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95B1 -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95B1
KR100995195B1 KR20087017793A KR20087017793A KR100995195B1 KR 100995195 B1 KR100995195 B1 KR 100995195B1 KR 20087017793 A KR20087017793 A KR 20087017793A KR 20087017793 A KR20087017793 A KR 20087017793A KR 100995195 B1 KR100995195 B1 KR 10099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ata flow
communication quality
wireless communication
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052A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다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대한 통신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를 무선 통신 단말과 송수신한다. 통신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캐리어를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송신기와,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우선도에 근거하여,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할당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COMMUNICATION CONTROL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한 통신에 적용되는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을 이용한 이동 통신 방식에 있어서, 고속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1xEV-DO(1x evolution-data only)가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2-300644호(제2-3페이지, 도 1)).
1xEV-DO에서는, 하나의 캐리어가 한 명의 사용자(무선 통신 단말)에게 할당된다. 또한, 복수의 캐리어(예컨대, 3개의 캐리어)를 하나의 사용자에게 할당함으로써, 더욱 더 고속인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이른바 "멀티캐리어"(nxEV-DO)의 도입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1xEV-DORev.A에서, 우선도 제어(QoS 제어)는 음성 데이터(VoIP)나 파일 전송 등의 데이터 플로우를 적절히 취급하기 위해 데이터 플로우마다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멀티캐리어의 경우에, 논리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플로우는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직-병렬 변환(S/P 변환)되어, 복수의 캐리어로 할당된다.
상기한 우선도 제어가 nxEV-DO에 적용되는 경우에, 데이터 플로우가 복수의 캐리어에 분산되기 때문에, 멀티캐리어를 구성하는 일부 캐리어에서 장해가 발생하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모든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하는 문제가 있다.
즉, 다른 캐리어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장해가 복구될 때까지 모든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를 복수 전송하는 경우에, QoS 제어를 확실히 실행함과 아울러, 일부의 캐리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모든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복수의 캐리어(캐리어(C1~C3))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플로우 우선도)를 갖는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QoS 플로우(F1, F2))를 무선 통신 단말(무선 통신 단말(210))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시스템(통신 제어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송신기(무선 송수신 유닛(111))와, 상기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기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QoS 플로우(F1))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QoS 플로우(F2))와는 다른 캐리어(예컨대, 캐리어(C1))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할당 유닛(캐리어 할당 유닛(127))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통신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가,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다.
그로 인해, 멀티캐리어를 구성하는 일부의 캐리어에 장해가 발생하여도, 모든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를 각각 다른 캐리어에 할당하기 때문에, 우선도에 따른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 제어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수신기(무선 송수신 유닛(111))와, 상기 캐리어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품질 측정 유닛(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을 더 구비하되,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최고의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QoS 플로우(F1))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최적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예컨대, 캐리어(C1))를 할당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전송 지연 시간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송 지연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에러율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러율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보고되는 새로운 통신 품질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새로운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가 실행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그 자신과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상기 캐리어의 개수가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그 자신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플로우의 개수가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관점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를 무선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단말(무선 통신 단말(210))로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송신기(무선 송수신 유닛(211))와, 상기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QoS 플로우(F1))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예컨대, 캐리어(C1))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할당 유닛(캐리어 할당 유닛(219))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0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수신기(무선 송수신 유닛(211))와, 상기 캐리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품질 측정 유닛(통신 품질 측정 유닛(217))을 더 구비하되,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1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최고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최적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를 할당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1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전송 지연 시간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송 지연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1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에러율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러율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1 내지 제 1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보고되는 새로운 통신 품질이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0 내지 제 1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가 실행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0 내지 제 1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그 자신과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상기 캐리어의 개수가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관점은 본 발명의 제 10 내지 제 14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그 자신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개수가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관점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하는 단계(S110~S240)와,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일부의 캐리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QoS 제어를 확실히 실행함과 아울러, 모든 데이터의 전송이 중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플로우(데이터 플로우)의 접속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플로우에의 캐리어 할당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oS 초기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 우선도 결정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성능 패킷의 할당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할당 처리가 재실행되는 경우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우선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도면은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사이즈의 비율 등은 실제와는 다르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이즈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해야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의 사이즈의 관계나 비율이 각각 서로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의 개략 구성도이다.
통신 제어 시스템(100) 및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고속 데이터 통신(nxEV-DO)을 제공한다. 특히, 통신 제어 시스템(100) 및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QoS 플로우"라고 함)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액세스 포인트(110A~110C), BTS/PCF(120) 및 PDSN(130)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10A~110C)는 사전 결정된 주파수(예컨대, 2㎓ 밴드)의 캐리어(캐리어(C1~C3))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지국이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110A)는 캐리어(C1)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3개의 캐리어(3x)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10A~110C)는 복수의 QoS 플로우, 특히, QoS 플로우(F1) 및 QoS 플로우(F2)를 BTS/PCF(120)와 송수신한다.
BTS/PCF(120)(base transceiver station/packet control function)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를 관리하고, QoS 플로우 설정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PDSN(130)(packet data servicing node)는 IP 네트워크(300)에 대해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PDSN(130)은 통신 제어 시스템(100)을 거쳐 전송되는 QoS 플로우를 중계하거나, QoS 플로우에 포함되는 데이터량(traffic) 등을 감시한다.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 단말(210) 및 사용자 단말(22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단말(210)은 멀티캐리어에 의해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210)은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QoS 플로우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은 무선 통신 단말(210)과 접속되어, 파일 전송이나,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등을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나 PDA가 사용자 단말(220)로서 이용될 수 있다.
IP 네트워크(300)는 IP 패킷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IP 네트워크(300)에는 인터넷이 포함될 수 있다.
IP 전화 단말(410)은 IP 네트워크(300)와 접속되어, VoIP(voice over IP)를 이용하여 패킷화된 음성 데이터(D1)를 송수신한다. 음성 데이터(D1)는 QoS 플로우(F1)로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에서 취급되고, 캐리어(C1)에 의해 전송된다.
웹 서버(420)는 IP 네트워크(300)와 접속되어, HTML 문서나 스트리밍 데이터 등을 제공한다.
FTP 서버(430)는 IP 네트워크(300)와 접속되어,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따른 파일 데이터(D2)를 사용자 단말(220)에 송신한다. 파일 데이터(D2)는 통신 제어 시스템(100)에서 QoS 플로우(F2)로서 취급되고, 캐리어(C2)에 의해 전송된다.
(기능 블럭 구성)
도 2는 통신 제어 시스템(100)의 기능 블럭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액세 스 단말 디바이스(200)의 기능 블럭 구성도이다.
또,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의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함을 유의하자. 따라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 및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는 설명하는 블록 이외의 필수적인 블록(전원 유닛 등)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1) 통신 제어 시스템(100)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액세스 포인트(110A~110C), BTS/PCF(120) 및 PDSN(130)을 포함한다.
(1.1) 액세스 포인트(110A~110C)
각 액세스 포인트(110A~110C)에는 무선 송수신 유닛(111) 및 신호 프로세서(113)가 제공된다.
무선 송수신 유닛(111)은 사전 결정된 주파수의 캐리어를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111)은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신된 캐리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특히, 무선 통신 단말(210))에 송신하는 캐리어 송신기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의 무선 송수신 유닛(111)으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캐리어를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캐리어 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의 무선 송수신 유닛(111)으로 구성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111)은 신호 프로세서(113)와 베이스밴드 신호를 송 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의 디지털 변조(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신호 프로세서(113)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프로세서(113)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QoS 플로우(QoS 플로우(F1, F2))를 중계한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113)는 무선 송수신 유닛(111)이 수신한 캐리어의 수신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예컨대, 신호 강도)를 BTS/PCF(120)에 통지한다.
(1.2) BTS/PCF(120)
BTS/PCF(120)는 신호 프로세서(121), QoS 프로세서(123),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 및 캐리어 할당 유닛(127)을 포함한다.
신호 프로세서(121)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를 거쳐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처리 등을 실행한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121)는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수신되는 복수의 QoS 플로우를 중계한다.
QoS 프로세서(123)는 신호 프로세서(121)가 중계하는 QoS 플로우의 우선도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QoS 프로세서(123)는 각 QoS 플로우에 대한 우선도를 가리키는 "플로우 우선도"와, 각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우선도를 가리키는 "AP 우선도"를 이용하여, QoS 플로우에 대한 우선도 제어를 실행한다.
플로우 우선도는,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가 통신을 시작할 때에,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로부터 BTS/PCF(120) 및 PDSN(130)에 통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4단계의 플로우 우선도가 설정된다. 특히, 음성 데이터(D1)를 포함하는 QoS 플로우(F1)의 플로우 우선도는 "04"(최고)로 설정된다. 또한, 파일 데이터(D2)를 포함하는 QoS 플로우(F2)의 플로우 우선도는 "01"(최저)로 설정된다.
AP 우선도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에 의해 수신되는 캐리어의 통신 품질에 따라 결정된다. AP 우선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은 각 액세스 포인트(110A~110C)의 무선 송수신 유닛(111)에 의해 수신된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 특히,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은 신호 프로세서(113)에 의해 통지된 캐리어의 수신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예컨대, 신호 강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110A~110C)에 의해 수신된 각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한다.
또한,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은 신호 프로세서(121)에 의해 중계되는 QoS 플로우를 감시함으로써, QoS 플로우에 포함되는 패킷의 에러율이나, 전송 지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신호 프로세서(121)에 의해 중계되는 QoS 플로우에 캐리어를 할당한다. 특히, 각 QoS 플로우의 플로우 우선도에 근거하여,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각각의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의 우선도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다른 데이터 플로우의 캐리어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한다.
예컨대,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QoS 플로우(F1) 및 QoS 플로우(F2)의 플로우 우선도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F2)의 캐리어와 다른 캐리어(예컨대, 캐리어(C1))를, QoS 플로우(F2)의 우선도와 다른 우선도를 가진 QoS 플로우(F1)에 할당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에 의해 측정된 통신 품질(예컨대, 신호 강도)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품질에 근거하는 캐리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그것의 결정 타이밍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또한,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최고 플로우 우선도의 QoS 플로우(F1)에,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에 의해 측정된 최적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1.3) PDSN(130)
PDSN(130)은 신호 프로세서(131) 및 QoS 프로세서(133)를 포함한다.
신호 프로세서(131)는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수신되는 복수의 QoS 플로우를 중계한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131)는 중계될 QoS 플로우에 포함되는 데이터량(traffic) 등을 감시한다.
QoS 프로세서(133)는, QoS 플로우의 플로우 우선도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의 설정이나 우선도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2)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는 무선 통신 단말(210) 및 사용자 단말(220)을 포함한다.
(2.1) 무선 통신 단말(210)
무선 통신 단말(210)은 무선 송수신 유닛(211), 신호 프로세서(213) 및 QoS 프로세서(215)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 유닛(211)은 사전 결정된 주파수의 캐리어를 액세스 포인트(110A~110C)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211)은 액세스 포인트(110A~110C)로부터 송신된 캐리어를 수신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송수신 유닛(211)은 3개의 캐리어(캐리어(C1~C3))를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 유닛(211)은 베이스밴드 신호를 신호 프로세서(213)와 송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의 디지털 변조(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신호 프로세서(213)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신호 프로세서(213)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QoS 플로우(F1)의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신호 프로세서(213)는 QoS 플로우(F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D1)의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신호 프로세서(213)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QoS 플로우(F2)를 중계한다.
QoS 프로세서(215)는 신호 프로세서(213)에 의해 중계되는 QoS 플로우의 우선도 제어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QoS 프로세서(215)는, 상술한 QoS 프로세서(123)와 같은 방법으로, 플로우 우선도와 AP 우선도를 이용함으로써, QoS 플로우의 우선도 제어를 실행한다.
(2.2) 사용자 단말(220)
사용자 단말(220)은 본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럭으로서, 신호 프로세서(221)를 포함한다.
신호 프로세서(221)는 신호 프로세서(213)에 의해 중계된 QoS 플로우(F2)에 포함되는 파일 데이터(D2)를 FTP에 따라 취득한다.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특히, 다른 우선도의 QoS 플로우(F1) 및 QoS 플로우(F2)에 캐리어를 할당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고, 이 동작은 통신 제어 시스템(100) 및 무선 통신 단말(210)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1) QoS 플로우 접속 순서도
도 4는 QoS 플로우의 접속 순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웹 서버(420)로부터의 파일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210)에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20에서, 무선 통신 단말(210)은, 수신된 접속 요구에 근거하여, PDSN(130)과 무선 섹션 설정(Air Connection Setup)을 실행한다.
단계 S30에서, PDSN(130)은 접속 요구를 웹 서버(420)에 송신한다.
단계 S40에서, 웹 서버(420)는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220)에 송신한다.
단계 S5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웹 서버(420)로부터의 파일 전송에 적용될 플로우 우선도를 설정(QoS 설정)하도록 요구를 발행한다.
단계 S60에서, 무선 통신 단말(210)은, 수신된 QoS 설정 요구에 근거하여, BTS/PCF(120)와 QoS 설정(QoS 설정)을 실행한다.
단계 S70에서, 무선 통신 단말(210)은, 수신된 QoS 설정 요구에 근거하여, PDSN(130)과도 QoS 설정(QoS 설정)을 실행한다.
단계 S80에서, PDSN(130)은 QoS 설정 요구를 웹 서버(420)에 송신한다.
단계 S90에서, 웹 서버(420)는 QoS 설정의 완료를 가리키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20)에 송신한다.
단계 S100A에서, 사용자 단말(220) 및 무선 통신 단말(210)은 QoS 플로우(F2)의 접속을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100B에서, 무선 통신 단말(210) 및 PDSN(130)도 QoS 플로우(F2)의 접속을 실행한다. 또한, 단계 S100C에서, PDSN(130) 및 웹 서버(420)도 QoS 플로우(F2)의 접속을 실행한다.
(2) 할당 처리
도 5는 QoS 플로우에의 캐리어의 할당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할당 처리 플로우는 블럭(BL1~BL3) 및 단계 S240의 처리로 구분될 수 있다.
(2.1) 전체 처리 플로우
단계 S11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QoS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QoS 초기화 처리의 내용은 후술될 것이다.
단계 S12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AP 우선도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AP 우선도 결정 처리의 내용은 후술될 것이다.
단계 S13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할당 대상 QoS 플로우의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변수(i)를 "1"로 설정한다.
단계 S14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할당 대상 캐리어(APs)의 어느 하 나를 가리키는 변수(j)를 "1"로 설정한다.
단계 S15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할당 대상 QoS 플로우의 변수(i)가 QoS 플로우의 개수(Nqos)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Nqos가 i 이상인 경우(단계 S150에서 예), 단계 S16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멀티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는 APs의 최대 개수(Ncarrier)가 할당 대상 AP를 가리키는 변수(j)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Ncarrier가 j 이상인 경우(단계 S160에서 예), 단계 S17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플로우 우선도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된 QoS 플로우 중 하나(QoS[i])를 AP(AP[j])에 할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높은 플로우 우선도를 가진 QoS 플로우(F1)가 AP(특히, 캐리어(C1))에 할당된다. 다음에, QoS 플로우(F2)가 캐리어(C2)에 할당된다.
단계 S18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변수(i) 및 (j)에 "1"을 가산한다.
Ncarrier가 j 미만인 경우(단계 S160에서 아니오), 단계 S19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변수(j)의 값을 Ncarrier의 값으로 변경한다.
단계 S20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할당 대상 QoS 플로우의 개수(Nqos)가 할당 대상 QoS 플로우의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변수(i)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Nqos가 i 이상의 경우(단계 S200에서 예), 단계 S21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할당 대상의 AP를 가리키는 변수(j)가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j가 0이 아닌 경우(단계 S210에서 아니오), 단계 S22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플로우 우선도가 내림차순으로 재배열된 QoS 플로우(QoS[i])를 AP(AP[j])에 할당한다.
j가 0인 경우(단계 S210에서 예),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단계 S40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3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변수(i) 및 변수(j)에 "1"을 가산하고, 단계 S200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Nqos가 i 미만인 경우(단계 S150에서 아니오, 단계 S200에서 아니오), 단계 S24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최적 성능 패킷(best-effort packet)의 할당 처리를 실행한다.
(2.2) QoS 초기화 처리
도 6은 QoS 초기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10-1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QoS 선별(negotiation)을 실행한다. 특히, 전송될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플로우 우선도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플로우 우선도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D1)를 포함하는 QoS 플로우(F1)의 플로우 우선도는 "04"(최고)로 설정된다. 또한, 파일 데이터(D2)를 포함하는 QoS 플로우(F2)의 플로우 우선도는 "01"(최저)로 설정된다.
단계 S110-2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결정된 각 QoS 플로우의 플로우 우선도를 취득한다.
단계 S110-3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QoS 플로우를 플로우 우선도의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고, QoS[i]를 생성한다.
(2.3) AP 우선도 결정 처리
도 7(a)~(c)는 AP 우선도 결정 처리 플로우의 3종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신호 강도(도 7(a)), 수신 에러율(도 7(b)) 및 전송 지연 시간(도 7(c))에 근거하여 AP 우선도가 결정된다.
(2.3.1) 수신 신호 강도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20-1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200)로부터 송신된 캐리어의 수신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를 취득한다.
특히,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수신된 캐리어의 수신 신호 강도(RSSI), 상기 캐리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에러율 및 상기 데이터의 지연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20-2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APs를 신호 강도의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고, 다음에 AP[j]를 생성한다.
(2.3.2) 에러율
도 7(b)에서는, 상술한 단계 S120-2의 처리 대신, 단계 S120-2A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단계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APs를 에러율의 오름차순으로 재배열하고, 다음에 AP[j]를 생성한다.
특히, 통신 제어 시스템(100)의 캐리어 할당 유닛(127)(도 2 참조)은,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에 의해 결정된 에러율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 어를 결정할 수 있다.
(2.3.3) 전송 지연 시간
도 7(c)에서는, 상술한 단계 S120-2의 처리 대신, 단계 S120-2B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단계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AP를 전송 지연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재배열하고, 다음에 AP[j]를 생성한다.
환언하면, 통신 제어 시스템(100), 즉, 캐리어 할당 유닛(127)(도 2 참조)은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에 의해 측정된 지연 정보, 즉, 전송 지연 시간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전송 지연 시간은 절대적인 전송 지연 시간 혹은 사전 결정된 데이터의 기준 전송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전송 지연 시간이라도 좋다.
(3) 최적 성능 패킷의 할당 처리
도 8(a) 및 (b)는 최적 성능 패킷의 할당 처리 플로우의 두 종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낮은 플로우 우선도의 데이터 플로우(최적 성능 패킷)를 각 AP(캐리어)에 균등하게 할당하는 방법(도 8(a)) 및 최적 성능 패킷을 QoS 플로우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AP에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방법(도 8(b))이 실행된다.
(3.1) 각 AP에 균등하게 최적 성능 패킷을 할당하는 방법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240-1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Ncarrier의 값에 따라, 각 AP(캐리어)에 최적 성능 패킷을 대략 균등하게 할당한다.
(3.2) QoS 플로우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AP에 우선적으로 최적 성능 패킷을 할당하는 방법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240-11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Ncarrier의 값이 Nqos의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Ncarrier의 값이 Nqos의 값보다 큰 경우(단계 S240-11에서 예),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단계 S240-12에서, QoS 플로우가 할당되지 않은 나머지의 APs(Ncarrier-Nqos와 같은 APs의 개수)에, 최적 성능 패킷을 대략 균등하게 할당한다.
한편, Ncarrier의 값이 Nqos의 값 이하의 경우(단계 S240-11에서 아니오),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단계 S240-13에서, Ncarrier의 값에 따라 각 AP에 최적 성능 패킷을 대략 균등하게 할당한다.
(4) 할당 처리의 재실행
도 9(a)는 도 5에 나타낸 캐리어의 할당 처리가 재실행되는 경우의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31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도 5에 나타낸 캐리어의 할당을 실행한 후에 멀티캐리어(3x)에 의한 통신을 실행한다.
단계 S32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통신 품질이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특히,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통신에 이용되고 있는 캐리어에 대하여,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으로부터 새롭게 통신 품질이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품질이 보고되었을 경우(단계 S320에서 예), 단계 S330에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도 5에 나타내는 캐리어 할당 처리를 재실행한다.
특히,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QoS 플로우에 캐리어를 할당한 후에,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에 의해 통신 품질(예컨대, 신호 강도)을 새롭게 보고받았을 때, 그 새로운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다시 결정한다.
또한,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단계 S320의 처리 대신에 단계 S320A~S320C의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특히, 통신 제어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단말(210)의 핸드오프가 실행된 경우(도 9(b)의 단계 S320A), 통신에 이용되는 캐리어의 개수가 변화된 경우(도 9(c)의 단계 S320B) 및 QoS 플로우의 개수가 변화된 경우(도 9(d)의 단계 S320C)에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QoS 플로우에 캐리어를 할당한 후에,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1) 무선 통신 단말(210)의 핸드오프가 실행되었을 때, (2) 무선 통신 단말(210)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캐리어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 (3) 무선 통신 단말(210)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QoS 플로우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에도, 도 5에 나타내는 캐리어의 할당 처리를 재실행함으로써,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캐리어 할당 유닛(127)은 상술한 타이밍이 아니라, 사전 결정된 타이밍(예컨대, Tapupdate마다)에서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작용·효과)
지금까지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QoS 플로우 각각의 플로우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의 캐리어와는 다른 캐리어(캐리어 C1)는 다른 데이터 플로우(예컨대, QoS 플로우(F2))의 플로우 우선도와는 다른 플로우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예컨대, QoS 플로우(F1))에 할당된다.
따라서, 멀티캐리어를 구성하는 일부의 캐리어(예컨대, 캐리어(C2))에 장해가 발생하여도, 모든 데이터 전송의 중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우선도의 QoS 플로우가 각각 다른 캐리어에 할당되기 때문에, 우선도에 따른 QoS 플로우의 우선도 제어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의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QoS 플로우에 할당될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컨대, 우선도가 가장 높은 QoS 플로우에, 최적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강도(RSSI), QoS 플로우의 전송 지연 시간 및 QoS 플로우의 에러율이 통신 품질로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QoS 플로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데이터와 같이, 중요한 조건으로서 전송 지연 시간이 짧을 것을 요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서는, 작은 전송 지연 시간을 가진 캐리어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속도(throughput)가 중요한 QoS 플로우에는, 낮은 에러율을 가진 캐리어가 할당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예가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 시스템(100)에서,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처리나 캐리어를 할당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상술한 처리는 무선 통신 단말(210)에서 실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210)은 통신 품질 측정 유닛(217) 및 캐리어 할당 유닛(219)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품질 측정 유닛(217) 및 캐리어 할당 유닛(219)은 각각 BTS/PCF(120)의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 및 캐리어 할당 유닛(127)과 대략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 품질 측정 유닛(125) 및 캐리어 할당 유닛(127)이 BTS/PCF(120)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 구성은 액세스 포인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BTS/PCF(120)가 캐리어의 통신 품질의 측정을 실행하는 형태가 채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은 PDSN(13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멀티캐리어는, 액세스 포인트(110A~110C)를 이용하여, 3개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AP)의 개수는 3개와 다를 수도 있다(예컨대, 15개).
또한, 무선 통신 단말(210)은 퍼스널 컴퓨터나 PDA에 실장할 수 있는 카드형 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210)의 기능은 무선 통신용 모듈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되지 않는 여러 가지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의 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05-369840호(2005년 12월 22일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은,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가 멀티캐리어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에, 일부의 캐리어에 장해가 발생할지라도 QoS 제어를 확실히 실행함과 아울러, 모든 데이터 전송의 중단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에서 효과적이다.

Claims (19)

  1.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에 할당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를 무선 통신 단말과 송수신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송신기와,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상기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할당 유닛
    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수신기와,
    상기 캐리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품질 측정 유닛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최적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를 우선도가 가장 높은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전송 지연 시간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송 지연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에러율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러율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새로운 통신 품질이 보고되었을 때, 상기 새로운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용으로 이용되는 상기 캐리어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10.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에 할당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를 무선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송신기와,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상기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할당 유닛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수신기와,
    상기 캐리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캐리어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품질 측정 유닛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가장 높은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통신 품질 중 최적의 통신 품질을 가진 캐리어를 할당하는 무선 통신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전송 지연 시간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전송 지연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품질은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에러율이며,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러율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통신 품질 측정 유닛에서 새로운 통신 품질이 보고되었을 때, 상기 새로운 통신 품질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핸드오프가 실행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7.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용으로 이용되는 상기 캐리어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8.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할당 유닛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송수신하는 상기 데이터 플로우의 개수가 변화되었을 때,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할당될 상기 캐리어를 다시 결정하는 무선 통신 단말.
  19.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에 할당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멀티캐리어에 의해, 다른 우선도를 가진 복수의 데이터 플로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플로우 각각의 상기 우선도에 근거하여,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우선도를 가진 데이터 플로우에 상기 다른 데이터 플로우와는 다른 캐리어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캐리어를 무선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20087017793A 2005-12-22 2006-12-21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0995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9840 2005-12-22
JP2005369840A JP5311711B2 (ja) 2005-12-22 2005-12-22 通信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52A KR20080085052A (ko) 2008-09-22
KR100995195B1 true KR100995195B1 (ko) 2010-11-17

Family

ID=3818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17793A KR100995195B1 (ko) 2005-12-22 2006-12-21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0476B2 (ko)
JP (1) JP5311711B2 (ko)
KR (1) KR100995195B1 (ko)
CN (1) CN101347020A (ko)
WO (1) WO2007072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60B1 (ko) 2007-12-1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상태 변경 방법
JP2009267876A (ja) * 2008-04-25 2009-11-12 Kyocera Corp 携帯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593662B1 (ko) * 2008-09-05 2016-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관리 장치 및 방법
US8493947B2 (en) * 2009-04-30 2013-07-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ng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data flow metric
KR101335869B1 (ko) * 2009-08-1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논리채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05454B1 (ko) * 2009-09-21 2014-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US8989134B2 (en) 2010-09-24 2015-03-24 Airbus Ds Sas Allotment of radio resources in a base station of a broadband network
JP2015095847A (ja) * 2013-11-14 2015-05-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10051525B1 (en) 2016-06-28 2018-08-14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relay-UE operation based on bearer content type
EP3567735A4 (en) 2017-01-25 2019-1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9062096A1 (zh) * 2017-09-27 2019-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生成数据的方法、配置逻辑信道的方法、终端设备和芯片
US11751170B2 (en) 2021-07-19 2023-09-05 Sprint Spectrum Llc Dynamically reassigning a high-noise frequency segment from a first access node to a second access nod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0165A3 (en) * 1991-08-23 1993-08-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obile station-controlled handoff
JP3797510B2 (ja) 1997-07-16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
JP2928776B1 (ja) * 1998-05-22 1999-08-03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2001168821A (ja) * 1999-12-13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送信機及び受信機
JP4790924B2 (ja) 2001-03-30 2011-10-1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2003273828A (ja) 2002-03-15 2003-09-26 Keio Gijuku Ofdm送信装置及びofdm受信装置
US20040081076A1 (en) * 2002-10-24 2004-04-29 Pctel,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ower control
JP2005020076A (ja) * 2003-06-23 2005-01-20 Toshiba Corp 通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394858B2 (en) * 2003-08-08 2008-07-01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it loading in a multiple antenn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 system
KR101109828B1 (ko) * 2003-08-20 2012-02-14 파나소닉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서브 캐리어의 할당 방법
KR100539925B1 (ko) 2003-08-22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557158B1 (ko) * 2003-11-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5074313A1 (ja) * 2004-01-30 2005-08-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無線チャネル割当方法
KR101067772B1 (ko) * 2004-04-22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할당방법
US7710922B2 (en) * 2004-12-30 2010-05-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ow control at cell change fo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S20060203724A1 (en) * 2005-03-08 2006-09-14 Donna Ghosh Multi-carrier, multi-flow, reverse link medium access contr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9209956B2 (en) *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9955438B2 (en) * 2005-09-27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llocation and management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7729308B2 (en) * 2006-05-19 2010-06-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mal allocation of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7020A (zh) 2009-01-14
WO2007072930A1 (ja) 2007-06-28
US8320476B2 (en) 2012-11-27
KR20080085052A (ko) 2008-09-22
JP5311711B2 (ja) 2013-10-09
US20090296835A1 (en) 2009-12-03
JP2007174310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95B1 (ko) 통신 제어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EP2479929B1 (en) Scheduling a communication service
US9258818B2 (en) Carrier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
KR10148059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기법
EP31325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resource allocation over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s
KR101019001B1 (ko) 스케쥴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215994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HARQ process of semi-persistent scheduling
EP1795037B1 (en)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325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스케줄링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5021718B2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KR100736728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대역 적응적 변조 및 코딩모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JP5173786B2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4749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933310B1 (ko) 다중 주파수 채널 동시 접속 단말기 및 그 무선자원 요청방법
WO201010082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およびリソース再割当方法
KR100706981B1 (ko) 휴대인터넷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 상태를파악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6794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시분할 다중 접속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216873A (ja) パケット解析機能を有する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5239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520608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스케쥴링 방법
EP302428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KR100642261B1 (ko) 휴대 인터넷 망에서 패킷 스케줄러를 다운로드하여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6143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에서의 부반송파 동적할당방법
Dehury et al. VoLTE Call Blocking Estimation in Cellular LTE Network
WO2008010750A1 (en) Enhanced up-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