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869B1 - 메모리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869B1
KR100999869B1 KR1020080062483A KR20080062483A KR100999869B1 KR 100999869 B1 KR100999869 B1 KR 100999869B1 KR 1020080062483 A KR1020080062483 A KR 1020080062483A KR 20080062483 A KR20080062483 A KR 20080062483A KR 100999869 B1 KR100999869 B1 KR 10099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ide wall
connector
housing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786A (ko
Inventor
아츠시 니시오
소이치 다카기
이사오 스즈키
사토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선단부의 일측부측에 노치부를 갖는 카드가 뒤집혀서 삽입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
선단부의 일측부측에 노치부(210)를 갖는 메모리 카드(200)가 삽입되는 하우징(110) 내에는 메모리 카드(200)의 노치부(210)와 걸어맞춤되는 튀어나옴부(156)를 갖는 슬라이더(15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0)에서는, 슬라이더(150)는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일측벽부(114) 측에 카드 삽입구(102) 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일측벽부(114)와 대향하는 안내 측벽부(113)의 카드 삽입구측의 부분(113a)에는 부분(113a)을 보강하는 보강판(191)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노치부, 메모리 카드, 카드 삽입구,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슬라이드 부재, 메모리 카드 커넥터, 컨택트, 하우징, 실드 커버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커넥터{MEMORY CARD CONNECT0R}
본 발명은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매체, 휴대형 음악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음악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매체, 또는 작성된 문장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카드 타입의 메모리 카드가 알려져 있다.
메모리 카드는 일반적으로 외관이 직사각형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 소형의 수지제 패키지의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가 수용되어 있고, 패키지의 일측 뒷면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전극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모리 카드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 음악 재생기, 노트북, 휴대 전화기 등이 장착되는 전자 기기에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통하여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의 일측변부에 노치부가 형성된 메모리 카드용 푸시 푸시 이젝트(푸시 인 푸시 아웃) 타입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른 하우징 내의 일측에는 카드 삽입/제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카드의 노치부에 걸어맞춤되는 튀어나옴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카드를 카드 삽입구로부터 올바른 자세로 삽입하면, 슬라이드 부재의 튀어나옴부와 슬라이드 부재측과 반대측의 측면부와의 사이에 카드 선단부가 위치하여 카드의 노치부에 슬라이드 부재의 튀어나옴부가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카드는 노치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넣어 장착 위치까지 삽입된다.
한편, 카드가 전후 거꾸로 또는 뒤집혀서 오삽입된 경우, 카드는 카드 선단부의 노치부의 사이드의 코너부 이외의 코너부에서 슬라이드 부재의 튀어나옴부와 간섭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넣어 장착 위치까지 삽입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10083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뒤집혀서 오삽입되는 경우, 카드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의 튀어나옴부와 슬라이드 부재측과 반대측의 측면부와의 사이를 막도록 카드 삽입구의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될 수가 있다. 즉, 앞뒷면이 뒤집혀서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카드가 커넥터 본체 깊숙이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카드에 있어서 노치부와 반대측의 타측변부는 하우징의 일측의 개구측 테두리 부분 및 튀어나옴부의 튀어나온 끝에 맞닿아 깊숙이 안쪽으로 경사져서 안내된다. 그러면, 카드의 일측변부측에서는 노치부를 구성하는 후단면부의 코너부가 하우징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측과 반대측의 측면부의 카드 삽입구 근방의 내벽면에 맞닿아 카드 자체는 카드 삽입구의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
카드에 커다란 부하를 가하여, 뒤집혀서 삽입된 경우에는, 카드는 경사진 상태에서 밀려들어가게 되고, 노치부를 구성하는 후단면부의 코너부는 맞닿는 하우징의 내벽면을 커넥터의 측방으로 누르면서 장착 위치까지 밀려들어가게 되어, 커넥터 자체를 변형시키게 된다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드가 뒤집혀서 삽입되어도 변형되지 않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선단부의 일측부측에 노치부를 갖는 메모 리 카드가 일측면에서 개구되는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편평 상자형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카드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삽입되는 카드의 상기 노치부와 걸어맞춤되는 튀어나옴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삽입되는 카드에 의해 상기 튀어나옴부가 상기 노치부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의 깊숙한 안쪽의 카드 장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카드 삽입구의 한 변을 형성하는 일단변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전극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본체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본체판부의 양측변부로부터 양측벽부가 카드 장착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서로 대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하우징과, 상기 양측벽부를 외측에서 피복하는 측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카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실드 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양측벽부 중 일측벽부 측에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상기 일측벽부와 대향하는 타측벽부의 상기 카드 삽입구측의 부분에는 해당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판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가 뒤집혀서 삽입됨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 외관도이다. 또한, 도 1은 편의상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상면 부분을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코일 스프링(160)(도 2 참조)을 가지고 있는데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측의 전방은 카드 삽입구측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이하, "커넥터"라고 함)(1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편평한 상자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카드 삽입구(102)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를 수용하는 수용부(카드 장착 영역)(104)를 구비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200)는 종류마다 결정된 치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의 치수, 형상에 대응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카드"라고도 함)(200)는 직사각판 형상을 이루며, 외형 치수를 11mm×15mm×1mm로 하고, 선단측의 가로폭을 후단측의 가로폭 11mm보다 좁게 하여 하면에 복수 개의 전극이 배치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00)에서는, 선단부의 일측부(메모리 카드(200)에서 보았을 때 커넥터(100)에 대한 삽입 방향을 선단측으로 한 우측부) 측이 잘려져서 된 노치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치부(210)는 직사각형의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의 일측면(우측면)에 있어서 코너부를 포함하며, 타측면과 수평한 한 면과 이 한 면과 경사져서 교차하는 두 면에서 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노치부(210)에 의해 메모리 카드(200)의 선단부는 후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200)의 일측부(삽입 방향측을 선단측으로 한 우측부)에는 노치부(210)보다 기단측에 일측방(우측방)이 개구되는 턱걸림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메모리 카드(200)의 일측부에는 노치부(210)와 턱걸림홈(220) 사이에서 일측방(우측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30)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돌기부(230)의 선단측의 외면, 즉 노치부(210)를 형성하는 기단측면은 메모리 카드(200)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우측방으로 상승하는 경사면(212)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는 절연성을 갖는 재료(여기서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고, 컨택트(130)를 유지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하우징(110)에 판형상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여기서는 금속판)의 양측부를 L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실드 커버(120)를 씌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커버(120)를 떼어낸 상태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컨택트(130)가 배열 설치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판부(판형 본체부)(112)와, 바닥판 부(112)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102)의 개구 테두리가 되는 전측변부(112a)와 이웃하는 양측변부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여 이간되는 안내 측벽부(113) 및 측벽부(114)와, 바닥판부(112)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102)와 반대인 후측단변부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후단벽부(115)를 갖는다.
바닥판부(112)는 수용하는 카드(200)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컨택트(캔틸레버 컨택트 등)(130)를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택트(130)는 바닥판부(112)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되어 복수 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접점부(132)인 선단부를 카드 삽입구(102)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컨택트(130)는 여기서는 판 스프링 접촉자로서 형성되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컨택트(130)는 하우징(110)에 유지되는 다른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품의 일부이며, 여기서는 인서트품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컨택트(130)는 삽입되는 카드(2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바닥판부(112)의 상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선단이 접점부(132)인 레버부(134)를 구비한다.
레버부(134)는 바닥판부(112)에 선단의 접점부(132)를 하우징(110)의 후단벽부(115) 측에서, 그리고 카드(20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정렬시킨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컨택트(130)는 각각 길다란 띠형의 금속판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V 자 또는 U자형으로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이 금속판의 접힌 부분에서 접히는 일변부를 레버부(134)로 하고, 타변부를 바닥판부(112)에 배열 설치되는 고정편(136)으로 하여, 레버부(134)를 고정편(136)에 대하여 표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컨택트(130)는 바닥판부(112)에 있어서 배선으로서 배열 설치되는 도전 부재와 함께 1장의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레버부(134)와, 고정편(136) 중 레버부(134)와 폭방향에서 나란한 부위는 바닥판부(112)에 있어서 개구된 부위에 배열 설치되고, 고정편(136)의 기단측 부분 및 선단측 부분(컨택트(130)의 접힌 부분)은 하우징(110)의 바닥판부(11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편(136)은 바닥판부(112)에 바닥면을 따른 위치에서 유지되고, 고정편(136)의 기단부(컨택트(130)의 기단부)(138)는 후단벽부(115)의 후단면으로부터 외방(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기단부(138)는 실장 기판에 납땜 접합되는 리드부가 된다.
또한, 바닥판부(112)에는 측벽부(114)를 따라,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50)를 구비하는 잠금 기구부(14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부(140)와 안내 측벽부(113)와의 사이에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의 선단부의 일측부(구체적으로는 노치부(210)를 규정하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대향함과 아울러 슬라이더(150)의 후단부가 맞닿는 안내 소벽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소벽부(116)는 안내 측벽부(113)의 내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삽입된 카드(200)의 선단부의 일측면(오른쪽)에 대향하여 해당 카드 선단부의 위치를 측방으로부터 규제하는 대향면을 갖는다. 또한, 안내 소벽부(116)는 대향면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깊숙이 안(후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더(150)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카드 장착 위치에 배치시키는 맞닿음면을 구비한다.
또한, 이 안내 소벽부(116)는 수용부(104)에 카드(200)(도 1 참조)를 삽입할 때, 카드(200)의 선단부가 잠금 기구부(140)의 하트캠 홈부(180)에 삽입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들 바닥판부(112), 잠금 기구부(140)에 있어서 안내 측벽부(113)와 대향하는 부분 및 안내 소벽부(116)는 안내 측벽부(113)와 함께 하우징(110)의 상면측으로 개방된 오목 형상을 형성하고, 수용부(104)의 양측면 및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다.
안내 측벽부(113)는 선단측의 끝 테두리에서 카드 삽입구(102)의 일측변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바닥판부(112), 측벽부(114) 및 후단벽부(115)와 함께 하우징(110)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측벽부(113)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102) 측의 부분(이하, "삽입구측 부분"이라고 함)(113a)에는 내벽면을 따라 보강판(191)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보강판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삽입구측 부분을 좌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삽입구측 부분(113a)은 커넥터(100)에 대하여 카드(200)(도 1 참조)가 뒤집혀서 오삽입된 경우에, 카드(200)가 경사져서 슬라이더(150)의 튀어나옴부(156)에 걸어맞춤되는 노치부(210)의 후단면을 규제하는 돌기부(230)가 맞닿는 부분이다.
즉, 카드(200)를 뒤집어서 오삽입하였을 때, 하우징(110) 내에 있어서, 카드의 직선형의 타측부가 슬라이더(150)의 튀어나옴부(156)의 튀어나온 끝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카드의 선단부는 내부 공간을 막도록 이동하게 되고, 카드는 경사져서 일단부측의 노치부(210)에 인접하는 돌기부(230)의 선단이 맞닿는다. 또한, 커넥터(100)에 대하여 카드(200)가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안내 측벽부(113)의 삽입구측 부분(113a)은 측벽부(114) 측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102) 측에 위치하는 상태시의 슬라이더(150)의 잠금턱부(155)와 바로 정면에서 대향하는 영역이 되고, 이 영역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 보강판(191)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191)은 수지제의 안내 측벽부(113)의 삽입구측 부분(113a)을 보강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컨택트(130)와 함께 인서트품인 금속판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안내 측벽부(113) 내에 매설되어 있다.
보강판(191)은 외면을 외부(안내 측벽부(113)의 외면측)에 노출시켜 바닥판부(112)에 있어서 삽입구(102) 측에 배치된 보강 바닥판부(310)로부터 직교하여 세워져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바닥판부(310)는 컨택트(130)와 함께 인서트품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 측벽부(113) 및 측벽부(114)와의 사이에 가설된 상태에서 바닥판부(112) 내에 배열 설치되고, 안내 측벽부(113) 측의 끝 테두리로부터 보강판(191)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191)은 여기서는 안내 측벽부(113)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외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보강판(191)은 안내 측벽부(113)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측의 단변부(191a)를 안내 측벽부(113)의 카드 삽입구(102)의 개구측의 끝 테두리(1131)보다 하우징(110)의 깊숙이 안쪽(후단측)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안내 측벽부(113)의 개구측의 끝 테두리(1131)와 보강판(119)과의 사이에는 수지층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강판(191)의 외면에는 외방으로 돌출되어 실드 커버(120)의 측판부(123)에 맞닿는 돌출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보강판(191)에는 앞뒷면(내외면)을 관통하는 연통구(193)가 형성되고, 내면(수용부(104) 측) 상에는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다. 이 연통구(193)에는 내면측의 수지층에 연속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보강판(19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실드 커버(120)의 걸림 구멍(126)과 걸어맞춤되는 부착턱부(1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안내 측벽부(113)의 삽입구측 부분(113a)은 보강판(191)이 배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차례로 수지층, 보강판(191)에 의한 금속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후단벽부(115)는 삽입에 의해 수용부(104)에 수용된 카드(200)의 선단부와 근접하여 대향하여 배치되고, 해당 수용부(104)에 삽입되는 카드(200)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후단벽부(115)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수용부(104)와 삽입 방향으로 연통하는 개구(115e)가 형성되고, 이 개구(115e) 양측에 하우징(110)의 후단측 코너부를 각각 형성하는 벽부(115a, 115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벽부(115a, 115b) 중 잠금 기구부(140) 측의 벽부(115b)에는 바닥판부(112) 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방으로 돌출하는 안내편(115c)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115c)은 바닥판부(112) 상에 있어서 삽입 방향을 따라 배치된 잠금 기구부(140)보다 안내 측벽부(113)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카드(200)의 선단측의 일측 테두리부(한 면에서 잘려나간 부분)를 수용한다. 여기서는 삽입되는 카드(200)에 있어서 노치부(210)를 갖는 선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안내 측벽부(113)와의 간격은 안내 측벽부(113)와 잠금 기구부(140)와의 간격보다 노치부(210)의 깊이만큼(횡방향의 길이만큼) 좁게 되어 있다.
이들 안내 측벽부(113)와 안내편(115c)이 뒷면에 배열 설치된 전극과 컨택트(130)가 접촉하도록 올바른 자세로 삽입(정규 삽입)된 카드(200)의 선단측의 가로폭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카드(200)의 전극과 바닥판부(112)에 배열 설치된 하우징측의 컨택트(130)간 위치 맞춤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잠금 기구부(140)는 수용부(104)가 될 영역의 측방(여기서는 수용부(104)에 대하여 측벽부(114) 측)에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부(140)는 삽입되는 카드(200)의 노치부(210)에 걸어맞춤되는 튀어나옴부(156)를 구비하는 슬라이더(150)와, 코일 스프링(160)과, 잠금핀(170)과 하트캠 홈부(180) 를 갖는다.
슬라이더(150)는 바닥판부(112) 상에 배치되고, 수용부(104)에 삽입되는 카드(2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코일 스프링(탄성 바이어스 부재)(160)에 의해 카드(200)의 반삽입 방향(빠짐 방향)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50)는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가장 카드 삽입구(102)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위치(카드 삽입구측 위치)에서 기단측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슬라이더(150)는 선단측의 잠금턱부(155)를 메모리 카드(200)의 턱걸림홈(220)에 걸어맞춤시키고, 카드(200)를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삽입/제거 가능하게 유지한다. 이 위치를 이하에서는 하프 락 위치라고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는 수용부(104) 측으로 튀어나오는 튀어나옴부(156)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본체(152)와, 슬라이더 본체(152)의 선단측(전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네크부(153)와, 네크부(153)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카드(200)의 측면의 턱걸림홈(220)에 출입하는 잠금턱부(155)를 갖는다.
슬라이더 본체(152)의 수용부(104) 측의 측면(경사면)(156a)은 네크부(153)에 연속되는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수용부(104) 측, 즉 안내 측벽부(113) 측으로 튀어나와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156a)의 경사가 슬라이드 본체(152)의 튀어나옴부(156)를 형성하고 있으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사면이다. 이 경사면(156a)은 카드(200)의 노치 부(210)를 형성하는 기단측면(경사면(212))의 경사에 대응해 있다.
슬라이더 본체(152)는 올바르게 삽입된 카드(200)의 턱걸림홈(220)에 잠금턱부(155)가 걸렸을 때 노치부(210)와 끼워져서 카드(200)의 선단부의 측방(삽입 방향을 앞이라 하였을 때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카드(200)가 수용부(104) 내에 더 삽입됨으로써 튀어나옴부(156)는 카드(200)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200)를 수용부(104)의 깊숙이 안쪽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더(150)는 슬라이더(150) 자체도 추종하여 수용부(104)의 깊숙이 안쪽으로 이동하여, 카드(200)가 수용부(104)에 완전히 수용되는 카드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잠금턱부(155)는 네크부(153)의 선단부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잠금턱부(155)는 후단측을 향하여 카드(200)의 직사각형의 턱걸림홈(220)과 확실하게 걸리기 위하여 후단측의 면(155b)은 네크부의 내측면에 대하여 급한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턱부(155)의 선단측의 면(155a)에는 턱걸림홈(22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완만한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턱부(155)는 바닥판부(112) 상에 슬라이더(150)가 하프 락 위치(도 1에 도시한 삽입구측 위치)에 위치할 때 수용부(104) 측에 대하여 이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하우징의 바닥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의 하면(슬라이더 본체(152)의 하 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바닥판부(112)에 형성된 슬릿(117)에 이동 가능하게 느슨하게 끼워진 안내 돌기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부(151)는 삽입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며, 슬라이더 본체(152)의 하면에 있어서 폭방향의 길이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고, 하우징(110)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17) 안을 슬릿(117)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돌기부(151)가 느슨하게 끼워진 슬릿(117)은 바닥판부(112)에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카드 삽입구(102) 측의 단부에서는 수용부(104) 측과 반대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슬릿(117)에서는 카드 삽입구측의 선단부(117a)는 측방을 향하여 확장되는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선단부인 부채꼴 부분(117a)에 안내 돌기부(151)가 위치하는 경우, 안내 돌기부(151)는 기단부측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부채꼴 부분(117a)에 안내 돌기부(151)가 위치하였을 때, 슬라이더(150) 자체는 카드 삽입구측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안내 돌기부(151)는 슬릿(117)의 깊숙이 안쪽으로 이동하면 장공형 부분(117b)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장공형 부분(117b)의 깊숙이 안쪽의 단부에서는 좌우 방향과 함께 기단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150)는 하우징(110) 내에서의 삽입/제거 방향의 이동 범위를 규제받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152)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벽부(115)와 대향하는 기단면에는 스프링 받침 돌기(157)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받침 돌기(157)와 후단벽부(115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스프링 받침 돌기(157)와 대향하는 튀어나옴부(115g)에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인 코일 스프링(160)의 단부가 각각 외감(外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60)은 슬라이더(150)와 후단벽부(115b)와의 사이에 삽입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50)는 항상 전방(카드 삽입구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카드(200)가 수용부(104)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장 전측의 이동 종료 위치인 삽입구측의 위치에서 잠금턱부(155)가 수용부(104) 내에 돌출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152)의 튀어나옴부(156)에는 돌출단부(156b)의 상면을 잘라서 이루어지는 핀유지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핀유지부(158)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구멍부를 가지며, 이 구멍부에는 둥근 봉의 양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ㄷ자형의 잠금핀(170)의 타단부(선단부)(174)를 형성하는 절곡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잠금핀(170)의 일단부(기단부)(172)를 구성하는 절곡축부는 하트캠 홈부(180)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잠금핀(170)은 하트캠 홈부(180)의 종동절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50)는 하트캠 홈부(180)를 따라 이동하는 잠금핀(170)의 이동의 궤적에 종동하여 상대 변위한다.
또한, 슬라이더(150)에 있어서, 슬라이더 본체(152)의 상면은 상방에 배치되는 실드 커버(120)의 상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네크부(153), 핀유지 부(158) 등에 비하여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트캠 홈부(1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하트캠 홈부의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한 하트캠 홈부(180)의 바닥면은 선단부(174)를 슬라이더(15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잠금핀(170)의 기단부(172)가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단계적인 복수 개의 슬로프 및 단차부(182a∼182f)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위 하프 락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잠금핀(170)의 기단부(172)가 하프 락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하프 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의 각 슬로프(182a∼182f) 사이의 높이 관계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하트캠 홈부의 단계적인 사면 및 단차부 사이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수직 방향에서의 높이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는, 슬로프 및 단차부(182a∼182f)는 맞닿는 잠금핀(170)의 타단부가 역궤적을 그리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트캠 홈부(180)에서의 궤적의 출발점이 되는 바닥면(182a)은 슬라이더(150)의 바닥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182a)으로부터 세워져올라가도록 하여 사면인 슬로프(182b)가 형성되어 있다.
사면으로서의 바닥면인 슬로프(182b)를 지나면, 바닥면(182a)보다 높은 평면을 갖는 바닥면(182c)으로 되어 있다. 바닥면(182c)을 지나면 단차가 되어 바닥면(182c)보다 낮은 평면을 갖는 굴곡된 바닥면(182d)이 된다.
즉,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슬라이더(150)가 카드 삽입구측 위치로부터 카드 고정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바닥면(182d)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바닥면(182c)으로 되돌아올 수 없다. 그리고, 바닥면(182d)을 지나면 단차가 되어 바닥면(182d)보다 낮은 평면을 갖는 바닥면(182e)이 된다.
바닥면(182e)은 카드 삽입구측으로 돌출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V자형의 내벽에 의해 V자 홈을 형성하고 있다.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슬라이더(150)가 카드 삽입구측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바닥면(182e)에 도달한 경우에는 바닥면(182d)으로 되돌아올 수 없다. 기단부(172)가 V자 홈(34)의 바닥면(182e)에 도달한 상태는 카드(200)의 잠금 상태 또는 장착 상태이다. 또한, 기단부(172)가 바닥면(182a)으로부터 바닥면(182e)에 이르는 궤적은 왕로의 궤적이 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0)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카드(200)를 커넥터(100)의 깊숙이 안쪽, 즉 후측으로 더 삽입하면,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V자 홈(34)으로부터 해방되어 바닥면(182e)을 지나면 단차가 되어 바닥면(182e)보다 낮은 평면을 갖는 바닥면(182f)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바닥면(182f)에 도달한 기단부(172)는 바닥면(182e)으로 돌아갈 수 없다.
더욱이, 바닥면(182f)에 연속되어 바닥면(182f)으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도록 하여 카드 삽입측으로 경사진 사면인 바닥면(슬로프)(182g)이 형성되어 있다.
슬로프(182g)의 삽입구측에는 슬로프(182g)보다 높은 평면을 갖는 바닥면(182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면(182h)의 카드 삽입구(102) 측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바닥면(182h)보다 낮은 평면을 갖는 바닥면(182a)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트캠 홈부(180)는 바닥면 상을 슬라이딩하는 잠금핀(170)의 접촉점이 하트형의 평면 궤적을 그리면서 높이 방향으로는 부분적으로 불가역적인 궤적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트캠 홈부(180)는 커넥터(100)에 있어서, 수용부(104)에 수용된 메모리 카드의 선단부와, 커넥터(100)의 일측의 측면(카드 삽입구(10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의 측면)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16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에 있어서, 하우징(110) 상에 수용부(104)와, 슬라이더(150)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코일 스프링(160) 및 하트캠 홈부(180)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부(140)가 수납성있게 합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00)에서는 해당 커넥터(100)의 가로폭을 메모리 카드 자체의 가로폭과 잠금 기구부(140)의 가로폭을 합한 길이의 폭에 근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실장 공간의 절약화도 도모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하우징(110)의 바닥판부(112) 상에 배치된 슬라이더(150)는 하우징(110)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실드 커버(120)의 상면(121)(도 1 참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받고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50)는 전후 방향 및 슬릿(117)의 선단부(부채꼴 부분)(117a) 상에서의 횡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160)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카드 삽입구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더(150)는 슬라이더 압접편(122)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있음과 아울러, 턱누름편(128)에 의해 수용부(104) 측에 눌려져 있다.
또한, 카드 삽입구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150)에는 슬라이더 압접편(122)이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50)가 코일 스프링(160)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수용부 내의 가장 후단측의 위치인 카드 유지 위치로부터 카드 삽입구측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경우, 즉 카드 배출 동작시에 있어서, 슬라이더 압접편(122)은 주로 턱누름편(128)과 함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한 슬라이더(150)의 이동력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턱누름편(128)은 슬라이더 압접편(122) 및 슬라이더(150)의 잠금턱부(155)와 함께 카드(200)의 배출시의 카드의 튀어나옴 방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턱누름편(128)은 카드(200)의 수용부(104) 측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29)(도 1 참조)에서 슬라이더(150)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서 누름력을 제공하고, 슬라이더 압접편(122)은 슬라이더(15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누름력을 가하고 있다. 즉, 턱누름편(128) 및 슬라이더 압접편(122)은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50)에 대하여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눌려져서, 삽입 방향의 이동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의 카드(200)의 착탈 동작 및 잠금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드(200)가 삽입되지 않은 카드(200) 커넥터에서는, 슬라이더(150)는 코일 스프링(160)에 의해 커넥터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됨과 아울러, 턱누름편(128)에 의해 수용부(104)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바닥판부(112)와 실드 커버(120)의 상면(121)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는 슬라이더(150)에서는 하면의 안내 돌기부(151)가 슬릿(117)의 전측단부에 눌려짐과 아울러, 슬릿(117)의 선단부(117a)에 있어서 수용부(104) 측에 눌려진다. 따라서, 슬라이더(150)는 카드 삽입구측의 위치에서 억지 잠금턱부(155)를 수용부(104)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수용부(104)와 반대측으로 수평 방향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하트캠 홈부(180)에 삽입된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바닥면(182a)의 선단측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카드 삽입구(102)로부터 카드(200)를 삽입하여 밀어넣는다. 그러면, 카드(200)의 단부에 의해 수용부(104) 내, 즉 삽입 영역에 존재하는 잠금턱부(155)의 개구측의 단면이 삽입 방향으로 눌려지고, 슬라이더(150) 자체가 수용부(104)와 반대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잠금턱부(155)는 수용부(104)에 삽입되는 카드(200)의 측면의 돌기부(230)의 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카드(20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턱걸림홈(220)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카드(200) 자체는 삽입/제거 가능한 하프 락 상태에서 유지된다(도 1 참조).
또한, 이 때 카드(200)의 노치부(210)에 대향하여 튀어나옴부(156)가 배치되게 되며, 노치부(210)와 튀어나옴부(156)가 걸어맞춤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코일 스프링(160)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대항한 카드(200)의 삽입 방향(A 방향)의 삽입에 의해 슬라이더(150)는 잠금턱부(155)를 턱걸림홈(220)에 걸어 맞춤시킨 상태에서 노치부(210)를 형성하는 경사면(212)에 의해 경사면(156a)에서 눌려진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50)는 슬릿(117)에 가이드되어 커넥터(100)의 후단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잠금핀(170)의 기단부(172)(절곡축)는 하트캠 홈부(180)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핀(170) 자체는 바닥면 상을 왕방향(바닥면(182a)으로부터 슬로프(182b), 바닥면(182c)을 거쳐 바닥면(182d)에 이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50)가 깊숙이 안쪽으로 삽입되면,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단차가 있는 바닥면(182c)으로부터 바닥면(182d)으로 낙하해 들어간다. 그리고, 카드(200)의 밀어넣음(삽입 방향으로의 밂)을 멈추면, 즉 카드(200)가 최심부까지 밀려들어가면,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카드 삽입구측으로 되밀린다. 이 때,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바닥면(182)보다 높은 위치의 바닥면(182c) 측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바닥면(182e)으로 이동하여, V자 홈(34)에 걸려 고정된다. V자 홈(34)에 잠금핀(170)의 기단부(172)가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50)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한 빠짐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받아 카드(200)의 장착 위치에 고정된다. 즉, 카드(200)는 장착 상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카드 장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코일 스프링은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가 장착 위치에 위치해 있는 동안, 장착된 카드(200)의 선단측 하면의 전극이 복수 개의 컨택트(캔틸레버 컨택트)(130)(도 2 참조)와 접촉하여 카드(200)의 데이터의 읽기 쓰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잠금턱부(155)는 카드(200)의 턱걸림홈(220)에 들어가 걸어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200)가 커넥터(100)로부터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다.
한편,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카드(200) 카드를 빼내는 경우에는, 카드(200)를 카드 장착 상태로부터 커넥터의 깊숙이 안쪽으로 더 밀어넣는다.
이와 같이 카드(200)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카드(200)를 삽입 방향으로 더 삽입하여, 잠금핀(170)의 기단부(172)(절곡축)를 V자 홈(34)으로부터 해방시킨다. 그러면, 잠금핀(170)의 기단부(172)는 바닥면(182d)으로 되돌아오지 않고 바닥면(182f)으로 이동하여 V자 홈(34)으로부터 이탈하고,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슬로프(182g), 바닥면(182h)을 지나 바닥면(182a)으로 돌아오는 복로의 궤적을 그리도록 이동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 잠금핀(17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150)는 코일 스프링(160)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빠짐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면(156a)에서 맞닿는 카드(200)의 경사면(212)을 빠짐 방향으로 눌러 카드(200)를 빠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커넥터에서는, 카드(200)를 이젝트할 때 슬라이더(150)의 잠금턱부(155)를 카드의 턱걸림홈(220)으로 턱누름편(판 스프링)(128)(도 1 참조)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시킴으로써 카드의 빠짐이 방지된다. 더욱이, 메모리 카드(200)의 이젝트 시에 있어서, 잠금 상태의 카드를 손가락 끝으로 튕겨(삽입 방향으로 눌러) 잠금 해제하였을 때, 가속도를 증가시켜 함께 카드 빠짐 방향(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50)와 메모리 카드(200)의 기세를 턱누름편(128)(도 1 참조)과, 슬라이더(150) 자체를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슬라이더 압접편(122)(도 1 참조)에 의해 억제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로부터 배출되는 메모리 카드(200)를 직접 누르지 않기 때문에 카드(200) 자체의 누름 흔적을 남기지 않고 해당 카드(200)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50)가 카드측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 즉 카드(200)의 하프 락 상태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10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는 카드(200)의 단부(기단부)를 손가락으로 쥐고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잠금턱부(155)는 슬라이더(150)의 외측으로의 요동에 따라 변위하고, 턱걸림홈(220)으로부터 빠져나와 돌기부(230)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 카드(200)의 노치부(210)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카드(200)에 대한 하프 락 상태는 해제되고, 카드(200) 자체를 빼낼 수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0)에 있어서, 삽입되는 카드(200)가 앞뒷면이 뒤집혀서 오삽입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의 커넥터(100)에 카드(200)가 앞뒷면이 뒤집혀서 삽입된 경우, 카드(200)에 있어서 노치부(210), 턱걸림홈(220) 및 돌기부(230)가 형성된 일측부는 슬라이더(150)가 배치된 측벽부(114) 측과 반대측의 안내 측벽부(113) 측에 배치된다.
한편, 카드(200)의 선단부의 타측부(노치부(210)가 형성된 일측방과 반대측 의 측방의 좌측부)는 측벽부(114) 측의 슬라이더(150)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카드(200)가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선단부의 타측부의 코너부는 삽입 영역측에 돌출되는 튀어나옴부(156)의 경사면(156a)에 맞닿아 걸린다. 한편, 일측부에서는 노치부(2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선단부는 잠금턱부(155)의 돌출단과 안내 측벽부(113) 사이로는 삽입되는데, 카드(200)의 선단부의 타측부가 경사면(156a)과 맞닿는 위치 부근에서 돌기부(230)가 카드 삽입구(102) 테두리 부분에 맞닿는다. 이 때, 돌기부(230)보다 선단측에 있어서, 카드(200)의 선단부와 안내 측벽부(113)와의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카드(200)는 슬라이더(150)를 삽입 방향으로 눌러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카드 선단부의 타측부는 경사면(156a)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카드(200) 자체가 측벽부(114) 측으로 경사진다.
즉, 카드(200)를 앞뒤 뒤집어 오삽입하였을 때, 하우징(110) 내에 있어서, 카드 선단부의 직선형의 타측부가 슬라이더(150)의 튀어나옴부(156)의 경사면(156)을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카드의 선단부는 내부 공간을 막도록 이동하게 되고, 카드(200)는 카드 삽입구(10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카드(200)는 누름 방향으로 눌려져 있기 때문에 카드(200)는 카드 삽입구(102)(상세하게는 카드 삽입구(10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인 채 하우징(110) 내로 밀려들어간다.
카드(200)에서는, 타측부측이 튀어나옴부(156)의 경사면(156a)을 따라 미끄러지고, 튀어나온 끝에서 안내 측벽부(113) 측으로 안내되고, 카드 선단부의 일측 부측의 돌기부(230)는 그 선단이 안내 측벽부(113)의 내벽면에 맞닿도록 하면서 수용부(104) 내에 침입한다. 따라서, 카드(200)의 일측부는 돌기부(230)의 돌출단(노치부(210)를 형성하는 기단측면인 경사면(212)의 돌출단)에서 안내 측벽부(113)를 측방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딩하고, 카드(200) 자체는 커넥터(100)에 끼워져들어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가 오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200)가 커넥터(100)에 끼워져 들어갔을 때 안내 측벽부(113)에 있어서 돌기부(230)의 돌출단은 삽입구측 부분(113a)에 맞닿으면서 해당 부분(113a)을 외방으로 누른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커넥터에 있어서 안내 측벽부의 카드 삽입구측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측 부분(113a)에는 보강판(191)이 배열 설치되어 있고, 내벽면측으로부터 수지층(1136), 금속층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0)에서는, 하우징(110)에서는 슬라이더(150)는 측벽부(114) 측에 카드 삽입구(102) 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측벽부(114)와 대향하는 안내 측벽부(113)의 카드 삽입구측 부분(113a)에는 해당 부분(113a)을 보강하는 보강판(191)이 부분(113a)의 내벽면을 따라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측벽부(113)의 외면에는 실드 커버(120)의 측판부(123)가 포개지 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0)에서는 하우징(110)의 안내 측벽부(113)와 보강판(19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00)에서는 측벽 부분에서 안내 측벽부(113), 보강판(191) 및 실드 커버(120)의 측판부(123)(금속 플레이트)의 3층에서 카드(200)를 받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00)에서는 앞뒷면이 뒤집혀서 카드(200)가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 본체의 측벽 부분에 있어서 돌기부(230)가 맞닿는 부분(113a)은 보강판(191)에서 보강된 상태가 되어, 커넥터 자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측 부분(113a)의 외면에는 보강판(191)의 연통구(193)를 통하여 하우징(110)과 일체인 수지제 부착턱부(1135)(도 5 참조)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 측벽부(113)의 외면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측의 단부(선단부) 및 기단부 각각과 측벽부(114)의 카드 삽입구측의 단부(선단부) 및 기단부 각각에 부착턱부(1135)가 형성된다.
이 부착턱부(1135)는 컨택트(130), 특히 보강판(191)인 금속판을 인서트품으로 하여 하우징(110)을 인서트 성형할 때, 보강판(191)의 내측으로부터 수지가 외측으로 흐름으로써 형성된다. 부착턱부(1135)가 실드 케이스의 걸림 구멍(126)(도 5 참조)과 걸어맞춤됨으로써 하우징(110)에 실드 커버(120)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측벽부(113)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강판(191)의 외면에는 내면측에서 카드(20)가 맞닿는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부(192)(도 5 참조)가 형성되 고, 이 돌출부(192)는 실드 커버(120)의 측판부(123)에 접촉해 있다. 이에 따라 보강판(191)이 오삽입에 의해 카드(200)로부터 받은 하중을 실드 커버(120)의 측판부(1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191) 자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부(104)의 바닥면 부분을 규정하는 바닥판부(112)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안내 측벽부(113) 및 측벽부(114) 사이에 걸쳐 배열 설치된 보강 바닥판부(310)와 동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삽입된 카드(200)에 의해 보강판(191)이 수용부(104) 측으로부터 눌려도 카드(200)와 하방에서 대향하는 보강 바닥판부(310)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보강판(191)은 물론 보강 바닥판부(310)에서도 카드(200)를 받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안내 측벽부(113)의 강도를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측벽부(113)의 삽입구측 부분(113a)에 있어서 보강판(191)이 없는 구성과 비교하여 약 2.6배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개량 변경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이 이 개량 변경시킨 것에 미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선단부의 일측부측에 노치부를 갖는 메모리 카드가 뒤집혀서 삽입되어도 잘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가지며, 마이크로 SD 카드(등록 상표)용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보강판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하우징의 바닥면도,
도 7은 하트캠 홈부의 확대도,
도 8은 하트캠 홈부의 단계적인 경사면 및 단차부 사이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수직 방향의 높이 관계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카드 장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하우징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가 오삽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커넥터에 있어서 안내 측벽부의 카드 삽입구측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부호의 설명>
34…홈, 100…커넥터,
102…카드 삽입구, 110…하우징,
112…바닥판부, 112a…전측변부,
113…안내 측벽부, 113a…삽입구측 부분,
114…측벽부, 120…실드 커버,
123, 124…측판부, 126…걸림 구멍,
130…컨택트, 140…잠금 기구부,
150…슬라이더, 155…잠금턱부,
156…튀어나옴부, 156a…경사면,
160…코일 스프링, 170…잠금핀,
180…하트캠 홈부, 191…보강판,
192…돌출부, 193…연통구,
200…메모리 카드, 210…노치부,
212…경사면, 220…턱걸림홈,
230…돌기부, 310…보강 바닥판부,
1131…끝 테두리, 1135…부착턱부,
1136…수지층

Claims (5)

  1. 선단부의 일측부측에 노치부를 갖는 메모리 카드가 일측면에서 개구되는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편평 상자형의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카드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삽입되는 카드의 상기 노치부와 걸어맞춤되는 튀어나옴부를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삽입되는 카드에 의해 상기 튀어나옴부가 상기 노치부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의 깊숙한 안쪽의 카드 장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카드 삽입구의 한 변을 형성하는 일단변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전극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본체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이 본체판부의 양측변부로부터 양측벽부가 카드 장착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서로 대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하우징과,
    상기 양측벽부를 외측에서 피복하는 측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카드 장착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실드 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양측벽부 중 일측벽부 측에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부터 카드 장착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상기 일측벽부와 대향하는 타측벽부의 상기 카드 삽입구측의 부분에는 해당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판이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판의 외면은 상기 카드 삽입구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실드 커버의 측판부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판의 외면에는 상기 카드 삽입구측의 부분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실드 커버의 측판부와 맞닿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컨택트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측판부에 형성된 걸림구멍을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부의 외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턱부에 걸어맞춤으로써 부착되고,
    상기 보강판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타측벽부의 카드 삽입구측의 부위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보강판의 내면에 배열 설치된 수지층으로 상기 보강판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타측벽부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삽입구의 일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끝 테두리보다 깊숙이 안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20080062483A 2007-11-30 2008-06-30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0999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1231A JP5125456B2 (ja) 2007-11-30 2007-11-30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JP-P-2007-00311231 200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786A KR20090056786A (ko) 2009-06-03
KR100999869B1 true KR100999869B1 (ko) 2010-12-09

Family

ID=4074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483A KR100999869B1 (ko) 2007-11-30 2008-06-30 메모리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25456B2 (ko)
KR (1) KR100999869B1 (ko)
CN (1) CN101447611B (ko)
TW (1) TW2009243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0875B2 (en) 2014-08-01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79Y1 (ko) 2002-06-07 2002-08-24 암페놀-대신전자정밀 주식회사 피씨엠씨아이에이 커넥터
KR100642914B1 (ko) 2004-05-28 2006-11-03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카드커넥터
KR100680869B1 (ko) * 2005-12-02 2007-02-09 정태봉 카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100A (ja) * 2001-12-03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ド端末装置
JP3772788B2 (ja) * 2002-04-30 2006-05-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4046656B2 (ja) * 2003-07-18 2008-02-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386811B2 (ja) * 2004-08-19 2009-12-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200331B2 (ja) * 2005-09-14 2008-12-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保持構造
JP2007094507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メモリカード保持構造
JP2007141730A (ja) * 2005-11-21 2007-06-07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585963B2 (ja) * 2005-12-06 2010-11-24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7323945A (ja) * 2006-05-31 2007-12-13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79Y1 (ko) 2002-06-07 2002-08-24 암페놀-대신전자정밀 주식회사 피씨엠씨아이에이 커넥터
KR100642914B1 (ko) 2004-05-28 2006-11-03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카드커넥터
KR100680869B1 (ko) * 2005-12-02 2007-02-09 정태봉 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7611B (zh) 2011-02-02
JP5125456B2 (ja) 2013-01-23
TW200924306A (en) 2009-06-01
JP2009135030A (ja) 2009-06-18
CN101447611A (zh) 2009-06-03
KR20090056786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879B2 (en) Card connector
JP3861121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JP6295159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118395B2 (en) Card connector locking member arrangement
KR20100026909A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6726508B2 (en) Card connector
KR100999873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US6802448B2 (en) Compact smart card reader with ejector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8303321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KR101724335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KR100999869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JP2009164003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231348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35748B2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3796495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5811926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29463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382758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5108763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7242297A (ja) Icカードコネクタ
JP200612781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