액 중에 제제를 체류시키고 의약의 방출을 조절하는 서방형 제제(sustained-release preparation)로서의 미립자성 의약 담체를 이용하는데 큰 장해가 되고있다.
종래부터 상기의 제제에 미소순환성(microcirculation property)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리포좀의 지질 2분자 막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비교적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것이므로, 리포좀의 크기를 작게 하여 혈중 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는 방법(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761, p.142, 1983), 높은 상 전이온도를 가지는 레시틴을 이용하는 방법(Biochemical Pharmacology, Vol.32, p.3381, 1983), 레시틴 대신에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을 이용하는 방법(Biochemical Pharmacology, Vol.32, p.3381, 1983), 리포좀의 막성분으로서 콜레스테롤을 첨가하는 방법(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761, p.142, 1983)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혈중체류성이 좋으면서, 동시에 RES에 포획되기 어려운 미립자성 의약 담체를 제공한 예는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그 외의 해결방법으로서 리포좀의 막 표면을 당지질, 당단백질, 아미노산 지질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지질 등으로 수식하여 미소순환성을 부여하면서 RES를 회피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리코폰(glycophon)(일본약학회 제106회 강연요지집, p.336, 1986),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 GM1(FEBS letter, Vol.223, p.42, 1987),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FEBS letter, Vol.223, p.42, 1987), 글리코폰과 강글리오시드 GM3(일본특개소 제 63-221837호 공보),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FEBS letter, Vol.268, p.235, 1990), 글루크론산(glucuronic acid) 유도체(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38, p.1663, 1990), 글루타민산 유도체(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1108, p.257, 1992), 폴리글리세린 인지질 유도체(일본특개평 제 6-228012호 공보) 등이 그 수식물질로서 보고되어 있다.
폴리펩티드를 수식하는 경우에는, 그 결합점의 갯수를 줄여 폴리펩티드 내의 리신(lysine) 잔기 등의 활성기의 잔존량을 높이는 목적으로, 트리아진(triazine)을 이용하여 2개의 수용성 고분자를 도입한 보고 등이 있다. 리포좀 제제에 있어서도, 수용성 고분자의 분자량을 높이는 목적으로, 트리아진에 2개의 수용성 고분자를 도입해 그것을 이용하여 리포좀 표면을 수식한 보고가 있다. 그러나, 리포좀 표면의 수용성 고분자의 사슬의 수를 늘리기 위하여, 트리아진을 이용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도입하는 경우, 트리아진 고리에는 수용성 고분자를 2개만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아진에 2개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많이 배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분자 수식제로서 2개 또는 3개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에 하나의 관능기(funtional group)가 결합해서 된 화합물의 보고가 있지만, 이 수식은 2개 또는 3개까지로 한정되어 있고, 또한, 전기 화합물에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의 한쪽 말단 이외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로 봉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관능기 이상을 가질 수 없다. 이 경우, 리포좀 표면에 미소순환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친수성 기를 가진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기를 포함하는 인지질 유도체는 계면활성제로서도 이용되고 있지만, 생체에 대해서 안전성이 높고, 고염(high salt)농도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생체에 대해서 안전성이 높고, 생리활성물질 등의 가용화 및 분산 또는 리포좀 등의 약물전달 시스템 또는 화장재료의 분야에 있어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는 인지질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연구를 한 결과,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신규한 인지질 유도체가 원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1
(1)
상기 식에서,
R1CO 및 R2CO는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2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 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k1, k2 및 k3은 2≤k≤50, 1≤k1≤(k+2)/2, k2≥0, k1+k2+k3=k +2를 만족하는 수이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1≤k1≤2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0≤k2≤1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8≤k1+k2+k3≤52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R1CO 및 R2CO는 각각 독립적으로 1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k2가 0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a 및 b가 0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및 k2>0 인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가 제공된다.
다른 관점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가용화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산제, 바람직하게는 화장재료용의 분산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함유하는 지질막 구조체가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리포좀이 제공된다.
또 다른 관점으로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2
(2),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3
(3)
상기 식에서,
R1, R2, a 및 M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X는 수소원자 또는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를 나타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및 k4는 k4=k+2를 만족하는 수이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내에서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킬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의 범위에서 탈수축합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폴리글리세린과 2염기산(dibasic acid)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과 반응시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은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폴리글리세린과 할로겐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반응시켜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유도체와 하기 일반식 (5)로 표시되는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단, k2가 0인 경우를 제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4
(4),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5
(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Y는 수산기 또는 이탈기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k5 및 k6은 2≤k≤50, 1≤k5≤(k+2)/2, k5+k6=k+2를 만족하는 수이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내에서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고, 의약 및 지질막 구조체(바람직하게는 리포좀)를 포함하는 의약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의약은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인지질 유도체에 있어서,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k1+k2+k3=k+2이다. k는 중합도를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는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전기 폴리글리세린의 잔기는 폴리글리세린에서 모든 수산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를 구성하는 폴리글리세린은 2개 이상의 글리세린이 에테르 결합하여 연결된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직쇄상의 화합물로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 HO-CH2-CH(OH)-CH2-[O-CH2-CH(OH)-CH2]K-2-O-CH2-CH(OH)-CH2-OH로 표시된다(k는 2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중합에 관여한 글리세린의 갯수(중합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를 의미한다). 폴리글리세린이 분지쇄상의 화합물로서 존재가능한 것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폴리글리세린의 용어를 직쇄상의 화합물에 한정해서 해석해서는 안된다. 폴리글리세린으로서는 구체적으로,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헵타글리세린, 옥타글리세린, 노나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 디데카글리세린, 트리데카글리세린, 테트라데카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글리세린으로서는 단일물질을 이용해도 좋지만, 동일 또는 유사한 중합도를 가지는 직쇄상 및/또는 분지쇄상의 2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어, 이와 같은 폴리글리세린의 잔기를 가지는 화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k1은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에 결합하는 인지질 화합물의 잔기의 수를 의미하며, 1 내지 (k+2)/2이다. 인지질 화합물의 잔기의 결합수가 k1<1인 경우, 분자 중에 소수결합 부분이 적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막 지질 구조체에 이용하는 경우, 1≤k1≤2가 바람직하다. 인지질 화합물의 잔기의 결합수가 2<k1≤(k+2)/2인 경우, 즉, k1이 2개보다 많게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잔기가 많게 되고, 즉, 분자 중에 소수 부분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셸(micelle)을 형성하기 쉽게 되어 가용화 및 분산제 용도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k2는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에 결합하는 말단이 -COOM으로 표시되는 기(基)의 갯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k2≥0이다. k2가 0인 경우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말단이 -COOM으로 표시되는 부분구조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k2>0이상의 경우, 카르복시기가 존재하고 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분산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0≤k2≤1의 경우에는, 카르복시기의 수가 적기 때문에 리포좀 등의 막 지질 구조체를 안정화하고, 리포좀을 안정화할 수 있어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금속 원자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금속 원자로서 나트륨 및 칼륨, 유기 암모늄으로서 트리에틸 암모늄 및 디이소프로필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k3은 폴리글리세린 잔기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갯수이며, k1+k2+k3=k+2를 만족하는 정수이다. k1+k2+k3의 값은 4 내지 5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2의 정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정수이다. k1+k2+k3의 값이 4보다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k1+k2+k3의 값이 52보다 크면, 폴리글리세린의 점성이 크게 되어 수득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R1CO 및 R2CO는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이다. 아실기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지방족 아실기 또는 방향족 아실기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통상적으로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아실기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R1CO 및 R2CO의 구체적인 예로는,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ic acid), 아라킨산(arach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에루신산(erucic acid), 리그노세린산(lignoceric acid)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들 수 있다. R1CO 및 R2CO는 같아도 달라도 무방하다. 탄소수가 24를 넘는 경우에는, 물에서의 분산이 좋지 않아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탄소수가 8보다 적은 경우에는, 정제 단계에서의 결정성이 좋지 않아, 목적물의 최종 순도가 낮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 (1)에서,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며, b가 1인 경우에는 a가 1 내지 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a가 2 또는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가 0인 경우에는 a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목적하는 화합물의 구조에 맞게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A〉
k2가 0인 인지질 유도체는 예를 들어 일반식 (2)와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에서 R1, R2, M 및 a는 일반식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며, X는 수소원자 또는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N-hydroxysuccinimide)이다.
원료가 되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 화합물과 디카르복시산 무수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용되는 인지질은 R1 및 R2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면, 천연 인지질이어도 합성 인지질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대두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soybean phosphatidyldiethanolamine) 및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난황 및 수소처리된 난황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의 천연 및 합성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활성화 에스테르 유도체와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에스테르 유도체는 예를 들어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X가 수소원자인 화합물과 활성화제를 탈수축합제(dehydration condensation agent)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 N,N'-디숙신산이미드카보네이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4-니트로페놀,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설포늄/메틸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과 활성화제의 반응은 탈수축합제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시산과 반응하지 않는 용매,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의 반응용매 중에서 반응온도 1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에서 반응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화제를 인지질 화합물의 용액에 분산, 교반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활성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카르복시기와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기가 반응해서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카르복시기측 말단에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가 결합한 활성화 에스테르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수산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산 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및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클로로포름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용매는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의 말단의 카르복시기와 반응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과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의 반응은 통상적으로는 유기용매 내에서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수축합제를 이용해서 반응시킬 수 있다. 염기성 촉매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질소함유물질로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초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고, 유기염으로는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붕산나트륨 및 초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촉매의 양은 정제 등의 단계를 고려하면, 반응이 완결되기 위한 최소량이면 좋다. 염기성 촉매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과의 반응율을 고려하면, 통상적으로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1 내지 2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몰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로서는 수산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메틸설폭사이드, 벤젠 및 톨루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디메틸설폭사이드, 클로로포름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용매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말단의 카르복시기와 반응하는 경우가 있다.
탈수축합제를 이용하는 경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과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관능기를 탈수축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탈수축합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diisopropylcarbodiimide) 등의 카보디이미드 유도체를 들 수 있고, 특히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탈수축합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은 수산기를 많이 가져 흡습성이 있고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등의 카보디이미드 유도체는 폴리글리세린의 수분과 반응할 가능성이 있어 목적하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과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관능기와의 탈수 축합반응이 완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탈수축합제의 양은 예를 들어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1 내지 10배 몰 정도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 몰 정도이다.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를 반응계 중에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에 대하여 0.1 내지 2배 몰을 더함에 따라 반응률을 높일 수 있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한 분자당 k1의 수에 대해서 1 내지 3배 몰이 좋고, 1 내지 1.3배 몰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보통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이다. 반응시간은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시간이다. 20℃보다 저온에서는 반응률이 낮은 경우가 있고, 90℃보다 고온에서는 반응에 이용되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아실기가 가수분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합성에 의해서 단일화합물로서 수득되는 경우도 있지만, k1, k2 및 k3이 각각 다른 혼합물로서 수득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원료로서 이용되는 폴리글리세린이 단일물질이 아닌 동일 또는 유사의 중합도를 가지는 직쇄상 및/또는 분지쇄상의 2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혼합물인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에 대해서 복수 구조의 혼합물로서 목적물이 수득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와 같은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반응단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조방법 B>
일반식 (1)에서 k2가 0인 인지질 유도체 및 k2가 0이 아닌 인지질 유도체, 즉, 폴리글리세린 잔기에 말단이 카르복시기인 부분구조가 결합한 화합물은 상술한 단계 (A) 및 (B)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A)에서 폴리글리세린 화합물과 2염기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얻은 후, 단계 (B)에서 수득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단계 (A')에서는 2염기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 대신에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반응시킨 후, 가수분해함으로써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할 수 있다.
2염기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무수 숙신산, 무수 글루타르산, 클로로프로피온산, 클로로프로피온산 메틸, 클로로프로피온산 에틸, 브로모프로피온산, 브로모프로피온산 메틸, 브로모프로피온산 에틸, 브로모헥사노인산(bromohexanoic acid), 브로모헥사노인산 메틸, 브로모헥사노인산 에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폴리글리세린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2염기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는 상기의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하는 것이면 어떠한 화합물을 이용해도 좋다. 단계 (A) 또는 (A')에서 사용하는 2염기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반응률을 고려해서 조금 과량을 넣어도 좋다. 즉, 목적하는 k2의 카르복시기의 수에 대해서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의 1 내지 2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몰이다.
단계 (A) 또는 (A')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초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메틸설폭사이드, 벤젠 및 톨루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클로로포름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용매는 폴리글리세린과 반응시키는 2염기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디클로로메탄 등에서도 반응성에는 문제는 없지만, 낮은 비등점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단계 (A) 또는 (A')의 반응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이다. 반응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8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하의 반응온도는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인지질은 천연 인지질이어도 합성 인지질이어도 무방하고, 대두 및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난황 및 수소처리된 난황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의 천연 및 합성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초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메틸설폭사이드, 벤젠 및 톨루엔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디메틸설폭사이드, 클로로포름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용매는 폴리글리세린과 반응시키는 2염기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디클로로메탄 등에서도 반응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낮은 비등점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단계 (B)의 반응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이다. 반응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하의 반응온도는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B)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과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의 반응에는 탈수축합제 및/또는 염기성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탈수축합제로서는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의 카르복시기와 인지질 화합물의 관능기를 탈수 및 축합시킬 수 있는 탈수축합제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수축합제로서는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등의 카보디이미드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으나, 탈수축합제로서는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탈수축합제의 사용량은 인지질 화합물에 대해서 1 내지 5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를 반응 중에 인지질 화합물에 대해서 0.1 내지 2배 몰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에 사용하는 염기성 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질소함유물질로서는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초산암모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유기염으로서는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붕산나트륨 및 초산나트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염기성 촉매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단계 (B)로 표시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1 내지 5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B)에서 사용하는 인지질 화합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목적하는 k1의 수에 맞게 적절히 반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분자당 k1의 수에 대해서 1 내지 3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배 몰이다.
<제조방법C>
본 발명의 폴리글리세린 수식 인지질에 있어서, 일반식 (1)에서 k2가 0인 인지질 유도체 및 k2가 0이 아닌 인지질 유도체에 있어서, a 및 b=0인 화합물은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과 일반식 (5)로 표시되는 인지질을 반응시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에서,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 k는 2 내지 50, Y는 수산기 또는 이탈기를 나타내고, k5 및 k6은 1≤k5≤(k+2)/2, k5+k6=k+2를 만족하는 수이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에서, Y는 수산기 또는 이탈기(leaving group)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이탈기」로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에 인지질과의 반응활성을 부여하는 기이며, 전자흡인성 기(electron withdrawing group) 및 그 외의 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기의 구체적예로서는, 이미다졸기, 4-니트로페닐옥시기, 벤조트리아졸기, 염소,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필옥시기, 카보닐옥시-N-2-피롤리디논기, 카보닐-2-옥시피리미딘기, N-숙신이미딜옥시기, 펜타플루오로벤조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미다졸기, 4-니트로페닐옥시기, 벤조트리아졸기, 염소 및 N-숙신이미딜옥시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N-숙신이미딜옥시기와 4-니트로페닐옥시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을 수득하는 예로서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에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염기성 촉매하, 유기용매 내에서, N,N'-숙신이미딜카보네이트나 클로로포름산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등의 활성화제를 사용해서 상기의 이탈기를 도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활성화제의 양은 보통 인지질을 도입하는 k1의 수와 같은 몰 이상이면 좋다. 단, 실질적으로는 활성화제의 순도 등도 고려해서, k1의 수의 1 내지 2배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을 이용해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a 및 b=0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할 때에 이용되는 인지질은 일반식 (5)로 표시된다. 상기 인지질은 천연 인지질이어도 합성 인지질이어도 무방하며, 대두 및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난황 및 수소처리된 난황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의 천연 및 합성 포스파티딜디에탄올아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반응에는 염기성 촉매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질소함유물질로서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초산암모늄 등이나, 유기염으로서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붕산나트륨 및 초산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염기성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1 내지 5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B)에서 사용하는 인지질 화합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하는 k1의 수에 맞게 적절히 반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분자당 k1의 수에 대해서 1 내지 3배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배 몰이다.
본 반응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및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클로로포름, DMSO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용매는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화합물의 말단의 이탈기와 반응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디클로로메탄 등에서도 반응성에는 문제는 없지만, 낮은 비등점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반응의 반응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이다. 반응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시간 이상, 2 내지 24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하의 온도는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90℃ 이상의 온도에서는 반응에 이용되는 인지질 화합물의 아실기가 가수분해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계면활성제로 이용함으로써, 가용화액, 유화액,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물에 난용성인(水難溶性) 약물의 가용화제, 유화제 및 분산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유화제,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로서 이용하는 경우, 유화제,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만을 이용해도 좋고, 또한 유화, 가용화 또는 분산에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용화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지만, 물 또는 완충액 등의 분산매에 지용성 물질 등을 용해시킨 용해액, 물 또는 완충액 등의 분산매에 지용성 물질 등을 분산시킨 분산액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액 또는 가용화액의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에 따라 형성된 미셸용액, 즉, 그 내부에 지용성 물질을 함유한 미셸용액, 또는 물이나 완충액 등의 분산매에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와 지용성 물질 등에 따른 분산입자가 콜로이드 입자 또는 그 이상 큰 입자로서 존재하는 에멀젼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미셸용액으로서는 분산입자의 지름이 10 내지 300nm인 것을 특히 고분자 미셸용액이라 한다. 에멀젼 용액은 O/W형 또는 W/O/W형이어도 좋다. 가용화 또는 유화할 수 있는 지용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유, 트리글리세린, 토코페롤, 고급 지방산, 수난용성 약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용화될 수 있는 수난용성 약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5℃에서 물에 대하여 1,000ppm 이하의 용해도를 가지는 것, 용해도가 10mg/ml 이하의 것 등이 이용된다. 수난용성 약물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 앰포테리신 B(amphotericin B),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니페디핀(nifedipine), 타클로리무스(tacrolimus), 멜파란(melphala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시타라빈(cytarabine), 테가풀(tegafur), 이독시도(idoxido),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medroxyprogesterone), 페노피브레이트(phenofibrate) 등을 들 수 있다.
화장재료 분야에서의 분산제로서의 사용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스코르빈산 등의 수용성 물질을 지질막 구조체의 내부 수상(水相)에 담지하고, 또는 토코페롤 등의 지용성 물질을 지질 이중막에 담지해 놓은 경우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지질막 구조체 형성제로서 이용함에 따라, 보다 안정하게 대상물질을 수용액 안에 분산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첨가량은 예를 들어, 가용화, 분산, 유화 등의 대상이 되는 물질의 모든 질량에 대해서 0.1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질량%이다.
또한, 수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첨가량이 약물의 용해도 등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용해도에 맞게 적절한 첨가량을 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첨가량은 이하의 량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대상이 되는 약물의 모든 질량에 대해서 500 내지 100,000 질량%이다.
상기 일반식 (1)에서 k2가 0인 화합물은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고염농도 조건하에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글리세린 수식 인지질 등은 글리세린기에 유래하는 친수성과 아실기에 유래하는 소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수식 인지질로 대표되는 옥시알킬렌기를 가지는 계면활성제는 고염농도 조건하에서 사용할 경우에 혼탁(turbidity)을 야기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 외, 글리시돌(glycidol) 유도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고염농도 조건하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고가 있지만, 그 경우에는 피부자극의 문제 등이 있어 화장재료 분야에서의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 농도의 높은 상태에 있어서도 높은 가용화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내염성(salt tolerance)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재료의 분야에서 피부와의 상용성이 높은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에서 k2>0 인 화합물, 즉, 분지한 글리세린기의 말단에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pH에 민감한 인지질, 예를 들어, 분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cationic) 물질(예를 들어, 양이온성의 생리활성 물질 등)이나 염기성 물질 등을 수중에 분산하는 경우, 예를 들어, 양이온성 물질 또는 염기성 물질을 포함하는 미립자 등의 표면을 상기 화합물로 피복함에 따라 수중에 안정하게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폴리음이온성 기를 가지기 때문에, 이온 결합에 의해 안정하게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포좀, 에멀젼, 미셸 등의 지질막 구조체의 구성 인지질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함에 따라 지질막 구조체, 바람직하게는 리포좀의 혈중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지질막 구조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소량첨가 함에 따라 달성할 수 있다. 어떠한 특정한 이론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지만, 4개 이상의 다분지(multiple branch)를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지질막 구조체의 구성 인지질로서 이용함에 따라, 폴리글리세린 사슬이 지질막 구조체의 막 안에서 3차원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수용액 중에서의 미립자의 응집을 막아 안정적인 분산상태가 달성된다.
지질막 구조체 안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배합량은 의약 약효를 생체 내에서 유효하게 발현시키는데 충분한 양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질막 구조체에 담지시켜야 하는 의약의 종류, 치료 또는 예방 등의 용도, 지질막 구조체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지질막 구조체에 담지되는 의약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항종양제로서 이용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이리노테칸(irinotecan hydrochloride), 염산노기테칸(nogitecan hydrochloride), 엑사테칸(exatecan), RFS-2000, Lurtotecan, BNP-1350, Bay-383441, PNU-166148, IDEC-132, BN-80915, DB-38, DB-81, DB-90, DB-91, CKD-620, T-0128, ST-1480, ST-1481, DRF-1042 및 DE-310 등의 캄프토테신(camptothecin) 유도체, 도세탁셀 수화물, 파클리탁셀, IND-5109, BMS-184476, BMS-188797, T-3782, TAX-1011, SB-RA-31012, SBT-1514 및 DJ-927 등의 탁산(taxane) 유도체,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염산니무스틴(nimustine hydrochloride), 카보콘(carboquo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다카바진(dacarbazine), 티오테파(thiotepa), 부설판(busulfan), 멜파란(melphalan), 라니무스틴(ranimustine), 인산에스트라무스틴 나트륨(estramustine phosphate sodium), 6-머캅토퓨린 리보시드(6-mercaptopurine riboside), 에노시타빈(enocitabine), 염산겜시타빈(gemcitabine hydrochloride), 카모풀(carmofur), 시타라빈(cytarabine), 시타라빈옥포스페이트(cytarabine ocphosphate), 테가풀(tegafur),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히드록시카바마이드, 플루오로우라실, 메토트렉세이트, 머캅토퓨린, 인산플루다라빈(fludarabine phosphate), 악티노마이신 D, 염산악라루비신(aclarubicin hydrochloride), 염산이다루비신(idarubicin hydrochloride), 염산에피루비신(epirubicin hydrochloride), 염산다우노루비신, 염산독소루비신(doxorubicin hydrochloride), 염산피라루비신(pirarubicin hydrochloride), 염산블레오마이신, 지노스타틴스티말라머(zinostatin stimalamer), 네오카르지노스타틴(neocarzinostatin), 마이토마이신 C(mytomycin C), 황산블레오마이신, 황산페프로마이신(peplomycin sulfate), 에토포시드(etoposide), 주석산비노렐빈(vinorelbine tartrate), 황산빈크리스틴(vincristine sulfate), 황산빈데신(vindesine sulfate), 황산빈블라스틴(vinblastine sulfate), 염산앰루비신(amrubicin hydrochloride), 게피티니브(gefitinib), 엑세메스탄(exemesta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TNP-470, TAK-165, KW-2401, KW-2170, KW-2871, KT-5555, KT-8391, TZT-1027, S-3304, CS-682, YM-511, YM-598, TAT-59, TAS-101, TAS-102, TA-106, FK-228, FK-317, E7070, E7389, KRN-700, KRN-5500, J-107088, HMN-214, SM-11355, ZD-047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질막 구조체에는 유전자 등을 봉입하여도 무방하다. 유전자로서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및 RNA 어느 것이든 좋고, 특별히 형질전환 등의 in vitro에서의 도입용 유전자나 in vivo에서 발현하여 작용하는 유전자, 예를 들어, 유전자 치료용 유전자, 실험동물이나 가축 등의 산업용 동물의 품종개량에 이용되는 유전자를 들 수 있다. 유전자 치료용 유전자로서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안티센스 DNA, 안티센스 RNA, 효소, 사이토카인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지질막 구조체는 또한, 인지질, 콜레스테롤이나 콜레스타놀(cholestanol) 등의 스테롤류, 그 외의 탄소수 8 내지 22개의 포화 및 불포화의 아실기를 가지는 지방산류, α-토코페롤 등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인지질로서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글리세롤, 카디올리핀(cardiolipin), 스핑고미엘린, 세라미드포스포릴에탄올아민(ceramide phosphorylethanolamine), 세라미드포스포릴글리세롤, 세라미드포스포릴글리세롤포스페이트, 1,2-디미리스토일-1,2-데옥시포스파티딜콜린, 플라스마로겐(plasmalogen) 및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의 지방산 잔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 잔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렌산 등의 지방산 유래의 아실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과 같은 천연물 유래의 인지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질막 구조체의 형태 및 그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존재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건조한 지질 혼합물 형태, 수계용매에 분산한 형태, 또한 이것을 건조시킨 형태 및 동결시킨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건조한 지질 혼합물의 형태의 지질막 구조체는 예를 들어, 사용할 지질성분을 일단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그 다음에 농축기(evaporator)에 의한 감압건고(減壓乾固)나 분무건조기에 의한 분무건조를 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지질막 구조체가 수계용매에 분산된 형태로서는 단일막의 리포좀, 다중층 리포좀, O/W형 에멀젼, W/O/W형 에멀젼, 구상 미셸(spherical micelle), 끈형 미셸(worm-like micelle), 부정형의 층상 구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 리포좀이 바람직하다. 분산된 상태의 지질막 구조체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리포좀 및 에멀젼의 경우에는 입자 직경이 50nm에서 5μm이며, 구상 미셸의 경우, 입자 직경이 5nm에서 100nm이다. 끈형 미셸 및 부정형의 층상 구조물의 경우는 상기의 1층당 두께가 5nm에서 10nm로 이들이 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다.
수계용매(분산매)의 조성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구연산 완충액, 인산 완충화 생리식염액 등의 완충액, 생리식염수, 세포배양용의 배지 등이어도 좋다. 상기의 수계용매에 대해서 지질막 구조체를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있지만, 또한, 글루코스, 유당, 슈크로스 등의 당 수용액,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 수용액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의 수계용매에 분산한 지질막 구조체를 안정하게 장기간 보존하려면, 응집 등의 물리적 안정성의 측면에서 수계용매 안의 전해질을 최대한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질의 화학적 안정성의 측면에서 수계용매의 pH를 약산성에서 중성부근(pH 3.0 내지 8.0)에 설정하거나, 질소 퍼징에 의해 용존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결건조 보존이나 분무건조 보존을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당 수용액을 동결 보존할 즈음에 당 수용액이나 다가알콜 수용액을 각각 이용하면 효과적인 보존이 가능하다. 상기의 수계용매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당 수용액에서는 2 내지 20%(w/v)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0%(w/v)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알콜 수용액에서는 1 내지 5%(w/v)가 바람직하고, 2 내지 2.5%(w/v)가 보다 바람직하다. 완충액에서는 완충제의 농도가 5 내지 50mM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mM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계용매 내의 지질막 구조체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지질막 구조체에서의 지질 총량의 농도는 0.1mM 내지 500mM이 바람직하고, 1mM 내지 100mM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질막 구조체가 수계용매에 분산된 형태는 상기 건조한 지질 혼합물을 수계용매에 첨가하고, 또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초음파 유화기, 고압분사 유화기 등의 유화기에 의하여 유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역상 증발법(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등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으며, 분산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질막 구조체의 크기를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는 균일한 포어 사이즈를 가진 멤브레인 필터 등을 이용해서 고압 하에서 분출(extrusion, 밀어내기 여과)을 하면 좋다.
상기의 수계용매에 분산한 지질막 구조체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동결건조나 분무건조를 들 수 있다. 이 때의 수계용매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당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슈크로스 수용액, 유당 수용액을 이용해도 좋다. 수계용매에 분산된 지질막 구조체를 일단 제조한 다음 건조하면, 지질막 구조체의 장기 보존이 가능해지는 것 외에 상기 건조한 지질막 구조체에 의약 수용액을 첨가하면, 효율적으로 지질 혼합물이 수화되기 때문에, 의약을 효율적으로 지질막 구조체에 담지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질막 구조체에 의약을 첨가함으로써 의약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지질막 구조체는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의약이 유전자의 경우는 유전자 도입용 키트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의약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이 혼합된 형태 외에, 상기 지질막 구조체에 의약이 담지된 형태도 좋다. 여기서, 담지(retention)라 함은 의약이 지질막 구조체의 막의 중앙, 표면, 내부, 지질층 중앙 및/또는 지질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약조성물의 존재형태 및 그의 제조방법은 지질막 구조체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존재 형태로서는 혼합건조물 형태, 수계용매로 분산한 형태, 또한, 이들을 건조시킨 형태나 동결시킨 형태를 들 수 있다.
지질류와 의약과의 혼합건조물은 예를 들어, 사용할 지질류 성분과 의약을 일단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에서 용해시키고, 그 다음 이를 농축기에 의한 감압건고나 분무건조기에 의한 분무건조를 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혼합물이 수계용매에 분산된 형태로서는 다중층 리포좀, 단일막 리포좀, O/W형 에멀젼, W/O/W형 에멀젼, 구상 미셸, 끈형 미셸, 부정형의 층상 구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혼합물로서의 크기(입자 지름)나 수계용매의 조성 등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리포좀의 경우에는 50nm 내지 2μm, 구상 미셸의 경우는 5 내지 100nm,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우는 50nm 내지 5μm이다. 혼합물로서의 수계용매에서의 농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혼합물이 수계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몇 개의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통상은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혼합물의 존재양식에 맞게 하기와 같이 적절한 제조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제조방법 1
상기의 지질류와 의약과의 혼합건조물에 수계용매를 첨가해서 호모게나이저, 초음파유화기, 고압분사 유화기 등의 유화기에 의해 유화하는 방법이다. 크기(입자 지름)를 제어할 경우에는 균일한 포어 사이즈를 가진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고압력하에서 분출(밀어내기 여과)을 하면 좋다. 상기 방법의 경우에는 우선 지질류와 의약과의 혼합건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의약을 유기용매에 용해할 필요가 있지만, 의약과 지질막 구조체와의 상호작용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지질막 구조체가 층상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도 의약은 다중층의 내부에까지 들어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의약의 지질막 구조체의 담지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제조방법 2
지질류 성분을 유기용매로 일단 용해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한 건조물에 의약을 포함하는 수계용매를 첨가해서 유화하는 방법이다. 크기(입자 지름)를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는 균일한 포어 사이즈를 가진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고압력하에서 분출(밀어내기 여과)을 하면 좋다. 유기용매에는 용해되기 어렵지만, 수계용매에는 용해되는 의약에 적용할 수 있다. 지질막 구조체가 리포좀의 경우, 내수상(internal aqueous phase) 부분에도 의약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조방법 3
수계용매에 이미 분산된 리포좀, 에멀젼, 미셸 또는 층상 구조물 등의 지질막 구조체에 의약을 포함하는 수계용매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의 적용은 수용성의 의약에 한정된다. 이미 완성되어 있는 지질막 구조체에 외부로부터 의약을 첨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의약이 고분자인 경우에는 의약은 지질막 구조체 내부에는 들어가지 않고, 지질막 구조체의 표면에 결합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지질막 구조체로서 리포좀을 이용한 경우, 이러한 제조방법 3을 이용하면, 의약이 리포좀 입자들 사이에 좁아진 샌드위치 구조(일반적으로는 복합체 또는 콤플렉스라고 칭하고 있음)를 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지질막 구조체 단독의 수(水) 분산액을 미리 제조하기 때문에 유화시의 의약 분해(decomposition)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크기(입자 지름)의 제어도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방법 1과 제조방법 2에 비해서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다.
제조방법 4
수계용매에 분산된 지질막 구조체를 일단 제조한 다음에 건조시킨 건조물에 의약을 포함하는 수계용매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경우도 제조방법 3과 동일하게 의약은 수용성인 것으로 한정된다. 제조방법 3과 크게 다른 점은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존재양식에 있다. 즉, 본 제조방법 4에서는 수계용매에 분산된 지질막 구조체를 일단 제조한 다음에 건조시킨 건조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지질막 구조체는 지질막의 단편으로서 고체상태로 존재한다. 이 지질막의 단편을 고체상태에 존재시키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계용매로서 당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슈크로스 수용액 및 유당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의약을 포함하는 수계용매를 첨가하면, 고체상태로 존재해 있던 지질막의 단편은 물의 침입과 함께 수화(水和)를 신속하게 시작해서 지질막 구조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의약이 지질막 구조체 내부에 담지된 형태의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방법 3에서는 의약이 고분자의 경우에는 의약은 지질막 구조체 내부에는 들어가지 않고, 지질막 구조체의 표면에 결합한 존재양식을 취하지만, 제조방법 4는 이 점에서 크게 다르다. 본 제조방법 4는 지질막 구조체 단독의 수(水) 분산액을 미리 제조하기 때문에 유화시의 의약의 분해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크기(입자 지름)의 제어도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방법 1과 제조방법 2에 비해서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에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하기 때문에 제제로서의 보존안정성이 확보되기 쉬운 것, 건조제제를 의약 수용액에서 재수화해도 크기(입자 지름)를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것, 고분자 의약의 경우에서도 지질막 구조체 내부에 의약을 담지시키기 쉬운 것 등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혼합물이 수계용매에 분산된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역상 증발법 등을 별도로 이용해도 좋다. 크기(입자 지름)를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는 균일한 포어 사이즈를 가진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해서 고압력하에서 분출(밀어내기 여과)을 하면 좋다. 또한, 상기의 지질막 구조체와의 혼합물이 수계용매에 분산된 분산액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를 들 수 있다. 이 때의 수계용매로서는 지질막 구조체 단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슈크로스 수용액 및 유당 수용액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의 지질막 구조체와 의약과의 혼합물이 수계용매에 분산된 분산액을 동결시키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동결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 때의 수계용매로서는 지질막 구조체 단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 수용액과 다가알콜 수용액을 이용해도 좋다.
의약조성물에서 배합하여 얻은 지질은 사용할 의약의 종류 등에 맞게 적절히 선택한다면 좋지만, 예를 들어, 의약이 유전자 이외의 경우에는 의약 1 질량부에 대해서 0.1에서 1,0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에서 20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의약이 유전자의 경우에는 의약(유전자) 1μg에 대해서 1에서 500nmo1이 바람직하고, 10에서 200nmo1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조성물의 사용방법은 상기의 형태에 맞게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사람 등에 대한 투여 경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 어느 쪽이라도 무방하다. 경구투여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정제, 산제, 과립제, 시럽제, 캡슐제, 내복액제 등을 들 수 있고, 비경구투여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점안제, 연고제, 좌제, 현탁제, 습포제, 로션제, 에어졸제, 경고제(plasters) 등을 들 수 있다. 의약분야에서는 이 중, 주사제 또는 점적제가 바람직하고, 투여방법으로서는 정맥주사, 피하주사, 피내주사 등 외에 표적으로 하는 세포나 장기에 대한 국소주사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재료의 분야에서는 화장재료의 형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로션, 크림, 화장수, 유액, 폼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팩제, 피부세정제, 샴푸, 린스, 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리퀴드, 헤어크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식에서 PG(6) 및 PG(8)등의 표기는 각각 헥사글리세린 및 옥타글리세린을 의미하고 있고, 각각 평균 중합도가 6 및 8의 폴리글리세린 혼합물이다.
합성예 1
(1)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6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0.0g(26.7mmol)에 클로로포름 150mL를 첨가하여 55℃에서 교반하고, 초산나트륨 2.2g(267mmol)을 첨가해서 인지질 클로로포름 용액을 제조하였다. 전기 용액에 무수 숙신산 3.5g(34.8mmol)을 첨가하여 55℃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점의 확인은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이용한 박층크로마트그래피(TLC)로 확인하고, 닌히드린 발색으로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검출되지 않는 점으로 하였다. 전개 용매로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부피비가 85:15인 혼합 용매를 이용하였다. 반응 후, 용액을 여과하고 초산나트륨을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하였다. 여액을 농축한 후, 이소프로필알콜(100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교반하였다. 결정여과 후, 헥산(80ml) 세정, 여과 및 건조함에 따라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의 결정(20.5g)을 수득하였다.
합성예 2
(2)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7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0.0g(26.7mmol)에 클로로포름 150ml를 첨가하여 55℃에서 교반하고, 초산나트륨 2.2g(267mmol)을 첨가해서 인지질 클로로포름 용액을 제조하였다. 전기의 용액에 무수 글루타르산 4.0g(34.8mmol)을 첨가하고 55℃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점의 확인은 상기와 동일하게 TLC로 하였다. 반응 후, 용액을 여과해서 초산나트륨을 제거한 다음, 여액을 농축하였다. 여액을 농축한 후, 이소프로필알콜(100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결정여과 후, 헥산(80mL) 세정, 여과, 건조함에 따라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의 결정(19.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3) 헥사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8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 4.3g(5.0mmol)에 클로로포름(25ml)을 첨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상기의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10ml)로 용해한 헥사글리세린 11.6g(25mmol)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1g(1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g(5.3mmol)을 첨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의 확인은 TLC로 하였다.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이용한 박층 크로마트그래피(TLC)에 따라 확인하고,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가 검출되지 않는 점으로 하였다.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의 부피비가 65:25:4인 혼합 용매를 이용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하였다. 초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에 여과 및 농축을 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晶析)하고, 헥사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결정 4.8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1.95에 글루타르산 유래의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 내지 4.5에 헥사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methine proton)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4)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09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 4.3g(5.0mmol)에 클로로포름(25ml)을 첨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전기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20ml)로 용해한 옥타글리세린 15.3g(25mmol)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1g(1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g(5.3mmol)을 첨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의 확인은 상기와 동일하게 TLC로 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하였다. 초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에 여과 및 농축을 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고,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결정 4.5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1.95에 글루타르산 유래의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 내지 4.5에 옥타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5) 데카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0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 4.3g(5.0mmol)에 클로로포름(25ml)을 첨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전기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20ml)로 용해한 데카글리세린 19.0g(25mmol)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1g(1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g(5.3mmol)을 첨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의 확인은 상기와 동일하게 TLC로 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하였다. 초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에 여과 및 농축을 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고, 데카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 아민의 결정 4.3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1.95에 글루타르산 유래의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NH(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 내지 4.5에 데카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6) 옥타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1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4.2g(5.0mmol)에 클로로포름(10ml)을 첨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전기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20ml)로 용해한 옥타글리세린 15.3g(25mmol)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1g(1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g(5.3mmol)을 첨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은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이용한 박층 크로 마트그래피(TLC)에 의하여 확인하고,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가 검출되지 않는 점으로 하였다. 전개 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의 부피비가 65:25:4인 혼합 용매를 이용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채워진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하였다. 황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에 여과 및 농축을 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고, 옥타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결정 4.8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숙신산 유래의 -NH(C=O)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 내지 4.5에 옥타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7) 테트라데카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2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1.7g(2.0mmol)에 클로로포름(10ml)을 첨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전기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40ml)로 용해한 테트라데카글리세린 29.8g(10mmol)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0.8g(4.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3g(2.1mmol)을 첨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의 확인은 상기와 동일하게 TLC로 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 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하였다. 황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에 여과 및 농축을 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고, 테트라데카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결정 3.8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숙신산 유래의 -NH(C=O)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 내지 4.5에 테트라데카글리세린 유래 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혈중체류성 리포좀으로서의 평가
(1) 리포좀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막 조성비율(실시예 1 내지 5 및 대조예 1 내지 4)의 지질을 각각 측정하고, 클로로포름ㆍ메탄올 혼합용액(2:1)에 용해시킨 후, 농축기에 의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1시간 감압건고시켰다. 그 후, 전기 지질 건조물(리피드필름)에 미리 65℃로 가온해 놓은 155mM 황산암모늄 수용액(pH 5.5) 10mL를 첨가하고, 중탕하면서 볼텍스 믹서로 가볍게 교반하였다(가지플라스크로부터 지질이 벗겨질 정도까지). 상기 지질 분산액을 호모게나이저에 옮겨서 10 stroke 호모게나이저를 한 후, 여러 가지 포어 사이즈의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크기를 선별(0.2μm x 3회, 0.1μm x 3회, 0.05μm x 3회 및 0.03μm x 3회)하고, 입자 지름 100nm 전후의 공(空)리포좀(empty liposome)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리포좀 분산액 4ml를 생리식염수로 2.5배 희석하고 상기의 희석한 리포좀 분산액을 초원심용 튜브에 넣어 65,000rpm으로 1시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생리식염수로 원심 전의 리포좀 분산액 양 10ml가 되도록 재(再)현탁시켰다(이 시점에서, 총 지질농도가 50mM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의 외수상(外水相)을 생리식염수로 치환한 공리포좀 분산액(총 지질농도 50mM) 및 독소루비신 용액(약물농도: 3.3mg/ml 생리식염수)을 미리 60℃로 가온해 두고, 용량비로 공리 포좀 분산액 4에 대하여 독소루비신 용액 6을 첨가한 후(즉, 최종 약물농도는 2.0mg/ml, 최종 지질농도는 20mM), 1시간 동안 60℃에서 정치하였다. 또한, 이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독소루비신 함유 리포좀 분산액으로 하였다.
(2) 리포좀의 물성(物性)
독소루비신의 리포좀에서의 담지율은 상기 리포좀 분산액의 일부를 취하여 겔(세파덱스 G-50; 이동상은 생리식염수)에 여과하고, 보이드 볼륨(void volume)에서 용출된 리포좀 분획 중의 독소루비신을 액체 크로마트그래피로 정량하였다. 또한, 입자 지름은 상기 리포좀 분산액의 일부를 취하여 준탄성광산란(QELS: quasi elastic light scattering)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4 및 5와 대조예 1 및 2의 리포좀에서는 주성분 독소루비신의 담지율은 거의 100%였기 때문에 기존의 리포좀 분산액을 그대로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랫(rat) 실험용에 생리식염수로 4/3배 희석하였다(따라서, 최종약물농도는 1.5mg/ml, 최종지질농도는 15mM). 또한, 실시예 1 및 3과 대조예 3 및 4의 리포좀은 초원심분리(65,000rpm, 1시간)하여, 상등액의 미봉입 약물을 제거한 후, 생리식염수로 최종약물농도가 1.5mg/ml가 되도록 제조하였다(따라서, 최종지질농도는 실시예 1이 약 20.9mM, 실시예 3이 약 19.3mM, 대조예 3은 약 17.2mM, 대조예 4는 약 18.7mM). 또한, 어떠한 리포좀도 그 입자 지름은 100nm 전후였다.
(3) 랫(rat)에서의 혈중체류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대조예 1 내지 4를 이용하여 SD계 웅성 랫(6주령)에 있어서의 혈중체류성을 실험하였다. 에테르 마취하에서 랫 경정맥(頸靜脈)으로각 리포좀 분산액을 투여하여(1군 5마리; 투여량은 7.5mg 독소루비신/5ml/kg), 그 후, 각 채혈시점(2, 4, 8, 24, 48, 72, 120, 168시간)에서 에테르 마취하, 경정맥에서 헤파린을 채혈(0.5ml에서 1ml)하고,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 후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전(前)처리하고 HPLC법으로 혈장 중 약물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리포좀 분산액 처방의 혈장 중 약물농도로부터 태형법(台刑法, trapezoidal rule)으로 AUC(0 내지 ∞)를 산출하였다.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조예 1의 본 발명 지질 유도체를 포함하지 않는 리포좀, 대조예 2의 본 발명 지질 유도체의 인지질 부분(DSPE: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만을 첨가한 리포좀, 대조예 3 및 4의 특개평 6-22802호 공보나 문헌(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Vol.111, p.103, 1994)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글리세린 지질 유도체를 첨가한 리포좀의 AUC에 비하여, 본 발명의 지질 유도체를 포함한 리포좀 처방(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1 단위이상 큰 AUC를 얻을 수 있어, 명백하게 높은 혈중체류성이 인정되었다.
표 1

리포좀 막 조성
입자지름
(nm)
주약담지율
(%)
AUC0 ~"±S.D."
(gㆍhr/mL)
실시예
1
DSPE-PG(8)/HSPC/Cholesterol=
2.08mM/11.28mM/7.68mM

92

71.8

3417±224
실시예
2
DSPE-PG(40)/HSPC/Cholesterol=
0.72mM/11.28mM/7.68mM

76

100.0
3775±1038
(n=4)
실시예
3
DSPE-PG(6)Glu/HSPC/Cholesterol=
2.08mM/11.28mM/7.68mM

94

77.6

4264±131
실시예
4
DSPE-PG(8)Glu/HSPC/Cholesterol=
2.08mM/11.28mM/7.68mM

78

96.6

4284±249
실시예
5
DSPE-PG(10)Glu/HSPC/Cholesterol=2.08mM/11.28mM/7.68mM
83

100.0

4034±387
대조예
1
HSPC/Cholesterol=
11.90mM/8.10mM

91

100.0

452±98
대조예
2
DSPE/HSPC/Cholesterol=
1.04mM/11.28mM/7.68mM

94

100.0

397±133
대조예
3
DSPPG(4)/HSPC/Cholesterol=
1.04mM/11.28mM/7.68mM

125

87.4

317±129
대조예
4
DSPPG(6)/HSPC/Cholesterol=
1.04mM/11.28mM/7.68mM

146

80.4

233±58
DSPE-PG(8): 실시예 4에 의하여 합성
DSPE-PG(40): 실시예 5에 의하여 합성
DSPE-PG(6)Glu: 실시예 1에 의하여 합성
DSPE-PG(8)Glu: 실시예 2에 의하여 합성
DSPE-PG(10)Glu: 실시예 3에 의하여 합성
HSPC: 수소첨가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DSPPG(4) 및 DSPPG(6): 특개평 제 6-228012혹 공보, 문헌(Int. J. Pharm., 111, 103, 1994)에 개시된 폴리글리세린 지질 유도체
실시예 7: 화장수의 조제 (가용화제로서의 평가)
합성예 4의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 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즉, 표 2의 조성으로 된 기재 중에서 정제수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해서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그 외의 기재를 에탄올에 첨가해서 균일하게 한 후, 상기의 정제수 상부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수득하였다.
표 2:
프로필렌글리콜 5.0wt%
글리세린 2.0wt%
올레일알콜 0.5wt%
수소처리된 대두 레시틴 0.5wt%
에탄올 7.0wt%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0wt%
토코페롤 0.02wt%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73.0wt%
실시예 8: 리포좀 유액의 제조(화장재료용 분산제로서의 평가)
리포좀 제조법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645mg, 콜레스테롤 299mg 및 미리스트산 23mg(몰비 1:1:0.1) 및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혼합 지질농도 5 몰%가 되도록 첨가해서 미리 60℃로 가온한 생리식염수 10 내지 11mL를 혼합 지질농도 10 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교반하여, 60℃의 수욕 중에서 호모게나이저로 10분간 혼합해서 리포좀 용액을 수득하였다. 전기 리포좀 용액을 이용해서 표 3의 조성으로부터 만들어진 기재 중에 유화제를 포함한 유상부를 60℃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교반하면서 수상부를 같은 온도에서 첨가하여 리포좀 유액을 수득하였다.
표 3
유상부 :
세탄올(cetanol) 2.0wt%
바세린(vaseline) 2.0wt%
스쿠알렌 5.0wt%
유동 파라핀 10.0wt%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2.0wt%
토코페롤 0.02wt%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수상부 :
프로필렌글리콜 2.0wt%
정제수 67.0wt%
리포좀 용액 10.0wt%
비교합성예 1
(1) 모노메틸폴리옥시에틸렌카바마이드(분자량 2,000)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합성
모노메톡시폴리옥시에틸렌(분자량 2000)(20g, 10mmol)에 톨루엔(80mL)을 가하고, 110℃로 승온, 환류하고, 탈수하였다. 1,1'-카보닐디이미다졸(1.95g, 12mmol)을 가하여,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피리딘(1.58g, 20mmol),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7g, 9.36mmol)을 가하고 65℃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헥산(300mL)을 가하여, 결정화시켰다. 결정에 초산에틸(400mL)을 가하여, 65℃에서 용해하고 30분 교반 후, 5℃로 냉각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였다. 상기와 같이 초산에틸에서의 공정을 1회 수행하였다. 결정을 초산에틸(400mL)에서 용해하고, 흡착제로 쿄와드(Kyoward)#700을 1g 가하여, 65℃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 후, 5℃로 냉각하고 결정화시켰다. 헥산(200mL)으로 결정을 세척한 후, 여과, 건조하여, 순도 98.3%의 모노메틸렌폴리옥시에틸렌카바밀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15.3g(수율 54.7%)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실리카겔플레이트를 이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분석하였다.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비가 85:15 질량비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요오드 증기로 발색시켜 기지량의 표준물질과 비교함으로써 함유물질의 정성정량 분석을 하였다.
실시예 9: 내염효과의 측정(계면활성제로서의 평가)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테트라데카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에 대하여, 황산나트륨 5 질량%의 수용액에 1 질량% 용해했을 때의 담점(曇点, clouding point)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까지 온도를 올려도 담점을 검출할 수 없었다.
비교예 1: 내염효과의 비교(계면활성제로서의 평가)
비교합성예 1에서 수득한 모노메틸폴리옥시에틸렌카바마이드(분자량 2,000)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에 대하여,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담점을 측정한 결과, 담점은 50℃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지질 유도체는 높은 내염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계면활성제로서의 평가)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이용한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의 고분자 미셸 용액의 조정
수소처리된 대두 포스파티딜콜린(0.1g, 0.13mmol)과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1g, 0.17mmol)을 증류수(5mL)에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균일한 혼합용액에 증류수(95mL)를 천천히 첨가 교반하여 투명하고 균일한 고분자 미셸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용액에 대하여 입도측정장치(NICOMP Model 370: 노자키산교사 제품)를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크기는 40nm였다. 수득된 고분자 미셸 용액을 실온에 1개월간 방치하였다. 3개월 후의 고분자 미셸 용액의 상태는 눈으로는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 침전물이 없는 균일한 고분자 미셸 용액이었다.
실시예 11: 옥타글리세롤 노나글루타레이트(하기 식에서, k=8, k2=9, k3=1인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3
옥타글리세린 6.1g(0.01mol)을 디메틸설폭사이드(50mL)에 분산시켜, 초산나트륨 9.0g(0.11mol)을 가하고, 70℃로 가온한 후, 무수글루타르산 11.4g(0.1mol)을 가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초산나트륨을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제거한 옥타글리세롤 노나글루타레이트 15.9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화합물의 산가(acid value) 및 수산기가(hydroxyl value)를 측정한 결과, 산가는 310.8, 수산기가는 36.1이었다. 이에 따라, 옥타글리세린의 약 9개의 수산기가 글루타르화되어 있고, 약 1개의 수산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수득된 화합물은 옥타글리세롤 노나글루타레이트였다.
1H-NMR(CDCl3)로부터, δ1.97에 글루타르산 유래의 -O(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41, 2.44에 -O(C=O)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4.6에 옥타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옥타글리세롤 헵타글루타릴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글루타레이트(하기 식에서, k=8, k1=1, k2=8, k3=1인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4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9.4g(0.012mol)에 클로로포름(150mL)을 가하여 45℃에서 교반하였다. 이 인지질/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15mL)에 용해한 상기의 미정제 옥타글리세롤 글루타레이트 15.9g(0.097mol)을 가하고 계속하여,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4g(0.012mol), 트리에틸아민 1.3g(0.012mol),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4g(0.012mol)을 가하고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점은 TLC로 확인하였다.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이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분석하고, 디시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검출되지 않는 점을 반응종점으로 하였다. 전개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의 부피비가 65:25:4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첨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시켰다. 황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 여과 및 농축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여, 옥타글리세롤글루타릴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18.1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1.95에 글루타르산 유래의 -NH(C=O) 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4.5에 옥타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8)헥사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5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4.2g(5.0mmol)에 클로로포름(10mL)을 가하고, 45℃에서 교반하였다. 이 클로로포름 용액에 디메틸설폭사이드(20mL)에 용해한 헥사글리세린 11.6g(25mmol)을 가하고, 계속하여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1g(10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4g(5.3mmol)을 가하였다. 45℃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종점은 상기와 같이 TLC로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석출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한 후, 여액을 칼럼에 충진한 양이온 교환수지(DIAION SK1BH)에 통과시켰다. 용출액은 메탄올을 소량 첨 가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용액에 받아 중화시켰다.
황산나트륨으로 탈수한 후, 여과 농축하였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톤/디메틸설폭사이드로 3회 정석하고, 헥사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에스테르의 결정 4.7g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로 부터, δ0.88에 스테아로일기 말단 메틸기 프로톤, δ1.26에 스테아로일기의 메틸렌기 프로톤, δ2.29, 2.31에 숙신산 유래의 -NH(C=O) CH2CH2CH2COO-의 메틸렌기 프로톤, δ3.2-4.5에 헥사글리세린 유래의 메틸렌 프로톤, 메틴 프로톤을 확인하였다.
(가용화제로서의 평가)
샘플관에 시클로스포린 A(25mg)(Sigma사 제품)를 칭량하여, 디메틸설폭사이드(1mL)에 용해하고, 시클로스포린 A/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옥타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30mg)에 상기에서 수득한 시클로스포린 A/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 200㎕를 가하여 가온하고, 완전히 용해하였다. 수득된 용액에 정제수 800㎕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12의 헥사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에스테르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다음에,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Sigma사 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험하였다.
샘플관에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2.5mg)를 칭량하여, DMSO(1mL)에 용해하고, 시클로스포린 A/DMSO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옥타글리세롤숙시닐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30mg)에 상기에서 수득한 시클로스포린 A/DMSO 용액 200㎕를 가하여 가온하고, 완전히 용해하였다. 수득된 용액에 정제수 800㎕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2의 헥사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숙시네이트 에스테르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완전히 가용화하고 있음의 확인은 눈으로 보아, 완전용해시에는 ○, 불용시에는 ×로 하였다.
○ : 투명
× : 탁함
실시예 14 및 15에는 특개평 6-22802호 공보나 문헌(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Vol 111, 103p, 1994)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글리세린 지질유도체를 사용하였다.
전체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시클로스포린 A 초산메드록신
프로게스테론
실시예 13 DSPE-PG(6)
실시예 14 DSPE-PG(8)
실시예 14 DSPPG(6) × ×
실시예 15 DSPPG(8) × ×
실시예 16 크레모퍼-EL × ×
DSPE-PG(6) : 실시예 12에 따른 합성
DSPE-PG(8) : 실시예 4에 따른 합성
DSPPG(6) 및 DSPPG(8) : 특개평 6-228012호 공보, 문헌(Int. J. Pharm., 111, 103(1994))
본 발명의 인지질 유도체는 생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고, 화장재료의 분야 등에서의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로 유용하다. 폴리글리세린 유도체인 본 발명의 인지질 유도체를 리포좀 등의 지질막 구조체의 제조를 위해 사용한다면 지질막 구조체를 불안정하게 하는 일 없이 수계용매 중에서의 미립자의 응집을 막고, 안정한 용액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리포좀은 혈중 체류성에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Claims (19)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지질 유도체: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6
    (1)
    상기 식에서,
    R1CO 및 R2CO는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2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 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 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k1, k2 및 k3은
    2≤k≤50,
    1≤k1≤(k+2)/2,
    k2≥0,
    k1+k2+k3=k+2를 만족하는 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1≤k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0≤k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8≤k1+k2+k3≤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R1CO 및 R2CO가 각각 독립적으로 1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아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k2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7. 제 6항에 있어서,
    a 및 b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8. 제1항에 있어서,
    k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질 유도체.
  9. 제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질막 구조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막 구조체는 리포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막 구조체.
  11. 제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2. 제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가용화제.
  13. 제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산제.
  14.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7
    (2),
    Figure 112005036373573-pct00018
    (3)
    상기 식에서,
    R1, R2, a 및 M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X는 수소원자 또는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를 나타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및 k4는 k4=k+2를 만족하는 수이다.
  15.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A) 폴리글리세린과 2염기산 또는 할로겐화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단계.
  16. 하기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A) 폴리글리세린과 할로겐화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반응시켜, 수득된 에스테르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카르복시화폴리글리세린과 인지질을 반응시키는 단계.
  17.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세린 유도체와 하기 일반식 (5)로 표시되는 인지질을 유기용매 내에서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인지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10058031934-pct00019
    (4),
    Figure 112010058031934-pct00020
    (5)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Y는 수산기 또는 이탈기이며;
    [PG]k는 중합도 k의 폴리글리세린의 잔기이고; 및,
    k, k5 및 k6은
    2≤k≤50,
    1≤k5≤(k+2)/2,
    k5+k6=k+2를 만족하는 수이다.
  18. 의약 및 제 9항에 기재된 지질막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KR1020057012626A 2003-01-06 2003-12-12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0330 2003-01-06
JPJP-P-2003-00000330 2003-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931A KR20050097931A (ko) 2005-10-10
KR101007828B1 true KR101007828B1 (ko) 2011-01-13

Family

ID=3270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626A KR101007828B1 (ko) 2003-01-06 2003-12-12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24981B2 (ko)
EP (1) EP1591447B1 (ko)
JP (1) JP4403303B2 (ko)
KR (1) KR101007828B1 (ko)
CN (1) CN100339382C (ko)
AU (1) AU2003289070A1 (ko)
CA (1) CA2513144C (ko)
ES (1) ES2530776T3 (ko)
WO (1) WO2004060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882A1 (fr) 2002-03-29 2003-10-09 Nof Corporation Derive phospholipidique
DE60318469T2 (de) * 2002-09-30 2008-05-21 Nof Corp. Phospholipidderivat
WO2004083219A1 (ja) * 2003-03-20 2004-09-30 Nof Corporation リン脂質誘導体
WO2011059073A1 (ja) 2009-11-13 2011-05-19 日油株式会社 リン脂質誘導体およびpH応答性リポソーム
WO2012036676A1 (en) * 2010-09-14 2012-03-2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ctivated ph control for protein gl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576B1 (en) 1997-08-18 2002-02-05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Phospholipid-analogous compounds
JP2002522442A (ja) 1998-08-06 2002-07-23 マックス−プランク−ゲゼルシャフト・ツア・フェルデルング・デア・ヴィッセンシャフテン・エー・ファオ 不飽和アルキル鎖及びアシル鎖を有するリン脂質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219A (en) 1986-02-12 1992-12-22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Uniform spherical multilamellar liposomes of defined and adjustable size distribution
JPH0651109B2 (ja) 1987-03-09 1994-07-06 第一製薬株式会社 脂質膜構造体
JP2676854B2 (ja) 1988-12-16 1997-11-17 日本油脂株式会社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不飽和エーテルーマレイン酸エステ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JPH06228012A (ja) 1993-01-29 1994-08-16 Dai Ichi Seiyaku Co Ltd リポソーム製剤
US5395619A (en) 1993-03-03 1995-03-07 Liposome Technology, Inc. Lipid-polymer conjugates and liposomes
CA2137297C (en) 1993-12-06 2000-04-18 Tsuyoshi Miyazaki Reactive vesicle and functional substance-fixed vesicle
JP3620059B2 (ja) 1994-03-04 2005-02-16 日本油脂株式会社 反応性小胞体、形成剤および機能性物質固定化小胞体
JP3480033B2 (ja) 1994-03-31 2003-12-15 日本油脂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又はその誘導体基含有共重合体、その製造法及び抗血栓性材料
JPH09255740A (ja) 1996-03-26 1997-09-30 Nof Corp 三元共重合体
GB9717905D0 (en) 1997-08-22 1997-10-29 Univ Aston Lipid-contain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AU1787800A (en) 1998-12-08 2000-06-26 Phares Pharmaceutical Research N.V. Phospholipid compositions
EP1202714A1 (en) 1999-07-16 2002-05-08 Purdue Research Foundation Vinyl ether lipids with cleavable hydrophilic headgroups
EP1279406A4 (en) 2000-04-03 2007-10-24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TRANSPORTERS AND DRUG DISPENSING SYSTEMS USING THESE
WO2003082882A1 (fr) * 2002-03-29 2003-10-09 Nof Corporation Derive phospholipidique
DE60318469T2 (de) 2002-09-30 2008-05-21 Nof Corp. Phospholipidderivat
WO2004083219A1 (ja) 2003-03-20 2004-09-30 Nof Corporation リン脂質誘導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576B1 (en) 1997-08-18 2002-02-05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Phospholipid-analogous compounds
JP2002522442A (ja) 1998-08-06 2002-07-23 マックス−プランク−ゲゼルシャフト・ツア・フェルデルング・デア・ヴィッセンシャフテン・エー・ファオ 不飽和アルキル鎖及びアシル鎖を有するリン脂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1447B1 (en) 2014-11-26
AU2003289070A1 (en) 2004-07-29
JPWO2004060899A1 (ja) 2006-05-11
US20060210618A1 (en) 2006-09-21
AU2003289070A8 (en) 2004-07-29
CN100339382C (zh) 2007-09-26
WO2004060899A1 (ja) 2004-07-22
CA2513144C (en) 2012-03-13
EP1591447A1 (en) 2005-11-02
US7524981B2 (en) 2009-04-28
KR20050097931A (ko) 2005-10-10
CN1735624A (zh) 2006-02-15
JP4403303B2 (ja) 2010-01-27
CA2513144A1 (en) 2004-07-22
EP1591447A4 (en) 2009-11-11
ES2530776T3 (es)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7297C (en) Reactive vesicle and functional substance-fixed vesicle
US20120039983A1 (en) Amphiphilic macromolecule-lipid complexes
US7495116B2 (en) Phospholipid derivative
EP1241172B1 (en) Polyalkylene oxide-modified phospholipi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007828B1 (ko) 인지질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4130013A1 (en) Ionic liquid, solvent, preparation, and transdermally absorbable agent
CN112791192B (zh) 炎性细胞靶向蜂毒素脂质体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515360B2 (ja) 脂質誘導体
JP4540287B2 (ja) 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修飾リン脂質の製造方法
US7531604B2 (en) Phospholipid derivative
US7399877B2 (en) Phospholipid derivative
DE10065561A1 (de) Tetraetherlipidderivate und Tetraetherlipidderivate enthaltende Liposomen und Lipidagglomerate sowie deren Verwendung
WO1992021688A1 (en) New perfluoroalkylated amphiphilic phosphorus compounds: prepar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JPH092975A (ja) 反応性小胞体形成剤および反応性小胞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