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107B1 - 밸브 자동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자동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107B1
KR101096107B1 KR20100024584A KR20100024584A KR101096107B1 KR 101096107 B1 KR101096107 B1 KR 101096107B1 KR 20100024584 A KR20100024584 A KR 20100024584A KR 20100024584 A KR20100024584 A KR 20100024584A KR 101096107 B1 KR101096107 B1 KR 10109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shaft
coupl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457A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10002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1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10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와 같은 유체를 파이프라인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체의 온도, 압력, 유량 등의 계측치와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라 밸브의 개폐작동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수행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덮어주는 커버와, 하우징 측면에는 내측에 PCB와 표시창을 갖는 지시부를 가지며, 하우징 하방에는 밸브를 고정하는 밸브고정구와, 좌우연결대를 가지며, 하우징 내측에는 고정판을 가지며,
고정판 상방에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고정모터 축은 고정판 하방에 다수개의 기어군으로 형성되는 감속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감속수단의 최종 출력기어는 회전작동축 상방에 결합되는 작동기어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회전작동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구를 가지며,
상기 상하이동구 단부는 밸브)의 스핀들축과 고정되어, 상하이동구의 상·하이동에 의해, 스판들축과 고정되는 유량조절판이 작동하여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자동 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방에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와 제1,제2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제1,제2작동구를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는 고정판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나사식으로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봉을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 하단에는 스냅링이 결합되며, 스냅링과 고정판 사이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하방에는 회전작동축을 지지하는 상·하베어링을 보호하는 베어링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 내측 상,하방 베어링 사이에는 한쌍(2개)의 접시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 하방에는 베어링하우징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플랜지 내측에는 회전작동축 하단의 나사축(24-1)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부싱을 가지며, 상기 드라이버부싱에는 상하이동구가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드라이버부싱에는 포텐가이드가 결합되며, 상기 포텐가이드는 지시부 내측의 PCB의 볼륨스위치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밸브 자동 구동장치{Automatic acutuating device for valve}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스팀)와 같은 유체를 파이프라인으로 이송함에 있어서,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몸체 내측의 유량 조절판의 개도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나 기체(스팀), 오일, 냉매, 화학 유체, 해수 등과 같은 유체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하게 되며, 파이프라인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개방, 차단 및 유량조절)하게 된다.
밸브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 작동하거나, 회전 작동하여 개도량을 조절함으로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판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밸브 몸체 내측의 유량조절판은 스핀들 축으로 연결하고, 스핀들 축을 상하로 이동 작동하여,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밸브를 제어하게 되나, 보통의 수동밸브는 상기 스핀들축을 핸들로 연결하고 핸들을 수작업으로 작동하여 스핀들 축을 구동 작동하게 되며, 자동밸브는 유량조절판에 결합된 스핀들 축을 밸브 자동 구동장치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 밸브 자동 구동장치는 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 스핀들 축을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토르크를 증가시키는 다수개의 기어 조합으로 구성되는 감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PCB(Printde Circuit Board)를 갖게 된다.
상기 밸브 자동 구동장치 내의 PCB는 모터를 구동하는 전원선과, 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통신선을 갖게 된다.
상기 통신선은, 밸브 외측의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밸브를 자동으로 구동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디지털제어처리장치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제어처리시스템으로 유체의 저장탱크나, 유로상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각종 결과에 따라, 유체의 조건 즉 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 등의 계측치와, 상기 수집된 계측치에 의해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결정하는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밸브를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자동밸브(혹은 전자밸브)를 자동으로 구동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체의 온도, 압력, 유량 등의 계측치와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라 밸브의 개폐작동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수행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 및 실용신안공보에서 볼 수 있는 자동밸브(전자밸브)의 구동장치 또는 자동조절 밸브의 컨트롤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공개 특허번호 10-2009-0117461호 (발명의 명칭: 온수 조절 밸브의 컨트롤 장치) 특허등록 제10-0264220호 (발명의 명칭: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의 제어 시스템) 실용신안 등록 제20-0337354호 (고안의 명칭: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 제어시스템의 개도 위치 검출부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장치로부터 미리 입력된 조건에 맞게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여,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호텔, 관공서, 아파트 등등)의 온도제어나, 공장 등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편리한 환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가 컴팩트 하여 작은 외형을 가지는 동시에 동작이 확실하며, 고장 발생을 최소로 하는 설계로, 장기간 사용시 안정된 사용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건물 내지 공장 등의 온도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 에너지 낭비 요소를 제거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에 기여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을 덮어주는 커버(12)와, 하우징(11) 측면에는 내측에 PCB(13)와 표시창(14)을 갖는 지시부(15)를 가지며,
하우징(11) 하방에는 밸브(51)를 고정하는 밸브고정구(16)와,
상기 밸브고정구(16)를 하우징과 연결하는 좌우연결대(17)를 가지며,
하우징(11) 내측공간부에는 고정판(21)이 고정되며,
고정판(21) 상방에는 구동모터(22)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22) 축은 고정판(21) 하방에 다수개의 기어군으로 형성되는 감속수단(23)과 연결되며, 상기 감속수단의 최종 출력기어(23-1)는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결합되는 작동기어(25)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회전작동축(2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구(26)를 가지며,
상기 상하이동구(26) 단부는 밸브(51)의 스핀들축(52)과 고정되어, 상하이동구(26)의 상·하이동에 의해, 스핀들축(52)과 고정되는 유량조절판이 작동하여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자동 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내측공간부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방에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와 제1,제2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제1,제2작동구(29)(30)를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29)(30)는 고정판(21)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나사식으로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봉(31)을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29)(30) 하단에는 스냅링(32)이 결합되며, 스냅링(32)과 고정판(21) 사이에는 스프링(33)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 하방에는 회전작동축(24)을 지지하는 상·하베어링(34A)(34B)을 보호하는 베어링하우징(35)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35) 내측 상,하방 베어링(34A)(34B) 사이에는 한쌍(2개)의 접시스프링(36)이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35) 하방에는 베어링하우징플랜지(37)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플랜지(37) 내측에는 회전작동축(24) 하단의 나사축(24-1)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부싱(38)을 가지며,
상기 드라이버부싱(38)에는 상하이동구(26)가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드라이버부싱(38)에는 포텐가이드(40)가 결합되며,
상기 포텐가이드(40)는 지시부(15) 내측의 PCB(13)의 볼륨스위치(13-1)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고정판(21) 상방에 부착되어 감속수단(2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2)는 회전제어가 가능한 스테핑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수에 의해 표시창(14)에 밸브의 개폐상태를 숫자로 표시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2)를 스테핑모터로 대체할 경우 스테핑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밸브의 개폐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PCB상에 볼륨스위치가 필요없게 되며, 기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포텐가이드가 필요 없는 잇점을 갖게 된다.
도1 본 발명의 사시도.
도2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3 상하이동구가 상승 상태 시 도1의 A-A선 단면도.
도4 상하이동구가 하강 상태 시 도1의 A-A선 단면도.
도5 상하이동구가 상승 상태 시 도1의 B-B선 단면도.
도6 상하이동구가 하강 상태 시 도1의 B-B선 단면도.
도7 본 발명에 있어 상하이동구가 하강하여 밸브를 닫은 경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8 본 발명에 있어 상하이동구가 상승하여 밸브를 개방시킨 경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9 본 발명에 있어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작동구의 단면도.
도10 본 발명에 있어 작동구가 하강하여 제1리미트스위치를 구동하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 단면도.
도11 본 발명에 있어 작동구가 상승하여 제2리미트 스위치를 구동하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 단면도.
이와 같은 구조와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체(액체, 기체, 수증기, 해수)를 이송시키는 파이프라인 상에 부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51)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11) 하방에는 밸브(51)를 고정하는, 밸브고정구(16)를 가지며, 밸브고정구(16)는 좌우연결대(17)로 하우징(11)과 연결 고정된다.
밸브(51) 내측의 유량조절판을 작동하는 스핀들축(52)은 본 발명의 상하이동구(26)와 연결되어 스핀들축(52)의 상하이동에 의해 밸브 내의 유량조절판은 작동하여, 개폐량이 조절되어 진다.
밸브(51) 내의 스핀들축(52)과 고정되는 상하이동구(26)는 하우징(11) 내측의 회전작동축(24)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11) 내측공간부에는 고정판(21)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1)의 상방에는 구동모터(22)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22)는 고정판(21) 하방의 다수개의 기어군으로 형성되는 감속수단(23)과 연결된다.
상기 감속수단의 마지막 출력기어(23-1)는 하우징(1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고정되는 작동기어(25)와 맞물려져서, 출력기어(23-1)는 작동기어(25)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킬 경우 동시에 회전작동축(24)은 좌 또는 우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작동축(24)은 하우징(11) 하방에 고정되는 베어링하우징(35)으로 지지되어 지며, 회전작동축(24)은 베어링하우징(35)에 결합되는 상·하방베어링(34A)(34B) 사이에는 한쌍(2개)의 접시스프링(36)이 결합 된다.
회전작동축(24)의 하단에는 나사축(24-1)을 갖는 바,
상기 나사축(24-1)에는 드라이버부싱(38)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작동축(24)이 회전할 경우, 나사식으로 결합된 드라이버부싱(38)은 회전작동축(24)의 나사축(24-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하이동구(26)와 나사식으로 상기 상·하로 이동하는 드라이버부싱(38)은 일체로 결합되며, 상하이동구(26)는 밸브(51)의 스핀들축(52)을 고정하게 되므로, 결국 상하이동구(26)는 스핀들축(52)을 상하로 이동하여 밸브(51) 내측의 유량조절판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작동축(24)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작동하는 드라이버부싱(38)에는 포텐가이드(40)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드라이버부싱(38)에 따라 포텐가이드(4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포텐가이드(40)의 상단부는 하우징(11) 일측의 지시부(15) 내측의 PCB(13)의 볼륨스위치(13-1)에 연결되며, 그 위치를 표시창(14)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21)의 상방의 구동모터(22)는 미리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하게 밸브(51)를 개폐(제어)하게 되지만,
상기 구동모터(22)의 작동을 정지(OFF)시키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와 제,1제2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제1,제2작동구(29)(30)를 고정판(21)에 갖게 된다.
본 발명 밸브 자동 구동장치는 파이프 내의 유체의 유량, (유속)온도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밸브 내측의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유량을 제어하게 되며, 작동 신호 자동 또는 수동 입력에 의해 구동모터(22)가 작동하여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제어)하게 되나,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완전 개방상태) 또는 밸브가 완전히 닫힘 상태(완전 폐쇄상태)시 구동모터(22)가 계속 작동할 시, 구동모터 또는 감속수단이 파손될 염려가 있게 됨으로, 밸브가 완전 개방상태나 완전폐쇄 상태일 경우 구동 모터(22)를 정지시켜야 하는바, 상기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는 밸브가 완전개방상태 또는 완전 폐쇄상태 시 구동모터(22)를 자동으로 정지(OFF) 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고정판(21) 상방에 고정되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는 구동되는 모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는 제1,제2작동구(29)(30)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제1,제2작동구(29)(3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1,제2작동구(29)(30)는 고정판(21)을 관통하여 고정판(21)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1,제2작동구(29)(30) 하단에는 작동기어(25)와 맞닿는 지지봉(31)이 작동구 내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제1,제2작동구(29)(30) 하단에는 스냅링(32)이 결합되며 스냅링(32)과 고정판(21) 사이에는 스프링(33)이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1,제2작동구(29)(3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제2리미트(27)(28)를 작동하여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제1,제2작동구(29)(30)에 스냅링(32)으로 지지되는 스프링(33)은 제1,제2작동구(29)(30)를 하방 돌출되는 지지봉(31)을 가압하여 지지봉(31)이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고정되는 작동기어(25)와 맞닿게 된다.
구동모터(22)가 구동하여 회전작동축(24)을 회전시켜, 베어링하우징플랜지(37) 내측의 드라이버부싱(38) 및 상하이동구(26)를 하강시켜 밸브(51)의 스핀들축(52)을 맨 아래까지 하강시킬 경우 밸브(51)의 유량조절판은 유로를 폐쇄하여 완전 폐쇄상태가 되나,
회전 작동하는 회전작동축(24)은 회전을 멈추지 않고 계속 회전을 할 경우, 회전작동축(24)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부싱(38)은 하강되지 않으므로, 회전작동축(24)은 드라이버부싱(38)과 결합된 나사산을 타고 회전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회전작동축(24)은 상하방베어링(34A)(34B) 사이의 접시스프링(36)의 간격을 좁혀주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회전작동축(24)은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고정되는 작동기어(25)와 맞닿는 제1,제2작동구(29)(30)의 지지봉(31)을 각각 하강시키게 되며, 하강하는 제1작동구(29)는 제1리미트스위치(27)를 작동시켜 구동모터(22)의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제어장치로부터 구동모터(22)의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구동모터(22)가 작동하여, 감속수단(23)의 최종 출력기어(23-1)가 회전작동축(24) 상방의 작동기어(25)를 회전시켜 구동모터(22)를 회전 작동시킬 시, 회전작동축(24)에 결합된 상하방베어링(34A)(34B) 사이의 한 쌍의 접시스프링(36)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방베어링(34A)(34B)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회전작동축(24)은 약간의 상승 작동을 수행하며, 계속 회전되는 회전작동축(24)은 회전작동축(24)의 나사축(24-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부싱(38)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드라이버부싱(38)과 결합되는 상하이동구(26)와, 상하이동구(26)에 결합되는 스핀들축(52)을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51)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작동축(24)이 작동하여 드라이버부싱(38)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드라이버부싱(38)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구(26) 및 상하이동구(26)에 결합되는 스핀들축(52)에 고정되는 유량조절판이 개방됨에 있어, 상하이동구(26) 및 드라이버부싱(38)이 완전히 상승되어, 밸브(51)가 완전개방상태에서 회전작동축(24)은 회전을 계속할 경우 상하이동구(26)를 상승시키지 못하는 대신 회전작동축(24)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 작동하는 회전작동축(24)은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결합된 작동기어(25)와 맞닿는 제1,제2작동구(29)(30)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나 이동하는 작동구 중 제2리미트스위치(28)를 작동하여, 구동모터(22)를 정지시키게 되며, 구동모터(22)가 정지된 상태에서 밸브(51)는 완전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작동축(24)이 상방으로 이동할 시 상하방베어링(34A)(34B) 사이의 한 쌍의 접시스프링(36)은 압축되어 그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 구동모터(22)의 작동신호가 입력될 시 구동모터(22)는 감속수단을 통해 회전작동축(24)을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하는 회전작동축(24)은 회전과 동시 상하방베어링(34A)(34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작동축(24)과 나사식으로 결합는 드라이버부싱(38)을 하강시켜, 드라이버부싱(38)에 결합되는 상하이동구(26)가 밸브(51)의 스핀들축(52)을 하강시켜 밸브의 유량조절판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11) 내측의 고정판(21) 상방에 설치되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는 밸브가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 상태시 구동모터(22)의 작동을 중지시켜 구동모터(22) 및 감속수단(23) 등이 과부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회전작동축(24)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드라이버부싱(38) 일측에 포텐가이드(40)가 결합되어, 드라이버부싱(38)에 따라 포텐가이드(4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포텐가이드(40)의 상방은, 하우징(11) 측면의 지시부(15) 내측의 PCB(13)의 볼륨스위치(13-1)에 연결되어, 상하이동구(26)의 이동거리를 표시창(14)에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밸브의 완전개방 상태를 100으로 정하고, 밸브의 완전폐쇄상태를 0으로 정할 시, 표시창의 50은 밸브의 개폐량 즉,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은 1/2 상태를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텐가이드(40)에 의해, 밸브의 개폐량을 표시창(14)에 숫자로 표시할 수 있지만, 상기 구동모터(22)를 스테핑모터를 사용할 경우, 스테핑모터의 회전속도의 조절로, 신속하게 상하이동구(26)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스테핑모터의 특징인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하여 회전수를 수치로 변환하여 표시창에 표시할 경우 포텐가이드의 도움없이 밸브의 개도량을 수치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2)를 스테핑모터로 대체할 경우 스테핑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밸브의 개폐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PCB상에 볼륨스위치가 필요없게 되며, 기계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포텐가이드가 필요 없는 잇점을 갖게 된다.
11 하우징 12 커버
13 PCB 13-1 볼륨스위치
14 표시창 15 지시부
16 밸브고정구 17 연결대
21 고정판 22 구동모터
23 감속수단 23-1 출력기어
24 회전작동축 25 작동기어
26 상하이동구
27 제1리미트스위치 28 제2리미트스위치
29 제1작동구 30 제2작동구
31 지지봉 32 스냅링
33 스프링
34A 상방베어링 34B 하방베어링
35 베어링하우징 36 접시스프링
37 베어링하우징플랜지 38 드라이버부싱
40 포텐가이드
51 밸브 52 스핀들축

Claims (2)

  1.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을 덮어주는 커버(12)와, 하우징(11) 측면에는 내측에 PCB(13)와 표시창(14)을 갖는 지시부(15)를 가지며,
    하우징(11) 하방에는 밸브(51)를 고정하는 밸브고정구(16)와,
    상기 밸브고정구(16)를 하우징과 연결하는 좌우연결대(17)를 가지며,
    하우징(11) 내측공간부에는 고정판(21)이 고정되며,
    고정판(21) 상방에는 구동모터(22)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22) 축은 고정판(21) 하방에 다수개의 기어군으로 형성되는 감속수단(23)과 연결되며, 상기 감속수단의 최종 출력기어(23-1)는 회전작동축(24) 상방에 결합되는 작동기어(25)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회전작동축(2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구(26)를 가지며,
    상기 상하이동구(26) 단부는 밸브(51)의 스핀들축(52)과 고정되어, 상하이동구(26)의 상·하이동에 의해, 스핀들축(52)과 고정되는 유량조절판이 작동하여 유량조절판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내측공간부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방에는 제1,제2리미트스위치(27)(28)와 제1,제2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하는 제1,제2작동구(29)(30)를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29)(30)는 고정판(21)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나사식으로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봉(31)을 가지며,
    상기 제1,제2작동구(29)(30) 하단에는 스냅링(32)이 결합되며, 스냅링(32)과 고정판(21) 사이에는 스프링(33)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 하방에는 회전작동축(24)을 지지하는 상·하베어링(34A)(34B)을 보호하는 베어링하우징(35)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35) 내측 상,하방 베어링(34A)(34B) 사이에는 한쌍(2개)의 접시스프링(36)이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35) 하방에는 베어링하우징플랜지(37)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하우징플랜지(37) 내측에는 회전작동축(24) 하단의 나사축(24-1)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부싱(38)을 가지며,
    상기 드라이버부싱(38)에는 상하이동구(26)가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드라이버부싱(38)에는 포텐가이드(40)가 결합되며,
    상기 포텐가이드(40)는 지시부(15) 내측의 PCB(13)의 볼륨스위치(13-1)와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판(21) 상방에 부착되어 감속수단(2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2)는 스테핑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자동 구동장치.
KR20100024584A 2010-03-19 2010-03-19 밸브 자동 구동장치 KR10109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4584A KR101096107B1 (ko) 2010-03-19 2010-03-19 밸브 자동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4584A KR101096107B1 (ko) 2010-03-19 2010-03-19 밸브 자동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57A KR20110105457A (ko) 2011-09-27
KR101096107B1 true KR101096107B1 (ko) 2011-12-20

Family

ID=4495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4584A KR101096107B1 (ko) 2010-03-19 2010-03-19 밸브 자동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62B1 (ko) * 2018-10-29 2019-07-23 인테디시스템컨트롤스 주식회사 유체 배관용 자동샘플 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9049B2 (en) * 2013-06-28 2015-07-21 Rosemount Inc. Process transmitter housing assembly with viewing area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2520395B1 (ko) * 2022-03-14 2023-04-11 한일시스텍 (주) 유량 측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62B1 (ko) * 2018-10-29 2019-07-23 인테디시스템컨트롤스 주식회사 유체 배관용 자동샘플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57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148B2 (en) Scissor thrust valve actuator
DK2856444T3 (en) POSITION INDICATOR FOR VALVES
US7607637B2 (en) Reduction gearing for an electric actuator
KR101096107B1 (ko) 밸브 자동 구동장치
JP6637373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20120241007A1 (en) Actuat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cing the Actuating Device
KR101847868B1 (ko) 밸브 구동장치
KR101847869B1 (ko) 밸브 구동장치
KR200459221Y1 (ko) 피드백 샤프트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가 내장된 리니어형 전기공압식 밸브개폐 자동 위치제어장치
JP6059668B2 (ja) バルブ開閉装置
KR100264220B1 (ko)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의 제어시스템
KR101868328B1 (ko) 로터리 엔코더 내장형 삼상 벡터제어 멀티턴 액추에이터
CN210290785U (zh) 一种具有阀位调节的阀门驱动器
KR200276160Y1 (ko) 피드백 샤프트 회전 검출기구가 내장된 전공식 밸브개폐자동 위치제어장치
KR20180035357A (ko) 홀 센서를 이용하여 밸브 열림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
KR100683577B1 (ko) 유량제어 밸브 시스템
CN203979596U (zh) 一种电动液压阀门执行器
KR100972742B1 (ko) 온수 조절밸브
WO2008024341A3 (en) Position feedback device for rotatable member
CN111255935A (zh) 一种智能型电动执行器
JP5373559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203421260U (zh) 温控阀连杆传动装置
CN209262365U (zh) 船用阀门智能执行器
CN219796287U (zh) 一种智能电动执行机构
JP2014211217A (ja) 油圧バルブのモーター駆動による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