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03B1 - 차량용 범퍼백빔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백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403B1
KR101000403B1 KR1020080110224A KR20080110224A KR101000403B1 KR 101000403 B1 KR101000403 B1 KR 101000403B1 KR 1020080110224 A KR1020080110224 A KR 1020080110224A KR 20080110224 A KR20080110224 A KR 20080110224A KR 101000403 B1 KR101000403 B1 KR 10100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bumper
corner
vehicle
bumper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191A (ko
Inventor
이정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부에 곡률을 갖는 범퍼백빔을 새로 선정된 IIHS의 평가방법(2007년 기준)에 따라 시험하는데 있어서 코너부에서 발생하는 슬립(SLIP)현상을 제거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범퍼스테이에 장착되어 범퍼커버 내측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에 있어서,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요(凹) 모양으로 형성되는 백빔본체와; 상기 백빔본체의 코너부 앞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코너 브래킷과; 상기 백빔본체의 오목부 양측 앞면과 코너 브래킷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을 제공한다.
범퍼, 범퍼백빔, 브래킷, IIHS

Description

차량용 범퍼백빔{Bumper back bea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부에 곡률을 갖는 범퍼백빔을 새로 선정된 IIHS의 평가방법(2007년 기준)에 따라 시험하는데 있어서 코너부에서 발생하는 슬립(SLIP)현상을 제거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스틸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범퍼백빔(또는 범퍼레일)을 포함하고, 범퍼백빔의 전면과 후면에는 범퍼커버와 범퍼스테이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범퍼백빔을 신 IIHS의 평가방법으로 시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범퍼는 차량의 외곽에 구성됨에 따라 외관 디자인상 코너부가 곡률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범퍼백빔의 코너부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에 곡률(α)을 갖게 되는데, 자동차의 수리비를 산정/발표하는 기존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평가방법이 2007년 변경됨에 따라 아래 표 1과 같이 범퍼백빔의 코너부에서 15%의 오프셋(OFFSET)이 발생하여 과다한 수리비가 산정되었다.
Figure 112008077156299-pat00001
이렇게 범퍼백빔의 코너부에서 오프셋 발생시 신 IIHS 시험장비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평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2007년 변경된 IIHS 평가방법에 따라 코너부에서 오프셋 발생시, IIHS 시험장비에 대해 코너부의 곡률을 줄일 수 있는 코너 브래킷을 장착하여 IIHS 시험장비가 범퍼백빔의 코너부에 충돌시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퍼스테이에 장착되어 범퍼커버 내측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에 있어서,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요(凹) 모양으로 형성되는 백빔본체와; 상기 백빔본체의 코너부 앞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코너 브래킷과; 상기 백빔본체의 오목부 양측 앞면과 코너 브래킷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너 브래킷은 상기 백빔본체에 대응되는 철(凸) 모양으로 형성되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가 구성되고,
상기 백빔본체의 끝단 측에 상기 스프링보다 더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오목부 상하면에 장착되는 피봇볼트와, 상기 코너 브래킷의 볼록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봇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피봇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피봇홀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이음방지용 러버부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은 코너부에 코너 브래킷을 장착하여 IIHS 평가시 시험장비에 대해 코너부의 곡률의 줄여 IIHS 시험장비가 범퍼백빔의 코너부에 충돌시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새로 선정된 IIHS의 평가방법(2007년 기준)에 따라 오프셋 발생시 범퍼백빔의 코너부에 IIHS 시험장비(이하, 시험장비라 함) 충돌로 발생하게 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코너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코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범퍼백빔은 크게 차량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게 연장형성되는 백빔본체(10)와 상기 백빔본체(10)의 코너부(혹은 끝단)에 일정 간격을 이격되게 장착되는 코너 브래킷(20)으로 구성되며, 시험장비가 상기 코너 브래킷(20)에 부딪힐 시 백빔본체(10)의 코너부가 곡률을 줄이면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백빔본체(10)와 코너 브래킷(20) 사이에 스프링(30)이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은 2007년 변경된 IIHS 평가시 발생하는 오프셋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빔본체(10)의 코너부에 상기 코너 브래킷(20)을 장착 하여 시험장비가 범퍼백빔(10)의 코너부에 충돌시 코너부의 곡률을 감소시킨다.
상기 코너 브래킷(20)은, 중앙에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어 마련된 오목부(11)를 갖는 백빔본체(10)의 요(凹)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앙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21)를 갖는 철(凸)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11)와 볼록부(21) 간에 여유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장비가 부딪힐 때 코너 브래킷(20)이 충격을 흡수하며 회전하여 곡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스프링(30)을 고정하기 위해 백빔본체(10)의 오목부(11) 양측 앞면과 코너 브래킷(20)의 볼록부(21) 양측 상하면에 스프링 고정부재(17,27)가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30)이 시험장비에 의해 일측으로 눌리면서 코너 브래킷(20)이 회전함에 따라 범퍼백빔 코너부의 곡률을 줄이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30)이 일측으로 눌리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축되어 백빔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봇축 역할을 하는 피봇볼트(13)를 상기 백빔본체(10)의 오목부(11) 상하면에 장착하고, 상기 코너 브래킷(20)의 볼록부(21) 상하면에는 상기 피봇볼트(13)가 관통하는 피봇홀(2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피봇볼트(13)는 백빔본체(10)의 끝단 측에 상기 스프링(30)보다 더 근접한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피봇홀(23) 내측에는 피봇볼트(13)와의 이음방지를 위해 러버부시(25)가 삽입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 IIHS 시험은 시험장비가 차량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실시되어, 상기와 같이 피봇볼트(13)와 스프링(30)으로 백빔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된 코너 브래킷(20)에 시험장비가 접촉하게 되며, 이때 스프링(30)이 일측으로 힘을 받아 압축되고 피봇볼트(13)를 중심으로 코너 브래킷(20)이 회전하여 시험장비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범퍼백빔의 코너부가 시험장비에 대해 갖는 곡률(α)이 감소되어 시험장비가 범퍼백빔의 코너부 충돌시 발생하는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래킷을 백빔본체에 설치하기 위해 에너지 업저버의 끝단 형상을 축소하는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범퍼백빔과 범퍼커버 사이에 에너지 업저버(EA FOAM)가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상기 코너 브래킷(20)을 백빔본체(10)의 코너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에너지 업저버의 끝단 형상을 축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범퍼백빔을 신 IIHS의 평가방법으로 시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코너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코너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백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브래킷을 백빔본체에 설치하기 위해 에너지 업저버의 끝단 형상을 축소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백빔본체
11 : 오목부
13 : 피봇볼트
20 : 코너 브래킷
21 : 볼록부
23 : 피봇홀
25 : 러버부시
30 : 스프링

Claims (3)

  1. 범퍼스테이에 장착되어 범퍼커버 내측에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범퍼백빔에 있어서,
    내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요(凹) 모양으로 형성되는 백빔본체와;
    상기 백빔본체의 코너부 앞면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코너 브래킷과;
    상기 백빔본체의 오목부 양측 앞면과 코너 브래킷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백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브래킷은 상기 백빔본체에 대응되는 철(凸) 모양으로 형성되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가 구성되고,
    상기 백빔본체의 끝단 측에 상기 스프링보다 더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오목부 상하면에 장착되는 피봇볼트와, 상기 코너 브래킷의 볼록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봇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피봇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백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봇홀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이음방지용 러버부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백빔.
KR1020080110224A 2008-11-07 2008-11-07 차량용 범퍼백빔 KR10100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24A KR101000403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용 범퍼백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24A KR101000403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용 범퍼백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191A KR20100051191A (ko) 2010-05-17
KR101000403B1 true KR101000403B1 (ko) 2010-12-13

Family

ID=4227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224A KR101000403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용 범퍼백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082B2 (ja) * 2018-02-08 2022-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268B1 (ko) 1996-12-03 1999-11-01 정몽규 화물자동차 범퍼의 코너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268B1 (ko) 1996-12-03 1999-11-01 정몽규 화물자동차 범퍼의 코너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191A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595B2 (en) Impact damping device
JP5342999B2 (ja) バンパー・ビーム
US20070040398A1 (en) Bumper for a motor vehicle
RU2471658C2 (ru) Удар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торной группы автомобиля
CN111601735B (zh) 一种用于在车辆中悬挂灯的装置
JP6693928B2 (ja) 歩行者の安全のためのコラプシブルラジエータサポートブラケット
CN111465531A (zh) 一种用于在车辆中悬挂灯的装置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KR101000403B1 (ko) 차량용 범퍼백빔
CN206633952U (zh) 一种汽车前防撞梁
KR100588257B1 (ko) 교량용 차량 방호책 장치 및 시공방법
KR101618952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KR102350011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CN207345731U (zh) 一种撞击强度缓解汽车保险杠
CN106740647B (zh) 汽车行人保护结构
CN208665317U (zh) 一种新型耐撞性前纵梁结构
KR20210081068A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KR20160122402A (ko) 래터럴 암의 휠 거동 제어 구조
CN213413955U (zh) 一种便于安装的商用车驾驶室左侧围后内板加强板
KR101605729B1 (ko) 자동차용 범퍼빔
CN216994514U (zh) 副车架防撞梁组件及车辆
CN220562639U (zh) 一种倒车镜防撞器
CN207481829U (zh) 一种吸能式保险杠
CN206678933U (zh) 一种汽车车门防撞架
CN212797105U (zh) 一种汽车后地板框架结构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