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850B1 -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850B1
KR101003850B1 KR1020100040057A KR20100040057A KR101003850B1 KR 101003850 B1 KR101003850 B1 KR 101003850B1 KR 1020100040057 A KR1020100040057 A KR 1020100040057A KR 20100040057 A KR20100040057 A KR 20100040057A KR 101003850 B1 KR101003850 B1 KR 10100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le
guide hole
hou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택
Original Assignee
(주)케이.브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브이.에이. filed Critical (주)케이.브이.에이.
Priority to KR102010004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는 스위치의 잠금공에 잠금부재를 채우면 스위치가 잠긴다. 따라서, 조작판넬의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므로, 미관상 아름답다. 그리고, 스위치를 회전시켜 원하는 운전조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위치의 잠금공에 잠금부재를 삽입하여 채우면 되므로, 잠금작업이 간편하다.

Description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SWITCH LOCKING APPARATUS OF ACTUATOR FOR OPERATING VALVE}
본 발명은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학 플랜트 또는 발전 플랜트 등과 같은 산업 플랜트에는 석유 배관, 물 배관 또는 스팀 배관 등을 정기적으로 개폐하거나, 석유 배관, 물 배관 또는 스팀 배관 등을 비상시에 신속하게 개폐하여 사고를 방지하지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전기 모터, 공기 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배관을 개폐하는데, 밸브 조작기는 상기 밸브의 구동원에 따라 전기 모터식 밸브 조작기, 공기 모터식 밸브 조작기 및 공압 실린더식 밸브 조작기로 대별된다.
도 1은 종래의 밸브 조작기의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작기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또는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부(미도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운동하면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미도시)를 승강시켜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작동부(미도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가진다.
하우징(10)의 일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조작판넬(20)이 결합되고, 조작판넬(20)에는 스위치(21)와 표시창(25) 등이 설치된다. 스위치(21)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역(Local), 정지(Stop) 또는 원격(Remote) 등과 같은 운전 조건을 선택한다.
스위치(21)가 상기 로칼의 위치에 위치되면 조작판넬(20)의 버튼을 직접눌러 밸브 조작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정지의 위치에 위치되면 밸브 조작기가 정지하며, 상기 원격의 위치에 위치되면 밸브 조작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판넬(20)에는 임의의 사용자가 스위치(21)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31)가 경첩(33)을 매개로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21)의 외형은 각형 등으로 형성되고, 커버(31)에는 스위치(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위치(2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31)로 조작판넬(20)을 덮고, 자물쇠(40)로 커버(31)를 조작판넬(20)에 고정하면, 스위치(21)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밸브 조작기는 커버(31)가 조작판넬(20)을 덮고 있으므로, 미관상 흉하다.
그리고, 커버(31)로 조작판넬(20)을 덮은 상태에서 자물쇠(40)로 커버(31)를 조작판넬(20)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잠금작업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관상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잠금작업이 간편한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또는 작업자의 힘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를 운동시켜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부품들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들과 접속되고 스위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판넬을 가지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밸브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승강봉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판넬에는 상기 승강봉의 일단부측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공이 상기 스위치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승강봉의 회전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승강봉의 타단부측을 상기 조작판넬측으로 눌러서 상기 승강봉이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잠금부재가 채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는 스위치의 잠금공에 잠금부재를 채우면 스위치가 잠긴다. 따라서, 조작판넬의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므로, 미관상 아름답다.
그리고, 스위치를 회전시켜 원하는 운전조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위치의 잠금공에 잠금부재를 삽입하여 채우면 되므로, 잠금작업이 간편하다.
도 1은 종래의 밸브 조작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작판넬과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동작을 보인 도로써, 도 4의 "A-A"선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이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좌측 부위(111)에는 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되고, 우측 부위(113)에는 작동부(미도시)가 내장되며, 전방측 부위(115)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구동부는 전기나 공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터, 또는 실린더로 마련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 또는 상기 작동부의 상측에 위치된 핸들(1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된 밸브(미도시)를 승강시킨다. 상기 밸브는 산업 플랜트의 석유 배관, 물 배관 또는 스팀 배관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들을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기판, 복수의 전기/전자 부품,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부품들과 접속된 조작판넬(130)을 가진다.
조작판넬(130)에는 밸브 조작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131), 밸브 조작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135) 및 밸브 조작기의 운전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140)가 설치된다. 스위치(140)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치(14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작판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0)는 원판형의 몸체(141), 몸체(141)의 후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조작판넬(130)의 축공(13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축(144), 몸체(141)의 전면에 결합된 사각레일 형상의 파지편(147)을 가진다.
회전축(144)은 축공(133)을 관통하여 후단부측이 조작판넬(130)의 후면측으로 돌출된다. 축공(133)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144)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걸림홈(144a)이 형성되고, 걸림홈(144a)에는 오링(145)이 삽입된다. 오링(145)은 축공(133)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이물질이 조작판넬(130)의 후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14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44)의 외주면 및 축공(133)의 내주면에 상호 대응되게 돌기(미도시)와 홈(미도시)을 형성하거나, 치(齒)(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스크래치(Scratch)(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서 스위치(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편(147)은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의 두께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스위치(140)에 방향성을 둘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에는 임의의 사용자가 스위치(140)를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스위치(140)를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가 마련되는데,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0)의 몸체(141) 및 파지편(147)에는 상호 연통된 안내공(151)이 형성되고, 안내공(151)은 제 1 안내공(151a)과 제 2 안내공(151b)을 가진다.
제 1 안내공(151a)은 몸체(141)에 형성되고, 제 2 안내공(151b)은 제 1 안내공(151a) 보다 작은 직경으로 파지편(147)에 형성된다. 몸체(141)에 파지편(147)이 결합되었을 때, 제 1 안내공(151a)과 제 2 안내공(151b)은 연통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파지편(147)에는 제 2 안내공(151b)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잠금공(153)이 형성되어 제 2 안내공(151b)과 연통된다.
정리하면, 안내공(151)의 후단부측인 제 1 안내공(151a)은 조작판넬(130)을 향하는 몸체(141)의 후면 외측과 연통되고, 전단부측인 제 1 안내공(151b)의 전단부측은 잠금공(153)과 연통된다.
안내공(151)의 제 1 안내공(151a)의 내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지지부재(155)가 고정되는데, 지지부재(155)의 고정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140)의 몸체(141)에는 고정핀(157)이 고정되는 고정공(141a)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공(141a)의 길이방향 일측은 제 1 안내공(151a)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1 안내공(151a)과 연통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55)의 외주면에는 고정홈(155a)이 형성된다. 제 1 안내공(141a)의 내부에서 지지부재(155)의 위치를 조절하면, 지지부재(155)의 고정홈(155a)과 제 1 안내공(151a)의 내부에 위치된 고정공(141a)의 부위가 연통된다. 즉, 고정공(141a)과 연통된 고정홈(155a)의 부위는 고정공(141a)의 경로상에 위치되어 고정공(141a)의 일부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핀(157)을 고정공(141a)에 삽입하면, 고정핀(157)이 고정공(141a) 및 고정홈(155a)에 모두 삽입되므로, 지지부재(155)가 제 1 안내공(151a)에 고정되는 것이다.
안내공(151)에는 승강봉(159)이 안내공(15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승강봉(159)은 지지부재(155)에 삽입 지지된다. 승강봉(159)의 후단부는 조작판넬(130)측을 향하고 전단부는 잠금공(153)의 내부에 위치되는데, 잠금공(153)에 위치된 승강봉(159)의 전단부를 누르면 승강봉(159)의 후단부는 몸체(141)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조작판넬(130)의 지지공(161)에 삽입된다.
지지부재(155)와 제 2 안내공(151b) 사이의 승강봉(159)의 외주면에는 와셔스토퍼(163)가 결합된다. 와셔스토퍼(163)의 외경은 제 1 안내공(151a)의 직경 보다는 작고 제 2 안내공(151b)의 직경 보다는 크게 마련되어, 승강봉(159)이 안내공(151)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와셔스토퍼(163)와 지지부재(155) 사이에는 탄성부재(165)가 설치되는데, 탄성부재(165)는 승강봉(159)을 잠금공(153)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봉(159)의 전단부측은 잠금공(153)의 내부에 위치된다.
잠금공(153)에는 자물쇠 등과 같은 잠금부재(167)가 채워진다. 잠금공(153)에 잠금부재(167)가 삽입되면, 잠금부재(167)에 의하여 승강봉(159)의 전단부가 조작판넬(130)측으로 눌린다. 그러면, 승강봉(159)의 후단부가 조작판넬(130)측으로 돌출된다.
조작판넬(130)에는 승강봉(159)의 회전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지공(161)이 형성되고, 지지공(161)에는 잠금부재(167)에 의하여 전단부측이 눌린 승강봉(159)의 후단부측이 삽입된다. 그러면, 승강봉(159)과 지지공(161)에 의하여 스위치(14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위치(140)를 회전시켜, 복수의 지지공(16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위치시키면, 밸브 조작기의 운전 조건은 지역(Local), 정지(Stop) 또는 원격(Remote)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 스위치 잠금장치는 스위치(140)에 형성된 잠금공(161)에 잠금부재(167)가 채워지므로 미관상 아름답다. 그리고, 스위치(140)를 회전시켜 원하는 운전조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위치(140)의 잠금공(153)에 잠금부재(167)를 삽입하여 채우면 되므로, 잠금작업이 간편하다.
도 2의 미설명 부호 180은 모드선택부재(180)이다. 모드선택부재(180)는 상기 작동부를 상기 구동부로 동작시키기 위한 자동모드 또는 상기 작동부를 핸들에 힘을 가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수동모드로 클러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 스위치 잠금장치의 동작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작기의 동작을 보인 도로써, 도 4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65)에 의하여 승강봉(159)이 스위치(140)의 전면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승강봉(159)의 전단부측은 잠금공(153)의 내부에 위치되고, 후단부측은 안내공(15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140)를 회전시켜 원하는 운전조건에 위치시킨 다음, 잠금부재(167)를 잠금공(153)에 삽입하여 채우면, 승강봉(159)이 잠금부재(167)에 의하여 눌려서 하강한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봉(159)의 후단부측이 조작판넬(130)측으로 돌출되어 조작판넬(130)의 지지공(161)에 삽입된다. 그러면, 스위치(14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임의의 사용자가 스위치(140)를 회전시킬 수 없다.
잠금부재(167)를 잠금공(153)으로부터 분리하면, 탄성부재(165)에 의하여 승강봉(159)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하우징 130 : 조작판넬
140 : 스위치 159 : 승강봉
161 : 지지공 167 : 잠금부재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또는 작업자의 힘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를 운동시켜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부품들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들과 접속되고 스위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판넬을 가지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밸브 조작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넬측과 인접한 상기 스위치의 일측 부위에는 일단부가 상기 스위치의 외측과 연통된 제 1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 부위에는 상기 제 1 안내공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 1 안내공의 타단부와 연통된 제 2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제 2 안내공의 타단부와 연통된 잠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내공에는 지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승강부재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공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조작판넬에는 상기 승강봉의 일단부측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공이 상기 스위치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승강봉의 회전경로상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공에는 상기 승강봉의 타단부측을 상기 조작판넬측으로 눌러서 상기 승강봉이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잠금부재가 채워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안내공 사이의 상기 승강봉의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봉이 상기 제 2 안내공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스토퍼가 결합되며,
    상기 와셔스토퍼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승강봉을 상기 잠금공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 1 안내공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안내공과 연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안내공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고정공의 부위와 연통되어 상기 고정공의 일부를 이루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 및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제 1 안내공의 내주면에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00040057A 2010-04-29 2010-04-29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KR10100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57A KR101003850B1 (ko) 2010-04-29 2010-04-29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57A KR101003850B1 (ko) 2010-04-29 2010-04-29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850B1 true KR101003850B1 (ko) 2010-12-23

Family

ID=435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057A KR101003850B1 (ko) 2010-04-29 2010-04-29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8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636A (ja) 1997-02-03 1998-08-21 Miwa Lock Co Ltd 弁の錠装置
KR200287662Y1 (ko) 2002-06-12 2002-08-30 이성희 자물쇠가 일체로 형성된 도시가스 공급용 밸브
KR200342572Y1 (ko) 2003-11-20 2004-02-18 김판곤 볼밸브의 잠금장치
KR100768773B1 (ko) * 2007-03-20 2007-10-19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636A (ja) 1997-02-03 1998-08-21 Miwa Lock Co Ltd 弁の錠装置
KR200287662Y1 (ko) 2002-06-12 2002-08-30 이성희 자물쇠가 일체로 형성된 도시가스 공급용 밸브
KR200342572Y1 (ko) 2003-11-20 2004-02-18 김판곤 볼밸브의 잠금장치
KR100768773B1 (ko) * 2007-03-20 2007-10-19 주식회사 비엠티 마스터키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141B1 (ko) 난방용 분배기 밸브 구동장치
KR101003850B1 (ko) 밸브 조작기의 스위치 잠금장치
JP7212931B2 (ja) 電動式操作装置
CN101082257A (zh) 百叶窗板叶片组摆转角度的电动控制方法与装置
CN207569298U (zh) 一种离合式阀门驱动装置
KR20130019565A (ko) 기능성 밸브 개폐용 액추에이터
KR101125600B1 (ko) 밸브구동장치
KR100787579B1 (ko) 밸브용 자동개폐장치
KR100733462B1 (ko) 밸브의 자동/수동 개폐장치
KR200407185Y1 (ko) 밸브의 자동/수동 개폐장치
KR102297461B1 (ko) 지능형 수동밸브 전동 개폐장치
JP2503923Y2 (ja) 浴槽の排水装置
KR101096107B1 (ko) 밸브 자동 구동장치
KR102053032B1 (ko) 밸브 구동 장치
KR200364796Y1 (ko) 밸브 개폐장치
JP3908680B2 (ja) 消火栓装置
GB2485984A (en) Valve actuating device
KR20160004363U (ko) 도어 스토퍼
CN220302903U (zh) 一种调节阀手操器
KR20190055945A (ko) 모드전환유닛을 구비한 액추에이터
KR102588184B1 (ko) 유로 개폐용 밸브 구동 장치
KR200261421Y1 (ko) 가스밸브 자동 차단장치
KR20150072462A (ko)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적용된 산업용 자동문 보조 개폐장치
CN211265280U (zh) 一种用于双电源转换开关的手动操作机构
JPH0752208Y2 (ja) 水槽の電動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