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624B1 -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624B1
KR101001624B1 KR1020040016191A KR20040016191A KR101001624B1 KR 101001624 B1 KR101001624 B1 KR 101001624B1 KR 1020040016191 A KR1020040016191 A KR 1020040016191A KR 20040016191 A KR20040016191 A KR 20040016191A KR 101001624 B1 KR101001624 B1 KR 10100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main body
button
guide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886A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624B1/ko
Priority to US11/048,920 priority patent/US20050200752A1/en
Priority to DE602005015152T priority patent/DE602005015152D1/de
Priority to EP05101485A priority patent/EP1575275B1/en
Priority to CNB2005100535178A priority patent/CN100433798C/zh
Priority to JP2005066167A priority patent/JP4047339B2/ja
Publication of KR2005009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영상촬영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본체와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는 레코딩버튼과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버튼과 상기 레코딩버튼 및 상기 줌버튼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크기 또는 본체의 파지(把持)자세에 따라 레코딩버튼과 줌버튼을 조작이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킬수 있어, 사용자의 촬영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어 영상의 질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의 이동부재, 가이드부재, 고정부재의 작동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부재,가이드부재,고정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에 록킹부가 추가될 경우 상기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2에 표시된 "B"방향에서 본 이동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이동부재 220..가이드부재
230..고정부재 300..록킹부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재생등을 위한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촬영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는 레코딩버튼과 상기 레코딩버튼과 근접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버튼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레코딩버튼과 줌버튼은 본체 일측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크기 또는 본체의 파지(把持)자세에 따라 레코딩버튼과 줌버튼을 조작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카메라유닛이 흔들리거나, 떨릴 수 있게 되어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촬영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버튼의 조작이 용이한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는 본체와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는 레코딩버튼과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버튼과 상기 레코딩버튼 및 상기 줌버튼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에는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 일정 위치에서 고정 시키는 고정부재를 별도로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수 있는 머리와 상기 탭에 결합 할 수 있는 나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영상촬영장치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복수개의 록킹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도록 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과 일면이 연결되어 있고 타면은 상기 가이드부재과 접촉하고 있는 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하면에는 장착홈이 파져 있다.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에는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듀얼캠코더등이 있다. 듀얼캠코더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용 카메라유닛과 정지화상을 촬영할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용 카메라유닛과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스위치와 동영상이 저장되는 테이프 저장매체와 정지화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듀얼캠코더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100)는 본체(110)와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는 레코딩버튼(120)과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버튼(130)과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210)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2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10)를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일정 위치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230)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의 이동부재, 가이드부재, 고정부재의 작동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재(210)에는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이 장착된다. 사용자의 손크기와 본체(110)의 파지(把持)위치에 따라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을 조작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부재(210)는 상기 가이드부재(220)을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에 별도의 고정부재(230)가 더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이 위치하면 상기 고정부재(230)로 상기 이동부재(210)를 상기 가이드부재(220)상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방식으로 상기 레코딩버튼(120)과 상기 줌버튼(130)을 조작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 시킬수 있다. 도2에 표시된 화살표"B"는 이동유닛의 구성요소에 록킹부(미도시)가 추가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표시이다. 이는 도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부재,가이드부재,고정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재(210)는 상기 가이드부재(220)과 접촉하는 하면(212)과 측면(213)과 상기 이동부재(210)가 상기 가이드부재(220)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돌기(214)와 상기 고정부재(230)가 결합될 수 있는 탭(211)과 상기 이동부재(210)을 상기 가이드부재(220)상에서 일정간격으로 걸리면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필요한 록킹부(미도시)가 장착되는 장착홈(2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20)에는 상기 이동부재(210)의 상기 돌기(214)가 삽입되어 이동 될 수 있는 가이드홈(222)이 상기 가이드부재(220)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록 킹부(미도시)가 작동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220)상에는 일정간격으로 록킹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수 있는 머리(231)와 상기 이동부재(210)상의 탭(211)에 결합할 수 있는 나사(23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231)의 측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233)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재(210)을 상기 가이드부재(220)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230)의 머리(231)를 돌리면 상기 나사(232)는 상기 이동부재(220)의 측면에 형성된 탭(211)을 관통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220)을 밀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30)와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상호 마찰력으로 인해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20)상에 장착되어 있는 레코딩버튼(120)과 줌버튼(130)도 고정되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에 록킹부가 추가될 경우 상기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2에 표시된 "B"방향에서 본 이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록킹부(300)는 상기 이동부재(210)의 장착홈(215)에 장착되는 스프링(301)과 상기 스프링(301)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타면은 상기 가이드부재(220)과 접촉하고 있는 볼(30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된 상기 록킹부(3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레코딩버튼(도1,120)과 상기 줌버튼(도1, 130)을 조작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레코딩버튼(도1,120)과 상기 줌버튼(도1, 130)이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이동부재(210)도 상기 가이드부재(220)따라 이동된다. 이 경우 상 기 이동부재(210)의 장착홈(215)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301)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볼(302)이 상기 록킹홈(221)위치로 도달하면, 상기 볼(302)과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접촉으로 인해 장착홈(215)에 수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301)이 팽창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01)은 상기 볼(302)을 화살표 "C"방향으로 상기 록킹홈(221)내로 밀어 삽입시킨다. 이 때 상기 볼(302)과 상기 록킹홈(221)은 결합되고, 상기 볼(302)과 상기 록킹홈(221)의 결합력으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10)에 일정한 힘이 가해 질때 까지는 상기 이동부재(210)는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록킹부(300)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10)에 장착되어 있는 레코딩버튼(도1,120)과 줌버튼(도1, 130)의 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일정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상촬영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크기 또는 본체의 파지(把持)자세에 따라 레코딩버튼과 줌버튼을 조작이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킬수 있어, 사용자의 촬영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영상의 질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 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본체;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는 레코딩버튼;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줌버튼;
    상기 레코딩버튼 및 상기 줌버튼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며, 상면에 복수 개의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록킹홈 중 한 개의 록킹홈에 록킹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부재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는 측면부를 관통하는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수 있는 머리와 상기 탭에 결합 할 수 있는 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스프링;및,
    상기 스프링과 일면이 연결되어 있고 타면은 상기 가이드부재과 접촉하고 있는 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KR1020040016191A 2004-03-10 2004-03-10 영상촬영장치 KR10100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91A KR101001624B1 (ko) 2004-03-10 2004-03-10 영상촬영장치
US11/048,920 US20050200752A1 (en) 2004-03-10 2005-02-03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DE602005015152T DE602005015152D1 (de) 2004-03-10 2005-02-25 Kameravorrichtung
EP05101485A EP1575275B1 (en) 2004-03-10 2005-02-25 A camera apparatus
CNB2005100535178A CN100433798C (zh) 2004-03-10 2005-03-08 图像拍摄装置
JP2005066167A JP4047339B2 (ja) 2004-03-10 2005-03-09 撮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91A KR101001624B1 (ko) 2004-03-10 2004-03-10 영상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86A KR20050090886A (ko) 2005-09-14
KR101001624B1 true KR101001624B1 (ko) 2010-12-17

Family

ID=3482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91A KR101001624B1 (ko) 2004-03-10 2004-03-10 영상촬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00752A1 (ko)
EP (1) EP1575275B1 (ko)
JP (1) JP4047339B2 (ko)
KR (1) KR101001624B1 (ko)
CN (1) CN100433798C (ko)
DE (1) DE60200501515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7759A1 (ja) * 2005-12-26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撮像装置
KR101752698B1 (ko) * 2011-01-06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JP1574661S (ko) * 2016-08-31 2017-04-24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53Y1 (ko) * 1994-10-19 2000-04-15 구자홍 캠코더의 이동식 텔레와이드 버튼장치
KR200224248Y1 (ko) 1995-02-03 2001-06-01 구자홍 캠코더의 줌기능 선택장치
JP2003091035A (ja) 2001-09-18 2003-03-28 Nikon Corp カメラ
JP2004029158A (ja) 2002-06-21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3929A (ja) * 1987-04-10 1988-10-20 Asahi Denki Seisakusho:Kk ビデオカメラのレリ−ズ装置
JPH02226239A (ja) 1989-02-28 1990-09-0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H08137004A (ja) * 1994-11-07 1996-05-31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
JP3547209B2 (ja) * 1995-03-08 2004-07-28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DE19534191C1 (de) * 1995-09-14 1996-10-17 Dieter Dr Med Goebel Gehstütze mit teilbarem Griff
JP2000292829A (ja) * 1999-04-07 2000-10-2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1305611A (ja) 2000-04-24 2001-11-02 Canon Inc バリア部材を備えたカメラ
JP3884342B2 (ja) * 2001-08-31 2007-02-21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メラ
JP4141771B2 (ja) * 2002-09-05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監視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53Y1 (ko) * 1994-10-19 2000-04-15 구자홍 캠코더의 이동식 텔레와이드 버튼장치
KR200224248Y1 (ko) 1995-02-03 2001-06-01 구자홍 캠코더의 줌기능 선택장치
JP2003091035A (ja) 2001-09-18 2003-03-28 Nikon Corp カメラ
JP2004029158A (ja) 2002-06-21 2004-01-2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7339B2 (ja) 2008-02-13
EP1575275A1 (en) 2005-09-14
KR20050090886A (ko) 2005-09-14
DE602005015152D1 (de) 2009-08-13
EP1575275B1 (en) 2009-07-01
US20050200752A1 (en) 2005-09-15
CN1668076A (zh) 2005-09-14
CN100433798C (zh) 2008-11-12
JP2005260961A (ja)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5947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JP4977363B2 (ja) 表示装置
TWI482489B (zh) 成像裝置
US9307135B2 (en) Electronic viewfinder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photographing angles to a use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078827A (ja) 撮像装置
EP157183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an extendable viewfinder
KR101001624B1 (ko) 영상촬영장치
JP2007017613A (ja) 撮影装置
JP4978724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260951A (ja) 映像撮影装置
JP2005345576A (ja) 撮像装置
JP2009147443A (ja) リール付き携帯機器
JP3106077U (ja) 液晶モニタを分離したビデオカメラ
KR200390394Y1 (ko) 신체 지지형 촬영장치 거치대
KR100573695B1 (ko) 영상 촬영장치
US20050206778A1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auto-detecting whether to be stable
JP2006041606A (ja) 画像表示パネル付きビデオカメラ
JP2006128847A (ja) ハンディー型ビデオカメラ装置
JP3006131B2 (ja) カメラ一体型vtr
JPH046013Y2 (ko)
JPH0199379A (ja) ムービーカメラ装置
JPH1014266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147445A (ja) リール付き携帯機器
JPH0722351B2 (ja) 電子ビユ−フアインダ−取付装置
JPH04142169A (ja) カメラの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