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379B1 -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379B1
KR100995379B1 KR1020100055287A KR20100055287A KR100995379B1 KR 100995379 B1 KR100995379 B1 KR 100995379B1 KR 1020100055287 A KR1020100055287 A KR 1020100055287A KR 20100055287 A KR20100055287 A KR 20100055287A KR 100995379 B1 KR100995379 B1 KR 10099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medicine
sludge
bath composition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379B1/ko
Priority to US13/702,103 priority Critical patent/US8715650B2/en
Priority to PCT/KR2011/004269 priority patent/WO2011155792A2/ko
Priority to CN201180028023.8A priority patent/CN10298506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9/00Processes involving microorganisms of different genera in the same proces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Body car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형 보정과 면역력 강화를 위한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불규칙적인 식사, 냉/난방에 의한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해주는 필수적인 미네랄과 필수 아미노산의 결핍, 피부 건조, 피부 각질 형성 등의 피부손상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신체의 항상성 유지 및 피부의 보호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반신욕, 아로마목욕 등의 목욕요법이 알려지면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목욕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목욕요법은 특별한 부작용 없이 작게는 미용효과로부터 크게는 질병의 예방 및 개선에 이르기까지 주목할만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양한 약용성분을 지닌 입욕제를 이용한 목욕요법은 그 효과로 인하여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입욕제(入浴劑)란 질병의 예방 및 증상완화, 피부 보호 및 세정, 피로회복 등의 목적으로 욕탕에 넣어 사용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제형. 성분, 및 효과에 따라 배스(bath) 크리스털, 배스 솔트, 식물성 제제, 밀크 배스, 페이스트 제제, 젤리상 제제, 배스 오일, 배스 캡슐, 버블 배스 등이 유통되고 있다.
입욕제는 대부분 광물성과 식물성 원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약초를 이용하여 한의학적 치료효과를 제공하는 입욕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약초를 이용한 입욕제는 약재를 끓여 증기를 쏘이고 그 약물에 전신을 씻어내던 과거의 약물요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약초를 이용한 입욕제는 환부를 씻거나 입욕제를 넣은 욕조에 전신을 담그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욕조에 뜨거운 물을 받고 약초목욕 재료 50~100g을 면 또는 베보자기에 넣어 묶은 다음 목욕물에 우려 낸 후, 약초물이 알맞게 우러날 동안 가볍게 샤워를 하고, 욕조물의 온도가 36~38℃ 정도로 내려가면 입욕하여 15~20분 정도 몸을 담근 뒤, 욕조에서 나와 비누칠을 하고 수압을 세게 하여 헹구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초를 이용한 목욕은 약초를 직접 구하고, 이를 욕조의 뜨거운 물에 우려낸 후, 그 약초물에 목욕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일반 가정에서 보편화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입욕제들은 단순히 피부 미용이나 피부 진정 및 피부염 완화의 효과를 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좀 더 다양한 치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입욕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효된 한약재 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뛰어난 면역력 강화 효과 및 체형보정 효과를 제공하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효에 의해 한약재 고유의 독성 및 잔류농약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되어 매우 안전하며, 분말 타입으로 제조되어 목욕물에 희석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1차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고;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15 중량%, 인진쑥 1~10 중량%, 어성초 1~10 중량%, 삼백초 5~15 중량%, 익모초 5~15 중량%, 당귀 1~10 중량%, 율무 3~12 중량%, 함초 5~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톱풀 5~15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만병초 1~10 중량% 및 지치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고,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물 및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를 혼합하고,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발효에 의해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15 중량%, 인진쑥 1~10 중량%, 어성초 1~10 중량%, 삼백초 5~15 중량%, 익모초 5~15 중량%, 당귀 1~10 중량%, 율무 3~12 중량%, 함초 5~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톱풀 5~15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만병초 1~10 중량% 및 지치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과 물, 및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혼합하고, 26~30℃의 온도에서 50~7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한약재 성분을 사용하여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뛰어난 면역력 강화 효과와 체형보정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에 의해 한약재 고유의 독성 및 잔류농약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되므로 매우 안전하며, 분말 타입으로 제조되어 목욕물에 희석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입욕제 사용을 보편화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입욕제 조성물로 1회 1시간 입욕을 실시한 임상대상자의 체형보정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에서,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는 환원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예컨대,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산화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의 저분자화를 통해 황산화 물질을 만들어 내는 미생물이다. 사람에 따라서 한약재 알러지가 있는 사람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은 한약재 고유의 독성, 잔류농약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에 의하여 새로운 신물질들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새로운 신물질들은 면역력증강 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서 액상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 나게 되면 발효가 제대로 안되고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발효기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발효되어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서 한약재는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 1~10 중량%, 톱풀 7~17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및 지치 1~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1차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고;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15 중량%, 인진쑥 1~10 중량%, 어성초 1~10 중량%, 삼백초 5~15 중량%, 익모초 5~15 중량%, 당귀 1~10 중량%, 율무 3~12 중량%, 함초 5~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톱풀 5~15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만병초 1~10 중량% 및 지치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고,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2차 배양을 실시하는 것은 2차 배양을 실시하는 경우 1차 배양만 실시한 경우보다, 인체의 독소배출, 면역력증강 및 체형보정의 효과가 3배 이상 증강되기 때문이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혐기성 미생물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를 시중에서 구입할 때는 오래되지(1개월이내) 않은 것으로 황록색의 포자가 많이 나온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서 1차 한약재에 대한 액상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발효되며, 2차 한약재에 대한 액상발효는 26~30℃의 온도에서 50~70일간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한약재의 액상발효의 조건이 갖는 의미는 앞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며; 2차 한약재에 대한 발효조건에서 발효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 나게 되면 발효가 제대로 안되고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발효기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 발효되어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서 상기 1차 한약재는 1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 1~10 중량%, 톱풀 7~17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및 지치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의 약용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줄풀은 그 잎과 뿌리, 줄기에 단백질과 정유, 회분, 그리고 미량 원소가 많이 들어 있다. 줄풀을 끓인 물에 목욕을 하면 섭씨 180℃에서도 죽지 않는 특이한 미생물이 생긴다. 이 미생물은 줄풀을 달인 물에 사람의 체액이 닿았을 때만 생긴다고 한다. 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줄풀을 끓인 물은 상온에서 3~4개월을 두어도 상하거나 변질되지 않으며 물로 목욕을 하면 피부 깊숙이 숨어 있는 온갖 병균과 노폐물, 독소들이 몸 밖으로 빠져 나와 몸이 날아갈 듯이 가뿐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살결이 옥 같이 고와지고 습진, 옴, 종기 따위의 온갖 피부병들이 개선된다.
줄풀즙은 불가사의한 100% 천연의 기능성 피부화장수로서도 효과가 아주 좋다. 즉, 추출기에 줄풀(Zizania; 고장초)을 넣고 무압력방식으로 9시간 동안 달여 만든 즐풀즙은 옥수수차와 비슷한 천연향이 나며, 피부속의 독소와 노폐물 제거 효능, 피부의 미백보습, 노화지연 및 개선,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인진쑥은 간 기능을 활성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피부를 아름답게 해준다. 즉, 인진쑥은 비타민A, B1, B2, C 그리고 칼슘, 철분 등이 많으며 비타민A는 그 모체에 카로틴 성분으로 존재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고 윤기를 흐르게 하며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또한, 인진쑥에는 해독작용으로 간을 깨끗이 하는 기능이 있어, B형 간염으로 인한 황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각종 영양 성분과 많은 활성 영양소,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담즙 속에 있는 덩어리와 콜신, 빌리루빈 등 독성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어 간을 깨끗하게 하고 해독 작용을 도와주는 기능이 있다.
인진쑥에는 카피라린이라는 성분이 있어 담즙분비를 촉진시켜 간 기능 활성화에 아주 유용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간염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피로감에 효과가 있으며, B형 간염으로 청소년의 체력과 성적이 저하되었을 때 체력개선과 성적 향상에 효과가 있다.
어성초는 미용과 체중조절, 체내독소 제거에 탁월한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설파민의 40,000배가 넘는 항염작용을 나타내며, 각종 염증성 질환치료에 효과적인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를 함유하며(비린내 성분), 은행잎을 능가하는 "플로브 노이드"를 함유하여 혈액정화 작용이 우수하며, 혈압을 조절해 주는 "칼륨염"의 보고이며, "지아민"은 인삼의 25배, "리보 플라빈"은 3배, 나이아신"은 1.4배로 함유되며, 알칼리 성분은 레몬의 10배 포도주의 12배에 달한다.
삼백초는 변비와 숙변을 없애는 데 효과가 탁월한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성분으로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프라보노이드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이들 성분을 통해 변통과 해독, 이뇨작용을 돕는다. 또한, 공해물질로 인한 중독, 간장병으로 인한 복수, 신장염, 부종, 수종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간염간경화 같은 간장질환과 당뇨병 치료, 고혈압 및 동맥경화의 치료와 예방 그리고, 피를 맑게 해주고 혈관벽을 깨끗하게 청소해주기 때문에, 심장병, 고혈압, 협심증과 같은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즉, 삼백초는 지방분해, 이뇨, 다이어트, 변비, 숙변제거, 고혈압, 동맥경화, 미용, 여성질환, 정력증가, 피로회복, 해독, 수질개선, 당뇨병, 신장질환, 심장질환, 노화방지, 갖가지 부인병에 효능이 있다.
익모초는 두해살이 풀로서, 첫해는 넓은 잎으로 시금치와 비슷하게 땅에 붙은 상태로 자라다가 겨울을 넘기고 봄에 줄기가 나오며 잎이 피는데 이 잎생즙은 여름철 배알이로 식욕이 없을 때 효과가 좋다. 가을이 되면서 줄기에서 꽃이 핀다. 식욕증진과 각종 부인병에 필수약으로 월경과 산후에 자주 사용되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적과 독을 풀고, 여성 냉병에 좋다. 또한, 생리불순, 산후복통, 부정자궁출혈, 신경통, 자궁내막염, 젖앓이, 고혈압(신경통,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과 고혈압이 겹친 부인에게 좋다), 피부습진으로 인한 가려움증, 신경증 자궁수축에 도움을 준다.
당귀는 머리에 작용해서 나쁜 기운을 밑으로 끌고 내려가며 머리에 피가 많이 가게해서 머리가 빠지거나 희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당귀는 약초를 달일때 중화제로 또는 해독제로 사용된다.
율무는 위암, 자궁암, 유방암, 식도암, 폐암, 후두암, 설암, 피부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등 모든 암에 효과가 있으며, 위를 순화하고 장을 도우며 폐를 맑게 하고 담을 제거하며 풍수병을 없앤다. 오래 복용하면 혈기를 순조롭게 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건강이 좋아진다. 특히 여성에게는 여드름 등 피부질환을 낮게 하고 신경통에도 효과를 볼 수 있어 더욱 좋다.
함초는 숙변을 제거하고 비만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이외에도 고혈압 및 저혈압에 좋은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피를 맑게 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므로 고혈압 및 저혈압을 동시에 치료한다. 또한, 축농증, 신장염,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 함초에는 화농성 염증을 치료하고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갖가지 염증과 관절염으로 인한 수종 등을 치료한다. 또한, 함초는 먹는 화장품이라고 할 만큼 피부미용에 효과가 탁월하다. 함초를 복용하면 숙변이 없어지면 피부가 놀랄 만큼 깨끗해지며, 기미, 주근깨, 여드름 등이 대개 치유된다. 그리고 위장 기능을 좋게 한다. 함초는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위장 기능을 촉진하여 변비, 숙변, 탈항, 치질 등을 치료한다. 갑상선 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효과가 있으며,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다. 혈당치를 정상화 시키며, 기관지 천식을 치료한다. 함초는 기관지 점막의 기능을 회복하여 기관지 천식을 완화하거나 완치한다.
차전자(질경이)는 플랜테놀린산[plantenolic acid], 아데닌[adenin], 폴린[phol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인삼이나 녹용보다도 효능이 좋으며 항암 효과가 있다. 질경이의 잎줄기에는 이뇨작용을 하는 물질이 있으므로 상습변비에는 햇빛에 말린 질경이를 달여 마신다. 생잎을 녹즙으로 먹어도 좋고 짓이겨서 뜨거운 물을 부어 차대신 마셔도 좋다. 전초나 종자에는 가래를 제거하는 성분이 있어 기관지 천식이나 가래가 멈추지 않을 때에는 하루 15~20g을 달여 식간에 마신다. 신장염으로 부종이 생겼을 때도 염분 흡수를 줄이고, 종자를 하루 5~15g 달여서 마신다. 완화, 이뇨, 거담, 항균, 항염, 항암, 황달, 편도선, 지혈, 종기에 좋다.
톱풀은 강장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강한 지혈 작용, 살균작용, 소염작용, 항알레르기작용이 있으며, 치질, 타박상, 풍습(風濕)으로 아픈 데, 적취(積聚), 부스럼, 여러 가지 출혈과 위궤양, 고혈압, 치통, 소대장염, 식욕부진, 독사에 물린 경우, 각종 급성 및 만성 염증에 효능을 나타내며, 강한 지혈 작용과 소염작용, 항알레르기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리쟁이는 그 맛이 쓰고 성질은 차갑다 그리고 약간의 독이 있다. 뿌리에 초산이 들어있어 한꺼번에 많은 양을 복용하면 안 된다. 열을 내리고 대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뱃속에 있는 기생충을 죽이고, 출혈을 멎게 하여 갖가지 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상처가 덧나거나 곪은 곳에 잎을 찢어서 붙이면 신통하게 낫는다. 머리 피부병, 마른 버짐, 습진, 음부 습진, 피부 가려움증, 잘 낫지 않는 옴에 생뿌리를 즙을 내어서 바르거나 말려서 가루를 낸 것을 식초에 개어서 바르면 잘 낫는다. 백납 또는 백전풍이라 하여 피부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에는 뿌리를 진하게 졸여서 바른다. 뿌리를 달인물은 자궁 출혈이나 코피 등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구토, 설사, 소화 불량, 급만성 장염, 변비, 인파선염, 편도선염, 위염, 위궤양, 위암 등 에도 효과가 있다.
만병초(萬病草)는 이름 그대로 만병에 좋은 효과가 있는 약초이다. 전통 한의학에서는 거의 쓰지 않지만 산 속에서 수행을 하는 사람들한테는 만병통치약처럼 알려져 있다. 만병초는 고혈압, 저혈압, 당뇨병, 신경통, 관절염, 두통, 생리불순, 불임증, 양기부족, 신장병, 심부전증, 비만증, 무좀, 간경화, 간염, 축농증, 중이염 등의 갖가지 질병을 치유하거나 호전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만병초는 백납(백전풍, 백설풍)에 특효가 있다.
지치는 약성이 차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갖가지 암, 변비, 간장병, 동맥경화, 여성의 냉증대하, 생리불순 등에 효과가 있으며 오래 복용하면 얼굴빛이 좋아지고 늙지 않는다. 지치를 중국에서는 암 치료약으로 쓰고 있다. 민간에서 오래 묶은 지치는 산삼에 못지 않은 신비로운 약초로 인식되고 있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의 학명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줄풀(Zizania latifolia),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익모초(Leonurus sibiricus), 당귀(Angelica gigas), 율무(Coix lachryma-jobi), 차전자(Plantago asiatica),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함초(Saliconia herbacea), 톱풀(Achillea sibirica), 소리쟁이(Rumex crispus),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25 중량%, 인진쑥 10~20 중량%, 어성초 5~15 중량%, 삼백초 1~20 중량%, 익모초 1~15 중량%, 당귀 1~15 중량%, 율무 1~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및 만병초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물 및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를 혼합하고,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발효에 의해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입욕제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된 내용은 모두 상기 제조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기술된 제조방법도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액상발효에서 한약재, 물 및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는 중량비로 2~7:85~93:0.2~10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혼합비는 한약재가 50~100일간 액상발효에 의해서 충분히 발효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다른 비율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 혐기성 미생물은 대사활동이 왕성한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한약재는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 1~10 중량%, 톱풀 7~17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및 지치 1~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 10~15 중량%, 인진쑥 1~10 중량%, 어성초 1~10 중량%, 삼백초 5~15 중량%, 익모초 5~15 중량%, 당귀 1~10 중량%, 율무 3~12 중량%, 함초 5~15 중량%, 차전자 1~10 중량%, 톱풀 5~15 중량%, 소리쟁이 5~15 중량%, 만병초 1~10 중량% 및 지치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과 물, 및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혼합하고, 26~30℃의 온도에서 50~7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의 액상발효에서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2차 한약재의 혼합물, 물, 및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중량비로 2~7:85~93:0.5~12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혼합비는 한약재가 50~70일간 액상발효에 의해서 충분히 발효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다른 비율로 적용될 수 도 있다.
상기에서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개체수 기준으로는 1:9~9:1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의 효능은 인체의 원리를 응용한 자연치유력 강화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근육이완작용의 원리에 의해 탁월한 체형교정 효과를 제공하며, 인체 내 탁월한 천연해독 정화작용(DITOX) 및 면역력증강작용에 의해, 인체의 장기, 조직,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하나 하나가 활성화되므로, 인체의 자가복구 시스템이 복구되어 손상된 인체에 자발적인 자연치유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의 천연 디톡스(DITOX) 기능은 미생물 에너지 파동 요법에 의한 것이며, 우리 몸 안의 독소(활성산소 등)를 물이나 수술을 통하지 않고 자연치유요법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로 인체를 디톡스를 하게 되면, 인체는 다시 깨끗한 몸으로 태어나 균형을 갖추게 되고, 면역체계의 기능도 향상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1: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발효조에 물 0, 5톤을 넣고, 줄풀 15 중량%, 인진쑥 15 중량%, 어성초 10 중량%, 삼백초 15 중량%, 익모초 10 중량%, 당귀 10 중량%, 율무 10 중량%, 차전자 5 중량% 및 만병초 5 중량%로 혼합된 건조 한약재 20 kg을 넣고,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5 kg을 넣었다. 발효조 내부의 온도를 36℃로 맞추고 60일간 배양시켰다. 배양물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미세하게 분쇄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발효조에 물 0, 5톤을 넣고, 줄풀 15 중량%, 인진쑥 15 중량%, 어성초 10 중량%, 삼백초 3 중량%, 익모초 5 중량%, 당귀 5 중량%, 율무 5 중량%, 함초 5 중량%, 차전자 5 중량%, 톱풀 12 중량%, 소리쟁이 10 중량%, 만병초 5 중량% 및 지치 5 중량%로 혼합된 건조 한약재 20 kg을 넣고,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10 kg을 넣었다. 발효조 내부의 온도를 36℃로 맞추고 90일간 배양시켰다. 배양물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미세하게 분쇄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발효조에 물 0, 5톤을 넣고, 상기 실시예2에서 얻은 입욕제 조성물 15 kg과, 줄풀 10 중량%, 인진쑥 5 중량%, 어성초 5 중량%, 삼백초 10 중량%, 익모초 10 중량%, 당귀 5 중량%, 율무 10 중량%, 함초 10 중량%, 차전자 5 중량%, 톱풀 10 중량%, 소리쟁이 10 중량%, 만병초 5 중량%, 지치 5 중량%로 혼합된 한약재 15 kg을 넣고,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15 kg과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15 kg 을 넣었다. 항아리 내부의 온도를 28℃로 맞추고 60일간 배양시켰다. 배양물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고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후, 미세하게 분쇄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입욕제 조성물의 효능에 대한 임상평가
상기 실시예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 입욕제 조성물 20g씩을 각각의 실시예 번호가 부여된 욕조에 넣고, 목욕물의 온도를 39℃에 맞춘 뒤, 피험자 별로 1 회에 40분 ~ 1 시간 동안 욕조에 들어가 입욕을 실시하였다. 입욕의 횟수는 피험자 각자의 증상에 따라 1회에서 10회까지 실시하였다.
총 임상대상자 1000명(10대: 60명, 20대: 70명, 30~60대: 870명, 남: 200명, 여: 800명)을 대상으로 입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1의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한 욕조에서 333명, 실시예1의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한 욕조에서 333명, 실시예1의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한 욕조에서 334명이 필요한 횟수만큼 입욕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성별, 인체손상의 정도, 연령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외관상의 체형교정 및 면역력증강 효과가 통계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되었으며, 천연해독 작용에 의한 인체기능 회복 및 미를 증진시키는 피부탄력향상이 뚜렷하게 확인되었으며, 이밖에 다른 다수의 효능들도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피험군의 96%에서 체형교정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피험군의 90%에서 장기기능 개선이 확인되었으며, 피험군의 거의 100%에서 근육의 문제가 개선됨이 확인되었다.
(1) 척추측만증, 후만증, 전만증 등의 개선
척추측만증, 후만증, 전만증 등의 증상을 갖고 있는 피험군(980명)은 증상이 매우 호전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증상이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한 목욕요법에 의해 호전되는 이유는 근육이완으로 인한 인체의 변화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근육이완에 의한 인체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낼 수 있다.
근육이완 →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이완 → 신경 → 척추 기립근 → 척추 뼈시스템
따라서, 이러한 순차적인 변화에 의해 종국적으로 척추 뼈시스템이 건강했을 때의 모습으로 회복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입욕제 조성물로 1회 입욕을 실시한 경우의 임상 사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해당 사진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에 의한 입욕에 의하여 비뚤어진 골격이 바로 세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10대의 임상 반응
(a) 전체적인 임상 결과
임상대상자 중 10대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와 만성 스트레스에 기인한 인체의 배런스가 무너진 대상자가 많았으나, 10대는 인체의 재생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도 체형교정의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인체의 기능 향상 효과도 확인되었다.
(b) 구체적인 임상 사례
연령, 성별 및 직업: 16세, 여성, 학생
증상:만성 척추측만증
입욕횟수: 10회
상기 임상대상자는 중1학년 때부터 조금씩 척추의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으며, 불편함도 없었기 때문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임상대상자의 척추는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손상되었으며, 수술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 입욕제의 임상에 참여하게 되었다.
임상 결과, 도3에 나타낸 것처럼, 단 1회의 입욕요법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척추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입욕요법의 실시 횟수가 늘어날수록 척추교정 효과는 크게 나타났으며, 10회의 입욕요법의 실시했을 때는 완벽하지 않지만 상당한 정도의 척추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20~30대의 임상 반응
(a) 전체적인 임상 결과
20~30대의 임상대상자는 직장생활, 학교생활 또는 결혼과 임신초의 심리적 스트레스로부터 오는 인체의 불균형에 의한 긴장성 어째 통증, 뒷목 근육 뭉침,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위장장애, 만성 피로로 인한 인체의 불균형 등의 증상을 80% 이상이 가지고 있었고, 150여명의 여성 피험자들은 생리통으로 고통을 겪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에 의한 입욕에 의하여 거의 모든 증상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b) 구체적인 임상 사례(임상 전후에 나타나는 인체 및 피부의 변화)
연령, 성별 및 직업: 25세, 여성, 회사원
입욕 횟수:10회
증상: 스트레스성 만성위장염, 역류성 식도염, 위산과다, 위하수체
임상대상자는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로서 평상시 불규칙적인 식사와 스트레스로 인한 위장장애로 병원에서 스트레스성 위장염이라는 진단을 받은 상태였으며, 꾸준한 치료 없이 증상이 있을 때만 약을 복용하면서 오랜 시간을 방치한 결과 위의 정체, 위산과다, 위하수체 증세가 아주 심한 상태였다.
임상 결과, 1회 입욕요법을 실시했을 때, 약 10분 경과후, 위장의 기능이 텃치가 되면서 피험자는 울렁거림, 구토 및 현기증을 호소했다. 이러한 반응은 본 발명의 성분파동이 인체에 적용되면서 인체에서 제일 약한 부분부터 텃치하여 건강했을 때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명현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입욕 횟수가 3회 이상이 되면서 임상대상자는 식사 시에 조금씩 편안함을 느끼기 시작했고, 입욕 횟수가 늘어나면서 10회에 가까웠을 때는 역류성 식도염도 차츰 개선되고, 심리적인 불안도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4) 40대 이상의 임상반응
(a) 전체적인 임상 결과
40대 이상은 인체가 급속도로 노화되는 시점이다. 그러므로 건강과 아름다움에 더욱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연령대이다. 40대 이상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증상들은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어깨 통증, 면역계 기능저하, 세포노화, 골격계 문제, 신경계를 비롯하여 근육기능저하, 운동부족으로 인한 근력저하, 혈액순환장애 등이다.
상기와 같은 증상들을 중점적으로 케어한 결과, 골격의 비대칭뿐만 아니라 힙선의 비대칭, 골반 전방부, 골반 후반부의 문제, 세포의 돌연변이 쥐젖이나, 비립종 문제, 정체되어 있던 5장6부의 문제 기능들이 완화, 개선 및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b) 구체적인 임상 사례
연령, 성별 및 직업: 52세, 여성, 사업
임상회수: 10회
증상: 무릎주름이 많고 비만 정도는 아니지만 인체내 노페물로 인하여 부종과 비슷한 현상에 의해 울퉁불퉁한 몸매라인을 갖고 있었으며, 만성피로 및 눈의 충혈 증상을 갖고 있는 상태였다. 상기 울퉁불퉁한 몸매라인은 빠져 나가야 할 인체 내의 독소들이 그대로 정체되어 각 인체장기 또는 혈액이나 기타 부분에 영향을 주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상기 만성피로는 간에 기능 약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으며, 그로 인하여 눈도 충혈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임상결과, 상기 임상대상자는 1~2회의 바디 입욕요법을 통해 근육강화작용에 의해 무릎주름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5회의 입욕요법을 실시했을 때, 피로뿐만 아니라, 눈의 충혈도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입욕요법의 자연치유원리에 의해 간 해독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10회 정도 입욕요법을 실시했을 때 눈에 띄게 몸매라인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 성별 및 직업: 53세, 남성, 가수
증상: 몸의 독소로 인한 피부색 침착, 소화불량 및 만성피로감
임상횟수: 13회
증상: 임상대상자는 얼굴에 각종 잡티가 많은 상태였으며, 복합성의 피부톤을 갖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피부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서 첫 인상이 매우 좋지 않았다.
임상결과, 1회 입욕요법을 했을 때, 피부톤이 많이 밝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5회 입욕요법의 실시부터는 색소침착, 모공수축, 목부분의 쥐젓 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화불양과 만성피로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Zizania latifolia) 10~25 중량%,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10~20 중량%, 어성초(Houttuynia cordata) 5~15 중량%, 삼백초(Saururus chinensis) 1~20 중량%, 익모초(Leonurus sibiricus) 1~15 중량%, 당귀(Angelica gigas) 1~15 중량%, 율무(Coix lachryma-jobi) 1~15 중량%, 차전자(Plantago asiatica) 1~10 중량% 및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액상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발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Saliconia herbacea) 1~10 중량%, 톱풀(Achillea sibirica) 7~17 중량%, 소리쟁이(Rumex crispus) 5~15 중량% 및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4. 1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Zizania latifolia) 10~25 중량%,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10~20 중량%, 어성초(Houttuynia cordata) 5~15 중량%, 삼백초(Saururus chinensis) 1~20 중량%, 익모초(Leonurus sibiricus) 1~15 중량%, 당귀(Angelica gigas) 1~15 중량%, 율무(Coix lachryma-jobi) 1~15 중량%, 차전자(Plantago asiatica) 1~10 중량% 및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1~10 중량%를 포함하는 1차 한약재를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고;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Zizania latifolia) 10~15 중량%,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1~10 중량%, 어성초(Houttuynia cordata) 1~10 중량%, 삼백초(Saururus chinensis) 5~15 중량%, 익모초(Leonurus sibiricus) 5~15 중량%, 당귀(Angelica gigas) 1~10 중량%, 율무(Coix lachryma-jobi) 3~12 중량%, 함초(Saliconia herbacea) 5~15 중량%, 차전자(Plantago asiatica) 1~10 중량%, 톱풀(Achillea sibirica) 5~15 중량%, 소리쟁이(Rumex crispus) 5~15 중량%,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1~10 중량% 및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고,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액상발효시켜서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에서 1차 한약재에 대한 액상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발효되며, 2차 한약재에 대한 액상발효는 26~30℃의 온도에서 50~70일간 발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1차 한약재는 1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Saliconia herbacea) 1~10 중량%, 톱풀(Achillea sibirica) 7~17 중량%, 소리쟁이(Rumex crispus) 5~15 중량% 및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7.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Zizania latifolia) 10~25 중량%,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10~20 중량%, 어성초(Houttuynia cordata) 5~15 중량%, 삼백초(Saururus chinensis) 1~20 중량%, 익모초(Leonurus sibiricus) 1~15 중량%, 당귀(Angelica gigas) 1~15 중량%, 율무(Coix lachryma-jobi) 1~15 중량%, 차전자(Plantago asiatica) 1~10 중량% 및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물 및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를 혼합하고, 30~40℃의 온도에서 50~10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발효에 의해 얻은 배양물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한약재는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Saliconia herbacea) 1~10 중량%, 톱풀(Achillea sibirica) 7~17 중량%, 소리쟁이(Rumex crispus) 5~15 중량% 및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7 또는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를 분리하여 건조, 멸균 및 분쇄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에, 2차 한약재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줄풀(Zizania latifolia) 10~15 중량%, 인진쑥(Artemisia capillaries) 1~10 중량%, 어성초(Houttuynia cordata) 1~10 중량%, 삼백초(Saururus chinensis) 5~15 중량%, 익모초(Leonurus sibiricus) 5~15 중량%, 당귀(Angelica gigas) 1~10 중량%, 율무(Coix lachryma-jobi) 3~12 중량%, 함초(Saliconia herbacea) 5~15 중량%, 차전자(Plantago asiatica) 1~10 중량%, 톱풀(Achillea sibirica) 5~15 중량%, 소리쟁이(Rumex crispus) 5~15 중량%,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1~10 중량% 및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1~5 중량%를 포함하는 2차 한약재를 상기 분쇄시킨 슬러지와 3:7~7:3의 중량비로 분말 상태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과 물, 및 누룩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혼합하고, 26~30℃의 온도에서 50~70일간 액상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55287A 2009-12-30 2010-06-11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02,103 US8715650B2 (en) 2009-12-30 2011-06-10 Bath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CT/KR2011/004269 WO2011155792A2 (ko) 2010-06-11 2011-06-10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180028023.8A CN102985064B (zh) 2010-06-11 2011-06-10 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480 2009-12-30
KR20090133480 2009-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379B1 true KR100995379B1 (ko) 2010-11-19

Family

ID=4340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287A KR100995379B1 (ko) 2009-12-30 2010-06-11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5650B2 (ko)
KR (1) KR100995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12B1 (ko) 2011-05-25 2012-01-30 이귀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 및 그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KR101488376B1 (ko) * 2012-12-28 2015-0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줄풀 거품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502B1 (ko) 2021-09-07 2022-07-22 황재호 미네랄 파우더가 함유된 수용성 필름 분말형 입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1469A (zh) * 2017-08-04 2017-12-08 芜湖凯奥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艾草足浴粉
JP2020164491A (ja) * 2019-03-29 2020-10-08 丸善製薬株式会社 ヨモギ属植物発酵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JP2020164486A (ja) * 2019-03-29 2020-10-08 丸善製薬株式会社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09B1 (ko) 2007-12-27 2009-02-27 장흥군 생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의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317A (ja) * 1989-07-10 1991-02-26 Mareyoshi Sawaguchi マコモ及びその近縁類を含有する入浴剤
JPH05140597A (ja) 1991-11-25 1993-06-08 Shieburesuto Japan:Kk 皮膚用洗浄剤
KR100512148B1 (ko) 2002-10-12 2005-09-02 홍성재 자연식물 추출성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JP4530832B2 (ja) * 2004-12-17 2010-08-25 株式会社資生堂 美白用皮膚外用剤、美白剤、美白方法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KR100842037B1 (ko) * 2006-11-01 2008-06-30 조상철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KR20080073466A (ko) 2007-02-06 2008-08-11 키맥스(주) 생약 혼합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0661B1 (ko) * 2007-04-05 2009-02-04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09B1 (ko) 2007-12-27 2009-02-27 장흥군 생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의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12B1 (ko) 2011-05-25 2012-01-30 이귀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 및 그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KR101488376B1 (ko) * 2012-12-28 2015-0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줄풀 거품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502B1 (ko) 2021-09-07 2022-07-22 황재호 미네랄 파우더가 함유된 수용성 필름 분말형 입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15650B2 (en) 2014-05-06
US20130071376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3717A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5379B1 (ko)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68567B (zh) 一种黑膏药及其制备方法
CN101337059A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膏药及其制备方法
CN103432475A (zh) 一种治疗过敏性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614444A (zh) 一种有效治疗酒醉综合症的口服液
CN105560748A (zh) 一种拔毒膏及其制备方法
CN106974278A (zh) 一种前列腺营养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674704A (zh) 一种调理湿热体质的中药泡浴抑菌液/颗粒及制备与使用方法
CN104524464A (zh) 一种治疗多动症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204550B (zh) 一种治疗癫痫的药物
CN102988747B (zh) 一种三刺降三高的冲剂及其制备方法
CN112042933A (zh) 一种培养肠道菌群改善脾胃虚弱的内服减肥食品配方及其制作方法
WO2011155792A2 (ko)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520644B (zh) 用于治疗痰瘀型高脂血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729328A (zh) 一种治疗癌症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2078588B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中药联合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963685A (zh) 植物袪斑美容液
CN105168973A (zh) 一种治疗颈腰椎病的中药
CN104998131A (zh) 可用于促进伤骨愈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841C (zh) 治疗婴幼儿肺炎的外贴药膏及应用外贴药膏的外用药贴的制备方法
CN105029982B (zh) 一种治疗颈椎病的保健枕枕垫的制作方法及其枕垫原料配方
CN105641273A (zh) 一种桑寄生强筋骨除风湿足浴液及其制备方法
CN104800783A (zh) 一种缓解疲劳的中药精油及制备方法
CN104740478A (zh) 一种用于急诊处理酒精中毒征的中药丸剂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