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104B1 -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 Google Patents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104B1
KR100992104B1 KR1020080082105A KR20080082105A KR100992104B1 KR 100992104 B1 KR100992104 B1 KR 100992104B1 KR 1020080082105 A KR1020080082105 A KR 1020080082105A KR 20080082105 A KR20080082105 A KR 20080082105A KR 100992104 B1 KR100992104 B1 KR 100992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lower
air inlet
soundproof cas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381A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 대성이엔씨
(주) 강력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성이엔씨, (주) 강력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대성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8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1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된 깨끗한 공기의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블로워의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블로워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블로워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착탈이 쉬워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는 블로워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공기입구가 형성되고, 공기흡입구와 수직을 이루고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삽입홀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방음케이스와 ; 상기 방음케이스에 형성된 필터삽입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블로워, 필터, 착탈, 흡음재, 여과시트

Description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silencer within filter for blower}
본 발명은 블로워(Blower)에 설치되는 필터 겸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블로워의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블로워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블로워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인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착탈이 쉬워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 현장에는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Blower)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블로워는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공기 흡입구에 필터(filter)가 설치되어 있다.
그 일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로워(100)에 설치되는 필터(200)는 블로워의 흡입구(110)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필터(200)는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된 스펀지나 솜 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 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로워용 필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나 철사 및 스크린망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블로워용 필터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쉽게 손상됨은 물론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필터링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여 블로워에 과부하가 걸리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를 볼트나 철사 및 스크린망 등으로 고정시켜야하므로 필터의 착탈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필터를 카트리지(cartridge) 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블로워의 공기 흡입구에 방음케이스를 설치하고 이 방음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필터를 설치함으로서 블로워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음케이스의 일측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설치된 필터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는 블로워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공기입구가 형성되고, 공기흡입구와 수직을 이루고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삽입홀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방음케이스와 ; 상기 방음케이스에 형성된 필터삽입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형태로 필터를 구성함으로서 필터의 착탈이 쉬워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청정한 공기를 작업장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음기 형태의 방음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어 블로워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방음케이스에 의해 필터가 보호됨으로서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블로워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블로워의 방음케이스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는 방음케이스(1)의 측벽을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필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블로워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공기입구(11)가 형성되고, 공기흡입구와 수직을 이루고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삽입홀(12)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방음케이스(1)와 ; 상기 방음케이스(1)에 형성된 필터삽입홀(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음케이스(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통체 형상으로 블로워(100)를 향한 면이 개방되어 있어 블로워(100)의 공기흡입구(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공기입구(11)는 측벽이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입구(11)를 측벽이나 바닥에 형성하는 이유는 상부면에 형성할 경우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공기입구(11)를 통해 방음케이스(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며, 바닥에 형성할 경우 방음케이스(1)의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서 방음케이스(1)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의 이물질이 블로워의 구동시 같이 흡입되지 않게 한다.
상기 공기입구(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방음케 이스(1)의 내부로 연장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필터삽입홀(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가 카트리지(cartridge)식으로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방음케이스(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케이스(1)의 내부에 필터(2)를 지지하는 가이드판을 형성하여 필터(2)가 측방으로 흔들리지 않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방음케이스(1)의 일면에는 방음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1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케이스(1)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방음케이스(1)의 상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블로워(100)의 크기나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저면이나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3)을 방음케이스(1)의 벽을 천공하여 형성하였을 경우 이 투시창(13)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창(13)에는 개폐 가능하게 투시창커버(13a)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시창커버(13a)는 투시창(13)에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2)는 블로워(10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블로워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 즉, 블로워가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음 수단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필터링과 방음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방음케이스(1)와 필 터(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블로워(100)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 방음케이스(1)의 내부에 갖힌 상태가 되어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고, 방음케이스(1)에 형성된 공기입구(11)로 빠져 나오는 소음은 상기 필터(2)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필터(2)는 다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테두리(21)에 의해 지지되는 유공판(22), 흡음재(23), 여과시트(24)를 브로워를 향한 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구성된다.
상기 유공판(22)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공이 형성된 판체로서 경금속이나 강화플라스틱 등 잘 휘어지지 않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블로워(100)를 향한 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는 테두리(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흡음재(23)는 블로워(1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블로워(100)로 빨려 들어가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펀지나 솜 등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시트(24)는 얇은 천이나 다공성 종이류 및 섬유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통상적으로 공기여과장치에 설치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블로워(100)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필터(2)를 구성하는 적층물의 적층 순서를 블로워(100)를 향한 면으로부터 유공판(22), 흡음재(23), 여과시트(24)의 순서로 적층하는 이유는 블로워(100)에서 공기를 흡인할 때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과시트(24)와 흡음재(23)가 블로워(100)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유공판(22)은 흡음재(23), 여과시트(24)를 지지하여 블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흡음재(23), 여과시트(24)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로워용 필터는 방음케이스(1)에 필터(2)를 설치하는 방향이 일정해야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유공판(22)이 블로워(100)를 향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필터(2)가 방음케이스(1)에 끼어지는 방향을 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2)를 구성하는 테두리(21)의 측벽과 방음케이스(1)에 형성된 필터삽입홀(12)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필터(2)가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2a)과 안내턱(21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안내턱(21a)을 필터(2)의 테두리(21)에 형성하고, 안내홈(12a)을 방음케이스(1)의 필터삽입홀(1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안내턱을 필터삽입홀에 형성하고 안내홈을 필터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안내턱과 안내홈을 형성함으로서 필터(2)의 방향이 바뀐 상태로 필터삽입홈(12)에 끼워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2)의 테두리(21)의 전방에 형성된 도면부호 2a는 필터(2)를 필터삽입홀에 삽입하거나 필터삽입홀부터 꺼낼 때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블로워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블로워의 방음케이스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필터를 구비한 블로워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방음케이스
11 : 공기입구
12 : 필터삽입홀 12a : 안내홈
13 : 투시창 13a : 투시창커버
2 : 필터조립체
2a : 손잡이
21 : 테두리 21a : 안내턱
22 : 유공판
23 : 차음재
24 : 여과시트

Claims (5)

  1. 블로워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공기입구(11)가 형성되고, 공기흡입구와 수직을 이루고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삽입홀(12)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방음케이스(1)와; 상기 방음케이스(1)에 형성된 필터삽입홀(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필터(2);를 포함하여 구성되데,
    상기 방음케이스(1)의 일면에는 방음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13)은 방음케이스(1)의 상부 벽을 천공하여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투시창(13)에는 개폐 가능하게 투시창커버(13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는 테두리(21)에 의해 지지되는 유공판(22), 흡음재(23), 여과시트(24)를 블로워를 향한 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를 구성하는 테두리(21)의 측벽과 방음케이스(1)에 형성된 필터삽입홀(12)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필터(2)가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2a)과 안내턱(2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KR1020080082105A 2008-08-21 2008-08-21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KR100992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05A KR100992104B1 (ko) 2008-08-21 2008-08-21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05A KR100992104B1 (ko) 2008-08-21 2008-08-21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81A KR20100023381A (ko) 2010-03-04
KR100992104B1 true KR100992104B1 (ko) 2010-11-04

Family

ID=4217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105A KR100992104B1 (ko) 2008-08-21 2008-08-21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1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6Y1 (ko) 2005-05-12 2005-07-28 박병덕 공기조화기 투시창용 지지테
JP2007212073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6Y1 (ko) 2005-05-12 2005-07-28 박병덕 공기조화기 투시창용 지지테
JP2007212073A (ja) * 2006-02-10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81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625B2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JP6960469B2 (ja) レンジフード
JP4901641B2 (ja) 異音防止構造
US20210055002A1 (en) Filter device and fum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filter device
US9534385B2 (en) Room delimitation element
KR101006820B1 (ko) 공기 청정기
EP2699849B1 (en) Fumes suction and/or filtering hood, in particular for a household kitchen unit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JP3155876U (ja) 喫煙室
KR20170136079A (ko)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100992104B1 (ko) 블로워용 필터가 설치된 소음기
JP5188282B2 (ja) 熱交換換気装置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101459497B1 (ko) 공기 청정기
JP2007203252A (ja) 換気口用フィルタ
JP2012163234A (ja) 換気装置
JP2017096562A (ja) 分煙装置
JP5609284B2 (ja) 換気装置用ルーバー
JP2009127890A (ja) レンジフード
KR101939625B1 (ko)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JP5502129B2 (ja) レンジフード
JP658066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玄関
JP2021173043A (ja) 喫煙室
JP2010125391A (ja) 空気清浄機
JP2008117852A (ja) 電子機器シャーシおよびこの電子機器シャーシを用いた電子機器ラック装置
JP2012184916A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