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895B1 -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895B1
KR100994895B1 KR1020037016046A KR20037016046A KR100994895B1 KR 100994895 B1 KR100994895 B1 KR 100994895B1 KR 1020037016046 A KR1020037016046 A KR 1020037016046A KR 20037016046 A KR20037016046 A KR 20037016046A KR 100994895 B1 KR100994895 B1 KR 10099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back
reproduction
content
start position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02A (ko
Inventor
요시까즈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9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된 화상을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한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캠코더로 재생된 화상의 VOBU 단위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재생의 정도, Play Data(81)에 기록된다. 기록된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판독되고, 최장, 최단 또는 평균 길이의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편집점이 구해진다. 구해진 편집점은, UD_PGCIT(94)에 등록된다. 이 UD_PGCIT(94)의 편집점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씬을 순서대로 재생함으로써 자동 편집 재생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디스크 캠코더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37016046
촬영, 편집, 디스크 캠코더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집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간단하게 자동 편집할 수 있도록 한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파일의 자동 편집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 편집용 소프트웨어는, 촬영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씬(scene)의 전환, 1씬당 촬영 시간, 움직임이 있는 씬, 움직임이 없는 씬, 밝은 씬, 어두운 씬 등의 촬영 데이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내용(촬영 상태)에 기초하여, 소정의 판단 조건으로 씬을 선택하여, 자동 편집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 편집에서는, 주로 촬영한 화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이 행해지므로, 촬영 방법에 따라서는 편집자(촬영자)의 의도와는 다른 작품(편집 결과)으로 완성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촬영 중 또는 촬영 직후에 등급 분류하여, 그 등급 분류된 데이터를 편집 조건으로서 미디어 상에 기록하고, 그 편집 조건에 기초하여 자동 편집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 촬영자는 촬영 조작에 몰두하므로, 데이터 입력까지는 주의가 미치지 않아, 촬영 중에, 촬영자의 의도를 담는 것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자동 편집은 인포인트와 아웃포인트를 편집자가 수동으로 지정하는 메뉴얼 편집에 비하여, 편집자의 수고없이 편집할 수 있는 반면, 편집자의 의도가 반영되지 않는 작품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용되는 경우가 적었다.
이에 대하여, 메뉴얼 편집은 편집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시킬 수 있지만, 편집 조작이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자는 편집과 멀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편집자의 의도에 따른 편집을, 간단하게, 그리고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제1 판정 수단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과, 제2 판정 수단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편집점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결정 수단은 재생 수단에 재생된 복수의 재생 개시 위치와 복수의 재생 종료 위치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편집점을 결정할 수 있다.
기록 수단은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편집점을 정보 기록 매체에 더 기록할 수 있다.
재생 수단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편집점을 더 재생하고, 재생된 편집점에 기초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검출 수단은 실제의 재생 개시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선두를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2 검출 수단은 재생 종료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종단을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과 소정의 기준값의 길이를 판정하는 제3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기억 수단은 제3 판정 수단에 의해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기준값보다 길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할 수 있다.
제3 판정 수단에 의해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기준값보다 짧다고 판정된 경우, 기억 수단은 그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기억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캠코더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캠코더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의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캠코더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의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디스크 캠코더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의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1의 디스크 캠코더로 기술되는 디스크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ORG_PGCIT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5의 UD_PGCIT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디스크 캠코더의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재생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5의 Play Data에 등록되는 등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5의 Play Data에 축적되는 데이터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디스크 캠코더의 편집 후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캠코더(50)의 구성을 나타낸다.
비디오 부호기(2)에는 CCD(charge-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한 촬상부(1)로부터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비디오 부호기(2)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압축 부호화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부호기(4)에는 마이크로폰(3)으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고, 오디오 부호기(4)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압축 부호화한다.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가 있다.
비디오 부호기(2) 및 오디오 부호기(4)로부터 출력된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파일 생성기(5)에 공급된다. 파일 생성기(5)는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에 의해 제어되어, 특수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동화상 등을 동기하여 재생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취급할 수 있는 파일 구조를 갖도록, 부호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 및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파일 생성기(5)에서는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과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1개의 파일을 생 성한다.
파일 생성기(5)에서 생성된 파일이 메모리 컨트롤러(7)를 통하여 메모리(6)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메모리 컨트롤러(7)에 대하여,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 디스크에의 데이터 기입 요구가 입력되면, 메모리 컨트롤러(7)에 의해, 메모리(6)로부터 파일 생성기(5)에서 생성된 파일이 판독된다. 여기서, 이 파일의 부호화의 전송 레이트는 디스크에의 기입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보다 낮게, 예를 들면 약 1/2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이 연속적으로 메모리(6)에 기입되는 것에 대하여, 메모리(6)로부터의 판독은 메모리(6)가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가 감시하면서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메모리 컨트롤러(7)를 통하여 메모리(6)로부터 판독된 파일이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는 파일을 일단 메모리(9)에 기입하여, 인터리브 처리를 실시함과 함께, 에러 정정 부호의 용장 데이터를 생성하여, 용장 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메모리(9)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의 출력이 데이터 변복조기(12)에 공급된다. 데이터 변복조기(12)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할 때에, 재생 시의 클럭 추출을 용이하게 하여, 부호간 간섭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데이터를 변조한다.
데이터 변복조기(12)는 광 픽업(16)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광 픽업(16)은 기록용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14)에 조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 디스크(14)에 대하여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광 디스크(14)는 모터(15)에 의해, CLV(선속도 일정), CAV(각속도 일정), 또는 ZCAV(존 CLV)으로 회전된다.
메모리 컨트롤러(7)로부터 판독되는 간헐적인 데이터를 광 디스크(14)에 기록하기 때문에, 통상은 연속적인 기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일정한 데이터량을 기록하면 기록 동작을 중단하고, 다음의 기록 요구까지 대기하도록, 기록 동작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서보 회로(13)에 요구를 내어,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의 제어가 이루어지고, 기록 동작이 이루어진다. 서보 회로(13)에 의해, 광 픽업(16)의 디스크 직경 방향의 이동 서보, 트랙킹 서보, 포커스 서보가 이루어지고, 또한 모터(15)의 스핀들 서보가 이루어진다. 또한,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는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22)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다음으로, 재생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광 디스크(14)가 디스크 캠코더(50)에 장착되면, 재생 버튼(31), 큐 버튼(32), 리뷰 버튼(33), 정지 버튼(34), 디스크 추출 버튼(35), 자동 편집 재생 모드 버튼(36) 등을 갖는 조작 입력부(22)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는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요구를 출력하고,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서보 회로(13)에 요구를 출력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를 제어한다. 재생하는 경우에는, 광 픽업(16)은 재생용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14)에 조사하여, 광 디스크(14)로부터의 반사광을 광 픽업(16) 내의 광 검출기에 의해 재생 신호로 변환한다.
이 경우, 서보 회로(13)는 광 픽업(16)의 광 검출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 및 포커스 에러를 검출하고, 판독 레이저 빔이 트랙 상에 위치하여, 트랙 상에 합초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보 회로(13)는 광 디스크(14) 상의 원하는 위치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 광 픽업(16)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제어한다.
광 픽업(16)은 화상 파일의 전송 레이트보다 높은, 예를 들면 2배의 레이트로 재생 신호를 데이터 변복조기(12)에 공급한다. 이 경우, 통상, 연속적인 재생은 행해지지 않아, 일정한 데이터량을 재생하면 재생 동작을 중단하고, 다음의 재생 요구까지 대기하는 간헐적인 재생이 행해진다.
데이터 변복조기(12)는 광 픽업(16)으로부터 데이터 변복조기(12)에 공급된 재생 신호를 복조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에 공급한다.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는 복조된 재생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9)에 기입하여, 디인터리브 처리 및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 컨트롤러(7)는 에러 정정 후의 재생 데이터를 메모리(6)에 기입한다.
메모리(6)에 기입된 재생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의 요구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다중화를 푸는 동기의 타이밍에 맞춰 파일 복호기(17)에 출력된다.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기 위해서, 광 디스크(14)로부터 재생되어 메모리(6)에 기입되는 데이터량과, 메모리(6)로부터 판독하여 파일 복호기(17)에 출력되는 데이터량을 감시하여, 메모리(6)가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되지 않도 록, 메모리 컨트롤러(7) 및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14)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파일 복호기(17)에서는,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의 제어에 의해 재생 데이터를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 및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으로 분해한다. 그리고,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비디오 복호기(18)에 공급되고,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오디오 복호기(20)에 각각 공급된다. 파일 복호기(17)로부터의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 및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은 양자가 동기하도록 출력된다.
비디오 복호기(18) 및 오디오 복호기(20)는 압축 부호화의 복호를 각각 행하여, 비디오 출력 신호를 LCD(liquid crystal display)(19)에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 신호를 스피커(21)에 출력하여, 화상과 음성이 재생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14)는 착탈 가능한 것이므로, 다른 기기라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로 동작하는 퍼스널 컴퓨터가 광 디스크(1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만, 또는 오디오 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에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24), 프로그램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기 디스크(41), 광 디스크(42), 광 자기 디스크(43), 반도체 메모리(44)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하는 드라이브(25)가 필요에 따라 접속된다.
이 디스크 캠코더(50)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4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4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43)(MD(Mini Disc)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44)에 저장된 상태에서 디스크 캠코더(50)에 공급되고, 드라이브(25)에 의해 판독되어, 기억부(23)에 내장되는 반도체 메모리에 인스톨된다. 기억부(23)에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 입력부(22)에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커맨드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의 명령에 의해, 기억부(23)로부터 로드되어 실행된다.
다음으로, 디스크 캠코더(50)의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의 기록 처리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단계 S1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은 조작 입력부(2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본체(디스크 캠코더(50))의 전원의 온이 명령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본체의 전원의 온이 명령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1에 멈춰, 전원의 온이 명령될 때까지, 그 처리를 계속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본체의 전원의 온이 명령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로 진행시킨다.
단계 S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광 디스크(14)가 본체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에 멈춰, 광 디스크(14)가 장착될 때까지, 그 처리를 계속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광 디스크(14)가 본체에 장착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3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3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입력부(22)의 재생 버튼(31)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버튼(31)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3에 멈춰, 재생 버튼(31)이 눌러질 때까지, 그 처리를 계속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버튼(31)이 눌러졌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4로 진행시켜, 재생 개시점(재생이 개시된 프레임)을 검출한다.
단계 S5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점이 오버런 영역 내(씬 체인지점의 전후 일정 시간(수초 정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오버런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선두와 개시점의 편차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의 오차 범위라고 판단하고, 처리를 단계 S6으로 진행시켜, 재생 개시점을 씬의 선두에 설정한다(씬의 선두의 프레임을 재생 개시점으로 한다). 또, 기기의 응답성, 큐(앞으로 감기), 리뷰(되돌리기)의 속도 등에 의해, 최적의 오버런 영역의 길이는 변화한다. 즉, 여기서, 오버런 영역이란, 큐 또는 리뷰 시에 사용자가 정지(또는 재생)를 명령하고 나서 실제로 정지(또는 재생)가 행해지기까지의 거리(시간)를 의미한다.
단계 S5에서, 재생 개시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오버런의 영역밖에 위치함)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의 처리는 스킵된다.
다음으로, 단계 S7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점을 메모리(6)에 기억하고, 처리를 단계 S8로 진행시킨다. 단계 S8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입력부(22)의 큐 버튼(32) 또는 리뷰 버튼(33)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큐 버튼(32) 또는 리뷰 버튼(33)이 눌러졌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9로 진행시켜, 재생 종료점(큐 버튼(32) 또는 리뷰 버튼(33)이 눌러진 타이밍에서 재생되어 있는 프레임)을 검출한다.
단계 S10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1에서, 가장 가까운 씬의 종단과 재생 종료점의 편차를 사용자의 조작 입력의 오차 범위라고 판단하여, 재생 종료점을 종단에 설정한다(씬의 종단의 프레임을 재생 종료점으로 한다).
단계 S10에서,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1의 처리는 스킵된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을 메모리(6)에 기억하여, 처리를 단계 S13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13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정지 버튼(34)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1로 진행시켜, 재생 버튼(31)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버튼(31)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그 씬은 아직 큐 또는 리뷰 중이므로, 처리를 단계 S13으로 되돌려, 정지 버튼(34) 또는 재생 버튼(31)이 눌러질 때까지, 처리를 멈추게 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버튼(31)이 눌러졌다고 판정된 경우, 씬이 다시 재생되고 있기 때문에, 처리를 단계 S4로 되돌려, 재생 개시점을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 S8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큐 버튼(32) 또는 리뷰 버튼(33)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15로 진행시켜, 조작 입력부(22)의 정지 버튼(34)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15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정지 버튼(34)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아직 씬이 재생되고 있기 때문에, 처리를 단계 S8로 되돌려, 큐 버튼(32) 또는 리뷰 버튼(33)이 눌러지거나, 정지 버튼(34)이 눌러질(재생이 종료할) 때까지 처리를 멈추게 한다.
단계 S15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정지 버튼(34)이 눌러졌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을 종료하였다고 판단하고, 단계 S16에서, 재생 종료점(정지 버튼이 눌러진 타이밍에서 재생되어 있던 프레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7에서,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17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씬의 종단과 재생 종료점과의 편차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의 오차 범위라고 판단하여, 처리를 단계 S18로 진행시킨다. 단계 S18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을 씬의 종단에 설정한다.
단계 S17에서, 재생 종료점이 오버런의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8의 처리는 스킵된다.
다음으로, 단계 S19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종료점을 메모리(6)에 기억한다.
단계 S19의 처리의 후, 또는 단계 S13에서, 정지 버튼(34)이 조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4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종료점까지의 시간이 3초(일반적으로, 가장 짧은 촬영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종료점까지의 시간이 3초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씬이 재생되었다고 판단하고, 단계 S22가 처리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재생 개시점으로부터 재생 종료점까지의 시간이 3초 이상이 아니라고(3초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그 씬이 재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단계 S20으로 진행시켜, 단계 S7, S12 또는 S19에서 기억된 재생 개시점 및 재생 종료점의 데이터를 소거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조작 입력부(22)의 디스크 추출 버튼(35)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디스크 추출 버튼(35)이 눌러졌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3으로 진행시킨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디스크 추출 버튼(35)이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5로 진행시켜, 본체의 전원의 오프가 명령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본체의 전원의 오프가 명령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23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25에서, 본체의 전원의 오프가 명령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디스크가 본체로부터 추출되거나, 본체의 전원이 차단될 때까지는 상술한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23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메모리(6)에 등록된 모든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을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후술하는 도 5)에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S24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광 디스크(14)를 배출하거나, 또는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처리에서, 큐 버튼(32)과 리뷰 버튼(33)을 누르고 있을 때에만 동작하고, 큐 또는 리뷰 후에 자동적으로 재생 상태가 되는 사양의 디스크 캠코더인 경우, 「버튼이 눌러진다」는 「버튼을 누른 후의 상태이다」인 것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면, 「재생 버튼이 눌러졌는가?」는 「재생 상태인가?」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의 처리에서, DVD-RW 상에 VR 포맷으로 기입된 디스크 파일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VR 포맷으로 기입된 디스크 파일(110)에 있어서, Lead in(61)이 디스크의 최내주에 대응하고, Lead out(83)이 디스크의 최외주에 대응한다. Lead in(61)에는 디스크의 종류나 포맷, 기록 방법 등이 기술되어 있다. UDF(Universal Disk Format)(62)에는 파일 시스템이 기술되고, RTR_VMG(Real Time Recording Video Manager)(63)에는 VR 포맷의 각종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VOB(Video Object)(71∼77)에는 실제의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RTR_VMG(6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RTR_VMG(63)는 7개의 정보 테이블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하의 4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RTR_VMGI(Real Time Recording Video Manager Information)(91)에는 RTR_VMG(63) 내의 정보 테이블의 어드레스 정보,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일시, 및 그 리스트의 저장 장소(사용자가 정의하는 PGCI의 장소) 등의 Real Time Recording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가 기술된다. M_AVFIT(Movie AV File Information Table)(92)에는 VOB의 압축 포맷, 어스펙트비, 해상도 등의 화상 속성, 압축 포맷, 채널 수, 전송 속도 등의 음성 속성, 및 Time MAP 정보가 기술된다.
ORG_PGCIT(Original Program Chain Information Table)(93)에는 오리지널의 재생순의 프로그램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록순의 VOB1(71), VOB2(72), VOB3(73), VOB4(74), VOB5(75), VOB6(76), …, VOBn(77) 각각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RG_PGCIT(93) 내의 대응하는 Cell1(111), Cell2(112), Cell3(113), Cell4(114), …, Celln(117)에 순차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Cell의 연속한 집합은 프로그램(PG)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서는 PG1(141)은 Cell1(111), Cell2(112), Cell3(113), Cell4(114), …, Celln(117), PG2(142)는 Celln+1(121), Celln+2(122), Celln+3(123), Celln+4(124), …, Celln+n(127)으로 구성된다. 이 때, 재생순은 Cell 번호순(프로그램 번호순)이 된다.
UD_PGCIT(User Defined Program Chain Information Table)(94)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복수의 PGCI로 구성되어, 편집 등에 사용된다. UD_PGCIT(94) 내의 Cell 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VOB 내의 VOBU(VOB Unit(MPEG의 1GOP에 상당)) 단위의 임의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기술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ell1(151)에는 VOB1(71) 내의 VOBU1(101) 내지 VOBUm(104)의 VOBU 단위의 임의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기술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Cell이 연속해서 모아져, 프로그램 PG1(171)이 된다.
재생은 Cell 번호순으로 행해지지만, Cell이 가리키는 VOBU는 반드시 기록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재생순(예를 들면, Cell1(151), Cell2(152), Cell3(153), Cell4(154), …, Celln(155))의 리스트(플레이 리스트)는 PGCI에 기술된다.
도 5로 되돌아가, Play Data(81)에는 디스크 캠코더(50)로 재생된 VOBU 단위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기술된다.
즉, ORG_PGCIT(93)에 기초하여, 디스크 캠코더(50)로,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었을 때, 단계 S23의 처리로, Play Data(81)에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기술된다. 그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에 기초하여 편집되어, UD_PGCIT(94)에 편집 후의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기술된다.
또한, ORG_PGCIT(93) 및 UD_PGCIT(94)의 Cell의 VOBU는 VOBU의 어드레스, 사이즈, 재생 시간이 정의되어 있는 M_AVFIT(92) 내의 Time MAP를 참조하여, 재생된다.
또, RTR_VMG(63), VOB1(71) 내지 VOBn(77) 및 Play Data(81)는 UDF에 의해, 개시점, 종료점, 사이즈를 임의로 할당할 수 있으며, 최초로 할당한 사이즈로 부족한 경우에는 새롭게 다른 장소에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에,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이 기록된 후, 그 처리에 계속해서 사용자가 편집 처리를 명령한 경우, 또는 광 디스크(14)가 장착되었을 때, 또는 광 디스크(14)가 디스크 캠코더(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으로, 디스크 캠코더(50)의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편집 처리에 대하여,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41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도 4의 단계 S23에서,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도 5)에 기입된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을 판독한다. 단계 S4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편집 규칙이 지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으로서 규정되는 길이가 최장의 범위, 최단의 범위, 또는 평균의 범위 중 어느 하나를 구하는 것을 편집 규칙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편집 규칙이 지시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43으로 진행시켜, 지시된 편집 규칙을 취득한다.
단계 S4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편집 규칙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단계 S46으로 진행시켜, 디폴트의 편집 규칙을 취득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최장, 최단, 또는 평균 중 어느 하나가 디폴트의 규칙으로서 미리 규정되어 있어, 그것이 취득된다.
다음으로, 단계 S44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취득된 편집 규칙에 기 초하여,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에 기입된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으로부터 편집점을 결정한다. 즉, 취득된 규칙에 기초하여, 범위를 최장, 최단 또는 평균으로 하는 점이 편집점(편집 개시점 및 편집 종료점)으로서 결정된다. 단계 S45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단계 S44에서 결정된 편집점을 광 디스크(14)의 UD_PGCIT(94)에 기록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자동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자가 화상 파일을 3회 재생함으로써 자동 편집을 행한 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9의 사선부는 오버런 영역을 나타내고, 둥글게 둘러싼 부분은, 일반적인 가장 짧은 촬영 시간(현재의 경우, 3초가 되지만, 그 이외의 값으로 해도 됨) 미만의 재생을 나타낸다.
1회째 재생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61에서, 씬 A의 선두로부터 씬 B의 선두 부근까지 재생된 후, 단계 S62에서, 씬 C의 선두 부근까지 큐된다. 그리고, 단계 S63에서, 씬 C가 짧은 시간 재생된 후, 단계 S64에서, 씬 C의 선두 부근까지 리뷰된다. 또한, 단계 S65에서, 씬 C의 도중까지 재생되고, 단계 S66에서, 씬 D의 전체와 씬 E의 선두 부근까지 큐된다. 그리고, 단계 S67에서, 씬 E가 매우 짧은 시간(3초 미만) 재생되고, 단계 S68에서, 곧바로 씬 E의 도중까지 큐된다. 또한, 단계 S69에서, 씬 E의 도중부터 재생되고, 그대로 계속해서 씬 F의 도중까지 재생된다.
즉, 1회째 재생에서는 씬 B, 씬 C의 도중 이후, 씬 D, 및 씬 E의 선두부터 도중까지는 재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 범위는 촬영자가 그다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씬이라고 추측된다.
다음으로, 1회째 재생예의 하단에 나타낸, 2회째 재생예를 설명한다. 단계 S81에서, 씬 A로부터 씬 B의 선두 부근까지 재생되고, 단계 S82에서, 씬 C의 선두 부근까지 큐된다. 그리고, 단계 S83에서, 씬 C의 도중까지 재생되고, 단계 S84에서, 씬 E의 도중까지 큐된다. 또한, 단계 S85에서, 씬 F의 도중까지 재생된다.
3회째 재생예를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씬 A의 도중까지 재생되고, 단계 S102에서, 씬 B, C, D에 이어서 씬 E의 도중까지 큐된다. 그리고, 단계 S103에서, 씬 E가 매우 짧은 시간 재생된 후, 단계 S104에서, 씬 E의 도중까지 리뷰된다. 또한, 단계 S105에서, 씬 F의 도중까지 재생된다.
1회째 재생에 의해,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에 기억되는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VOBU 단위는 0.5초, 오버런 영역은 씬 체인지점 ±3초로 한다.
단계 S61에서, VOB1의 VOBU1로부터 VOB2의 VOBU4(씬 A로부터 씬 B의 선두 부근)까지 재생되어, VOB2의 VOBU4는 오버런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등록되는 VOB1의 재생 개시점은 VOBU1, 재생 종료점은 VOB1(씬 A)의 종단인 VOBU40이 된다. 즉, VOBU1로부터 VOBU40까지의 구간(181)이 재생된 구간으로서 등록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단계 S65에서, 재생된 구간은 VOB2의 VOBU20로부터 VOB3의 VOBU40(씬 C의 선단 부근부터 씬 C의 도중)까지, VOB2의 VOBU20은 오버런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재생 개시점으로서 등록되지 않고, VOB3(씬 C)의 선두인 VOBU1이 재생 개시점으로서 등록된다. 재생 종료점은 VOBU40이 그대로 등록된다. 즉, 이 경우, 씬 C의 VOBU1로부터 VOBU40까지의 구간(182)이 재생된 구간으로서 등록된다.
단계 S67에서, VOB5의 VOBU5로부터 VOBU10까지(씬 E의 매우 짧은 구간) 재생되어 있지만, 재생 시간이 3초(일반적으로 가장 적은 재생 시간) 미만이므로, 재생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아, 그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은 등록되지 않는다.
단계 S69에서, VOB5의 VOBU35로부터 VOB6의 VOBU25(씬 E의 도중부터 씬 F의 도중)까지 재생되기 때문에, VOB5(씬 E)의 VOBU35가 재생 개시점이 되고, VOB6(씬 F)의 VOBU25가 재생 종료점으로서 등록된다. 즉, VOB5의 VOBU35로부터 VOBU46까지의 구간(183)과, VOB6의 VOBU1로부터 VOBU25까지의 구간(184)이 재생된 구간으로서 등록된다.
2회째와 3회째 재생 데이터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축적 데이터가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에 기억된다. 즉, 2회째 재생에 의해 등록되는 재생 구간은 씬 A, 씬 C의 선단(재생 개시점이 오버런의 영역이므로)으로부터 재생이 종료한 위치까지, 씬 E 및 씬 F가 재생된 구간이다. 또한, 3회째 재생에 의해 등록되는 재생 구간은 씬 A, 씬 E 및 씬 F의 단계 S105에서 재생된 구간이다. 씬 E의 단계 S103에서 재생된 구간은 3초 미만이므로, 재생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아, 등록되지 않는다.
도 11은 광 디스크(14)의 Play Data(81)에 축적되는 데이터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1회의 재생에 대하여, 그 사이에 재생된 VOB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201)(VOBn), 재생 개시점의 VOBU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202)(VOBU_S), 재생 종료점의 VOBU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203)(VOBU_E)가, 각각 4바이트 준비되어 있다. 또한, 4바이트가 장래의 사용을 위해 Reserve(204)로서 준비되어 있어, 합계 16바이트로, 1회의 재생 구간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0의 구간(181)인 경우, VOBn(201)에는 「1」이 기입되고, VOBU_S202에는 「1」이 기입되고, VOBU_E203에는 「40」이 각각 기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Play Data(81)에 축적된 3회의 재생 데이터를 참조하여, 편집 규칙에 기초하여, 화상이 자동 편집된다. 편집 규칙으로서, 예를 들면, 재생 개시점과 재생 종료점을 가장 재생 시간이 긴 것에 맞추는 것이 선택된 경우, 그 편집 결과에 기초한 재생은 도 9의 편집 후의 재생예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재생 구간을 평균하는 것, 또는 재생 시간이 짧은 것에 맞추는 것이 편집 규칙으로 된 경우, 편집 결과에 기초한 재생은 도 9의 편집 후의 재생예 2 또는 3에, 각각 도시한 것이 된다.
따라서, 1회만의 재생으로도, 자동 편집은 가능하지만, 2회, 3회로 복수의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촬영자의 의도가 보다 반영된 편집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편집 규칙으로서, 가중치를 부여하는 규칙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경우, 씬 C는 씬 A, 씬 E, 및 씬 F보다 재생 빈도가 적기 때문에, 씬 A, 씬 E, 및 씬 F에 비하여 작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편집 후의 토탈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낮은 우선도(가중치)의 재생 구간은 편집씬으로부터 삭제되어, 예를 들면 도 9의 편집 후의 재생예 4와 같은 편집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크 캠코더(50)의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편집 후의 재생 처리에 대하여,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사용 자가 자동 편집 재생 모드 버튼(36)을 온으로 하여, 재생 버튼(31)을 조작하였을 때, 개시된다.
자동 편집 재생 모드 버튼(36)이 온 되어 있는 경우,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자동 편집 재생 모드를 설정하고, 단계 S121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광 디스크(14)로부터 도 5의 UD_PGCIT(94)에 기록되어 있는 편집점을 판독한다. 이 편집점은 도 8의 단계 S45의 처리로 기록된 것이다. 단계 S122에서, 자동 편집 처리 프로그램은 그 편집점에 기초하여, VOBU의 어드레스, 사이즈, 재생 시간이 정의되어 있는 도 5의 M_AVFIT(92)의 Time MAP를 참조하여, 편집된 화상을 재생한다. 이에 의해, 도 9의 편집 후의 재생예 1 내지 4에 나타내는 재생이 행해진다.
즉, 시스템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8)는 판독된 편집점을 재생하도록,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요구를 출력한다. 드라이브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이 요구에 기초하여 서보 회로(13)를 제어하여, 광 픽업(16)을 편집점으로 이동시킨다. 광 픽업(16)은 재생용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14) 상의 편집점의 위치에 조사하여, 광 디스크(14)로부터의 반사광을 광 검출기에 의해 재생 신호로 변환한다.
재생 신호는 데이터 변복조기(12),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기(1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복조, 디인터리브 처리, 및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해지고, 메모리 컨트롤러(7)에 의해, 메모리(6)에 재생 데이터로서 일단 기입된다. 재생 데이터는 파일 복호기(17)에 공급되어,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 및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으로 분해된다. 그리고, 비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비디오 복호기(18)에 동기 하고, 오디오 엘리먼트리 스트림이 오디오 복호기(20)에 동기하도록, 각각 공급된다.
비디오 복호기(18) 및 오디오 복호기(20)는 압축 부호화의 복호를 각각 행하여, 비디오 출력 신호를 LCD(liquid crystal display)(19)에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 신호를 스피커(21)에 각각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편집 후의 화상과 음성이 재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디스크 캠코더에 응용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비디오, 오디오 등의 콘텐츠가 디스크,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그것을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디스크 캠코더,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범용의 디스크 캠코더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41), 광 디스크(42), 광 자기 디스크(43), 광 자기 디스크(63), 또는 반도체 메모리(4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6)나, 기억부(23)에 포함되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자동 편집할 수 있다. 또한, 그 편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집자의 의도를 반영한 편집 결과를 만들 수 있다.

Claims (16)

  1.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제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과,
    상기 제2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편집점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복수의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복수의 상기 재생 종료 위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편집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편집점을,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편집점을 재생하고, 그 편집점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선두를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수단은,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정지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종단을 상기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7.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수단과,
    상기 제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수단과,
    상기 제2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과 소정의 기준값의 길이를 판정하는 제3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3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상기 기준값보다 길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상기 기준값보다 짧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은 그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9.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생된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편집점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단계의 처리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선두를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단계의 처리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정지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종단을 상기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과 소정의 기준값의 길이를 판정하는 제3 판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는, 상기 제3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상기 기준값보다 길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3.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생된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편집점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단계의 처리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선두를 상기 재생 개시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단계의 처리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정지 상태로 된 위치가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씬 체인지점 전후의 일정한 시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가장 가까운 씬의 종단을 상기 재생 종료 위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개시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재생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과 소정의 기준값의 길이를 판정하는 제3 판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는, 상기 제3 판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 사이의 시간이 상기 기준값보다 길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재생 개시 위치와 상기 재생 종료 위치를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37016046A 2002-04-09 2003-04-07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94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6803A JP3760467B2 (ja) 2002-04-09 2002-04-09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106803 2002-04-09
PCT/JP2003/004382 WO2003085971A1 (fr) 2002-04-09 2003-04-07 Dispositif et procede de reproduction de contenu,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02A KR20040099102A (ko) 2004-11-26
KR100994895B1 true KR100994895B1 (ko) 2010-11-16

Family

ID=2878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46A KR100994895B1 (ko) 2002-04-09 2003-04-07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546021B2 (ko)
EP (1) EP1494471B1 (ko)
JP (1) JP3760467B2 (ko)
KR (1) KR100994895B1 (ko)
CN (1) CN1274144C (ko)
AU (1) AU2003236282A1 (ko)
DE (1) DE60328369D1 (ko)
WO (1) WO2003085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04410A (en) * 2004-04-01 2012-02-01 Oncothyreon Inc Mucinous glycoprotein (MUC-1) vaccine
JP4572740B2 (ja) * 2005-05-24 2010-11-04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100701382B1 (ko) 2005-07-0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타이틀 선별 재생방법
US20090132924A1 (en) * 2007-11-15 2009-05-21 Yojak Harshad Vasa System and method to create highlight portions of media content
US10230878B2 (en) 2016-04-08 2019-03-12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8170A (ja) * 1993-05-26 1994-12-06 Canon Inc Vtr編集装置
JP3154921B2 (ja) * 1995-06-09 2001-04-09 富士通株式会社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における映像再生位置割り出し方式
US5953481A (en) * 1996-01-08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diting function
US6546189B1 (en) 1996-11-15 2003-04-0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compressed moving pictures and storage medium
JP3411184B2 (ja) * 1997-05-14 2003-05-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画エディットシステム
JP3613543B2 (ja) * 1997-11-11 2005-01-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動画像編集装置
JP3607486B2 (ja) 1998-01-21 2005-01-05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再生装置
JP4154799B2 (ja) 1998-04-28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縮動画像編集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4341111B2 (ja) * 1999-08-18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4592844B2 (ja) * 1999-08-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JP3073485U (ja) * 2000-05-24 2000-11-3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2016866A (ja) * 2000-06-30 2002-01-18 Toshiba Corp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ステータス情報送信システム
KR100901826B1 (ko) * 2000-08-11 2009-06-09 엔디에스 리미티드 암호화된 미디어 콘텐트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030049014A1 (en) * 2001-09-07 2003-03-13 Tri-Vision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digital media and digital media for us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36282A1 (en) 2003-10-20
US20040264320A1 (en) 2004-12-30
US8295685B2 (en) 2012-10-23
EP1494471A4 (en) 2007-06-06
US20090208182A1 (en) 2009-08-20
JP3760467B2 (ja) 2006-03-29
JP2003304487A (ja) 2003-10-24
KR20040099102A (ko) 2004-11-26
CN1545806A (zh) 2004-11-10
EP1494471B1 (en) 2009-07-15
CN1274144C (zh) 2006-09-06
EP1494471A1 (en) 2005-01-05
US7546021B2 (en) 2009-06-09
WO2003085971A1 (fr) 2003-10-16
DE60328369D1 (de)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176B1 (ko) 정보 재생 시스템, 정보 기록 재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적용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220529B1 (ko) 네비게이션 데이타를 구비한 기록 매체와 네비게이션 데이타를 구비한 재생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6795383B1 (en) Optical disk and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thereof
US20030175012A1 (en)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JP4358823B2 (ja) マルチアングルデータ構造を有する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装置
JP2003514331A (ja) 書き換え可能なメディアでのコマーシャルスキップ機能及びチャプター描写機能
US8032011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an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EP1236349B1 (en) Method for editing source video to slow motion or fast motion on the recordable media
TW200406746A (en) Data record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the program
US7099563B1 (en) Multichannel recording device and method
US20010043799A1 (en)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US8295685B2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CN1293567C (zh) 可记录dvd编辑技术的删除和取消删除
JP3655571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1198447A (ja) 撮像装置、編集装置及び編集システム
EP1331816B1 (en) Method for editing source video to fast motion on the recordable media
KR101040553B1 (ko) 디스크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분할 기록장치 및 방법
KR100550692B1 (ko)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의 탐색 제어방법
JP2009110650A (ja) 情報記録媒体から一つの動画に対応する各アングルのための動画データを再生する装置
JP2001084703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と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500481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MXPA01009022A (es) Disco optico, aparato de grabaciony reproduccion de disco optico y metod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de disco optico
JPH0955029A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