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059B1 -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059B1
KR100996059B1 KR1020087027766A KR20087027766A KR100996059B1 KR 100996059 B1 KR100996059 B1 KR 100996059B1 KR 1020087027766 A KR1020087027766 A KR 1020087027766A KR 20087027766 A KR20087027766 A KR 20087027766A KR 100996059 B1 KR100996059 B1 KR 10099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ock absorbing
pad
absorbing pad
floo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199A (ko
Inventor
신지 다카쿠라
아유미 히라이시
이사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의 충돌시 등의 충격흡수성능이 우수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3, 3, …)가 형성되어 있고, 발포성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 또는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와 수평패드(2)로 이루어지는 플로어 스페이서(10)로서 돌기(3)는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폭이 되는 대폭부(32)를 가지고 있다. 이 대폭부(32)의 영역에 승무원 발밑의 발뒤꿈치부가 실어 놓이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PAD FOR ABSORBING IMPACT ON LEG PORTIONS AND FLOOR SPACER FOR VEHICLE}
본 발명은 하지부(下肢部) 충격흡수패드와,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량의 충돌시 등의 충격흡수성능이 우수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측 플로어에는 차량충돌시 등의 충격으로부터 승무원의 하지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플로어 전방(前方)의 승무원 발밑 부분에 하지부 충격흡수패드가 설치되거나,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그 후방의 플로어 위에 설치되는 수평패드로 구성되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그 충격흡수성능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지금까지 여러가지 개발/개량이 행해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그 일례로서, 출원인 등에 의한 예의연구한 결과, 발안(發案)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를 들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경사부와 수평부의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2개의 영역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로 구획되어 있으며, 경사부와 수평부의 쌍방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세로로 긴 모양의 복수의 오목홈(돌기)을 형성한 것이다. 차량충돌시에 이 오목홈이 소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단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승무원의 하지부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장해한계치 미만으로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30679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의하면, 차량충돌시에 단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승무원의 하지부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시에 특히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승무원 발밑의 발뒤꿈치부가 일반적으로 실어 놓이는 부위 부근에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에 의해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세로로 긴 모양의 복수의 오목홈(돌기)의 변형이 억제되는 것으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발뒤꿈치부의 실어 놓음 위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다른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따라서, 발뒤꿈치부가 이 한정된 범위 내에 실어 놓이지 않는 경우에서도 충분히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전체의 충격흡수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뒤꿈치부의 실어 놓음 위치를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어, 발뒤꿈치부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가 일체성형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발포성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로서, 상기 돌기는 그 길이방향의 도중부터 상대적으로 큰 폭이 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발밑 바닥면의 부피 크기의 조정이나 경사면 내의 평탄성에 더하여, 차량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여 하지부로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는 복수의 돌기(오목홈)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는 길이방향의 도중부터 그 폭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변화하고, 실제로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에 발뒤꿈치부가 실어 놓인다고 상정되는 범위(발뒤꿈치부의 가동범위)에 이 폭이 넓은 부분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서는 이미 서술한 종래의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설치되고 있던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만이 그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를 성형하는 발포성 수지입자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포성 수지입자로서 열가소성 수지입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스틸렌(styrene) 개질(改質)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틸렌(polystyrene)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발포성 수지로서 열강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입자에 스틸렌계 단량체를 함침(含浸)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수지입자 발포성형체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입자의 발포성형체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입자의 발포성형체에 비해, 치수 안정성과 형상 유지성이 우수한 것, 폴리스틸렌계 수지입자의 발포성형체에 비해 마찰에 의한 가루가 나오기 어려운 것의 이유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또,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있어서의 스틸렌 성분의 비율은 40 ~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75중량%이다.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성형시에는, 예를 들면 상기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시작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발포제를 함침시켜 발포성의 열가소성 수지로 하고, 이 발포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수증기 등으로 예비발포시키는 것으로 예비발포입자를 제조한다. 그 다음에, 이러한 예비발포입자를 성형형(成形型)에 충전해 발포성형하면 좋다. 여기서, 플로어 스페이서의 발포배율은, 예를 들면 3 ~ 70배의 범위 내에서 조정한 예비발포입자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좋다. 발포배율이 3배 미만의 것은 매우 딱딱하게 되기 때문에, 발포체에 의한 충분한 소성변형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발포배율이 70배를 넘어 버리면, 발포체가 너무 부드러워져 버려, 발포체로서의 반력(反力)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의하면, 발뒤꿈치부가 실어 놓인다고 상정되는 범위의 패드 하면에 형성된 돌기의 폭을 상대적에 큰 폭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 패드의 취성파괴를 방지하여 그 충격흡수성능을 발휘시켜, 발뒤꿈치부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저감 할 수 있다. 또,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에 큰 폭이 되는 부분을 형성한 경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뒤꿈치의 가동범위에 따라 돌기면적을 간편하고 쉽게 넓힐 수 있다. 또한, 교차하는 돌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효율을 현격히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는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실내측이 되는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패드와,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로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는 발포성 수지입자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그 길이방향의 도중부터 수평패드 측의 단부에 걸쳐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패드는 바닥면의 부피 크기의 조정이나 수평면 내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고, 따라서, 설치시에 실내측이 되는 상면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패드도 상기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같은 소재로 성형할 수 있고, 그 성형방법도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쌍방을 별체로 성형한 후, 한쪽의 단부에 끼워맞춤용 수컷부를 형성해 두고, 다른 쪽의 단부에 끼워맞춤용 암컷부를 형성해 두어, 쌍방을 끼워맞춤시키는, 내지 접착시키는 등 하는 것에 의해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는 그 구성부재인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이미 서술하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가 그 길이방향의 도중부터 상대적으로 큰 폭이 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패드)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패드의 취성파괴를 방지하여 그 충격흡수성능을 발휘시켜, 뒤꿈치부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저감 할 수 있다.
또,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를 이종(異種) 원료로 성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종 원료란, 동일한 재질의 예비발포입자로서 각각의 발포배율이 상이한 원료나, 예비발포입자의 재질 자체가 상이한 원료, 또한, 예비발포입자의 재질 및 각각의 발포배율이 상이한 원료를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어느쪽이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를 별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는 내충격성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수평패드보다 예비발포입자의 발포배율을 낮게 하는(고밀도가 되는) 것에 의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가급적으로 경량이고, 또한 소망의 충격흡수성능을 구비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고, 수평패드는 가급적으로 경량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요구되는 충격흡수성능을 확보하면서, 플로어 스페이서 전체의 중량을 가급적으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형태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가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는 하나의 성형형 내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가 일체성형된 실시형태이다. 여기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는 수평패드(의 수평인 상면)에 대해서, 차량 바디의 형상에 따른 임의의 각도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저면에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 성형형 내로 플로어 스페이서를 성형한 후에 플로어 스페이서를 탈형(脫型)하려고 하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가 성형형과 간섭해 탈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형과 가동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형에 있어서, 플로어 스페이서를 형(型) 내 성형 후, 가동형을 형 개방하는 것에 의해 가동형에 부착된 플로어 스페이서를 고정형으로부터 탈형하고, 가동형으로부터 플로어 스페이서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플로어 스페이서의 탈형이 행해진다. 이 가동형을 형 개방할 때, 플로어 스페이서의 저면에 형성된 직교하는 돌기가 고정형의 캐비티 내에 형성된 돌기형성용의 오목홈과 간섭해 가동형의 형 개방이 저해되는 것이다.
그래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하면에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만을 형성하고, 그 일부에 큰 폭이 되는 부분을 가지는 실시형태로 하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돌기를 구획형성하는 측면 가운데, 적어도 차량 후방 측(수평패드 측)의 측면을 수평패드의 상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고정형의 돌기형성용 오목홈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다)에 의해, 이 돌기와 고정형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차량 후방 측의 측면이란, 차량 후방 측의 측면뿐만 아니라, 차량 전방 측의 측면이나, 또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도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의하면, 하나의 성형형으로부터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로 이루어진 플로어 스페이서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의 쌍방을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망 형상의 플로어 스페이서, 즉, 형상 정밀도가 높은 플로어 스페이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를 이종 원료로 일체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포배율이 다른 수평패드용의 예비발포입자와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용의 예비발포입자를 각각 하나의 성형형에 충전해 발포성형한다. 이 때, 성형형의 캐비티 내를 구획부재로 구획하여 두고, 구획부재의 좌우의 공간에 각 예비발포입자를 동시충전해, 충전 후에 캐비티 내로부터 구획부재를 제거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이종 원료로 이루어진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와의 일체성형이 실현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의하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가운데, 승무원의 발뒤꿈치부가 실어 놓인다고 상정되는 범위의 돌기의 폭을 상대적에 큰 폭인 구성으로 하는 것만으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에 요구되는 충격흡수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어 스페이서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3은 플로어 스페이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이어서, 플로어 스페이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이어서, 플로어 스페이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동적(動的)압축 시험방법의 개요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동적압축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부호의 설명>
1 … 충격흡수패드, 2 … 수평패드, 3 … 돌기, 31 … 일반부, 32 … 대폭부(大幅部), 4 … 오목홈, 5 … 가동형, 6 … 고정형, 61, 62 … 충전구, 7 … 구획부재, 81, 82 … 예비 발포 입자, 10 … 플로워 스페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어 스페이서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 2는 도 1의 II화살표에서 본 도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 ~ 5는 순서로, 플로어 스페이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동적압축 시험방법의 개요를 설명한 도면을, 도 7은 동적압축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실시형태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가 일체로 성형된 플로어 스페이서이지만, 쌍방이 별체로 성형되어 조립된 형태나, 돌기에 대폭부를 가지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만의 실시형태로서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플로어 스페이서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플로어 스페이서(10)는 승무원 발밑부에 배치되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와, 그 후방의 차실내 플로어에 배치되는 수평패드(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도 1의 1점쇄선의 좌측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이고, 우측이 수평패드(2)이다). 수평패드(2)의 상면(차실내측의 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의 저면(차체측의 면)에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 3, …)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는 차체측의 형상에 따른 형태로 수평패드(2)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3)는, 도 2의 화살표에서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측의 일반부(31)와, 이 일반부(31)에 연속해 이 일반부(31)보다 큰 폭으로 수평패드(2) 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대폭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3, 3, …)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있고, 그 사이에는 오목홈(4, 4, …)이 형성된다.
도 1로 돌아와, 승무원의 발밑 가운데, 발끝 부분(A1)은 도 2의 일반부(31) 위에 실어 놓이고, 발뒤꿈치부(A2)는 대폭부(32) 위에 실어 놓이도록 되어 있다. 이 대폭부(32)는 발뒤꿈치부(A2)가 실어 놓인다고 상정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 5에 근거하여, 플로어 스페이서(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와 수평패드(2)는 이종 원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쌍방을 동일한 재질의 예비발포입자이며 각각의 발포배율이 상이한 원료로 일체로 제조하는 방법이나, 예비발포입자의 재질 자체가 상이한 원료로 제조하는 방법, 또한, 예비발포입자의 재질 및 각각의 발포배율이 상이한 원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발포성 수지입자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입자인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열경화성 수지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성형형 내에 이 수지를 주입해, 발포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어 스페이서를 제조할 수 있다.
플로어 스페이서(10)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와 수평패드(2)로 그 원료가 다른 형태로, 또한 하나의 성형형 내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서, 성형형은 일반적인 금형을 사용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위쪽에 위치하는 고정형(6)과 그 아래쪽의 가동형(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쌍방의 대향면에 있어서 플로어 스페이서의 형상에 따른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스틸렌 개질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용의 예비발포입자를 수평패드의 예비발포입자에 비교해 저배율로 예비발포시킨 입자를 고유의 충전구(61, 62)로부터 캐비티 내에 충전한다. 여기서, 캐비티 내에 있어서의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와의 경계 부근에는 쌍방의 입자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구획부재(7)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형상이 캐비티의 내벽면과 구획부재(7)로 구획형성되고 있다. 또한, 가동형(5) 가운데,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를 형성하는 캐비티면에는 오목홈 형성용의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캐비티 내에 각각의 예비발포입자(81, 82)가 충전되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지만, 쌍방의 예비발포입자(81, 82)는 동시 충전되고, 충전 후에 캐비티 내로부터 구획부재(7)가 신속하게 제거된다. 또한, 구획부재(7)의 제거는, 예를 들면, 도면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적당한 구획부재(7) 제거수단을 강구해 두면 좋다.
도 4는 캐비티 내에서 예비발포입자(81, 82)가 발포성형된 후, 가동형(5)이 형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고정형(6)의 캐비티면에 플로어 스페이서(10)가 부착된 상태로 가동형(5)으로부터 플로어 스페이서(10)가 탈형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홈(4)의 차량 후방측의 측면은 수평패드(2)의 수평인 상면과 수직이며, 오목홈(4)의 차량 전방측의 측면은 수평패드(2)의 상면에 대한 수선(垂線)보다 차량 전방 측에 열린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탈형 시에, 오목홈(4)과 돌기(51)가 간섭하지 않고, 부드럽게 가동형(5)의 형 개방이 행해진다. 또한, 오목홈(4)의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측면은 수평패드(2)의 상면과 수직, 내지는 단면에서 본 형상이 저면으로부터 오목홈의 천단면(天端面)으로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형(6)으로부터 플로어 스페이서(10)를 떼어내는 것으로, 플로어 스페이서(10)의 탈형이 완료하고,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와 수평패드(2)로 이루어져, 소망 형상의 플로어 스페이서(10)가 제조된다.
플로어 스페이서(10)를 구성하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1)의 하면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돌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그 제조효율이 현격히 향상한다. 또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가 동일한 원료로 제조되어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고, 이 경우에는 캐비티 내를 구획부재로 나누어 둘 필요는 없다. 또, 성형형의 구성은 도시하는 형태 이외의 구성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압축시험과 그 결과]
도 6은 본 발명의 플로어 스페이서 가운데,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의 하중-변형 특성을 그 일반부와 대폭부에서 비교하기 위한 압축시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압축시험은 JISZ0235의 「포장용 완충재료의 동적압축 시험방법」에 준거한 충격완화효과 확인실험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 피스가 되는 플로어 스페이서(10A)를 준비하여 고정치구(100) 위에 고정하고, 700cm의 높이의 낙하시험기로부터 압축판(200)(중량:147N(15kgf))를 테스트 피스에 있어서의 발끝이 실어 놓이는 부위(X1영역에 있어서 돌기의 일반부)와 발뒤꿈치부가 실어 놓이는 부위(X2영역에 있어서 돌기의 대폭부)의 쌍방으로 낙하시킨다. 또한, 테스트 피스에 형성된 돌기에 있어서, 그 일반부의 폭은 15mm이고 대폭부의 폭은 25mm이다. 압축판(200)에는 가속도계를 부착해 두고, 테스트 피스에는 압축판(200)의 낙하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계를 부착해 두며, 압축판(200) 낙하 후의 시간경과에 수반하는 테스트 피스에 가하는 하중(kN)과 테스트 피스의 변위(mm)를 구해 변형을 산정했다. 또한, 테스트 피스는 스틸렌계 수지의 예비발포입자로부터 성형되고, 그 발포배율이 55배의 예비발포입자를 사용하고 있다.
도 7은 이 쌍방의 영역에 있어서의 실험결과(하중-변형 특성)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Y1은 도 6의 X1영역에 있어서의 결과를, Y2는 도 6의 X2영역에 있어서의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돌기가 큰 폭이 되어 부재 강성(剛性)이 높아지는 X2영역에서는 하중이 2.5 kN이 되고,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X1영역에서는 하중이 1.5 kN이 된다. 이와 같이, 발뒤꿈치부에는 발끝부에 비교하여 1.7배 정도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형성되는 돌기에는 상응하는 대폭부가 필요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서도 그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이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량의 충돌시 등의 충격흡수성능이 우수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

  1.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발포성 수지입자로 이루어진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로서,
    상기 돌기는, 일반부와 대폭부로 구성되며, 일반부는 그 길이방향의 도중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대폭부는 이 일반부에 연속하고 또한 일반부보다도 큰 폭이며,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2.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실내측이 되는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패드와, 차량으로의 설치시에 차체측이 되는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지부 충격흡수패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로서,
    하지부 충격흡수패드와 수평패드는 발포성 수지입자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고, 일반부와 대폭부로 구성되며, 일반부는 그 길이방향의 도중까지 연장하여 형성되고, 대폭부는 이 일반부에 연속하고 또한 일반부보다도 큰 폭이며,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수평패드측의 단부에 걸쳐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KR1020087027766A 2006-04-26 2007-04-24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KR100996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2003 2006-04-26
JP2006122003A JP4302712B2 (ja) 2006-04-26 2006-04-26 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および車両用フロアスペー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99A KR20090006199A (ko) 2009-01-14
KR100996059B1 true KR100996059B1 (ko) 2010-11-22

Family

ID=3865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766A KR100996059B1 (ko) 2006-04-26 2007-04-24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0994B2 (ko)
EP (1) EP2022667B1 (ko)
JP (1) JP4302712B2 (ko)
KR (1) KR100996059B1 (ko)
CN (1) CN101454176B (ko)
WO (1) WO2007125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9565B1 (fr) * 2008-04-07 2010-11-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apis d'isolation ph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8240733B2 (en) * 2010-04-07 2012-08-14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carpet having a removed section
US8857895B2 (en) * 2011-06-17 2014-10-14 David J. Millar Tibia force reduction wedge
CN103619656B (zh) 2011-06-23 2016-03-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胫部衬垫以及胫部衬垫设置结构
CN103648851B (zh) * 2011-06-23 2016-06-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胫部衬垫以及胫部衬垫设置结构
CN104684765B (zh) * 2013-04-26 2016-1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右脚保护结构
JP6399302B2 (ja) * 2014-12-01 2018-10-0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フットレス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9105A (en) * 1952-08-23 1955-05-24 Ford Motor Co Motor vehicle floor mat
DE2504691B2 (de) * 1975-02-05 1978-05-18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Kofferraum- und Bodenmatte für Kraftfahrzeuge und andere Transportmittel
DE8201511U1 (de) * 1982-01-22 1982-07-22 Dr. Alois Stankiewicz Schallschluck GmbH & Co KG, 3101 Adelheidsdorf Mehrschichten-Schalldämmplatte für Kraftfahrzeuge od.dgl.
DE4343970A1 (de) * 1993-12-22 1995-06-29 Stankiewicz Gmbh Modularer schalldämmender Belag
ZA974327B (en) * 1996-06-05 1997-12-18 Rieter Automotive Int Ag Liner for motor vehicle interiors.
EP1110491B1 (de) * 1999-12-23 2004-02-11 Werksitz GmbH W. Milewski Verwendung eines Bodenbelags aus einem elastisch verformbaren Material
KR20060086976A (ko) * 2002-03-29 2006-08-01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용 충격흡수패드
JP4125534B2 (ja) 2002-04-02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撃吸収材取付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クリップ
JP4526236B2 (ja) 2003-04-07 2010-08-1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車両用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JP2004360790A (ja) 2003-06-04 2004-12-24 Jsp Corp エネルギー吸収部材
JP4359177B2 (ja) * 2004-03-30 2009-11-0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防音性を付与した車両用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JP4533709B2 (ja) 2004-09-21 2010-09-0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衝撃吸収構造体および衝撃吸収構造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2667A1 (en) 2009-02-11
WO2007125880A1 (ja) 2007-11-08
EP2022667B1 (en) 2012-03-14
CN101454176A (zh) 2009-06-10
JP2007290603A (ja) 2007-11-08
JP4302712B2 (ja) 2009-07-29
US20090174175A1 (en) 2009-07-09
US7900994B2 (en) 2011-03-08
EP2022667A4 (en) 2010-02-03
CN101454176B (zh) 2011-03-23
KR20090006199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059B1 (ko) 하지부 충격흡수패드 및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KR100958764B1 (ko) 차량용 플로어 스페이서
JP2007326481A (ja) バンパー用アブソー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83902A (ja) 車両用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JP2003127796A (ja) 衝撃吸収性自動車用フロアスペーサ
KR100614287B1 (ko) 차량용 충격흡수패드
JP2004306791A (ja) 車両用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EP2014513B1 (en) Floor spacer for vehicle and vehicle interior structure
JP4883973B2 (ja) 車両用フロアスペーサ
JP5140063B2 (ja) 車両用フロアスペーサ
JP4059655B2 (ja) 自動車用フロアスペー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5360B2 (ja) 車輌用バンパ及びその緩衝材
JPS6157504B2 (ko)
JP2007030475A (ja) 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動車のドア
JP2007261190A (ja) 成形型および発泡成形品
JP2007083904A (ja) 車両用フロアスペーサ
JP5073302B2 (ja) 下肢部衝撃吸収パッド
RU2587747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узел дверной панели,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амортиз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узел дверной панели
JP4424633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芯材
JP4698198B2 (ja) 車輌用バンパ及びその緩衝材
JP2007176484A (ja) 自動車用フロアスペーサの衝撃吸収部材
WO2023113011A1 (ja) バンパアブソーバー
JP6236294B2 (ja) フロアスペーサ
JP3173912U (ja) 衝撃吸収部材
JPH01309845A (ja) 多段階衝撃吸収バ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