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887B1 - 자동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887B1
KR100996887B1 KR1020080043243A KR20080043243A KR100996887B1 KR 100996887 B1 KR100996887 B1 KR 100996887B1 KR 1020080043243 A KR1020080043243 A KR 1020080043243A KR 20080043243 A KR20080043243 A KR 20080043243A KR 100996887 B1 KR100996887 B1 KR 10099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touch panel
display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769A (ko
Inventor
아즈마 호리우치
하루키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해당 터치패널장치가 오작동했을 경우, 오작동한 것을 판별할 수 없고, 터치패널장치가 눌러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밖에 인식할 수 없다.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비밀번호의 입력에 있어서,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고객에 의한 취소 키의 입력의 회수를 계수한 간격, 해당 회수가 소정의 기간 내에서,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 터치패널장치의 고장으로 판정한다.
자동거래장치, 터치패널, 취소 키, 계수값

Description

자동거래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고, 터치패널장치를 사용한 고객의 조작에 의해 각종 거래를 행하는 자동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거래장치가 있어서의 터치패널장치는, 고객이 각종 거래를 하기 위한 유도 표시를 행하는 CRT 또는 액정의 디스플레이부와, 고객이 각종 거래의 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패널부로 이루어진다. 이 터치패널부는 투명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위의 부위를 고객이 손가락으로 눌러 지시했을 때, 그 가압점에 대한 좌표를 검출함으로써, 고객이 터치한 부위가 어디인지를 인식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6-95802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0-112660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4-220507 공보
그렇지만, 이 터치패널장치가 오작동했을 경우, 자동거래장치로서는, 해당 터치패널장치가 오작동한 것을 판별할 수 없고, 터치패널장치가 눌러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밖에 인식할 수 없다.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널장치에 고장이 있었을 경우, 정확하게 해당 고장을 판정하고, 더구나, 고장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표시를 변경해서 가능한 한 해당 터치패널장치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밀번호의 입력에 있어서,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고객에 의한 취소 키의 입력의 회수를 계수해 두고, 해당 회수가 소정의 기간 내에서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 터치패널장치의 고장으로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의 입력에 있어서, 입력 자리수가 부족하다고 인식했을 경우, 입력 자리수의 간격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터치패널장치의 고장으로 판정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이상의 터치패널장치의 고장의 판정이 있었을 경우의 대 처 방법으로서,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터치패널장치 위의 다른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대처하는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자동거래장치는,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정보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해당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해당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2 기재의 자동거래장치는,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비밀번호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해당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시에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해당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3 기재의 자동거래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자동거래장치에 대하여, 더구나, 해당 판정 수단이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6 기재의 자동거래장치는,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비밀번호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 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해당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시에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것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비밀번호 입력에 있어서의 입력 자리수의 간격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와 상기 계측수단의 계측 결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7 기재의 자동거래장치는, 청구항 6 기재의 자동거래장치에 대하여,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더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고, 그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 고장으로 판정하므로, 자동거래장치로서 용이하게 해당 터치패널장치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의 입력에 있어서, 입력 자리수가 부족하다고 인식했을 경우, 입력 자리수의 간격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고장을 판정하므로, 자동거래장치로서 용이하게 해당 터치패널장치의 고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더구나, 판정 수단이 터치패널장치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키 입력 에어리어의 표시를 터치패널장치 위의 다른 위치로 이동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은 그 표시대로 실제로 거래를 할 수 있 다고 하는 효과를 갖고, 더구나,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고객 서비스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거래장치의 외관도이다. 1은 금융기관의 영업 점포나, 편의점, 주유소, 슈퍼마켓 등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이후, ATM이라고 한다)로서, 금융기관이 관리하고 유지하는 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동일한 도면에 있어서, 11은 고객의 거래 조작을 행하는 터치패널장치로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객이 거래 조작하기 위해서 유도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조작 입력하기 위한 조작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터치패널장치(11)에는, 후술하는 숫자 키부가 표시되어 있다.
12는 도시하지 않은 고객 식별 카드(이후, 캐시카드라고 한다)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처리부이다. 해당 캐시카드에는, 금융기관마다의 코드(번호)와 이용자의 구좌번호, 성명 등의 고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해당 카드 처리부(12)의 전방면측에 접속된 카드 삽입 반환구에 의해, 상기 캐시카드가 삽입되고, 또한 거래 종료시에 반환이 행해진다.
13은 고객에게 발행되는 레시트(영수증)의 발행 처리를 행하는 레시트 처리부이다. 해당 레시트 처리부(13)는 거래 명세의 인자를 행해 고객에게 발행되는 레시트의 발행 처리를 행한다. 14는 지폐 및 동전을 처리하기 위한 화폐 입출금부로서, 고객에 의해 입금되는 매체로서의 화폐를 진위감별하고, 계수하고, 반송해서 도시하지 않은 금액 종류별의 카세트부에 수납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지불되는 화폐를 금액 종류별의 카세트부에서 내보내는 것이다.
15는 고객이 ATM(1)에게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기이다. 보통, 해당 접근 검지기(15)가 고객의 접근을 검지하면, 후술하는 거래 선택 화면이, 고객 조작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거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의 설명에 있어서, 도 1과 공통의 부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한 도면의 18은 ATM(1)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 RAM이나 ROM 또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 기억부로서의 메모리부(16) 및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구인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부를 갖고 있다. 해당 ATM(1)은 도시하지 않은 통신회선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와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입금 거래, 지불 거래, 환 거래 등의 각종 거래를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장치의 설명도이다. 31은 터치패널장치(11)의 투명한 조작면으로, 터치패널장치(11)에 표시된 예를 들면 숫자 키 등을 도시하지 않은 고객이 손 끝으로 누르면, X 좌표 검지회로(32), Y 좌표 검지회로(33) 및 터치패널 검지회로(34)에 의해, 조작면(31) 상의 XY 좌표가 검지된다. 35는 고객이 각종 거래를 행하기 위한 유도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상기 숫자 키 등이 영상표시회로(36)에 의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35)에 표시된 숫자 키의 각 키의 위치와, 터치패널 검지회로(34)에 의해 검지된 가압점의 좌표로부터, 데이터 처리회로(37)에서, 숫자 키 중 어느 키가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ATM(1)의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에 대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촉구한다(S101). 제어부(18)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자리수를 기억하고, 4자리 눌러졌는지 체크한다(S102).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져 있으면, 제어부(18)는 다음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터치패널장치(11)는 통상대로 다음 화면을 표시한다(S103).
상기 스텝 102에 있어서, 4자리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는 고객에 의해 취소 키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한다(S104).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 거래는 도중에 종료하지만, 제어부(18)는 별도 해당 취소 키가 눌러진 회수를 계수한다(S105). 취소 키의 계수는 예를 들면 8시간이라고 하는 소정의 시간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시에 있어서, 제어부(18)는 취소 키가 눌러진 회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는지 체크한다(S106). 소정의 임계값은, 예를 들면 8시간에 있어서, 보통 200 거래가 있는 ATM(1)이라고 가정하면, 예를 들면 10%의 20회, 취소 키가 눌러진 경우이다.
상기 스텝 106에 있어서, 취소 회수가 임계값을 넘지 않고 있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정상처리를 계속한다(S107). 한편, 취소 회수가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었을 경우,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나 있다고 판정한다(S108).
이상과 같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따르면,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또한 취소 키의 누름 회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고장이라고 판정하므로, 용이하게 해당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있어서는,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또한 취소 키의 누름 회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하지만, 실시예 1에서는, 같은 조건에서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터치패널장치(11)에 있어서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약간 이동해서 대처한다. 이 경우, 이동량은, 소정의 키에 대하여 여러번 행해진 누름의 좌표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 평균값이 해당 키의 실제의 표시의 중심좌표와 다른 경우에, 그 차분만큼 키의 표시를 이동한다. 이렇게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정상적인 유효 에어리어에 의해 거래가능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하 도5와 도6을 사용해서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ATM(1)의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에 대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촉구한다(S201). 제어부(18)는, 고객이 숫자 키를 눌렀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S202). 고객이 숫자 키를 누르면, 제어부(18)는 눌러진 좌표를 기억부에 기억한다(S203).
상기 제어부(18)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자리수를 기억하여, 4자리 눌러졌는지 체크한다(S204).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져 있으면, 제어부(18)는 다음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여, 터치패널장치(11)는 통상대로 다음 화면을 표시한다(S205).
상기 스텝 204에서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있을 경우, 제어부(18)는 고객에 의해 취소 키가 눌러졌는지를 체크한다(S206).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 거래는 도중에 종료하지만, 제어부(18)는, 별도로 해당 취소 키가 눌러진 회수를 계수한다(S207).
취소 키 누름의 계수는, 예를 들면 8시간이라고 하는 소정의 시간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시에 있어서, 제어부(18)는 취소 키가 눌러진 회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는지 체크한다(S208). 소정의 임계값이란,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스텝 208에 있어서 취소 회수가 임계값을 넘지 않고 있었을 경우, 제어부(18)는 정상처리를 계속한다(S209). 마찬가지로 스텝 208에 있어서 취소 회수가 임계값을 넘고 있었을 경우,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나 있다고 판정한다(S210).
터치패널장치(11)의 고장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서, 실시예 1에서는, 다음의 제어를 행한다. 즉, 스텝 203에서 기억한 소정 키의 누름 좌표로부터, 소정 회수(예를 들면 20회)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해당 평균값이, 해당 키의 중심좌표와 차이가 있는지 아닌지 체크한다(S211). 해당 스텝 211에 있어서 차이가 없을 경우, 즉 소정의 키가 20회 눌러졌을 경우, 대부분의 누름이 해당 키 의 중심좌표를 누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고객에 의한 터치패널장치(11)의 누름은, 터치패널장치(11)의 표시대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에 대한 대처는 별도 처리를 행한다(S212).
그렇지만, 스텝 211에 있어서, 상기 누름 좌표의 평균값과 해당 키의 중심좌표에 차이가 있을 경우, 즉, 대부분의 고객이 터치패널장치(11)의 표시대로 눌러지지 않게 되고, 그 때문에 터치패널장치(11)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상기 차분만큼 이동하는(보정하는) 것에 의해 대처한다(S213).
도6은 실시예 1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의 이동의 설명도이다. 상기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41은 이동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표시하고, 42는 이동후(보정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표시한다. 43은 소정의 키, 예를 들면 키 「5」의 중심좌표 (800, 430)를 표시하고, 44는 이동전의 유효 에어리어 41의 표시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눌러진 키 「5」의 평균 좌표 (770, 390)를 나타낸다. 또한, 45는 취소 키, 46은 확인 키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터치패널장치(11)의 화면 전체의 좌표 분해 능을, X 방향을 1∼1024, Y 방향을 1∼768인 것으로 하여,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해당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용의 숫자 키 41을 도면에 나타낸대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숫자 「5」의 키에 대해서는, 좌표범위는, X 방향을 751∼850, Y 방향을 381∼480이며, 이 숫자 「5」의 키의 중심좌표 43은 (800, 430)이다. 이것은 소위 절대좌표가 된다.
한편, 숫자 「5」의 키가 눌러졌을 경우의 좌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스텝 203에 있어서 기억하고 있고, 제어부(18)는, 그것의 소정회수, 예를 들면 20회분의 좌표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것은 평균 좌표 44(예를 들면 770, 390)이다. 보통은, 숫자 키 「5」를 누를 때는, 당연히 표시의 중앙을 가리켜 누르므로, 숫자 키 「5」의 중심좌표 43의 좌표 (800, 430)에 가까운 좌표가 평균 좌표로서 산출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평균 좌표 44가 좌표 (770, 390)이면, 왼쪽으로 30좌표, 위로 40좌표 벗어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에 대하여, 그 차분(X=30, Y=40)만큼 숫자 키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터치패널장치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키 입력 에어리어의 표시를 터치패널장치 위의 다른 위치로 이동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즉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미세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정상적인 유효 에어리어에 의해 거래가능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터치패널장치는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어,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고, 고객은 그 표시대로 실제로 거래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를 불가능하 다고 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터치패널장치(11)에 있어서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약간 이동하고, 즉, 여러번 행해진 누름의 좌표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키의 실제의 표시의 중심좌표와 다른 경우에, 그 차분만큼 키의 표시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대처한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터치패널장치(11)에 있어서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이동후의 표시가 이동전의 표시에 겹치지 않도록 이동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도7은 실시예 2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의 이동의 설명도이다.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동일한 도면에 있어서, 51은 이동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이고, 52는 이동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이다. 해당 이동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 52는 이동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 51과는 겹치지 않고 있다. 이때, 53은 취소 키, 54는 확인 키이다.
실시예 2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는 전술한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와 같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밀번호의 숫자 키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 취소 키의 누름 회수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를 고장으로 판정한다. 그후, 스텝 213에 있어서, 터치패널장치(11)는 숫자 키의 표시의 유효 에어리어를 이동후의 표시가 이동전의 표시에 겹치지 않도록 이동해서 표시한 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터치패널장치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키 입력 에어리어의 표시를 터치패널장치 위의 다른 위치로 이동해서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즉 자동거래장치는 고장나 있는 키 입력 에어리어에 표시시키지 않고 유효한 키 입력 에어리어에서 표시시키므로, 터치패널장치는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고,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여, 고객은 그 표시대로 실제로 거래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를 할 수 없다고 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어부(18)가,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할 때에, 비밀번호의 숫자 키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또한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의 취소 키의 누름 회수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를 고장으로 판정했지만, 실시예 3에서는, 비밀번호의 숫자 키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취소 키 의 누름 후, 비밀번호의 숫자 키의 3자리 누름의 시간간격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도8은 실시예 3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ATM(1)의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터치패널장치(11)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고객에 대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촉구한다(S301). 더구나, 제어부(18)는 고객이 키를 누르는 시간간격의 계측을 시작한다(S302). 여기에서, 고객은, 터치패널장치(11)의 디스플레이부(35)에 표시된 숫자 키를 보면서, 조작면(31)을 누른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5)에는 「****」과 같은 비밀번호의 브라인드 표시가 된다.
그후, 제어부(18)는, 고객이 숫자 키를 눌렀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S303). 고객이 숫자 키를 누르면, 제어부(18)는 눌러진 키의 간격 시간을 기억부에 기억한다(S304).
제어부(18)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자리수를 기억하고, 4자리 눌러졌는지 체크한다(S305).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져 있으면, 제어부(18)는 다음 화면으로 이행하도록 터치패널장치(11)를 제어하고, 터치패널장치(11)는 통상대로 다음 화면을 표시한다(S306).
상기 스텝 305에 있어서,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있을 경우, 제어부(18)는 고객에 의해 취소 키가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S307).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 거래는 도중에 종료하지만, 제어부(18)는, 별도로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18)는, 3자리분의 숫자 키가 눌러진 것인가 아닌지 체크한다(S308). 3자리분의 누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1자리 또는 2자리의 숫자 키가 눌러진 후, 취소 키가 눌러졌을 경우이므로, 제어부(18)는 별도의 처리를 행한다(S310).
한편, 제어부(18)는, 상기 스텝 308에 있어서, 3자리분의 숫자 키가 눌러졌다고 판정했을 경우, 제어부(18)는 누름의 간격 시간으로부터 4자리분 눌러졌다고 추정할 수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S309). 이 경우, 2개의 케이스가 있다. 즉 제1 케이스로서, 「3자리분 중에서, 1자리째와 2자리째의 간격 시간과, 2자리째와 3자리째의 간격 시간이 거의 같은 시간인」 경우이다. 이것은, 고객은 거의 정상적인 간격으로 3자리분의 숫자 키를 누른 것이므로, 아마 4자리분의 숫자 키를 눌렀지만, 제1자리째의 숫자나 제4자리째의 숫자가 결핍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어부(18)는 취소 키가 눌러진 것은 터치패널장치(11)의 고장이 원인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제2 케이스로서 「3자리분 중에서, 1자리째와 2자리째의 간격 시간과, 2자리째와 3자리째의 간격 시간이 거의 배 또는 2분의 1인」 경우이다. 이것은 3자리분 중에서, 1자리째와 2자리째의 간격 시간과, 2자리째와 3자리째의 간격 시간이 거의 배 또는 2분의 1인 것은, 보통 4자리분의 숫자를 거의 정상적인 간격으로 입력했을 경우로서, 제2자리째의 숫자나 제3자리째의 숫자가 결핍하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므로, 따라서 상기 제1의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8)는 취소 키가 눌러진 것은 터치패널장치(11)의 고장이 원인이라고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18)는 누름의 간격 시간으로부터 4자리분 눌러졌다고 추정할 수 있는지의 판정, 구체적으로는 제1 케이스에 해당하는지, 또는 제2 케이스에 해당하는지 아닌지의 체크를 행한다(S309).
해당 스텝 309에 있어서, 제1의 케이스, 제2의 케이스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 즉 누름의 간격 시간으로부터 4자리분 누른 것으로 추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8)는 별도의 처리를 행한다(S310).
이에 대하여, 제1의 케이스, 제2의 케이스 어느 쪽에 해당하는 경우, 즉 누름의 간격 시간으로부터 4자리분 누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나 있다고 판정한다(스텝311).
이상과 같이 실시예 3에 따르면, 비밀번호의 숫자 키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취소 키의 누름후, 비밀번호의 숫자 키의 3자리 누름의 시간간격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고장이라고 판정 할 수 있고, 그 결과 자동거래장치는 거래가능한 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고객은 실제로는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취소 키가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하지만, 실시예 4에서는, 동일한 조건으로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그후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터치패널장치(11)에 있어서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약간 이동해서 대처한다. 이 경우, 이동량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키에 대하여 여러번 행해진 누름의 좌표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키의 실제의 표시의 중심좌표와 다른 경우에, 그 차분만큼 키의 표시를 이동한다.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비밀번호가 4자리 눌러지지 않고, 취소 키가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8)는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하지만, 실시예 5에서는, 같은 조건에서 터치패널장치(11)가 고장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그후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터치패널장치(11)에 있어서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를, 이동후의 표시가 이동전의 표시에 겹치지 않도록 이동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 2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취소 키」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귀 키」, 즉 계좌입금 조작으로 계좌 입금처 금융기관의 지점명을 입력하고 있을 때, 그 조작 화면에서 1화면 앞의 화면으로 되돌아가 해당 계좌 입금처 금융기관명으로부터 재입력시키는 키, 「정정 키」, 즉 계좌 입금처 등을 입력하고 있을 때, 지금까지 입력한 문자를 모두 지우고 입금처를 처음부터 입력시키는 키, 및 「1문자 정정 키」, 즉 입금처 등을 입력하고 있을 때, 1문자만 입력 오류하였으므로 그 1문자만 재입력시키는 키라도, 상기 「취소 키」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확하다.
더구나, 본 발명은 금융기관 등에 설치된 자동거래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 또는 계원이 조작하는 터치패널장치를 갖는 조작 표시장치, 예를 들면 시청 등의 조작 단말, 역의 발권장치, 공항의 체크인 단말장치, 복권의 발권 장치 등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확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거래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거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의 이동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의 이동의 설명도다.
도 8은 실시예 3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동거래장치(ATM)
11: 터치패널장치
18: 제어부
31: 조작면
35: 디스플레이부
41, 51: 이동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
42, 52: 이동후의 숫자 키의 유효 에어리어

Claims (9)

  1.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정보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이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해당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2.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비밀번호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해당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시에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해당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3. 화면의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에 비밀번호 입력 키와 취소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입력 지시된 좌표를 센서로 검출하고, 해당 입력 지시 좌표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판별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시에 소정의 자리수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 해당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를 고장으로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해당 판정 수단이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소정 키의 상기 입력 지시 좌표의 평균값이,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 내에 표시되는 상기 소정 키 의 중심좌표와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중심좌표를 상기 평균값에 맞추도록,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와 겹치지 않도록, 상기 키 입력 유효 에어리어의 표시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43243A 2007-08-18 2008-05-09 자동거래장치 KR10099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3202A JP5070988B2 (ja) 2007-08-18 2007-08-18 自動取引装置
JPJP-P-2007-00213202 2007-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769A KR20090018769A (ko) 2009-02-23
KR100996887B1 true KR100996887B1 (ko) 2010-11-29

Family

ID=4041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243A KR100996887B1 (ko) 2007-08-18 2008-05-09 자동거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0988B2 (ko)
KR (1) KR100996887B1 (ko)
CN (1) CN101369364B (ko)
TW (1) TW2009102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7652B2 (ja) * 2009-09-28 2013-1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装置,画像処理装置
JP5424326B2 (ja) * 2009-11-05 2014-02-2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5232126B2 (ja) * 2009-11-09 2013-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75088B2 (en) * 2014-12-18 2019-04-30 Hand Held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aulty touch panel having intermittent field failures
CN106297069B (zh) * 2015-06-05 2019-01-08 日立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现金钞箱管理系统、现金钞箱管理方法
CN109191666B (zh) * 2018-08-17 2021-02-0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数额差异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231524B2 (ja) * 2019-09-18 2023-03-01 ニチコ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急速充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06A (ja) 2002-08-19 2004-03-11 Ricoh Co Ltd 抵抗膜接触型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JP2004220507A (ja) 2003-01-17 2004-08-0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タッチパネルの不具合検出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8606A (ja) 2002-08-19 2004-03-11 Ricoh Co Ltd 抵抗膜接触型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JP2004220507A (ja) 2003-01-17 2004-08-0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タッチパネルの不具合検出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5622B (ko) 2012-01-01
CN101369364A (zh) 2009-02-18
JP2009048382A (ja) 2009-03-05
TW200910266A (en) 2009-03-01
CN101369364B (zh) 2013-04-17
JP5070988B2 (ja) 2012-11-14
KR20090018769A (ko)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887B1 (ko) 자동거래장치
JP4935475B2 (ja) 入力装置
US20080296365A1 (en) Self Service Device with Manipulation Recognition
JP4893049B2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H11175643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088662B1 (ko) 자동 거래 장치 및 자동 거래 장치의 이체 처리 방법
JP2009140033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の本人確認方法
JP4635649B2 (ja) 自動取引装置
JPH04372013A (ja) 自動処理装置
JP4552608B2 (ja) 自動取引装置
JP5787804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010549B1 (ko) 자동 거래 장치
JP4975478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取引処理方法
JP2019079174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画面表示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48371B1 (ko) 금융기기
JP6337648B2 (ja) 取引装置
EP35329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ey item processing
JP2012103964A (ja) 暗証番号入力装置
JP4998643B2 (ja) 自動取引装置
JP6616564B2 (ja) 自動取引装置
JP6561561B2 (ja) 自動取引装置
KR2008004678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장애 발생에 따른 고객 화면 및거래명세표 출력 방법
JP5103308B2 (j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電子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の診断方法
JP2022139724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装置の異常解消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061599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