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695B1 -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695B1
KR100994695B1 KR1020090007572A KR20090007572A KR100994695B1 KR 100994695 B1 KR100994695 B1 KR 100994695B1 KR 1020090007572 A KR1020090007572 A KR 1020090007572A KR 20090007572 A KR20090007572 A KR 20090007572A KR 100994695 B1 KR100994695 B1 KR 10099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voice
switch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755A (ko
Inventor
히로아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2 신호 사이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자동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음성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음성 레벨이 제 2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음성 레벨의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07572
스위칭, 음성, 영상, 제어 신호

Description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AND AUTOMATIC SWITCHING METHOD}
본 발명은 자동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신호 또는 그 백업 신호 중의 어느 한쪽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TV) 방송국의 장치는 비디오 장치들 사이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직렬 디지털 인터페이스(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이하, SDI 신호라 칭함)를 채용하고 있다(표준 명칭: SMPTE259M/292M).
SDI 신호에서, 오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의 블랭킹 영역(blanking area)으로 멀티플렉싱된다. 따라서, SDI 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0971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81948호는 능동 전송 시스템(active transmission system)(이하, 능동 시스템이라 칭함), 백업 전송 시스템(backup transmission system)(이하, 백업 시스템이라 칭함) 및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audio/video multiplexed signals)가 다른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경우, 스위칭 유닛은 능동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와 백업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 사이를 스위칭하고, 선택된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들을 출력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09712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81948호에 개시된 전송 시스템에서는, 능동 시스템 내에 비디오 신호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스위칭 유닛이 능동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로부터 백업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로 출력 신호를 스위칭한다. 전송 시스템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신뢰도가 높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시스템의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과 관련하여, 비디오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는 것 외에, 오디오 신호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도 7a는 종래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를 스위칭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의 블럭도이다.
능동 시스템(이하, SYS1이라 칭함)은 오디오 검출 유닛(41)을 포함한다. 오디오 검출 유닛(41)은 SYS1 내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45)을 판단 기준값(46)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백업 시스템(이하, SYS2라 칭함)은 오디오 검출 유닛(42)을 포함한다. 오디오 검출 유닛(42)은 SYS2 내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45)을 판단 기준값(46)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45)이 판단 기준값(46) 보다 작지 않다면, 오디오 검출 유닛(41, 42)은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각각 생성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입력 레벨(45)이 판단 기준값(46) 보다 작다면, 오디오 검출 유닛(41, 42)은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각각 생성한다.
오디오 검출 유닛(41)에 사용된 판단 기준값(46)은 오디오 검출 유닛(42)에 사용된 판단 기준값(46)과 동일하다.
오디오 검출 유닛(41, 42)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는 스위칭 제어 유닛(43)에 제공된다.
스위칭 제어 유닛(43)은 오디오 검출 유닛(41, 42)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검출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가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고, 오디오 검출 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가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43)은 SYS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검출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가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오디오 검출 유닛(42)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정보가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43)은 SYS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2×1 스위칭 유닛(44)은 SYS1 과 SYS2 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고, 스위칭 제어 유닛(43)으로부터 제공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SYS1으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와 SYS2로부터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 사이를 스위칭한다.
종래에 따르면, 오디오 노이즈 혼합(audio noise contamination) 등으로 인해, SYS1의 오디오 신호 레벨이 SYS2의 오디오 신호 레벨과 상이한 경우, 오디오 신호 검출 유닛(41, 42)은 잘못된 검출(false det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YS1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와 SYS2의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 사이에 잘못된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45)에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된 경우의 잘못된 검출을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SYS1만이 노이즈 혼합된 것으로 가정하자.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피크에 있는("A"로 표시됨)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45)가 노이즈 혼합된 경우, 두번째 피크의 피크값이 정상값 보다 더 커지게 된다. 정상값이 판단 기준값보다 약간 더 작은 경우, 오디오 노이즈 혼합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45)의 피크값에 더해져서, 피크값이 판단 기준값보다 더 커지도록 기여한다. 따라서, 그 피크는, 만일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되지 않았다면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도록 판단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못 판단된다. 또한, 오디오 노이즈가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네번째 피크에 있는("B"로 표시됨)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45)를 간섭하는 경우, 네번째 피크의 피크값이 정상값 보다 더 작아지게 된다. 정상값이 판단 기준값보다 약간 더 큰 경우, 오디오 노이즈 레벨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45)의 피크값으로부터 감해지도록 기여하고, 그 감해진 피크값은 판단 기준값 보다 더 작아진다. 따라서, 그 피크는, 만일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되지 않았다면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도록 판단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못 판단된다.
SYS1 내의 신호 상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존재, 존재, 존재, 부존재, 및 존재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반면, SYS2 내의 신호 상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존재, 부존재, 존재, 존재, 및 존재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도 7c에 나타낸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된 경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스위칭 동작을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본 설명에서는, SYS2의 오디오 신호에만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된 것으로 가정한다. 오디오 노이즈가 짧은 시간동안 SYS2의 신호에 혼합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43)에게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오디오 신호 검출 유닛(42)은,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규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신규 검출 정보를 수신한 스위칭 제어 유닛(43)은, SYS1의 신호로부터 SYS2의 신호로 출력을 스위칭한다. 그 다음, SYS1이 "오디오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반면 SYS2가 "오디오 신호가 부존재함"을 나타내는 사이에서, 출력 신호를, SYS1의 신호로부터 SYS2의 신호로 스위칭한다. 전술한 출력 신호에 대한 스위칭 동작은 오디오 노이즈 혼합에 기인한 것으로서 불필요하다. 도 7c에 나타낸 일례에서, 오디오 노이즈가 혼합되지 않는다면, 출력 신호는 SYS2의 신호로 스위칭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음성 신호 검출 유닛에 의한 잘못된 검출에 기초하여 오디오/비디오 다중화 신호의 잘못된 스위칭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자동적으로 신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관점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는,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2 신호 사이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자동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음성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음성 레벨이 제 2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음성 레벨의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관점에 따른 자동 스위칭 방법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2 신호 사이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자동 스 위칭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로부터 제 1 음성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 1 음성 레벨이 제 2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출력이 상기 제 2 음성 레벨의 상기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자동 스위칭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 스위칭 머신(automatic switching machine)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자동 스위칭 장치는 MPX-A(multiplexer)(11), MPX-A(12), 2×1 스위칭 유닛(13), 검출 유닛(14), 및 스위칭 제어 유닛(15)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14)은 DMPX-A(demultiplexer)(16), DMPX-A(17), 및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를 포함한다.
MPX-A(11)는 일반적으로 제 1 멀티플렉싱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MPX-A(11)는 음성 신호용 A/D 변환 유닛을 구비한 멀티플렉서이다.
SYS1(능동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V1) 및 아날로그 음성 신 호(A1)를 수신하는 경우, MPX-A(11)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A1)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다음, MPX-A(11)는 디지털 영상 신호(V1)에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부가하여,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생성한다. MPX-A(11)는 상기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2×1 스위칭 유닛(13) 및 DMPX-A(16)에 제공한다. 또한, MPX-A(11)에 의해 생성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일반적으로 영상과 음성을 나타내는 제 1 신호로 호칭될 수 있다.
MPX-A(12)는 일반적으로 제 2 멀티플렉싱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MPX-A(12)는 음성 신호용 A/D 변환 유닛을 구비한 멀티플렉서이다.
SYS2(백업 시스템)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V1)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A1)를 수신하는 경우, MPX-A(12)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A1)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다음, MPX-A(12)는 디지털 영상 신호(V1)에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부가하여,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생성한다. MPX-A(12)는 상기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2×1 스위칭 유닛(13) 및 DMPX-A(17)에 제공한다. 또한, MPX-A(12)에 의해 생성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일반적으로, MPX-A(11)에 의해 생성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인, 제 2 신호로 호칭될 수 있다.
2×1 스위칭 유닛(13)은 일반적으로 스위칭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2×1 스위칭 유닛(13)은 MPX-A(11)에 의해 생성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이하, 제 1 신호라 칭함) 및 MPX-A(12)에 의해 생성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이하, 제 2 신호라 칭함)를 수신하고, 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검출 유닛(14)은 일반적으로 검출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된 어느 하나의 신호의 음성 레벨이,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되지 않은 다른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이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신호 레벨 보다, 판단 레벨(예를 들면, 3dB)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에러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이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신호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만큼 더 작은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일반적으로 스위칭 제어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검출 유닛(14)이,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된 어느 하나의 신호의 음성 레벨이,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되지 않은 다른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한 경우, 그 때,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 신호를 2×1 스위칭 유닛(13)이 출력하지 않은 신호로 스위칭한다.
에러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1 신호에서 제 2 신호로 스위칭한다. 한편, 비정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2 신호에서 제 1 신호 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면, 비정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 및 검출 유닛(14)으로 제 1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에러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 및 검출 유닛(14)으로 제 2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2×1 스위칭 유닛(13)은 제 2 신호 대신에 제 1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2×1 스위칭 유닛(13)은 제 1 신호 대신에 제 2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 1에서, 제 1 스위칭 신호 및 제 2 스위칭 신호는 두개의 신호를 포함하는 1/2 선택 정보(3)로 나타나 있다.
DMPX-A(16)은 일반적으로 제 1 디멀티플렉싱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DMPX-A(16)은 MPX-A(11)가 제공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제 1 신호)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고, 그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1)로 변환시킨다. DMPX-A(16)은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1)를 제공한다.
DMPX-A(17)은 일반적으로 제 2 디멀티플렉싱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DMPX-A(17)은 MPX-A(12)가 제공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제 2 신호)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고, 그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2)로 변환시킨다. DMPX-A(17)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2)를 제공한다.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는 일반적으로 음성 부재 검출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제 1 신호 내의 음성 신호), 아날로그 음성 신호(2)(제 2 신호 내의 음성 신호) 및 1/2 선택 정보(3)(제 1 스위칭 신호 및 제 2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에러 상태 및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
도 2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의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도 2의 구성요소는 각각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2에 따르면,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는 비교 회로(18A)와 상태 검출 회로(18B)를 포함한다. 비교 회로(18A)는 정류 회로(21), 정류 회로(22), 피크 검출 회로(23, 24), 및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를 포함한다. 상태 검출 회로(18B)는 카운터(25, 26), 논리 회로(27), 카운터(28, 29)를 포함한다.
비교 회로(18A)는 일반적으로 비교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 신호(1/2 선택 정보(3))를 수신하는 경우, 비교 회로(18A)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아날로그 음성 신호(1)의 음성 레벨)과 제 1 임계값을 비교하고, 동시에,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아날로그 음성 신호(2)의 음성 레벨)과 제 2 임계값을 비교한다. 또한, 제 2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보다 판단 레벨 만큼 더 크다. 또한,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은 음성 부존재의 판단을 위해 사용된다.
제 2 스위칭 신호(1/2 선택 정보(3))를 수신하는 경우, 비교 회로(18A)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과 제 2 임계값을 비교하고, 동시에,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과 제 1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회로(18A)는 상태 검출 회로(18B)로 그 비교 결과를 제공한다.
상태 검출 회로(18B)는 일반적으로 상태 검출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를 에러 상태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상태를 에러 상태로서 검출한다.
또한,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서 검출한다.
정류 회로(21)는 일반적으로 정류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정류 회로(21)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를 정류하고, 그 정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피크 검출 회로(23)에 제공한다.
정류 회로(22)는 일반적으로 정류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정류 회로(22)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2)를 정류하고, 그 정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피크 검출 회로(24)에 제공한다.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일반적으로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1/2 선택 정보(3)(제 1 스위칭 신호 및 제 2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피크 검출 회로(23) 및 피크 검출 회로(24)에 각각 제 1 임계값(예를 들면, -56dB) 및 제 2 임계값(예를 들면, -53dB)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피크 검출 회로(23)에 제 1 임계값을 설정하고, 피크 검출 회로(24)에 제 2 임계값을 설정한다.
또한, 제 2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피크 검출 회로(23)에 제 2 임계값을 설정하고, 피크 검출 회로(24)에 제 1 임계값을 설정한다.
피크 검출 회로(23)는 일반적으로 피크 검출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피크 검출 회로(2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의 레벨(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을,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가 설정한 임계값과 비교한다. 피크 검출 회로(23)는 그 비교 결과를 카운터(25)로 출력한다. 또한, 피크 검출 회로(2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의 레벨이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 "1"을 출력한다. 또한, 피크 검출 회로(2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의 레벨이 임 계값 보다 낮은 경우(예를 들면, 음성이 부존재) "0"을 출력한다.
피크 검출 회로(24)는 일반적으로 피크 검출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피크 검출 회로(24)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2)의 레벨(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을,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가 설정한 임계값과 비교한다. 피크 검출 회로(24)는 그 비교 결과를 카운터(26)로 출력한다. 또한, 피크 검출 회로(24)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2)의 레벨이 임계값 보다 높은 경우(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 "1"을 출력한다. 또한, 피크 검출 회로(23)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2)의 레벨이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예를 들면, 음성이 부존재) "0"을 출력한다.
카운터(25)는 일반적으로 카운팅(counting)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피크 검출 회로(23)로부터 "1"(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을 수신하는 경우, 카운터(25)는 소정 시간 동안 "1"(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을 유지한다.
카운터(26)는 일반적으로 카운팅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피크 검출 회로(24)로부터 "1"(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을 수신하는 경우, 카운터(26)는 소정 시간 동안 "1"(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을 유지한다.
"1"(예를 들면, 음성이 존재)을 한번 수신하는 경우, 카운터(25, 26)는 예를 들면, 10초 동안 "1"을 유지한다.
논리 회로(27)는 일반적으로 판단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논리 회로(27)는, 카운터(25, 26)로부터의 출력(IN1, IN2)에 기초로 하여, SYS1 내의 음성 존재와 음성 부존재 간의 차이 및 SYS2 내의 음성 존재와 음성 부존재 간의 차이를 각각 출력한다(OUT1, OUT2). IN1, IN2 와 OUT1, OUT2 사이의 관 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OUT2= "0" 는 비정상 상태(SYS2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의 검출에 대응하고, OUT1= "0" 는 에러 상태(SYS1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의 검출에 대응한다.
카운터(28)는 일반적으로 카운팅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OUT1= "0"(SYS1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을 수신하는 경우, 카운터(28)는 "0"(SYS1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카운터(29)는 일반적으로 카운팅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OUT2= "0"(SYS2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을 수신하는 경우, 카운터(29)는 "0"(SYS2 시스템만 음성이 없음)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한번 "0"을 수신하면, 카운터(28, 29)는 60초 동안 "0"을 유지한다.
한편, 카운터(28)의 출력은 스위칭 제어 유닛(15)에 S1으로 제공된다. 또한, 카운터(29)의 출력은 스위칭 제어 유닛(15)에 S2로 제공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스위칭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SYS1 내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MPX-A(11)에 수신된 후,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로서 출력된다.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2×1 스위칭 유닛(13)에 수신된다. 또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가 DMPX-A(16)에 수신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1)가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1)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에 수 신된다(S101).
또한, SYS2 내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MPX-A(12)에 수신된 후,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로서 출력된다.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2×1 스위칭 유닛(13)에 수신된다. 또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가 DMPX-A(17)에 수신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2)가 디멀티플렉싱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2)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에 수신된다(S101).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1, 2)와 1/2 선택 정보(3)에 기초하여, 어떤 시스템이 음성을 갖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정보(S1, S2)를 출력한다. 정보(S1, S2)는 스위칭 제어 유닛(15)에 수신된다.
스위칭 유닛(15)은 정보(S1, S2)에 기초하여 1/2 선택 정보(3)(제 1 스위칭 신호 또는 제 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1/2 선택 정보(3)가 2×1 스위칭 유닛(13)에 수신된 후,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된다.
또한, 1/2 선택 정보(3)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로 피드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음성 신호(1, 2)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 내의 정류 회로(21, 22)에 각각 수신된다. 그 후, 정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1,2)는 피크 검출 회로(23, 24)에 각각 수신된다.
피크 검출 회로(23)의 출력은 카운터(25)에 수신된다. 피크 검출 회로(24)의 출력은 카운터(26)에 수신된다.
각각의 카운터(25, 26)는, 예를 들면, 음성을 한번 검출하는 경우, 10초 동안 음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카운터(25, 26)의 각 출력은 논리 회로(27)에 수신된다.
논리 회로(27)는 카운터(25, 2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SYS1 내의 음성 존재와 음성 부존재 간의 차이 및 SYS2 내의 음성 존재와 음성 부존재 간의 차이를 각각 출력한다.
논리 회로(27)의 출력은 소정 시간 동안 차이를 유지하는 카운터(28, 29)에 수신된다. 카운터(28, 29)는 예를 들면, 차이(음성이 존재하지 않음)를 60초 동안 유지한다. 또한, 출력 S1은 SYS1만 음성이 없다는 결과를 포함하고, 출력 S2는 SYS2만 음성이 없다는 결과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출력 S1 과 출력 S2에 기초하여,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스위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 유닛(15)의 출력 신호(3)(1/2 선택 정보)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에도 수신된다. 구체적으로는, 1/2 선택 정보(3)가 음성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에 수신된다.
제 1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는 1/2 선택 신호(3)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신호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피크 검출 회로(23)에 제 1 임계값을 설정하고, 피크 검출 회로(24)에 제 2 임계값을 설정한다(S102).
또한, 제 2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는 1/2 선택 신호(3)를 수신하는 경우, 음성 신호 부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는 피크 검출 회로(23)에 제 2 임계값을 설정하고, 피크 검출 회로(24)에 제 1 임계값을 설정한다(S1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음성 부재 검출 레 벨)은 각각 -56dB 및 -53dB로 설정된다. 임계값들 사이의 차이는 3dB이다.
예를 들면, 2×1 스위칭 유닛(13)이 SYS1의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SYS1에 대응하는 피크 검출 회로(23)에는 -56dB이 설정되고, SYS2에 대응하는 피크 검출 회로(24)에는 -53dB이 설정된다. 따라서, SYS1의 기준 레벨은 SYS2의 기준 레벨 보다 더 낮다. 이에 따라, SYS1과 SYS2의 레벨 사이의 차이가 전술한 차이 보다 더 크지않는 한, SYS1만 음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출력 S1이 SYS1만 음성이 없는 것(SYS2만 음성을 가짐)으로 나타낼 경우에만, 시스템 스위칭은 수행된다. 한편, 1/2 선택 정보는 음성 부존재 검출 레벨 설정회로(30)에도 수신된 후에, 그 1/2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임계값이 반대로 설정된다. 즉, SYS1에 대응하는 피크 검출 회로(23)에는 -53dB이 설정되고, SYS2에 대응하는 피크 검출 회로(24)에는 -56dB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된 어느 하나의 신호의 음성 레벨이, 2×1 스위칭 유닛(13)에 의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 중에 출력되지 않은 다른 음성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2×1 스위칭 유닛(13)이 출력하지 않는 신호로 스위칭한다.
즉, 서로 다른 기준 레벨의 스위칭 조건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 상태에 따라 바뀐다. 따라서,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약간의 음성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이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에러 상태를 검출한다(S103).
또한, 검출 유닛(14)은, 2×1 스위칭 유닛(13)이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S104).
에러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1 신호에서 제 2 신호로 스위칭한다(S105). 비정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2 신호에서 제 1 신호로 스위칭한다(S107).
즉, 스위칭 조건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 상태에 따라 바뀐다.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는다(S106). 이와 유사하게,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더 작은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스위칭이 수행되지 않는다(S108).
따라서,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약간의 음성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교 회로(18A)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1 임계값과 비교하고, 동시에,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을 제 2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 회로(18A)가 제 2 스위칭 신호(1/2 선택 정보(3))를 수신한 경우에는, 비교 회로(18A)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2 임계값과 비교하고, 동시에,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1 임계값과 비교한다.
이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의 출력이 피드백된다면, 스위칭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 부재(sound non-existence)를 검출하기 위한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으로서 채용된다. 이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의 출력이 피드백된다면, 음성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임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상태를 에러 상태로서 검출한다.
또한, 상태 검출 회로(18B)는 비교 회로(18A)에 의해 생성된 비교 결과가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임계값 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서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음성 노이즈는 장시간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한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에 나타낸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와 같이, 도 4b에 나타낸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가 채용된다. 1/2 선택 정보(3)(제 1 스위칭 신호 또는 제 2 스위칭 신호)는 스위칭 제어 유닛(15)으로부터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로 피드백되지 않는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는 연산 회로(18C1)와 비교 판단 회로(18C2)를 포함한다. 연산 회로(18C1)는 정류 회로(31, 32), LPFs(low pass filters)(33, 34)와 분할 회로(35)를 포함한다. 비교 판단 회로(18C2)는 비교기(36)와 LPFs(37, 38)을 포함한다.
연산 회로(18C1)는 일반적으로 연산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연산 회로(18C1)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과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사이의 비율을 연산한다. 예를 들면, 연산 회로(18C1)는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을 연산한다.
비교 판단 회로(18C2)는 일반적으로 비교 판단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비교 판단 회로(18C2)는,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예를 들면, 6dB) 이상인 레벨 만큼 작게되는 제 1 비교값(예를 들면, 0.5)과 상기 비율(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에러 상태를 검출한다. 즉, 0.5보다 작은,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은,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6dB 이상 만큼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 판단 회로(18C2)는,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예를 들면, 6dB) 이상인 레벨 만큼 작게되는 제 2 비교값(예를 들면, 2)과 상기 비율(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 즉, 2보다 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은,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6dB 이상만큼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정류 회로(31)는, 도 2에 나타낸 정류 회로(2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정류 회로(32)는, 도 2에 나타낸 정류 회로(2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LPFs(33, 34)는 일반적으로 필터링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LPFs(33, 34)는 정류 회로(31, 32)의 출력에 포함된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직류(DC) 성분만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LPFs(33, 34)의 출력에 소정 레벨(α)을 부가할 수 있다.
LPFs(33, 34)의 출력에 소정 레벨(α)을 부가하는 이유는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노이즈로 인한 잘못된 검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부가될 소정 레벨(α)은 측정된 노이즈 레벨 보다 약 2배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회로(35)는 일반적으로 분할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분할 회로(35)는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2)로 나뉘어진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1)을 제공한다.
비교기(36)는 일반적으로 비교 판단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2)로 나뉘어진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1)이 제 1 비교값(예를 들면, 0.5) 보다 작은 경우, 비교기(36)는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S1= "0"을 출력한다.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2)로 나뉘어진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입력 IN1)이 제 2 비교값(예를 들면, 2) 보다 큰 경우, 비교기(36)는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S2= "0"을 출력한다.
LPF(38)는 일반적으로 필터링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LPF(38)는 S2에 대한 순간 노이즈(short-time noise)를 제거한다.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A)로부터의 S1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회로(15)는 SYS1 내의 음성 레벨 감축, 즉, SYS2와 비교하여 6dB만큼 SYS1을 감소시킬 것을 결정하고, SYS2는 음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A)로부터의 S2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회로(15)는 SYS2 내의 음성 레벨 감축, 즉, SYS1과 비교하여 6dB만큼 SYS2를 감소시킬 것을 결정하고, SYS2는 음성을 갖게 된다.
다음, 도 5에 나타낸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스위칭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SYS1 내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MPX-A(11)에 수신된 후,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로서 출력된다.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2×1 스위칭 유닛(13)에 수신된다. 또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가 DMPX-A(16)에 수신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1)가 디멀티플렉 싱(demultiplexing)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1)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에 수신된다(S201).
SYS2 내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MPX-A(12)에 수신된 후,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로서 출력된다.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는, 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2×1 스위칭 유닛(13)에 수신된다. 또한,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가 DMPX-A(17)에 수신된 후, 아날로그 음성 신호(2)가 디멀티플렉싱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2)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에 수신된다(S201).
아날로그 음성 신호(1)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에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1)는 정류 회로(31)에 수신된다. LPF(33)는 정류 회로(31)의 출력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로서 직류(DC) 성분을 생성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2)는 음성 부재 검출 회로(18C)에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2)가 정류 회로(32)에 수신된다. LPF(34)는 정류 회로(32)의 출력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로서 직류(DC) 성분을 생성한다.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및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분할 회로(35)에 전송되고,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대한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의 비율이 연산된다(S202).
비교 판단 회로(18C2)는, 상기 연산된 비율과,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타내는 제 1 비교값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에러 상태를 검출한다(S203).
또한, 비교 판단 회로(18C2)는, 상기 연산된 비율과,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타내는 제 2 비교값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S203).
에러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1 신호에서 제 2 신호로 스위칭한다(S205). 또한, 비정상 상태가 검출된 경우, 스위칭 제어 유닛(15)은 2×1 스위칭 유닛(13)의 출력을 제 2 신호에서 제 1 신호로 스위칭한다(S206).
전술한 두가지 경우 외에는, 신호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는다(S207).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 회로(18C1)의 연산 결과 및 제 1 비교값과 제 2 비교값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에러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검출한다.
따라서,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약간의 음성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또한,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로부터 MPX-A(11) 및 MPX-A(12)를 생략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MPX-A(11) 및 MPX-A(12)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도 6의 구성요소는, 각각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낸 자동 스위칭 장치는 SYS1과 SYS2의 음성-영상 다중화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스위칭 장치가 2×1 스위칭 유닛(13), 검출 유닛(14), 및 스위칭 제어 유닛(15)을 포함하므로,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약간의 음성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 따르면, 음성 검출 유닛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시스템 스위칭은 소정 시간 동안 음성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시스템 스위칭이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노이즈 혼합으로 인해 약간의 음성 레벨 차이가 발생한 경우라도, 시스템 스위칭의 불필요한 스위칭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설명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 불구하고, 임계값, 판단 레벨 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음성 노이즈의 영향으로 인해 SYS1과 SYS2 사이에 잘못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잘못된 검출 정보가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성되는 경우, 시스템 스위칭의 스위칭 동작을 빈번하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스위칭의 빈번한 스위칭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음성(sound)"의 용어는 "오디오(audio)", "보이스(voice)"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영상(image)"의 용어는 "비디오(vidoe)"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기술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포괄적 원리 및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될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며, 본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최광의 범위 및 동등한 범위까지 허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절차의 수행 도중에 본 청구범위의 수정이 있는 경우라도, 본 발명자의 의도는 청구된 발명의 모든 동등물을 포함하려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부재 검출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챠트.
도 4a 및 도 4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부재 검출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챠트.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7a 내지 도 7c는 종래에 따른 자동 스위칭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MPX-A 13: 2×1 스위칭 유닛
14: 검출 유닛 15: 스위칭 제어 유닛
16, 17: DMPX-A 18: 음성 부재 검출 회로
18A: 비교 회로 21, 22: 정류 회로
23, 24: 피크 검출 회로 25, 26: 카운터
27: 논리 회로 28, 29: 카운터

Claims (14)

  1.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2 신호 사이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자동 스위칭 장치로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중에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과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사이의 차이가 적어도 상기 판단 레벨인 것을 검출하는 비교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 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적어도 상기 판단 레벨 만큼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적어도 상기 판단 레벨 만큼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비교 수단 및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1 임계값과 비교하는 제 1 비교부; 및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2 임계값과 비교하는 제 2 비교부를 포함하며 - 여기서, 상기 제 1 임계값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차이는 상기 판단 레벨에 대응 - ,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비교부의 비교 결과 또는 상기 제 2 비교부의 비교 결과 중 어느 하나가 임계값 보다 낮아지는 음성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1 임계값이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비교부의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검출하며,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2 임계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제 2 비교부의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스위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임계값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 수단은,
    상기 스위칭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게 설정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임계값을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비율 연산부 및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율 연산부는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또는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과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의 비율을 검출하고,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비율을 제 1 비교값과 제 2 비교값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교하고 - 여기서, 상기 제 1 비교값은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비교값은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타냄 - ,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비율이 상기 제 1 비교값 보다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비율이 상기 제 2 비교값 보다 더 큰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연산부는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및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값을 갖는 레벨을 부가하여 상기 비율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부가되는 상기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레벨은 혼합되는 것으로 추정된 노이즈의 레벨 보다 두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장치.
  8.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음성 및 영상을 나타내는 제 2 신호 사이를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를 위한 백업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자동 스위칭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중에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보다,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만큼 더 작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중에 상기 제 2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과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 사이의 차이가 상기 판단 레벨 이상인 것을 검출하는 비교 검출 단계; 및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 만큼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 만큼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1 임계값과 비교하는 제 1 비교 결과 또는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을 제 2 임계값과 비교하는 제 2 비교 결과 중 어느 하나가 임계값 보다 낮아지는 음성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검출하는 비교 검출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1 임계값과 상기 제 2 임계값의 차이는 상기 판단 레벨에 대응 - ;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1 임계값이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상기 제 1 비교 결과가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고, 상기 제 2 임계값이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고, 상기 제 2 비교 결과가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더 낮게 설정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임계값을 상기 제 1 임계값 보다 더 낮게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음성 레벨 또는 상기 제 2 신호의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과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의 비율을 검출하는 비율 연산 단계;
    상기 비율을 제 1 비교값과 제 2 비교값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1 비교값은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 타내고, 상기 제 2 비교값은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이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보다, 상기 판단 레벨 이상인 레벨 만큼 작은 것을 나타냄 - ; 및
    상기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비율이 상기 제 1 비교값 보다 더 작은 경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이 상기 제 1 신호로 전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연산된 상기 비율이 상기 제 2 비교값 보다 더 큰 경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및 상기 제 2 신호의 상기 음성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값을 갖는 레벨을 부가하여 상기 비율을 연산하는 부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가되는 상기 소정의 값을 갖는 상기 레벨은 혼합되는 것으로 추정된 노이즈의 레벨 보다 두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위칭 방법.
KR1020090007572A 2008-01-31 2009-01-30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 KR100994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0823 2008-01-31
JP2008020823A JP5309577B2 (ja) 2008-01-31 2008-01-31 自動切替装置および自動切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55A KR20090084755A (ko) 2009-08-05
KR100994695B1 true KR100994695B1 (ko) 2010-11-17

Family

ID=4094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72A KR100994695B1 (ko) 2008-01-31 2009-01-30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09577B2 (ko)
KR (1) KR100994695B1 (ko)
CN (1) CN101500112B (ko)
TW (1) TWI416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3009A3 (en) * 2010-03-31 2014-05-28 Sony Corporation Television signal receiver apparatus with sound signal detection
CN103929549B (zh) * 2014-04-24 2016-06-08 上海贝岭股份有限公司 免提通话电路的快速闲置模式的异常判定方法
US20160105689A1 (en) * 2014-10-13 2016-04-14 Vigor Systems Inc. Replacing a corrupted video frame
JP6539547B2 (ja) * 2015-08-31 2019-07-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音源処理装置、音響装置及び部屋
CN108513212B (zh) * 2018-02-12 2020-12-04 深圳易科声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运行过程中切换音频通道的方法及装置
CN111654780B (zh) * 2019-12-31 2021-06-25 广州励丰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信号的自动切换方法及音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635A (en) * 1992-05-12 1994-07-12 Motorola, Inc. Seamless handoff for radio telephone systems
US20020112175A1 (en) * 2000-12-13 2002-08-15 Makofka Douglas S. Conditional access for functional units
JP3957211B2 (ja) * 2003-10-31 2007-08-15 Kddi株式会社 2重化音声信号の障害検出装置
TW200638755A (en) * 2005-04-18 2006-11-01 Matsushita Electric Tw Co Ltd Optimization method of dual-mode receiver applied in an automotive wireless digital TV receiver
JP2007028299A (ja) * 2005-07-19 2007-02-0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像監視システム
TWI318082B (en) * 2006-04-14 2009-12-01 Univ Yuan Ze Method for determining the handoff moment between the access points
CN200987171Y (zh) * 2006-11-17 2007-12-05 广西广播电视发展中心 一种广播转播音频信号源自动切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2796A (ja) 2009-08-13
KR20090084755A (ko) 2009-08-05
CN101500112B (zh) 2013-03-20
TWI416946B (zh) 2013-11-21
TW200948051A (en) 2009-11-16
JP5309577B2 (ja) 2013-10-09
CN101500112A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695B1 (ko) 자동 스위칭 장치 및 자동 스위칭 방법
US10045016B2 (en) Lip sync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EP2306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and audio data received in decoding system
US20090296946A1 (en) Defect detection method for an audio device utilizing a microphone array
US8655165B2 (en) Light transmission device, optical relay device, optical wavelength multiplexing transmission apparatus, and light transmission method
US74180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ime-synchronized relaying of signals
JP2008193145A (ja) 映像異常検出装置、映像伝送装置、映像異常検出方法、及び映像伝送方法
JP4656542B2 (ja) 音声障害検出装置および音声自動切替装置
JP3661427B2 (ja) 信号切換装置
JP2006108875A (ja) 送出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検出および自動切替え方式
CA2620950C (en)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a ring network
JP2015056672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8072220A (ja) 系統切替装置及びその方法
CN107925513A (zh) 错误监视设备、方法和记录介质
EP1511334A1 (en)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detection of transmission output level error in a radio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device
JP3050160B2 (ja) 回線品質監視方式
US20050111373A1 (en) Node device
JP5713409B2 (ja) 光パス切替方法および装置
CN117240984A (zh) 一种高清演播室高可靠性信号处理方法及控制系统
JP2020170889A (ja) 伝送信号選択装置、伝送システム、伝送信号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15134A (ja) 水平同期信号検出回路
JP2007208797A (ja) 故障検出装置
JP2004304500A (ja) 切り替え装置
JP6090876B2 (ja) 伝送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経路切替方法
JP2005348069A (ja) 著作権信号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