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035B1 - 차량 운송용 트럭 - Google Patents

차량 운송용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035B1
KR101002035B1 KR1020080041966A KR20080041966A KR101002035B1 KR 101002035 B1 KR101002035 B1 KR 101002035B1 KR 1020080041966 A KR1020080041966 A KR 1020080041966A KR 20080041966 A KR20080041966 A KR 20080041966A KR 101002035 B1 KR101002035 B1 KR 10100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guide rail
coupled
main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187A (ko
Inventor
최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Priority to KR102008004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0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0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heel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송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운송용 트럭은, 트럭의 각 메인프레임에 일직선형 주가이드레일이 결합되고, 각 주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이동롤러가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적재대와 연결되며, 적재대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기 시각함에 따라 적재대에 연결된 연결대가 후방단부를 중심으로 전방단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차량 운송용 트럭은, 트럭의 크로스멤버와 위치간섭이 없는 직선형 가이드레일이 장착되기 때문에 크로스멤버의 위치에 대한 설계변경이 자유로우며, 가이드레일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트럭, 세이프티 로더, 메인 프레임, 크로스 멤버

Description

차량 운송용 트럭{Truck for transporting car}
본 발명은 차량 운송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차량이 적재되는 적재함을 움직이기 위하여 트럭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직선화하여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cross member)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송용 트럭의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때 크로스멤버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송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고장차량 또는 사고차량 등과 같이 주행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차량,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 등을 정비공장이나 특정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럭은 크게 견인트럭과 운송트럭의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견인트럭은, 이송대상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의 일측을 견인장치로 들어올린 후 차량을 끌고가는 트럭으로서, 차량을 끌고가기 때문에 주행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이송과정에서 차량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견인트럭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세이프티 로더(safety loader)"라고도 불리우는 차량 운송용 트럭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상기 차량 운송용 트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기본 골격을 이루도록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구비되고, 각 메인프레임(11)에는 주가이드레일(12)이 결합되고, 주가이드레일(12)의 후방단부를 벗어난 차체의 후방단부에는 고정더블롤러(13) 및 실린더유닛(14)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가이드레일(12)에는 차량(C)이 적재되는 적재대(15)가 슬라이딩 및 틸팅가능토록 결합되는데, 적재대(15)의 전방단부에는 "ㄷ"자형 단면을 가진 주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더블롤러(16)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재대(15)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더블롤러(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ㄷ"자형 단면을 가진 한 쌍의 수평한 보조가이드레일(17)이 결합된다.
이때 두 주가이드레일(15) 사이의 거리는 두 보조가이드레일(17)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구조인 바, 보조가이드레일(17)이 주가이드레일(1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적재대(15)의 전·후방향 이동 시 적재대(15)가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15)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적재대(15)에 결합된 이동더블롤러(16)는 주가이드레일(12)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적재대(15) 저면에 결합된 보조가이드레일(17)은 차체의 후방단부에 결합된 고정더블롤러(13)를 타고 움직이게 되는 바, 적재대(15)에 결합된 이동더블롤러(16)와 차체에 결합된 고정더블롤러(13) 사이의 거리는 가변된다.
또한 차체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유닛(14)을 구성하는 실린더로드의 외측단부는 적재대(15)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결합되며, 적재대(15)의 후방단부에는 적재대(15)의 경사도를 낮추기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유닛(도면 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발판부재(1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차량 운송용 트럭의 적재대(15)는 상기 실린더유닛(14)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적재대(15)가 주가이드레일(12) 위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유닛(14)이 작동되면, 실린더유닛(14)의 실린더로드가 확장되면서 적재대(15)를 후방으로 밀게 되는 바, 적재대(15)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이동더블롤러(16)가 "ㄷ"자형 단면을 가진 주가이드레일(12)의 내부에서 주가이드레일(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적재대(15)가 차랑의 후방 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대(15)가 주가이드레일(12)을 따라 후방 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트럭의 후방단부를 벗어나는 적재대(15)의 길이가 점차 길어져 차체에 고정된 고정더블롤러(13) 전방의 적재대(15) 중량보다 고정더블롤러(13) 후방의 적재대(15) 중량이 결국 무거워지게 된다.
이때 실린더유닛(14)과 고정더블롤러(13)는 차체의 후방단부에 회동 가능토록 고정결합된 상태인 바, 적재대(15)는 고정더블롤러(1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점차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적재대(15)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더블롤러(16)의 직경은 주가이드레일(12)의 내부 폭보다 작은 상태로서, 적재대(15)의 전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더블롤러(16)는, 두 롤러가 주가이드레일(12)의 내부를 따라 수평하게 움직인 후 적재대(15)가 경사지는데 따라 두 롤러 중 후방롤러를 중심으로 전방롤러가 회전하면서 들리게 된다.
즉 적재대(15)가 경사지기 전 이동더블롤러(16)의 전·후방 두 롤러는 모두 주가이드레일(12)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나, 적재대(15)가 경사지게 되면서부터 전방롤러는 들려진 상태에서 주가이드 레일(12)의 내부 천정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후방롤러는 계속 바닥면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진한 적재대(15)는 반대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적재대(15)와 전방으로 완전 이동 시 적재대(15)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가이드 레일(12)의 전방단부는 메인프레임과 수평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더블롤러의 상·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내부의 폭도 좁아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주가이드레일(12)의 후방단부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는 이동더블롤러(16)는 주가이드레일(12)의 전방단부 직전 다소 하강한 후 다시 수평이동하면서 그 높이가 가장 낮아지게 되는 동시에, 주가이드레일(12) 내부에서의 상·하 유동이 최소화되는 상태가 되면서 안정적인 정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주가이드레일(12)의 전방단부가 그 후방부위보다 낮으면서 그 폭이 좁아지는 만큼 적재대의 정지상태가 안정적인 측면은 있으나, 트럭에 대한 설계 변경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즉 트럭은, 주기적으로 성능이나 외형 등의 개선을 위하여 설계변경이 이루 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주가이드레일(12)의 전방단부와 메인프레임(11)이 좌·우 수평방향으로 중첩되면,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18)의 위치가 주가이드레일(12)의 전방단부 때문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가이드레일(12)이 굴곡 및 협폭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제조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적재대가 경사지는 경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이동더블롤러의 전방롤러가 들려지면서 경사져야 하는 바, 전방롤러가 충분히 들려져야 할만큼 폭이 큰 주레일가이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주가이드레일이 메인프레임과 부분적으로 중첩됨으로써 크로스멤버의 설계위치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종래 차량 운송용 트럭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크로스멤버와의 간섭이 전혀 없으면서도 정지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일직선형 주가이드레일이 장착된 차량 운송용 트럭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적재대의 전방단부와 이동롤러에 전·후방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후방으로 이동한 적재대가 경사짐에 따라 후방단부를 중심으로 전방단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연결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차량 운송용 트럭에는 크로스멤버와 위치간섭이 전혀 없는 직선형 주가이드레일이 장착되기 때문에 크로스멤버의 위치에 대한 설계변경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주가이드레일이 직선형이며, 적재대가 후진 후 경사지기 시작할 때 이동롤러의 전방롤러부재가 주가이드레일 내부에서 들려질 필요가 없어 종래에 비하여 가이드레일의 폭을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의 제조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을 적재하는 적재대가 직선형 주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송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운송용 트럭은, 서로 평행하도록 전·후방으로 배치되어 수평한 한 쌍의 메인프레임 상단에 일직선형 주가이드레일이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고, 각 주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주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롤러와 차량 적재용 적재대가 서로 직결되지 않고 회동가능한 연결대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이동롤러는, 통상 전·후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로 이루어진 더블롤러가 주로 사용되나, 하나의 롤러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셋 이상의 롤러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이하에서는 더블롤러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의 양 단부는 적재대의 전방단부 및 이동롤러의 일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적재대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대는 전방을 향하여 수평하거나 상향 경사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트럭에서 적재대와 연결대가 작동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대에 결합된 실린더유닛이 확장하게 되면 적재대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적재대와 이동롤러에 결합된 연결대 자체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며, 연결대가 결합된 이동롤러가 주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적재대 및 연결대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적재대가 대략 길이의 1/2 정도 이상 후진하게 되면, 적재대가 지면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기 시작하는데, 이때 연결대는 이동롤러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적재대에 결합된 결합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적재대는 후방으로 더욱 움직일 수 있게 되며, 후진했던 적재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반대가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적재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측면도를, 도 3에 적재대가 완전히 후진한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측면도를, 도 4에 적재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평면도를, 도 5에 적재대가 완전히 후진한 상태를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운송용 트럭은, 적재대(22)가 트럭 위에서 정지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트럭(200)의 크로스멤버(C)와 간섭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M)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결합되어 서로 수평방향을 따라 평행한 한 쌍의 일직선형 주가이드레일(21)과;
상기 주가이드레일(21) 위에 위치하며, 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보조가이드레일(22A)이 고정결합된 적재대(22)와;
상기 주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롤러부재로 이루어진 이동롤러(23)와;
상기 적재대(22)의 전방단부와 이동롤러(23)의 일측에 양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24)와;
상기 트럭(200)의 차체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토록 고정결합됨으로써 적재대(22) 저면의 보조가이드레일(22A)이 타고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진 고정롤러(26)와;
상기 트럭(200) 차체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의 외측단부가 적재대(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된 실린더유닛(27);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대(22)의 후방단부에는 적재대(15)의 경사도를 낮추기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유닛(도면 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발판부재(2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적재대(22)가 후방측으로 이동한 후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적재대(22)에 결합된 연결대(24)의 일측단부가 이동롤러(23)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후방측을 향하여 회전하게 되는 바, 회전과 함께 연결대(24)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24)를,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와 같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대부재(24A)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럭은 차량을 운송하는 바, 적재대(22)의 전 방단부와 이동롤러(23) 사이의 결합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적재대(22)와 이동롤러(23)의 연결이 더욱 안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대(2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재대(22)와 이동롤러(23)에 보조연결대(25)를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대(24)의 적재대(22)측 연결부와 이동롤러(23)측 결합부보다 각각 후방측에 위치하는 적재대(22) 및 이동롤러(23)에 보조연결대(25)의 양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대(24)와 보조연결대(25)를 결합하는 경우, 연결대(24)와 보조연결대(25)의 이동롤러(23)측 결합부를 반드시 전·후방롤러부재(23A)23B) 사이 및 후방롤러부재(23B)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할 필요는 없다.
즉 이동롤러(23)의 두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연결대(24)와 보조연결대(25)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만 있으면 그 결합 위치나 구조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연결대(24)가 이동롤러(23)의 전방롤러부재(23A) 회전축에, 보조연결대(25)가 이동롤러(23)의 전·후방롤러부재(23A)(23B)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연결대(24)가 상기 전방롤러부재(23A)의 회전축에, 보조연결대(25)가 상기 후방롤러부재(23B)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럭에서, 적재대(22)가 메인프레임 위에 위치한, 즉 적재대(22)가 후방측으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대(24)는 전방을 향하여 수평 또는 상향경사지고, 보조연결대(25)는 수평 또는 후방측으로 상향경사진 상태이나, 보조연결대(25) 역시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대(24)와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고, 보조연결대(25)가 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경우, 연결대(24)와 보조연결대(25)의 상호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대(24)가 최초 전방을 향하여 30°로 상향경사지며, 적재대가 경사지면서 연결대의 적재대측 결합부가 후방측으로 50°회전함으로써 전방을 향한 연결대의 상향각도가 30°에서 80°로 변화되고, 연결대의 양 단 회동결합부의 중심간 길이가 "L"이라는 가정 하면,
연결대(24)의 이동롤러(23)측 결합부를 중심으로 연결대(24)의 적재대(22)측 결합부가 후방측으로 회전하였을 때, 50°의 회전에 의해 연결대(24) 적재대(22)측 결합부가 움직인 수평방향 거리는 "L(cos30°-cos80°)"가 된다.
즉 연결대(24)에 결합된 적재대(22)는, 연결대(24)의 회전에 의해 "L(cos30°-cos80°)"거리만큼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보조연결대(25)의 길이가 늘어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연결대(24)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적재대(22)가 후진하기 시작한 후 경사지면서 연결대(24)의 적재대(22)측 결합부가 회동하기 시작하면, 연결대(24)의 적재대(22)측 결합부가 회전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움직인 후진거리, 즉 적재대(22)의 후진거리만큼 보조연결대(25)의 길이도 길어져야만 하는 바,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와 같이, 축방향을 따 라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연결대부재(25A)로서 보조연결대(25)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때 연결대(24)도 가변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보조연결대(25)의 가변길이범위는 연결대(25)의 가변길이범위보다 커야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 운송용 트럭의 측면도.
도 2는 적재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측면도.
도 3은 적재대가 후진한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측면도.
도 4는 적재대가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평면도.
도 5는 적재대가 후진한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트럭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트럭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연결대와 보조연결대의 결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주가이드레일 22. 적재대
22A. 보조가이드레일 23. 이동롤러
24. 연결대 24A. 연결대부재
25. 보조연결대 25A. 보조연결대부재
26. 고정롤러 27. 실린더유닛
28. 발판부재 200. 트럭
C. 크로스멤버 M. 메인프레임

Claims (4)

  1.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주가이드레일과; 주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롤러와; 이동롤러에 결합된 상태에서 주가이드레일 위에 위치하는 적재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 운송용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22)의 전방단부와 이동롤러(23)는, 연결대(24)의 양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24)와 연결되는 적재대(22)의 결합부 후방에 위치하는 적재대(22) 부위 및 이동롤러(23)는, 보조연결대(25)의 양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대(24)와 보조연결대(2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방향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가능한 한 쌍 이상의 보조연결대부재(24A)(25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송용 트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가이드레일(21)은, 직선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송용 트럭.
  3. 삭제
  4. 삭제
KR1020080041966A 2008-05-06 2008-05-06 차량 운송용 트럭 KR10100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66A KR101002035B1 (ko) 2008-05-06 2008-05-06 차량 운송용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966A KR101002035B1 (ko) 2008-05-06 2008-05-06 차량 운송용 트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87A KR20090116187A (ko) 2009-11-11
KR101002035B1 true KR101002035B1 (ko) 2010-12-17

Family

ID=4160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966A KR101002035B1 (ko) 2008-05-06 2008-05-06 차량 운송용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64B1 (ko) * 2010-07-13 2013-07-31 명성테크 주식회사 톤백 마대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77Y1 (ko) * 2000-12-20 2001-06-15 마스타자동차관리주식회사 세이프티로더 차량의 적재함 조작레버
KR100725111B1 (ko) * 2006-06-26 2007-06-04 수성특장 주식회사 세이프티 로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77Y1 (ko) * 2000-12-20 2001-06-15 마스타자동차관리주식회사 세이프티로더 차량의 적재함 조작레버
KR100725111B1 (ko) * 2006-06-26 2007-06-04 수성특장 주식회사 세이프티 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87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9341B (zh) 具有牵引功能的多功能货车叉车
EP1935836A1 (en) Telescopic support device of mobile vehicle
CN203199714U (zh) 一种可移动式活动蹬车渡板
US3643907A (en) Load-carrying vehicles
KR101002035B1 (ko) 차량 운송용 트럭
CN102923616B (zh) 装载机自装卸作业机构
CN101734583B (zh) 高空作业工程车辆及其作业平台
CN203624974U (zh) 叉车
US20190202674A1 (en) Industrial truck and drive wheel bearing device for industrial trucks
CN105151158A (zh) 一种用于运输全地形车的双层平板拖车
CN210064259U (zh) 一种涂装生产线地面台车输送系统
CN204525407U (zh) 车辆换向翻转平台
JP2015168403A (ja) 台車式搬送装置
US4047630A (en) Tiltable and extensible trailer
KR20210019870A (ko) 세이프티 로더
CN206051033U (zh) 一种迁车台和卸车系统
US3219210A (en) Mast assembly for a side loading truck
CN105307970A (zh) 用于地面运输工具的提升架
JP7128052B2 (ja) セグメントの運搬装置
EP3141422B1 (en) A sliding bogie trailer
CN219904515U (zh) 副车架及集装箱运输车
CN213862477U (zh) 一种新型平板拖车
CN103204393B (zh) 一种可移动式活动蹬车渡板
US3901397A (en) Self-loading carrier
CN110304390B (zh) 利用对面货架支撑保持平衡的侧向装卸货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