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037B1 -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037B1
KR100842037B1 KR1020060107011A KR20060107011A KR100842037B1 KR 100842037 B1 KR100842037 B1 KR 100842037B1 KR 1020060107011 A KR1020060107011 A KR 1020060107011A KR 20060107011 A KR20060107011 A KR 20060107011A KR 100842037 B1 KR100842037 B1 KR 10084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antain
fumigation
purslane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573A (ko
Inventor
조상철
Original Assignee
조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철 filed Critical 조상철
Priority to KR102006010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03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인병, 산후복통, 해열, 소염, 피부궤양, 항균, 지혈작용을 갖는 질경이 추출물과 악창, 옴, 임질, 변비, 억균작용, 오래된 흉터제거, 항문과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 및 피를 멎게하는 작용을 갖는 쇠비름 추출물과 피로회복, 생체기능의 활성화, 생식기능의 촉진, 혈관벽의 강화, 항종양 작용을 갖는 녹차 추출물과 살충, 항균작용, 해독작용, 피를 멈추게하는 작용, 상처를 빨리 아물게하는 작용을 갖는 명반으로 조성된 훈증,좌욕용 목욕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훈증,좌욕용 목욕액, 질경이, 쇠비름, 녹차, 명반

Description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ath liquid for fumigation, sitz bath}
본 발명은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염, 항균, 지혈작용을 갖는 질경이 추출물과 억균, 흉터제거, 항문과 자궁을 수축시키고, 지혈작용을 갖는 쇠비름 추출물과 생식기능의 촉진, 혈관벽의 강화 항종양 작용을 갖는 녹차 추출물과 살충, 해독, 항균, 지혈,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작용을 갖는 명반을 이용한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 목욕액은 약용, 미용용 여성청결제와 쑥,국화와 같은 단일식물을 건조하여 훈증,좌욕하는 재래적인 방법이 쓰이고 있다.
약용이나 미용용의 여성청결제는 살균을 위주로 하여 여성생식기의 청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재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열·항균작용을 갖는 쑥이나 국화·장미등은 향기 요법을 통한 청결제라고 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미용작용을 하지 못한다 고 볼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66950호에는 쑥, 녹차, 박하, 천궁, 당귀, 정향, 곽향, 소목을 그늘에서 자연 건조시키는 공정과, 건조된 한약재를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공정과, 분쇄된 한약재를 배합하는 공정과, 배합된 분말상 한약재를 부직포로 된 포대에 충전하는 공정과 포대의 개국부를 고주파 융착으로 밀봉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한약재를 이용한 반신욕제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1998-417호에는 리코핀, 차전초, 감파, 콜드크림, 박하로 구성된 모발처리용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5-7046호에는 계피, 목별자, 백반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구성된 생약함유화장수가 기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주거 환경은 좌식 온돌구조이며 이로 인하여 여성생식기와 남녀 항문건강이 좋지 않다고 보는 학설이 지배적이며 생식기와 항문 건강에 효과적인 비데의 보급이 일반화 되어있지 않으므로 생식기와 항문의 청결한 건강 관리가 부족하다 하겠다.
주거환경과 비위생적인 배변습관,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의 출현이 요청되고 있으나 생식기와 항문은 개인이 드러내고 말하기 어려운 부끄러운 신체부위이며, 이에 따라서 가정이나 대중목욕탕에서 간편하게 위생관리를 할수 있는 제품의 등장이 아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플라보노이드, 타닌, 프라타긴, 무기질, 단백질, 비타민류, 당분등을 함유한 질경이 추출물과 토마민, 노라드레나린을 함유한 쇠비름 추출물과 카페인, 타닌산, 비타민C, 비타민E, 루틴, 에피칼 카데킨 카레트, 불소 등을 함유한 녹차 추출물과 염기성 류산알루미늄칼륨의 명반으로 조성된 훈증,좌욕용 목욕액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정에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의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훈증, 좌욕용 목욕액에 관한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타닌, 프라타긴, 무기질, 단백질, 비타민류, 당분 등을 함유하여 부인병, 산후복통, 해열, 소염, 피부궤양, 항균지혈작용을 하는 질경이 추출물과 악창, 음, 임질, 변비, 억균작용, 지혈작용, 오래된 흉터 제거, 항문과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는 쇠비름 추출물과 피로회복, 생체기능의 활성화, 생식 기능의 촉진, 혈관벽의 강화, 항종양작용을 하는 녹차추출물을 각각추출 하기 위하여 100℃~120℃의 온도로 24시간 가열, 가압, 농축한 후에, 농축된 질경이 추출물 45~48중량% 쇠비름 45~48중량%, 녹차추출물 4~10중량%의 비율로 배합하고 상기 배합된 추출물에 살충, 해독,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작용이 있는 명반을 넣고 100℃~120℃의 온도로 2시간동안 용해,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목욕제의 제조방법인것이다.
질경이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채 뽑아 말려서 차전초(車前草)라 하고,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는 약재로 사용하고, 한국, 일본, 사할린, 타이완, 중국, 시베리아, 동부 히말라야, 자바,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질경이 전초의 성분은 오쿠빈(aucubin), 플란타기닌(plantaginin), 호모플란타기닌(homoplantaginin)등의 배당체와 탄닌, 우르솔산(ursolic acid), 피토스테롤글리코시드(phytosterol glycosides)이고, 이들 스테롤류인 베타시토스테롤팔미테이트(β-sitosterol palmitate), 스티그마스테롤팔미테이트(stigmasterol palmitate) 등이 점액성 팽화물질의 주체이다. 차전자(Plantaginis Semen)에는 뮤실라제(mucilage(9%내외))로 플란타산(Plantasan), 플란타고뮤실라제 A(plantago mucilage A(L-arabinose, D-xylose, Dglucuronic acid, D-galacturonic acid))가 함유되어 있고 이리도이드 배당체 (Iridoidal glycoside)인 오쿠빈 (aucubin),게니피오시딕애씨드 (genipiosidic acid) 가 있고 플라본배당체 (flavone glycoside)로서 플란타고시드 (plantagoside) 기타 아세토시드(acetoside), 시린긴(syringin), 콜린(choline) 및 기타의 지방산 등이 들어 있다.
질경이는 "플란타기닌"이라는 배당체와 탄닌이 함유되어 있어서 이뇨제, 진해, 거담, 건위, 지사(止瀉), 해열, 소염, 강장제 등으로 쓰이고, 간 기능을 활성화하여 어지럼증, 두통에 효과가 있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도 효과가 있다. 항균작용도 있어서 급만성 세균성 설사,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의 치료에도 이용한다.
민간약으로는 종기에 생잎을 불에 쬐어 부드럽게 해서 붙이면 좋고 치통에는 생잎을 소금에 비벼서 아픈 이에 물고 있으면 치통이 멎는다고 한다.
질경이에 대한 논문들을 살펴보면, 질경이 종자의 페닐프로파노이드 (phenylpropanoid) 성분이 이뇨효과와 항염효과(특히 간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차전자와 차전자피에는 물을 함유할 수 있는 피토스테롤글리코시드 (phytosterol glyicoside), 뮤실라제 (mucilage)로 대표되는 점액성 성분을 가지고 있어 식품쪽에서는 다이어트와 변비개선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보체를 활성화시키는 면역증강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플란타고시드는 알파만노시다제 억제제 (α-mannosidase inhibitor) 로서 면역억제 기능이 있다. 그리고 질경이 잎은 상처재생효과 (wound healing)도 가지고 있으며, 페닐에타노이드 (phenylethanoid)는 생쥐 귀의 부종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있다. 질경이에 함유된 우르솔산(Ursolic acid)과 지방산 (Fatty acid)들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 억제제로도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질경이와 차전자에 대한 특허들을 살펴보면,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382602)",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 방법(한국등록특허 0344325)",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313491)", "화상치료용 고약조성물 (한국등록특허 0167535)" 등이 등록되어 있고, 피부에 대한 특허를 살펴보면,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2002-0044266)", "기미.주근깨 제거용 한방 팩 재료 (한국공개특허 2000-0049466)",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한국공개특허1999-0054326)", "차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한국공개특허1998-067528)" 등이 공개되어 있다. 질경이의 주성분인 오쿠빈(Aucubin) 에 대해서는 "B형 간염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약학적 제제 (한국등록특허0218052)" 가 등록되어 있다.
쇠비름은 학명이 Partulaca oleracea L이며 일련생 다육질 초목으로 털이 없고 매끌매끌하다. 높이는 20~30cm 이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지면에 붙어 뻗거나 비스듬히 위로 뻗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나온다. 개화기는 6~9월이며, 결실기는 7~10월이다. 전야, 황무지에 많이 나며 전국에 분포한다,
맛은 시고 성질은 차며 무독하다 대장, 간에 들어가며, 다량의 노라드레난린(noradremaline) 와 다량의 칼륨염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1, B2, C 가 함유되어 있고 알카로이드, 알라닌, 서당, 포도당과당 등도 함유되어 있다. 항균작용과 살균작용이 있으며, 티푸스병, 대장균, 황색포도구균에 제어작용이 있으며, 자궁수축, 청혈, 해독에 효능이 있다.(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정보섭, 신민교 편저 도서출판 영림사 1998년 1월 중판, 350쪽 참고)
녹차의 주성분인 카테킨류는 성인병 예방과 암예방에 관계하여 암예방 효능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후천성 면역결핍증바이러스와 충치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살균능력이 있어 충치예방 치약이나 소취제 및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 으며,
상기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류나 데아닌의 카페인 성분이 체내에 바로 흡수되면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혈당 상승억제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환자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녹차에서 쓴맛과 강한 떫은맛이 있어 차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성분인데 동물실험에서 항암 및 항염증 작용이 있으며, 기타 미네랄과 미량 원소가 함유되어 있어 노화예방이나, 항암효과 성인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일반화된 상식이 되었다.
녹차는 예로부터 즐겨 마시던 음료로서, 당나라의 육우가 지은 다경의 "차의 옛일" 편에 한나라 이전에 차를 마신 성립연대는 차를 가리키는 글자에 문제가 있어 가장 믿을 만한 것은 전한의 선제때 왕포라는 선비가 만든 노예매매계약서인 동약(BC59)에서부터 기원되었으며, 차에는 타닌산, 카페인, 아미노산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타닌산은 12% 전후이며 떫은맛이 있으며, 수렴작용과 지혈 작용을 하고, 카폐인은 쌉쌀한 맛의 성분으로서 평균 1~2%함유되어 있는데 신경을 흥분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이뇨작용을 하며 피로회복에 좋으며, 아미노산은 차의 단맛과 관계가 있으며, 향기는 극히 미량이 함유된 정유성분에 의하고, 비타민 C는 녹차에 많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공정(준비공정)
질경이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질경이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의 질경이 추출액을 얻은 다음,
쇠비름을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쇠비름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의 쇠비름 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녹차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 의 녹차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제2공정(혼합공정)
상기 추출물을 각각 70℃~100℃의 온도로 24시간 재가열, 가압, 농축한 후에,
상기 농축된 질경이 추출물 45kg, 농축된 쇠비름 추출물 45kg, 농축된 녹차추출물 10kg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명반 10kg을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2시간 동안 교반, 용해하여 훈증,좌욕용 목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1공정(준비공정)
질경이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질경이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의 질경이 추출액을 얻은 다음,
쇠비름을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쇠비름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 의 쇠비름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녹차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 의 녹차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제2공정(혼합공정)
상기 추출물을 각각 70℃~100℃의 온도로 24시간 재가열, 가압, 농축한 후에,
상기 농축된 질경이 추출물 48kg, 농축된 쇠비름 추출물 48kg, 농축된 녹차추출물 4kg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명반 4kg을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2시간동안 교반, 용해하여 훈증,좌욕용 목욕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관능검사
2006년 3월 1일부터 2006년 7월 30일까지 50명의 실험자(남자25명, 여자 25명)를 대상으로 피부보습효과(부드러움), 피로회복감 및 스트레스 해소, 통증완화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욕은 좌욕기를 사용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훈증,좌욕용 목욕액 1kg을 80~90℃로 데워서 20분 동안 훈증하고, 좌욕수 온도는 40℃로 유지하여 좌욕한 후에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5회 연속 관능검사를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1
보습효과 피로회복 통증완화 비고
남성 4.0 4.1 4.1
여성 4.2 4.2 4.3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
2 : 나쁘다, 약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강하다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훈증,좌욕용 목욕액은 5회 입욕한 결과 피부보습효과(부드러움), 피로회복감 및 스트레스 해소, 통증완화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정이나 대중 목욕탕 등에서 간편하게 본 훈증,좌욕용 미용액을 온수에 첨가하여 또는 좌욕기를 사용함으로써 피로회복, 생체기능의 활성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생식기와 항문의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하다고 본다.

Claims (1)

  1.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준비공정)
    질경이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질경이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의 질경이 추출액을 얻은 다음,
    쇠비름을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쇠비름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의 쇠비름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녹차 10kg을 물 200kg에 넣고 100℃~150℃의 온도로 48시간 가열하여 100kg 의 녹차추출액을 얻어 준비하고,
    제2공정(혼합공정)
    상기 추출물을 각각 70℃~100℃의 온도로 24시간 재가열, 가압, 농축한 후에,
    상기 농축된 질경이 추출물 45~48kg, 농축된 쇠비름 추출물 45~48kg, 농축된 녹차추출물 4~10kg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명반 4~10kg을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로 2시간동안 교반, 용해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KR1020060107011A 2006-11-01 2006-11-01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KR10084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11A KR100842037B1 (ko) 2006-11-01 2006-11-01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11A KR100842037B1 (ko) 2006-11-01 2006-11-01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73A KR20080039573A (ko) 2008-05-07
KR100842037B1 true KR100842037B1 (ko) 2008-06-30

Family

ID=3964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11A KR100842037B1 (ko) 2006-11-01 2006-11-01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379B1 (ko) * 2009-12-30 2010-11-19 이동주 입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024A (ko) 2001-11-26 2003-06-02 김성호 항암성분을 함유한 약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024A (ko) 2001-11-26 2003-06-02 김성호 항암성분을 함유한 약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73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re Indian herbal remedies: rational Western therapy, ayurvedic, and other traditional usage, Botany
CN103070961B (zh) 一种中药抑菌养生护理足浴液及其制备方法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CN102145077B (zh) 一种治疗急性牙周炎的口腔中药制剂
CN112868678A (zh) 一种植物抗菌除螨剂及其制备方法和包含该植物抗菌除螨剂的日用品
CN102488814B (zh) 治疗奶牛乳房炎的中药组合物
CN113876688A (zh) 抑菌养护洗液及其制备方法
CN104435797A (zh) 一种治疗细菌性阴道炎的中药海绵及其制备方法
CN106237247A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组合物
KR100842037B1 (ko) 훈증,좌욕용 목욕액의 제조방법
CN105832619A (zh) 杀菌除臭足浴盐及制备方法
CN105250695A (zh) 顽癣中药酒
KR102039718B1 (ko)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21283A (zh) 一种治疗皮肤疾病的中药药膏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288096A (zh) 一种治疗青春痘的药物
CN105534795A (zh) 能温和去屑的洗发盐及制备方法
CN105250525A (zh) 一种治疗糖尿病足的中药洗剂及其制备方法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04721348A (zh) 一种治疗急性泪囊炎的中药汤剂及其制备方法
CN104623040A (zh) 一种用于创口杀菌消炎的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688850A (zh) 一种中药漱口水
CN109010640A (zh) 一种治疗皮肤病的外用药物及制备方法
CN103845678A (zh) 一种治疗婴幼儿皮炎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