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29B1 - 페이스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29B1
KR100999929B1 KR1020080078072A KR20080078072A KR100999929B1 KR 100999929 B1 KR100999929 B1 KR 100999929B1 KR 1020080078072 A KR1020080078072 A KR 1020080078072A KR 20080078072 A KR20080078072 A KR 20080078072A KR 100999929 B1 KR100999929 B1 KR 10099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head unit
head
ax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176A (ko
Inventor
김희근
박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7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29B1/ko
Priority to TW097148901A priority patent/TWI360442B/zh
Priority to CN200820184525U priority patent/CN201371115Y/zh
Priority to CN200810188870A priority patent/CN101642747A/zh
Publication of KR2010001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복수의 헤드유닛이 인접한 경우에 노즐 사이의 X축방향으로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며, 이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상에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페이스트, 디스펜서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 {PASTE DISPENSER}
본 발명은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종 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들의 접착 또는 씰링을 위하여 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장착된 헤드유닛과, 헤드유닛이 지지되는 헤드지지대와, 헤드유닛과 헤드지지대의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유닛을 헤드지지대가 연장되는 방향(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페이스트 디스펜서에는 대면적의 기판에 다수의 페이스트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헤드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노즐과 기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기판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헤드유닛에는 노즐과 기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와, 노즐 및 레이저변위센서를 Z축방향(상하측방향)으 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부가 구비된다.
레이저변위센서는 레이저를 발광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레이저가 수광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기판에 반사된 레이저의 결상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기판과 노즐 사이의 간격을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헤드유닛에는 노즐 및 레이저변위센서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가 구비된다. Y축구동부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캠과, 캠을 노즐 및 레이저변위센서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이 캠 및 연결부재에 의하여 노즐 및 레이저변위센서의 직선운동으로 변화되는 것에 의하여 노즐 및 레이저변위센서가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노즐을 X축방향,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기판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헤드유닛(80)이 서로 최소한의 거리로 인접한 경우의 각 노즐(81) 사이의 간격(Dn)에 비하여 요구되는 복수의 패턴(90)간의 간격(Dp)이 작은 경우에는 복수의 헤드유닛(80)을 동시에 이용하여 패턴(90)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고, 복수의 헤드유닛(80)을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여 패턴(90)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헤드유닛(80)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패턴(90)을 형성하여야 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페이스트 패턴(9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제약은 헤드유닛(80)의 X축방향의 폭(Wx)이 제일 큰 원인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레이저변위센서(82)의 발광부(821) 및 수광부(822)가 X축방향을 따라 즉, 다수의 헤드유닛이 배열된 동일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므로, 이에 따라 헤드유닛(80)의 X축방향으로의 폭(Wx)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81) 및 레이저변위센서(82)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가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캠을 통하여 노즐(81) 및 레이저변위센서(82)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캠의 회전직경만큼 헤드유닛(80)의 X축방향으로의 폭(Wx)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X축방향의 폭(Wx)이 큰 헤드유닛(80)이 적용되므로 간격이 작은 복수의 패턴(90)을 형성하는 경우 헤드유닛(80)의 스트로크가 증가하며, 기판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90)의 형상이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간의 X축방향으로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기판상에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도포장치는,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며 X축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헤드유닛; 헤드유닛에 구비되고 Y축방향으로 직선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직동식구동장치와, 노즐과 직동식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 고, 직동식구동장치의 구동력으로 노즐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 및 헤드유닛에 구비되어 기판과 노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저변위센서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발광부와 수광부가 Y축방향, 즉, 다수의 헤드유닛이 배열된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헤드유닛에 고정되는 가동자와, 헤드지지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로 구성되어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가 더 구비되고, X축구동부의 가동자는 인접하는 가동자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지지대에 X축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헤드유닛과, 헤드유닛에 구비되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과 기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레이저변위센서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발광부와 수광부가 Y축방향, 즉, 다수의 헤드유닛이 배열된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복수의 헤드유닛; 및 헤드유닛을 헤드지지대 에 설치함과 아울러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는 복수의 X축구동부를 포함하고, X축구동부는 헤드유닛에 고정되는 가동자와, 헤드지지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로 구성되고, X축구동부의 가동자는 인접하는 가동자와 Z축방향(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자는 Z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고, 가동자와 그에 인접하는 가동자는 서로 다른 고정자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헤드지지대에는 X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헤드유닛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헤드유닛의 X축방향의 폭을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헤드유닛이 서로 최대한으로 인접한 경우에의 노즐 사이의 최소간격을 줄일 수 있어 기판상에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헤드유닛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유닛과 연결되어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자를 인접하는 가동자와 Z축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노즐 사이의 X축방향으로의 최소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헤드유닛에 설치되는 Y축구동부가 헤드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어 기판(20)이 안착되는 스테이지(30)와, 스테이지(30)의 양측에 Y축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LM가이드(40)와, 한 쌍의 LM가이드(40)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50)와, 헤드지지대(50)에 설치되는 복수의 헤드유닛(60)과, 헤드유닛(60)을 헤드지지대(50)에 설치함과 아울러 헤드유닛(60)을 X축방향, 즉, 복수의 헤드유닛(60)이 배열된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스테이지(30)를 베이스프레임(10)의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지지대(50)에는 헤드지지대(50)를 LM가이드(4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59)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지지대(50)는 기판(20)이 대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페이스트 패턴형성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60)은,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61)와, 시린지(61)와 연통되며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62)과, 노즐(62)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노즐(62)과 기판(2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63)와,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를 Y축방향, 즉, 복수의 헤드유닛(60)이 배열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64)와,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저변위센서(63)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631)와, 발광부(63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판(20)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632)로 구성되며, 발광부(631)와 수광부(632)는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변위센서(63)의 발광부(631)와 수광부(632)가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발광부(821)와 수광부(822)가 X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헤드유닛(60)의 X축방향의 폭(Wx)을 대략 50%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각 노즐(62)간의 X축방향으로의 간격(Dn)을 줄일 수 있다.
Y축구동부(64)는, 헤드유닛(60)에 구비되어 Y축방향으로 직선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직동식구동장치(641)와,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를 직동식구동장치(641)와 연결하는 연결부재(6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직동식구동장치로는 내부에 가동자와 고정자가 내장되고, 가동자 와 고정자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직선형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모터나, 회전모터 및 볼스크류로 이루어진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Y축구동부(64)의 연결부재(642)는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가 고정되는 플레이트(643)와, 일단은 플레이트(643)에 고정되고 타단은 직동식구동장치(641)와 연결되어 직동식구동장치(641)의 구동력을 플레이트(643)로 전달하는 연결바(64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레이트(643)는 그 양면이 X축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헤드유닛(60)의 X축방향으로의 폭(Wx)을 줄이는 데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64)가 Y축방향의 직선형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직동식구동장치(641)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회전모터 및 캠을 구비한 종래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비하여 헤드유닛(60)의 X축방향으로의 폭(Wx)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헤드유닛(60)이 서로 최소한으로 인접되는 경우의 각 노즐(62) 사이의 최소간격(Dn)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레이저변위센서(63)의 발광부(631)와 수광부(632)를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거나,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64)에 직동식구동장치(641)를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각 노즐(62) 사이의 X축방향으로의 최소간격(Dn)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기판(20)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의 형상에 대한 구속에서 벗어나 패턴간의 간격(Dp)이 작은 다양한 패턴을 효 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헤드유닛(60)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전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 헤드유닛(6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70)는 헤드지지대(50)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71)와, 헤드유닛(60)의 고정판(69)에 고정되고 고정자(71)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가동자(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X축구동부(70)는 고정자(71)와 가동자(7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헤드유닛(60)을 헤드지지대(50)의 연장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51)에 안내되어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고정자(71)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 고정자(71)는 Z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고정자(711) 및 제2고정자(712)의 두 개의 고정자(71)를 갖는 구조가 제시된다. 또한, 가동자(72)는 인접하는 가동자(72)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즉, 하나의 헤드유닛(60)에 장착된 가동 자(72)가 제1고정자(711)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그 헤드유닛(60)과 인접한 헤드유닛(60)에 장착된 가동자(72)는 제2고정자(712)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헤드유닛(60)과 그와 인접하는 헤드유닛(60)은 가동자(72)의 폭(Wm)에 영향을 받지 않고 X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헤드유닛(60)이 서로 인접되는 경우에 가동자(72)의 폭에 영향을 받아 복수의 헤드유닛(60)이 최소한의 간격으로 인접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복수의 헤드유닛(60)이 서로 최소한으로 인접하는 경우의 복수의 헤드유닛(6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각 노즐(62) 사이의 최소간격(Dn)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가동자(72)는 헤드유닛(60)의 무게 및 헤드유닛(60)의 이동속도에 맞게 설계되는데, 이러한 경우 가동자(72)의 폭이 헤드유닛(60)의 폭보다 넓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동자(72)의 폭에 의하여 복수의 헤드유닛(60)이 최소한의 간격으로 인접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가동자(72)를 인접하는 가동자(72)와 상하방향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하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가동자(72)를 인접하는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가동자(72)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각 노즐(62) 사이의 X축방향으로의 최소간격(Dn)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기판(20)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의 형상에 대한 구속에서 벗어나 패턴간의 간격(Dp) 이 작은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헤드유닛(60)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레이저변위센서(63)의 발광부(631)와 수광부(632)를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거나, 노즐(62) 및 레이저변위센서(63)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64)에 직동식구동장치(641)를 적용함으로써, 헤드유닛(60)의 X축방향의 폭(Wx)을 슬림화할 수 있고, 복수의 헤드유닛(62)가 서로 최대한으로 인접한 경우에의 노즐(62) 사이의 최소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0)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의 형상에 대한 구속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으며, 헤드유닛(60)의 불필요한 스트로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하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가동자(72)를 인접하는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가동자(72)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각 노즐(62) 사이의 X축방향으로의 최소간격(Dn)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20)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의 형상에 대한 구속에서 벗어나 패턴간의 간격(Dp)이 작은 다양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헤드유닛(60)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헤드유닛에 설치되는 Y축구동부가 헤드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헤드지지대 60: 헤드유닛
62: 노즐 63: 레이저변위센서
64: Y축구동부 65: Z축구동부
70: X축구동부 71: 고정자
72: 가동자 631: 발광부
632: 수광부 641: 직동식구동장치

Claims (8)

  1.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며 X축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헤드지지대에 설치되는 헤드유닛;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고, Y축방향으로 직선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직동식구동장치와, 상기 노즐과 상기 직동식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직동식구동장치의 구동력으로 상기 노즐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 및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어 기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변위센서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축구동부의 연결부재는,
    상기 노즐 및 상기 레이저변위센서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직동식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직동식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그 양면이 X축방향을 향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에 고정되는 가동자와, 상기 헤드지지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 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X축구동부의 가동자는 인접하는 가동자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4. 헤드지지대에 X축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어 노즐과 기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변위센서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에 고정되는 가동자와, 상기 헤드지지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X축구동부의 가동자는 인접하는 가동자와 Z축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6.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복수의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을 헤드지지대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유닛을 X축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복수의 X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축구동부는 상기 헤드유닛에 고정되는 가동자와, 상기 헤드지지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자로 구성되고, 상기 X축구동부의 가동자는 인접하는 가동자와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Z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자와 그에 인접하는 가동자는 서로 다른 고정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지지대에는 X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유닛의 X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20080078072A 2008-08-08 2008-08-08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099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72A KR100999929B1 (ko) 2008-08-08 2008-08-08 페이스트 디스펜서
TW097148901A TWI360442B (en) 2008-08-08 2008-12-16 Paste dispenser
CN200820184525U CN201371115Y (zh) 2008-08-08 2008-12-30 涂胶机
CN200810188870A CN101642747A (zh) 2008-08-08 2008-12-30 涂胶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72A KR100999929B1 (ko) 2008-08-08 2008-08-08 페이스트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76A KR20100019176A (ko) 2010-02-18
KR100999929B1 true KR100999929B1 (ko) 2010-12-13

Family

ID=4149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72A KR100999929B1 (ko) 2008-08-08 2008-08-08 페이스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9929B1 (ko)
CN (2) CN201371115Y (ko)
TW (1) TWI3604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929B1 (ko) * 2008-08-08 2010-12-1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CN102085509A (zh) * 2010-12-31 2011-06-08 东莞东聚电子电讯制品有限公司 一种组合式自动涂胶机构
CN105499031B (zh) * 2016-01-19 2017-10-24 刘汉佑 美术品喷漆装置
CN106369026B (zh) * 2016-08-31 2018-02-27 浙江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磁颗粒安装装置
CN106351921B (zh) * 2016-08-31 2018-02-27 浙江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磁颗粒安装设备
CN106269405A (zh) * 2016-08-31 2017-01-04 无锡信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自动点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962B1 (ko) * 2006-06-28 2006-11-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
JP2006346593A (ja) * 2005-06-16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JP2007083120A (ja) 2005-09-20 2007-04-05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197B2 (ja) * 1994-07-14 2006-05-24 Tdk株式会社 接着剤塗布方法及び装置
CN1946487A (zh) * 2004-04-09 2007-04-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粘性流体涂敷装置
KR100999929B1 (ko) * 2008-08-08 2010-12-1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593A (ja) * 2005-06-16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JP2007083120A (ja) 2005-09-20 2007-04-05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KR100649962B1 (ko) * 2006-06-28 2006-11-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0442B (en) 2012-03-21
KR20100019176A (ko) 2010-02-18
CN101642747A (zh) 2010-02-10
CN201371115Y (zh) 2009-12-30
TW201006567A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2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CN102189842B (zh) 液体喷射装置
KR101026426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실런트 등의 도포 방법
KR100552092B1 (ko)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페이스트 도포장치
CN104602914A (zh) 喷墨打印机、被打印体保持构件、以及打印方法
JP5154998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0591692B1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JP6051995B2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装置
KR20110042736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N105532084A (zh) 元件安装装置
KR101025215B1 (ko) 기판의 리페어구간 설정방법
EP4144534A1 (e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ing apparatus
KR100856014B1 (ko) 패턴 형성 방법, 배향막 형성 방법, 액적 토출 장치,배향막 형성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61270A (ko)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과 인쇄대상물의 간격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KR100819415B1 (ko) 패턴 형성 방법, 액적 토출 장치 및 전기 광학 장치
US9902148B2 (en) Ejection device
JP2006192410A (ja) 液体噴射装置
KR20230058753A (ko)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JP2009090211A (ja) 液滴吐出ヘッドの液滴吐出量検出方法
KR20170080982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노즐
KR20210044431A (ko) 잉크젯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CN102540578A (zh) 密封胶涂布机
JP2010045143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20170080980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US20240083112A1 (en)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