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335B1 -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335B1
KR101724335B1 KR1020100069401A KR20100069401A KR101724335B1 KR 101724335 B1 KR101724335 B1 KR 101724335B1 KR 1020100069401 A KR1020100069401 A KR 1020100069401A KR 20100069401 A KR20100069401 A KR 20100069401A KR 101724335 B1 KR101724335 B1 KR 10172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portion
car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954A (ko
Inventor
타케시 콘노
카츠히로 호리
마코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rrect insertion of the card, e.g. end detection switches notifying that the card has been inserted completely and correct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94Coupling devices with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f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삽입 발출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하는 것.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삽입구(101)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수용부(102)에 메모리 카드(20)의 장착 상태를 검출한다.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가동 단자(161)와 고정 단자(162)를 가지고, 가동 단자(161)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카드 접촉부(163a)와 카드 접촉부(163a)의 변위에 따라 카드 접촉부(163a)의 변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164a)를 가진다. 고정 단자(162)는 하우징(110)에, 가동 접점부(164a)의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가동 접점부(164a)가 변위하여 슬라이딩운동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CONNECTOR AND DETECTION SWITCH}
본 발명은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부품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가지는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데이터의 기억 매체로서 수지제의 박판형상의 광체(筐體)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각종 종류나 규격의 소형 메모리 카드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휴대전화용의 데이터의 기억 매체로서도 메모리 카드가 사용되고 있어, 매우 소형의 메모리 카드도 시판되고 있다.
이들 메모리 카드를 기억 매체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는 메모리 카드용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삽입함으로써 전자기기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가 접점 부분을 접리시킴으로써 메모리 카드 자체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로서는 카드 삽입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가 있다.
도 11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의 종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카드 검출 스위치(1)는 커넥터 본체(3)에 있어서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방의 안내측벽(4)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드 검출 스위치(1)는 커넥터 본체(3)의 안내측벽(4)을 따라 배치된 제2 접점 부재(5)와, 제2 접점 부재(5)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늘어서서 이간되어 배치된 제1 접점 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점 부재(6)는 커넥터 본체(3)의 폭방향에서 제2 접점 부재(5)에 대향하고, 안내측벽(4)측으로부터 삽입 경로 내로 돌출되는 절곡부(7)를 가진다.
메모리 카드(2)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접점 부재(6)의 절곡부(7)가 메모리 카드(2)의 측면에 의해 밀려, 이것에 의해 절곡부(7)의 기단이 제2 접점 부재(5)에 맞닿고, 제1 접점 부재(6)와 제2 접점 부재(5)는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클로우즈)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삽입 방향을 따른 일방의 안내측벽(4)측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는 제2 접점 부재(5)와 제1 접점 부재(6)는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오픈)이다. 이것에 대해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제1 접점 부재(6)가 측방으로 휨으로써 제2 접점 부재(5)에 접촉하고, 제2 접점 부재(5)와 제1 접점 부재(6)는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또, 메모리 카드(2)를 커넥터 본체(3)로부터 발거하면, 제1 접점 부재(6)의 절곡부(7)는 복귀하여 제1 접점 부재(6)와 제2 접점 부재(5)는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제1 접점 부재(6)와 제2 접점 부재(5)의 종단은 커넥터 본체(3)가 실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의 카드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제2 접점 부재(5)가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점 부재(6)의 절곡부(7)에 의해 메모리 카드(2)의 측방, 즉, 당해 메모리 카드(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점 부재(6) 및 제2 접점 부재(5)의 접점끼리는 와이핑(슬라이딩운동)하여 접촉시킬 수 있고, 수지제의 카드 측면과 제1 접점 부재(6)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카드의 부스러기가 접점끼리에 개재함으로써 생기는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카드의 삽입에 의해 접촉되는 접점 부재끼리가 슬라이딩운동하는, 소위 와이핑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검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의 검출 스위치에서는, 제1 접점 부재는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전단부가 카드의 면방향에서 굴곡 내지 만곡 성형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 제1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접점 부재는 후단부가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굴곡 내지 만곡 성형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 제1 접점과 대향하는 제2 접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2에서는, 카드 삽입에 의해 제1 접점 부재는 휘고, 제1 접점이 카드의 측방으로 변위하여, 제2 접점을 압압하여, 제2 접점은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2에서는 카드 삽입에 의해 제1 접점과 제2 접점은 서로 슬라이딩운동(와이핑)하면서 접촉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28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324629호 공보
그런데, 최근 메모리 카드가 탑재되는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메모리 카드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카드의 측방으로 가동하는 제1 접점 부재의 가동 영역과, 제1 접점 부재에 접촉하여 카드의 측방 또는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휘는 제2 접점 부재의 가동 영역을 가진다.
이 때문에,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측방에서, 제1 접점 부재의 가동 및 제2 접점 부재가 휘기 위한 스페이스의 양쪽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 자체의 외형을 크게 해 버려, 커넥터의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삽입 발출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하는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검출 스위치는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변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변위하여 슬라이딩운동하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검출 스위치는 삽입구를 통하여 전자부품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에 있어서,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변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변위하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슬라이딩운동하는 고정 단자를 가지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 발출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부품의 실장 상태를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에 실장되는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동 커넥터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3은 동 커넥터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동 커넥터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5는 동 커넥터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하우징의 절결부를 도시한 도 3의 A-A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7은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의 접점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커넥터에 있어서의 카드 검출 스위치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9는 커넥터에 있어서의 카드 검출 스위치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0은 커넥터에 있어서의 카드 검출 스위치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1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 삽입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를 삽입되는 전자부품을 메모리 카드로 한 카드 커넥터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는 삽입되는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면, 어떠한 전자부품에 대해서 사용되는 커넥터로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동 커넥터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커넥터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동 커넥터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101)를 전측이라고 하고, 이 전측을 기준으로 커넥터의 후측, 좌측, 우측을 규정한다.
도 1에 도시한 카드 커넥터(100)는 하우징(110)(도 2 참조)에 실드 커버(180)를 씌움으로써 하나의 측면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수용하는 직사각형판형상을 이룬다. 카드 커넥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검출 스위치(160A, 160B)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전면과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얇은 바닥판부(120), 양측벽부(130, 140) 및 후단측벽부(150)를 구비한다. 이 하우징(110)에 하방으로 개구하는 단면 ㄷ자형상의 실드 커버(180)(도 1 참조)를 상방으로부터 씌움으로써,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수용하는 수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카드 커넥터(100)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카드 커넥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0)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소거·기입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고, 전원을 꺼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0)는 내부에 IC(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한 수지제의 박판형상을 이루고, 일방의 면(이면)의 선단부에는 하우징(110)의 복수의 컨택트 핀(170)과 각각 접속하는 전극(패드)(21)이 폭방향으로 복수 늘어서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메모리 카드(20)의 양측부(22, 2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의 면(이면)측과 측방(폭방향)으로 개구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판형상의 메모리 카드(20)에는 선단부(20a)의 타측부(표면(20b)측으로부터 본 메모리 카드(20)에 있어서, 카드 커넥터(100)에 대한 삽입 방향을 선단측으로 한 우측부)(22)측의 코너부를 절결하여 이루어지는 절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4)에 의해 메모리 카드(20)의 선단부(20a)는 선단을 향하여 기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 메모리 카드(20)의 하나의 측부(삽입 방향측을 선단측으로 한 좌측부)(23)에는 카드 기입 금지를 나타내는 식별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5)에 인접하여 식별편(26)이 배치되고, 식별편(26)은 메모리 카드(20)의 타측부(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오목부(25)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식별편(26)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오목부(25)는 폐색되고, 오목부(25) 내에 있어서의 식별편(26)의 위치에 따라서 카드(20)로의 기입의 가부는 변경된다.
메모리 카드(20)는 자유롭게 데이터의 읽기 쓰기를 행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복사를 자유롭게 할 수 없는 것이어도 된다. 이 메모리 카드(20)는 SD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C카드, 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등으로 해도 된다.
메모리 카드(20)가 장착되는 하우징(1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부(120)의 후단측에 폭방향으로 늘어서서 복수의 컨택트 핀(17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컨택트 핀(170)은 각각 가요성을 가지고, 바닥판부(1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컨택트 핀(170)의 돌출되는 접점부(171)는 수용부(102) 내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20)의 패드(도면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하방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접점부(171)이다. 이들 접점부(171)는 수용부(102)에 수용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전극(21)(도 5 참조)에 압압됨으로써 전극(21)과 대응하는 세트끼리 접촉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110)에 부착되는 컨택트 핀(170)은 하우징(110)에 부착되는 다른 도전성 부품과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110)에 부착된다.
하우징(110)에 있어서 바닥판부(120)의 양변으로부터 기립하는 양측벽부(130, 140)는 카드 삽입구(101)로부터 커넥터(100)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후단측벽부(150)측으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벽부(130) 및 좌측벽부(140)에는 각각 내벽면의 하변부로부터 수용부(102)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레일(133, 1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133, 143)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양측벽부(130, 140)의 하변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각각의 상면에서,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양측부(23, 22)를 수용부(102) 내에 적합하게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에 수용되었을 때에 가이드 레일(133, 143)의 각각의 상면상에는 메모리 카드(20)의 양측부(22, 23)가 배치된다. 여기서는, 가이드 레일(133, 143)은 메모리 카드(20)의 양측부(22, 23)(도 5 참조)에 형성된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운동한다.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양측벽부(130, 140) 중 일방의 측벽부, 여기서는 우측의 측벽부(130)에는 격벽부(190)에 의해 수용부(102)에 대해서 구분된 절결부(134, 135)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절결부(134, 13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130) 내에 격벽부(190)를 끼우고 수용부(102)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삽입구(101)측에서 수용부(102)와 연통하고 있다. 절결부(134, 135)의 수용부(102)와의 연통 부분은 당해 연통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133)의 일부 및 바닥판부(120)의 일부를 삽입구(101)측으로 절결함과 아울러 삽입 방향측으로 격벽부(190)를 따라 바닥판부(120)을 절결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124, 126)와 연통하고 있다. 절결부(134, 135)는 개구부(124, 126)와 함께 하우징(110)에 검출 스위치 배열설치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검출 스위치 배치 영역에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카드 기입 요부(要否) 검출 스위치(「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라고도 함)(160B)가 우측벽부(130)의 연장 방향, 즉 삽입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하우징의 절결부(134, 135)를 도시한 도 3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절결부(134, 135) 내에 당해 우측벽부(130)를 따라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카드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의 가동 접점부(164a)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검출 스위치(160A, 160B)는 수용부(102)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수용부(102)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도 5 참조) 자체를 검출하고,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는 삽입하여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식별편(26)(도 5 참조)의 위치를 검출한다.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는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 기능을 가지고, 대략 마찬가지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검출 스위치(160A)의 구성만 설명하고,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는 생략한다.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02) 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압압되어 가동하는 가동 단자(161)와, 하우징(110)측에 고정된 고정 단자(162)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161) 및 고정 단자(162)는 각각 금속판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가동 단자(16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163a)와, 카드 접촉부(163a)로의 접촉에 의해 고정 단자(162)에 접리하는 가동 접점부(164a)를 가진다.
가동 단자(161)는 가요성을 가지는 긴 도전성 부재(여기서는 금속판)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레일(133)의 일부(제1 가이드 레일(133a))로부터 오버행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 변형하여 선단부측은 검출 스위치 배치 영역 내에 있어서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에서는 가동 단자(161)는 제2 가이드 레일(133b)(도 2 및 도 3 참조)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 단자(161)는 제1 가이드 레일(133a)의 안측 단면으로부터 삽입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레일(133a)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선단부를 카드 삽입 영역에 연통하는 수용부(102) 내에 배치시킨 가동암부(163)를 가진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02)에 배치되는 가동암부(163)의 선단부가 수용부(102)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접촉하는 카드 접촉부(163a)로 되어 있다.
카드 접촉부(163a)는 제1 가이드 레일(133a)을 따라 배치되어, 선단부를 수용부(102)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삽입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이 경사면에서, 수용부(102)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접촉하고, 메모리 카드(20)에 삽입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카드 접촉부(163a)는 수용부(102)로부터 바닥판부(120)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동암부(163)는 하우징(110)에 대해서 삽입구(101)측으로부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기단부측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수용부(102)에 위치하는 선단부의 카드 접촉부(163a)를 수용부(102) 내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암부(163)에는 선단부에 가동 접점부(164a)가 형성되고, 또한 가동암부(16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점암부(164)가 연결되어 있다.
접점암부(164)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벽부(130) 내에, 수용부(102)를 따라 형성된 절결부(134) 내에 배치되고, 가동암부(163)와 함께 요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접점암부(164)는 가동암부(163)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여기서는 우측벽부(130)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편부(164b)를 사이에 두고 가동암부(163)를 따라 연장되는 접점암부 본체(164c)를 가진다. 이 접점암부 본체(164c)의 선단부에 가동 접점부(164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부(164b)는 개구부(124)와 절결부(134)를 연통시키는 연통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 연통구는 삽입 방향측의 양측에서, 우측벽부(130)와, 절결부(134) 및 수용부(102)를 구분하는 격벽부(19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접점암부 본체(164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편부(164b)의 선단부로부터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방향, 즉, 하우징(11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여기서는, 가동암부(16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접점암부(164)(구체적으로는 접점암부 본체(164c))는 여기서는 평면에서 보아 가동암부(163)보다 길게 형성되고, 선단의 가동 접점부(164a)가 가동암부(163)의 선단의 카드 접촉부(163a)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3 참조).
본 실시형태의 가동 단자(161)에서는, 접점암부(164)를 평면에서 보아 가동 접점부(164a)의 위치가 카드 접촉부(163a)로부터, 가동암부(163)의 기단부로부터 카드 접촉부(163a)까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암부(163)에서는, 요동 중심이 되는 기단부로부터 가동 접점부(164a)까지의 스팬이 기단부로부터 카드 접촉부(163a)까지의 스팬보다 길게 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암부(163)에서는, 기단부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가동했을 때에, 가동암부(163)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카드 접촉부(163a)의 변위량보다 접점암부(164)에 있어서의 선단부인 가동 접점부(164a)의 변위량이 크게 되어 있다.
가동 단자(161)에서는, 1장의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가동암부(163), 접점암부(164), 가동 접점부(164a), 연결편부(164b)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 단자(161)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띠형상 부분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측방으로 분기되는 분기 띠형상부를 구비한 띠형상 가공체를 형성하고, 이 띠형상 가공체에 있어서 띠형상 부분을 가동암부(163)로 하고, 분기후의 부분이며, 수평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 띠형상부를 판형상의 연결편부(164b)로 하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편부(164b)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기립시킴으로써 접점암부(164)의 기단부를 형성하고, 이 기단부로부터 가동암부(1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형상 부재를 접점암부(164)의 본체로 한다. 이 접점암부(164)는 가동암부(163)와 병행하여 연장되고, 가동암부(163)보다 커넥터의 안측으로 길며, 봉형상 부재의 선단 부분을 가동 접점부(164a)로서 형성한다.
또한, 가동암부(163)와 연결편부(164b)의 접합 부분은 리브(161c)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 단자(161)에 있어서, 절결부(134) 내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부(164a)의 궤도상에는 고정 단자(162)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의 접점부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양자의 접점 부분을 커넥터의 안측으로부터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단자(162)는 좁혀지는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벽부(150)와 우측벽부(130)의 코너 부분을 절결하여 이루어지는 절결부(134)의 영역 내에, 절결부(134)의 측면으로부터 가동 단자(161)의 가동 접점부(164a)의 이동 영역과 교차하도록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고정 단자(162)에 있어서 절결부(134)의 측면(구체적으로는 절결부(134)를 좌측에서 구분하는 후단측벽부(150)의 부분)으로부터의 돌출 방향은 가동 접점부(164a)의 이동 방향을 따라 내려가도록 경사진 방향이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부(164a)는 가동하여, 고정 단자(162)에 맞닿고, 당해 고정 단자(162)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시키면서 접촉 상태에서 고정된다.
여기서는 고정 단자(162)는 절결부(134)의 측방의 연직 벽면에 대해서 45도 이상의 경사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단자(162)는 후단측벽부(150)에 수평면에 대해서 40도 이상 90도 미만의 각도로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는 고정 단자(162)는 후측벽부에 있어서 절결부(134)를 좌측에서 구분하는 벽면 부분에,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직면에 대해서 대략 45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 단자(162)는 정상 상태일 때에는 절결부(134) 내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64a)의 하방에 배치된다. 고정 단자(162)의 상면(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164a)와의 대향면)에는 상단이 만곡되고 또한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가 가동 접점부(164a)에 있어서 모따기된 만곡된 코너부(164f)(도 8 참조)와 접촉한다.
고정 단자(162)는 카드 비장착시에는 가동 단자(161)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카드 비장착시에는 오프(전기적으로 차단 상태)인 노멀 오픈 스위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 있어서 가동 단자(161)의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가 접촉하는 영역인 스위치 접점 부분(접점 영역에 상당)과, 가동 단자(161)의 카드 접촉부(163a)와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가 접촉하는 영역인 카드 접촉 부분(접촉 영역에 상당)은 스위치 접점 부분과 카드 접촉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된 격벽부(19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격벽부(190)는 카드 접촉부(163a)에 있어서 접촉 상대(메모리 카드(20))에 접촉하는 부분과,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의 접점 부분을 연결하는 대략 직선상에 대략 직선과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격벽부(190)는 우측벽부(130)의 일부이며, 연통구를 삽입 방향측에서 구분하는 단부에는, 삽입구측에 따라서, 수용부(102)로부터 이간되는 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92)을 구비한다(도 2 참조).
즉, 격벽부(190)는 당해 격벽부(190)와 하우징(110)의 폭방향에서 이웃하는 수용부(102)를 하우징(110)의 후방, 즉 삽입 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획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192)에 의해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적합하게 수용부(102) 내로 안내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부(190)는 하우징(11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인서트 성형으로 설치되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재(여기서는 금속판)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격벽부(190)는 바닥판부(120)에 대략 한 면으로 매설된 금속판을 절곡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립시키는 금속편과, 금속편을 덮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격벽부(190)는 내부의 금속편에 의해 보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양측벽부(130, 140) 중 타방의 측벽부(좌측벽부(140))(140)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카드의 삽입 발출에 의해 하우징 바닥면상을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메모리 카드 삽입구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젝트 기구가 배열설치된다. 또한, 이젝트 기구는 메모리 카드를 커넥터(100)에 완전히 삽입한 삽입 완료 위치와, 그 앞의 삽입 위치에서 가볍게 유지시키기 위한 하프 로크 위치의 2개소의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주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는, 좌측벽부(140) 내에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145)와, 슬라이더를 삽입 완료 위치에서 로크하는 하트캠부(14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0)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160A, 160B)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검출 스위치(160A)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절결부(134) 내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부(164a) 및 고정 단자(162)의 위치 관계를 카드 접촉부(163a)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8 내지 도 9는 절결부(134) 내의 가동 접점부(164a) 및 고정 단자(162)를 삽입구(101)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8은 동 검출 스위치(160A)의 정상 상태일 때인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동 검출 스위치(160A)에 있어서 가동 단자(161)가 가동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동 검출 스위치(160A)에 있어서 가동 단자(161)의 가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00)에서는 메모리 카드(20)를 삽입구(101)로부터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20)는 하우징(110)의 가이드 레일(133, 143)에 의해 후단측벽부(150)측으로 안내되어, 수용부(102) 내를 이동한다. 이 때,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가동 단자(161)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20)의 수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카드 접촉부(163a)가 메모리 카드(20)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8의 초기 위치의 상태로 되어 있다.
수용부(102) 내를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메모리 카드(20)는 수용부(102) 내로 돌출되는 카드 접촉부(163a)에 맞닿아, 당해 카드 접촉부(163a)를 압압한다.
가동암부(163)의 선단부에 형성된 카드 접촉부(163a)가 메모리 카드(20)에 하방으로 압압됨으로써, 가동암부(163) 자체가 탄성변형하여 가동한다. 이 가동암부(163)의 가동에 의해 카드 접촉부(163a)가 하방으로 변위함과 아울러, 개구부(124) 내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부(164a)를 가지는 접점암부(164)도 가동하여 하방(도 8의 화살표 D로 도시한 고정 단자(16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접점암부(164)의 변위에 의해, 접점암부(164)의 선단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164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의 고정 단자(162)에 맞닿는다. 상세하게는 하강하는 가동 접점부(164a)는 모따기된 코너부(164f)(도 8 참조)에서 고정 단자(162)의 돌기부에 맞닿는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의 안측으로 더욱 삽입됨으로써, 카드 접촉부(163a)는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여 변위하고, 이것에 따라 접점암부(164)도 더욱 하방으로 가동한다. 이 동작에 따라 가동 접점부(164a)는 절결부(134) 내을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여, 당해 고정 단자(162)의 경사진 상면 부분을 슬라이딩운동한다. 이 때, 가동 접점부(164a)에서는 만곡되는 코너부(164f)(도 8 참조)가 고정 단자(162)의 상면의 경사진 돌기부에 맞닿으면서, 돌기부를 따라 돌기부상을 화살표 D1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에 수용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단자(162)상을 슬라이딩운동하는 가동 접점부(164a)는 당해 고정 단자(162)에 압압된 상태로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에 수용되어 커넥터(100)로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메모리 카드(20)는 전극(21)과 컨택트 핀(170)이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커넥터(100)에 유지된다.
이 때,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가동 단자(161)와 고정 단자(162)가 접촉한 상태, 즉,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카드가 삽입 완료 상태, 즉, 카드 장착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의해 압압되어, 카드 접촉부(163a)는 하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수용부(102)에 대해서 후퇴한다. 이 카드 접촉부(163a)의 후퇴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부(164a)는 카드 접촉부(163a)와 동일 방향으로 가동하여, 고정 단자(162)에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가동 접점부(164a)는 가동하여, 고정 단자(162)에 맞닿고, 당해 고정 단자(162)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접촉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의 접촉 부분이 서로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접촉하고, 소위 와이핑하면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가동 단자(161)에 있어서의 접점암부(164)의 가동 접점부(164a)가 고정 단자(162)의 경사면을 슬라이딩운동, 즉 미끄러져 내린 만큼, 양자간의 클리닝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가동 접점부(164a)의 요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164a) 및 고정 단자(162) 사이에 개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을 배제하여, 양자간에 있어서의 이물의 개재를 방지할 수 있고, 적합한 도통 상태 또는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일방의 접촉 단자인 고정 단자(162)는 자신이 휘는 일 없이, 가동 단자(161)의 가동 접점부(164a)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검출 스위치의 구조와 상이하여, 접촉하는 단자의 일방의 가동 영역만 확보하기만 하면 되고, 쌍방의 가동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 검출 스위치(160A)의 점유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어, 커넥터 본체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동암부(163)에서는 요동 중심이 되는 기단부로부터 가동 접점부(164a)까지의 스팬이 기단부로부터 카드 접촉부(163a)까지의 스팬보다 길기 때문에, 가동암부(163)가 요동할 때에, 가동접촉부(164a)의 변위량은 카드 접촉부(163a)의 변위량보다 크다.
이 때문에, 가동암부(163)의 휨 영역이 규제되는 경우라도, 카드 접촉부(163a)의 변위에 따라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164a)의 변위량을 최대한 크게 하여, 고정 단자(162)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간시킬 수 있다.
또, 가동하는 가동 접점부(164a)가 고정 단자(162)를 슬라이딩운동하는 길이를 크게 취할 수 있고, 즉, 와이핑의 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드 검출 스위치(160A)가 메모리 카드(20)의 크기에 대응한 형상의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된 스페이스에 탑재되어도, 안정적으로 적합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즉, 카드 검출 스위치(160A)에서는 가동암부(163)의 휨 영역이 규제되는 경우라도, 가동암부(163)의 작은 휨으로, 가동 접점부(164a)의 고정 단자(162)에 대한 슬라이딩운동 범위를 크게 하여, 가동 접점부(164a) 및 고정 단자(162)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부분끼리의 클리닝량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검출 스위치(160A)는 메모리 카드(20)의 두께 범위 내라는 한정된 영역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64a)의 가동 범위를 최대한 크게 취하여, 가동 단자(161)의 고정 단자(162)로의 접촉압(바꾸어 말하면, 가동 단자(161)가 고정 단자(162)를 누르는 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164a)는 모따기된 코너부(164f)(도 8 참조)에서 고정 단자(162)의 돌기부에 맞닿기 때문에, 가동암부(163)의 가동에 의해, 변위하여 고정 단자(162)에 눌려도 고정 단자(162)를 손상시키지 않고, 고정 단자(162)상을 적합하게 슬라이딩운동한다.
또,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도 카드 검출 스위치(16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100)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검출 스위치(160A)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에서는 가동 단자(161)에 있어서 수용부(102) 내로 돌출되는 카드 접촉부(163a)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홈부를 구분하는 하나의 측부(23)의 절결 부분)에 의해 압압되어,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가 접촉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는 카드 검출 스위치(160A)와 마찬가지로, 가동 단자(161)의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의 접촉 부분에 이물이 끼이는 경우라도, 서로가 서로를 문지르면서 접리함으로써 서로 문질러지는 부분에서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는 메모리 카드(20)의 두께 범위 내라는 한정된 영역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64a)의 가동 범위를 최대한 크게 취하여, 가동 단자(161)의 고정 단자(162)로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20)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메모리 카드(20)에 있어서 오목부(25)가 식별편(26)으로 폐색되어 있는 경우, 카드 접촉부(163a)는 오목부(25) 내의 식별편(26)에 하방으로부터 맞닿고, 가동 단자(161)와 고정 단자(162)는 접촉 상태 그대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입 가능 상태인 것을 검출한다.
한편, 메모리 카드(20)에 있어서 오목부(25) 내에 식별편(26)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며, 또한, 당해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의 안측까지 이동하여 삽입 완료 상태시인 경우, 카드 접촉부(163a)는 절결된 오목부(25) 내에 배치된다. 즉, 오목부(25) 내에 접촉부(163a)가 돌출되어 복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동암부(163)는 복원되고, 접점암부(164)도 원래의 상태(전기적으로 차단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접점암부(164)의 가동 접점부(164a)는 고정 단자(162)로부터 이간하여, 가동 단자(161)와 고정 단자(162)의 접촉 상태(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는 오픈 상태가 되고, 기입 불가인 것을 검출한다.
이들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에서는, 메모리 카드(20)의 삽입에 의해 가동 단자(161)가 가동하고, 고정 단자(162)와 접리한다.
커넥터(100)에 있어서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가 동작하는 경우, 각각의 카드 접촉부(163a)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의 하나의 측부(23)와 슬라이딩운동을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 접촉부(163a)에 접촉하는 메모리 카드(20)에 있어서의 수지제의 하나의 축부(23)의 슬라이딩운동 부분은 필연적으로 깎이고, 부스러기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의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에서는, 카드 접촉부(163a) 및 메모리 카드(20)의 카드 접촉 부분과, 가동 접점부(164a) 및 고정 단자(162)의 스위치 접점 부분(접점 영역)이 하우징(110)의 하나의 측벽부(여기서는 우측벽부(130))측에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카드 접촉 부분과 스위치 접점 부분 사이에는 카드 접촉 부분과 스위치 접점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배치된 격벽부(19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즉, 스위치 접점 부분은 격벽부(190)에 의해, 카드 접촉부(163a)가 위치하는 수용부(102)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를 수용하는 수용부(102)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에, 카드 검출 스위치(검출부)(160A) 및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검출부)(160B)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검출 스위치(160A)는 메모리 카드(20)가 수용부(102)로 장착 완료되고,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검출부)(160B)는 메모리 카드(20)로의 데이터의 기입 가부를 검출한다. 기입 가부 검출 스위치(160B)는 카드 검출 스위치(16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162)와, 삽입구(101)측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휨 변형에 의해 요동하는 가동 단자(161)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161)는 수용부(102) 내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또한, 수용부(102)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에 의해 압압되어 수용부(102)로부터 수용부(102)를 구분하는 벽부(바닥판부(120))측으로 후퇴하는 카드 접촉부(163a)와, 카드 접촉부(163a)의 이동(변위)에 따라, 카드 접촉부(163a)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변위)하여, 고정 단자(162)에 접촉하여 도통하는 가동 접점부(164a)를 가진다.
가동 단자(161)는 긴 금속판을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삽입구측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카드 접촉부(163a)는 수용부(102) 내로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가동암부(163)의 선단부이며, 가동암부(163)의 가동에 의해 수용부(102)로부터 후퇴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접점암부(164)는 가동암부(163)로부터 분기되어 고정 단자(162)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가동암부(163)의 가동에 따라 가동하여, 선단부의 가동 접점부(164a)가 고정 단자(162)로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접촉 상태가 되어 도통한다.
또, 하우징(110) 내에 있어서 카드 접촉부(163a)와 가동 접점부(164a) 사이에는 가동 접점부(164a)의 고정 단자(162)와의 접점 영역을 카드 접촉부(163a)의 메모리 카드(20)와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벽부(19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에서는 격벽부(190)에 의해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의 각각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161)와 고정 단자(162)의 스위치 접점 부분을 수용부(102)로부터 격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용부(102)에 먼지가 들어간 경우라도, 스위치 접점 부분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가동 단자(161) 및 고정 단자(162)를 적합하게 접리시킬 수 있다.
또, 격벽부(190)는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발출에 의해 메모리 카드(20)가 카드 접촉부(163a)에 접촉하고, 또한, 슬라이딩운동함으로써 부스러기가 발생해도,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의 스위치 접점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접점 부분인 가동 접점부(164a)와 고정 단자(162) 사이에 부스러기가 개재하는 것에 의한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및 기입 요부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화 및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발출에 의해 메모리 카드(20)의 광체의 부스러기가 발생해도, 각 스위치(160A, 160B)의 접촉 상태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에 의해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검출 및 기입 가부 검출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부(164a)가 가동하는 하우징(110)의 절결부(134) 내에 있어서, 고정 단자(162)를 좌측벽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경사시켜 돌출시킨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단자(162)는 가동 단자(161)의 가동 접점부(164a)가 슬라이딩운동 후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이면 어떻게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절결부(134)를 우측에서 구분하는 우측벽부로부터 절결부(134)를 좌측에서 구분하는 좌측벽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시켜 돌출시켜 설치하고, 하강하는 가동 접점부(164a)가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접촉한 상태로 서로의 접촉 상태를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 가동 접점부(164a)는 고정 단자(162)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자유단인 선단측을 향하여 슬라이딩운동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한 구성으로 했지만,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슬라이딩운동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서는 카드 검출 스위치(160A) 및 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160B)를 노멀 오픈 스위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노멀 클로우즈 스위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카드 삽입시에, 고정 단자(162)로부터 가동 단자(161)가 이간됨으로써 카드 삽입을 검출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는 전극(21)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20)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전극(21)을 컨택트 핀(17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했지만,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전자부품을 장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한, 각종 개변을 이룰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이 이 개변시킨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는 삽입 발출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특히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로서 유용하다.
20…메모리 카드
21…전극
100…카드 커넥터
101…삽입구
102…수용부
110…하우징
120…바닥판부
124…개구부
130…우측벽부
134, 135…절결부
160A…카드 검출 스위치
160B…기입 요부 검출 스위치
161…가동 단자
162…고정 단자
163…가동암부
163a…카드 접촉부
164…접점암부
164a…가동 접점부

Claims (7)

  1.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검출 스위치는,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변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변위하여 슬라이딩운동하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단자는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휨 변형하여 삽입구측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부는, 변위했을 때에 상기 고정 단자에 맞닿아 슬라이딩운동하는 모따기된 코너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가동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 사이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고정 단자와의 접점 영역을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전자부품과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삽입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휨에 의해 변형하여 요동하는 가동암부와, 상기 가동암부로부터 상기 수용부 바깥쪽으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가동암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측에 위치하는 접점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암부의 삽입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 내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의 압압에 의해 상기 수용부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가동암부를 요동시키고,
    상기 가동 접점부는 상기 접점암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암부의 요동에 따른 상기 접점암부의 요동에 의해 고정 단자에 맞닿아 슬라이딩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삽입구를 통하여 전자부품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에 있어서,
    삽입되는 상기 전자부품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변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위하는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변위하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슬라이딩운동하는 고정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 단자는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휨 변형하여 삽입구측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부는, 변위했을 때에 상기 고정 단자에 맞닿아 슬라이딩운동하는 모따기된 코너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가동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안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스위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69401A 2009-08-06 2010-07-19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KR101724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3760 2009-08-06
JP2009183760A JP5476846B2 (ja) 2009-08-06 2009-08-06 コネクタ及び検出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954A KR20110014954A (ko) 2011-02-14
KR101724335B1 true KR101724335B1 (ko) 2017-04-07

Family

ID=4353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01A KR101724335B1 (ko) 2009-08-06 2010-07-19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72587B2 (ko)
JP (1) JP5476846B2 (ko)
KR (1) KR101724335B1 (ko)
CN (1) CN101997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6846B2 (ja) * 2009-08-06 2014-04-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検出スイッチ
JP6081719B2 (ja) * 2012-07-02 2017-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102945189B (zh) * 2012-11-07 2015-11-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存储卡热插拔方法
WO2015167833A1 (en) * 2014-04-30 2015-11-05 Thomson Licensing Information card socket assembly
WO2018156219A1 (en) * 2016-11-04 2018-08-30 PalPilot International Corp. Sim card reader connector with retention conta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742A (ja) 2007-10-29 2009-05-21 Fujitsu Component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916A (ja) * 1998-07-31 2000-02-18 Kel Corp Icカード用コネクタ
CN2458757Y (zh) * 2000-12-18 2001-1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562310B2 (ja) 2001-04-23 2010-10-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ソケットにおける検出スイッチ
JP3965282B2 (ja) 2001-06-29 2007-08-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2004127693A (ja) * 2002-10-02 2004-04-22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TW200603500A (en) * 2003-10-29 2006-01-16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s
CN2779651Y (zh) * 2004-12-01 2006-05-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202337B2 (ja) * 2005-05-09 2008-12-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1038371Y (zh) * 2007-05-29 2008-03-1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112924Y (zh) * 2007-07-10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12948Y (zh) * 2007-08-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开关
US7744421B2 (en) * 2007-10-29 2010-06-29 Fujitsu Component Limited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4582214B2 (ja) * 2008-06-30 2010-11-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76846B2 (ja) * 2009-08-06 2014-04-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検出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742A (ja) 2007-10-29 2009-05-21 Fujitsu Component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76846B2 (ja) 2014-04-23
US8172587B2 (en) 2012-05-08
CN101997242B (zh) 2014-11-05
CN101997242A (zh) 2011-03-30
KR20110014954A (ko) 2011-02-14
US20110031094A1 (en) 2011-02-10
JP2011040175A (ja)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US7381094B2 (en) Card connector
US7887348B2 (en) Card connector
US8740634B2 (en) Card connector
JP5098580B2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及び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93329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724335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KR101035466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3859625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US9106028B2 (en) Connector for a memory card
EP2141774B1 (en) Connector
JP2009164003A (ja) カードコネクタ
US8277238B2 (en) Card connector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517154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I485929B (zh) Card connector
JP489702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4179213A (ja) カードコネクタ
KR20090110559A (ko) 카드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