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236B1 - active headrest for a car - Google Patents

active headrest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236B1
KR100991236B1 KR1020080030675A KR20080030675A KR100991236B1 KR 100991236 B1 KR100991236 B1 KR 100991236B1 KR 1020080030675 A KR1020080030675 A KR 1020080030675A KR 20080030675 A KR20080030675 A KR 20080030675A KR 100991236 B1 KR100991236 B1 KR 10099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atch
active headrest
plat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5302A (en
Inventor
이종윤
박상남
이인호
김도형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8003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236B1/en
Publication of KR2009010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로드(10)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가이드바아(12)에 슬라이더(14)를 매개로 무빙바아(18)가 상하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에 프론트커버(20)의 내측 상부 모서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상기 무빙바아(18)의 하강 상태를 구속하는 래치어셈블리(22)가 구비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headrest of an automobile, and a moving bar (18) is mounted on a guide bar (12), which is inclinedly fixed to a stay rod (10), via a slider (14) so as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n inner upper edge of the front cover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oving bar 18, and a latch assembly 22 is provided on the stay rod 10 to restrain the descending state of the moving bar 18. Configuration is don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목 상해 방지장치를 갖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전후이동장치의 부가 설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active headrest having a head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device and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n a very simpl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pparatus can be easily performed.

액티브 헤드레스트, 목 상해 방지장치, 경사각 조절장치, 전후이동장치 Active headrest,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tilt angle adjustment devic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evice

Description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for a car}Active headrest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 충돌(추돌)시 탑승자의 목을 신속하게 받쳐주어 목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restraint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head restraint of a vehicle that is capable of quickly supporting a passenger's neck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collision) to prevent neck injury.

자동차의 주행 중 마주 오던 차량이나 전방 장애물에 충돌하면 탑승자의 신체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티어링휠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및 윈드쉴드글래스 등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시트벨트나 에어백의 작용에 의해 상해 정도가 경감될 수 있다.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 oncoming vehicle or an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occupant's body moves forward by inertia and hits the steering wheel, the instrument panel, the windshield glass, and so on. Can be alleviated.

또한, 주행 중 후방 차량의 과속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차체가 급가속되면서 머리가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목에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시트백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가 머리(후두부)를 받쳐주어 상해 정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due to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while driving, a serious injury occurs to the neck as the vehicle body is rapidly accelerated and the head is flipped backward. In this case, the headrest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at back is the head (back head). It serves to reduce the degree of injury.

그러나, 통상 차량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는(특히, 운전자의 머리) 헤드레스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추돌 사고 발생시에는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주지 못하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목이 급격하게 뒤로 젖혀 지면서 심각한 상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ead of the occupant is normally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eadres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headrest does not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the neck of the occupant is suddenly turned back. There was a problem causing serious injuries.

따라서, 추돌 사고 발생시 헤드레스트를 전·상방(탑승자의 후두부를 향해 앞쪽 및 위쪽으로 동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 줌으로써 목 상해를 방지해주는 목 상해 방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neck injury by moving the headrest forward and upward (in the direction of moving forward and upward toward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supporting the occupant's head quickly. .

그러나, 대부분의 목 상해 방지장치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most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s,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which causes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한편, 근래 고급 차량의 헤드레스트에는 탑승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따라 보다 편안하게 머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경사각 조절장치(스윙 장치) 및 전후 위치 조절장치 등의 편의 장치들이 부가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headrest of the luxury vehicle is a tendency to add convenience devices such as tilt angle adjusting device (swing device) and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device to more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according to various physical conditions of the occupant.

그러나, 이러한 편의 장치들 또한 그 구성 부품들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 내부의 한정된 레이아웃으로 인하여 상기 장치들을 모두 설치하는 것이 매우 난해하였다.However, these convenient devices also occupy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drest due to their components, so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all the devices due to the limited layout inside the headre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 상해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ctive headrest of a vehicle having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made of a simpler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목 상해 방지장치와 더불어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전후 위치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head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device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와,Stay ro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에 양측 수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와,Guide bars fixed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inclined forward at the top of the stay rod,

상기 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Sliders installed o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so as to be movable;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스프링과,A spring supporting the slider,

상기 양쪽 슬라이더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와,A moving bar having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arts rotatably mounted on both sliders,

상기 무빙바아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 및, A front cover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front corner of an inner side of the moving bar;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를 잡 아주는 래치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ba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tay rod and the holding bar in the lowered state comprises a latch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반원통형의 양측 실린더부와 그 양측 실린더부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래치어셈블리장착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having a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between the two cylindrical portions of the semi-cylindrical and both cylinder portions,

상기 실린더부를 양쪽 수직부가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 고정되는 가이드바아와,A guide bar mount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both vertical portions penetrate the cylinder portion;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A slider installed in both cylinders of the guide bar so as to be movable in the cylinder portion;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스프링과,A spring supporting the slider,

상기 양쪽 슬라이더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와,A moving bar having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arts rotatably mounted on both sliders,

상기 무빙바아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와, A front cover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front corner of an inner side of the moving bar;

상기 래치어셈블리장착부에 삽입 장착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와,A latch assembly inserted into the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to hold the moving bar in a descending state;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의 상단 중앙에 장착 고정되는 전후이동장치 및,Front and rear movement unit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stay ro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단 수평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마찰회동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mprises a friction rotation bracke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한편, 상기 슬라이더에는 가이드바아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직교하여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에 일체로 고정되어 푸시버 튼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출몰하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푸시버튼을 설치공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부에는 상기 록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orthogonal to the through-hole through the guide bar, the push button to the installation hole, and integrally fixed to the push button and emerges into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ush button. A lock plate and a spring for pushing the push button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are installed, and a lo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to lock the pl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로드에 직접 고정된 가이드바아를 따라 무빙바아가 상승하여 무빙바아에 장착된 헤드레스트(프론트커버 부분)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 상해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bar is raised along the guide bar directly fixed to the stay rod made of a very simple configuration that the headrest (front cover portion) mounted on the moving bar can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An active headrest of a motor vehicle with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또한, 상기 목 상해 방지장치와 더불어 무빙바아와 프론트커버의 연결 구성에 의해 구현된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상기 가이드바아와 무빙바아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가이드바아를 스테이로드에 연결하는 전후이동장치에 의해 구현된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장치가 모두 구비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head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device implemented by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moving bar and the front cover together with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and the main body and the guide bar and the moving bar to which the guide bar and the moving bar are mounted are moved back and forth. There is provided an active headres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ll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devices implemented by the devic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 상태)로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단에 삽입 설치된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측부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12)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 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 상기 무빙바아(18)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 및,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16)을 압축시킨 위치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를 포함한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tive headres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front view (front cover exclud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y rod 10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seat back and the stay rod ( A guide bar 12 fixed inclined forwardly on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part 10, a slider 14 installed o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so as to be movable, and both vertical sides of the guide bar 12; A spring 16 mounted to the portion to support the slider 14, a moving bar 18 mounted on both of the sliders 14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ortions are rotatable, and an upper end of the moving bar 18; Holds the moving cover 18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cover 20 rotatably mounted to the inner upper front corner portion and the top bar of the stay rod 10 is compressed to compress the spring 16. Note including latch assembly (22) All.

상기 가이드바아(12)는 상단의 수평부 양단에 수직부가 절곡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측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고정된다.The guide bar 12 has a shape in which vertical portions are bent and exten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end, and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ortions are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stay rod 10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가이드바아(12)의 고정 전에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는 슬라이더(14)와 스프링(16)이 끼워진다.The slider 14 and the spring 16 are fitted i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before fixing the guide bar 12.

상기 슬라이더(14)는 원통형 부품으로서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다.The slider 14 is a cylindrical part formed with through holes 14a through which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pass.

상기 스프링(16)은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4)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더(14)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항상 슬라이더(14)를 가이드바아(12)의 상부 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하게 된다.The spring 16 is positioned between the slider 14 and the top of the stay rod 10 in the state of penetrating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and is compressed by the slider 14 so that the slider 14 is always pressed.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guide bar 12.

상기 스프링(16)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면에 단순히 접촉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부 즉,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높이까지의 부분에 상기 관통공(14a)이 확장 성형되어 스프링(16)의 외경보다 크게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그 스프링수용홈의 내부로 스프링(16)의 상부가 수 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pring 16 may simply contact and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r 14.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4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14, that is,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predetermined height upwardly to form a spring receiving groov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pring 16. By all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6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thereof,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ed state.

한편,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의 외주면 내측부(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었을 때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너트좌면(14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너트(24)에 볼트(26)를 매개로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 nut seat surface 14b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h sliders 14 (oppos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when the slid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and is formed on the nut seat 14b. The nut 24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oving bar 18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nut 24 via the bolt 26.

장착 상태에서의 회동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은 프레싱되어 납작한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되며, 그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된 볼트공에 부시(28)가 구비되고, 상기 부시(28)를 통해 볼트(26)가 체결됨으로써 볼트(26)가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무빙바아(18)가 원활히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Lower ends of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oving bar 18 are pressed into a flat plate shape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mounted state is smooth, and a bush 28 is provided in a bolt hol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The bolt 26 is fastened through the 28 so that the moving bar 18 can be smoothly rotated even when the bolt 26 is firmly fastened.

한편, 상기 무빙바아(18)도 전체적으로는 가이드바아(12)와 동일하게 상단의 수평부 양단에 수직부가 절곡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의 수평부에 프론트커버(20)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bar 18 as a guide bar 12 as a whole, the vertical portion is bent to extend the shape o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end, the front cover 2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end.

상기 프론트커버(20)는 외부에 헤드레스트 쿠션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내부의 전방 상부 모서리에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안착되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빙바아연결부(20a ;도 4 참조)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탄성 변형을 통해 강제 삽입된 후 그 내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원주의 일부가 개구된 원형 단면의 장착홈(20aa)을 갖춘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장착홈(20aa)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여 장착홈(20aa)에는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안착되도록만 하고 그 개구부는 별도의 커버브라켓을 장착하여 장착홈(20aa)에서 무빙바아(18)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The front cover 20 is a plastic injection molding to which the headrest cushion is attached to the outside, the moving bar connecting portion 20a so that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seated on the front upper edge of the inside so as to be rotated. Are integrally formed. The shape of the moving bar 18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mounting groove 20a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opened so that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forcibly inserted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then rotated therein may be formed. If it is equipped shape, it is enough. The opening area of the mounting groove 20aa is expanded so that only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20aa, and the opening is equipped with a separate cover bracket to move the mounting bar 20b in the mounting groove 20aa.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structure such that 18) does not deviate.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a)의 내부에 래치(22b)와, 릴리스레버(22c)와, 토션스프링(22d) 및 액츄에이터(22e)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latch assembly 22 includes a latch 22b, a release lever 22c, a torsion spring 22d, and an actuator 22e inside the housing 22a.

상기 하우징(22a)은 하면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상면에는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진입되는 개구부(22aa)가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2a is integrally fixed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stay rod 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an opening 22aa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ousing 22a to enter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는 상부에 핀을 매개로 래치(22b)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22b)에는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구속하여 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다.The latch 22b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2a via a pin, and the latch 22b restrains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entering the opening 22aa and rests thereon. A locking portion 22ba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는 핀을 매개로 릴리스레버(22c)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릴리스레버(22c)는 둔각의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의 상단에 래치(22b)쪽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22ca)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2ca)는 상기 래치(22b)가 무빙바아(18)의 상향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래치(22b)에 형성된 걸림턱(22bb)에 걸려짐으로써 록(lock)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release lever 22c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lower portion of the latch 22b via a pin. The release lever 22c has an obtuse L-shape, and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one end toward the latch 22b. A bent stopper 22ca is formed. The stopper 22ca is locked by the latching jaw 22bb formed on the latch 22b while the latch 22b restrains the upward movement of the moving bar 18. .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는 일단이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고 타단은 릴리스레버(22c)의 타측 단부(스토퍼(22ca)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 되는 토션스프링(22d)이 구비된다.A pin of the release lever 22c has a torsion spring 22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atch 22b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lever 22c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stopper 22ca is formed). 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릴리스레버(22b)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된다.An actuator 22e is provided below the release lever 22b to push upward the portion supporting the torsion spring 22d.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솔레노이드 타입으로서 전기를 공급받으면 내부의 플런저(22ea)를 돌출시켜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을 한다.When the actuator 22e is a solenoid type and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the actuator 22e protrudes the internal plunger 22ea to rotate the release lever 22c counterclockwise.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사고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추돌감지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추돌감지센서로는 추돌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에 의해 배터리와 액츄에이터(22e)의 사이에 구성된 회로의 스위치 접점을 연결하여 액츄에이터(22e)에 직접 전류를 공급하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The actuator 22e is operated by a signal generated from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collision accident.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includes a circui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actuator 22e due to a change in acceleration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It is possible to us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connects the switch contact to supply current directly to the actuator 22e.

또한, 리어범퍼에 설치되어 추돌시 발생한 충격량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함으로써 전자제어유니트가 배터리와 액츄에이터(22e) 사이에 구성된 회로의 릴레이스위치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22e)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격감지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rear bumper by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at the time of collision,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perates a relay switch of a circuit configur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actuator 22e to supply current to the actuator 22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hock sensor to ensure that is supplied.

한편, 상기와 같이 전기/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22e)를 배제하고 순수한 기계식으로 래치어셈블리(22)를 작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latch assembly 22 may be operated in a purely mechanical manner by excluding the actuator 22e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operated as described above.

즉, 시트백의 내부에 추돌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려졌을 때 그에 연동되어 하방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외피와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케이블와이어)를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 서,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시트백을 가압하는 탑승자의 등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서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 방향(액츄에이터(22e) 작동시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으로 회동하여 래치(22b)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That is, when a collision occurs inside the seatback, a moving plate which is pushed backward by the back of the occupant is installed, and when the moving plate is pushed backward, the wire is pulled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sheath (the outer shell and the wire which is moved in the inside) Cable wire) to the end portion of the stopper 22ca side of the release lever 22c. Therefore, when a collision occurs, the movable plate is pushed backward by the occupant who presses the seatback, so that the wire is pulled so that the release lever 22c is counterclockwise (the same as when the actuator 22e is operated). Operation is performed.), The restraint state of the latch 22b can be released.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선행 기술들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785625호의 베이스플레이트(49)는 힌지브라켓(45,47)의 이동힌지축(61,63)에 와이어를 연결함으로써 추돌시 베이스플레이트(49)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movable plate can find various prior arts in the active headrest art. For example, the base plate 49 of the Applicant's Patent No. 10-785625 is connected to the moving hinge shafts 61 and 63 of the hinge brackets 45 and 47 by the operation of the base plate 49 when colliding. The wire can be pulled out.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40600호(기아자동차)에는 이동플레이트(800)에 접철식 링크(900)가 구비되고 그 링크(900)의 단부에 와이어(720)가 연결됨으로써 추돌시 탑승자의 등이 이동플레이트(800)를 가압하면 링크(900)가 펼쳐지면서 와이어(720)가 당겨지도록 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40600 (Kia Motors) is provided with a foldable link 900 on the movable plate 800 and the wire 7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ink 900, such as the occupant Pressing the movable plate 800 is described a technique in which the wire 720 is pulled while the link 900 is expanded.

또한, 시트백프레임에 상기 이동플레이트 이동시 회동되는 레버를 설치하고, 그 레버에 와이어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eat back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that is rotated when the moving plate moves,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이와 같이 시트백의 내부에 추돌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이동플레이트에 와이어를 연동시켜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용이하고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상세한 구성의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a technology for installing a moving plate pushed by a passenger or the like when colliding with the seatback and allowing the wire to be pulled by interlocking the wire with the moving plate can be easily and variously referr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prior art. Since it is the grade which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and drawing of a detailed structure are abbreviate |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operated as follows.

보통의 사용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는 도 2 및 도 4(a)와 같이 하강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4)에 의해 스프링(16)이 압축되고,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는 래치어셈블리(22) 하우징(22a)의 개구부(22aa)로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걸려져 구속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하강 상태가 유지된다.In normal use, the headrest is in a lowered posi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a). At this time, the spring 16 is compressed by the slider 14, and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2aa of the housing 22a of the latch assembly 22, so that the latch portion 22ba of the latch 22b is inserted. ) Is caught and bound. Thus, the lowered state of the headrest is maintained.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는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동(스윙)될 수 있어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는 각도에 따라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headrest can be rotated (swing) about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occupant leans the head.

한편, 차량 주행 중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그때 발생되는 가속도의 변화나 가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어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액츄에이터(22e)로 공급되어 플런저(22ea)를 돌출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collision accident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collision accident has occurred due to the change in acceleration or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at that time, and then the power of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actuator 22e to supply the plunger ( 22ea).

따라서, 상기 플런저(22ea)에 의해 릴리스레버(22c)가 도 3(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스토퍼(22ca)가 걸림턱(22bb)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토션스프링(22d)에 의해 래치(22b)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걸림부(22ba)에 의한 무빙바아(18)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16)의 작용으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로 이동되며, 동시에 무빙바아(18)가 볼트(26)를 중심으로 차량 전방쪽으로 회동된다.Therefore, the release lever 22c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plunger 22ea and the stopper 22ca is released from the latching jaw 22bb as shown in FIG. 3 (b), thereby latching the latch (22d) by the torsion spring 22d. 22b)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whereby the restrained state of the moving bar 18 by the locking portion 22ba is released, and the slider 14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12 by the action of the spring 16. At the same time, the moving bar 18 is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bout the bolt (26).

따라서, 상기 프론트커버(20)가 도 4(b)와 같이 전방 상부쪽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므로 추돌사고에 의한 목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ront cover 20 can move to the front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ure 4 (b) to quickly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prevent neck injury due to collision accident.

한편, 추돌감지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와이어를 설치한 경우(기계식)에도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따른 가속도 차에 의해 탑승자의 등 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동플레이트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와이어를 연동시켜 아래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무빙바아(18)가 상승하는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moving plate and the wire is installed (mechanical) without using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if a collision occurs, the driver's back is pushed back by the acceler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ertia, thereby pressing the moving plate. As the movable plate is pushed backward and the wire is interlocked and pulled downward, the release lever 22c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latch 22b so that the moving bar 18 moves up. .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바아(18)에 별도의 록바아(18a)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a separate rock bar 18a may be provided at the moving bar 18.

상기 록바아(18a)는 무빙바아(18)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바아로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수평부에 평행한 상태로 양쪽 수직부에 용접 고정된다.The lock bar 18a is a straight ba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 diameter smaller than the moving bar 18,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an upper horizontal part of the moving bar 18 so as to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art. Welding is fixed.

상기 록바아(18a)는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대신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구속되는 것으로 프론트커버(20)와 무빙바아(18) 및 슬라이더(14)가 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였을 때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 하우징(22a)의 개구부(22aa)로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걸려진다.The lock bar 18a is constrained to the latch 22b of the latch assembly 22 in place of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so that the front cover 20, the moving bar 18, and the slider 14 are spring-loaded. The lock bar 18a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2aa of the latch assembly 22 housing 22a when it is lowered while compressing (16), and is caught by the latching part 22ba of the latch 22b.

래치(22b)에 의해 구속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든 작동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록바아(18a)가 무빙바아(18)의 수평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래치어셈블리(22)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 내 레이아웃 설정의 자유도가 증가함은 물론 중량 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Except for the portion restrained by the latch 22b, all operations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lock bar 18a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size of the latch assembly 22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setting the layout in the headrest and reducing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을 제한하는 로워링 크(3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link 30 that limit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20.

상기 로워링크(30)는 하부의 직선부(30a) 양단이 상기 가이드바아(12)를 감싸도록 동일한 형태로 절곡 연장되고 그 양쪽 상단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절곡단부(30b)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직선부(30a)와 절곡단부(30b)가 각각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와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 상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lower link 30 is bent in the same shape so that both ends of the lower straight portion 30a surrounds the guide bar 12, and both ends of the lower link 30 are horizontally ben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form a bent end portion 30b. The straight portion 30a and the bent end portion 30b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20b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and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respectively.

상기 로워링크연결부(20b)는 도 5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면(프론트커버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 안착홈(20ba)이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30a)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5 and 7 (a), the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20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a pair is formed protruding, the inner surface (inside of the front cover) The mounting groove 20ba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side so that the straight portion 30a can be inserted in a rotatable state.

또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 상부에는 외측면에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그 삽입공(12a)에 상기 절곡단부(30b)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2a is formed at an outer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so that the bent end portion 30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a in a rotatable state.

따라서, 프론트커버(20)가 로워링크(30)를 매개로 가이드바아(12)에 연결되어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 경로는 상기 로워링크(30)에 의해 제한 받게 된다.Therefore, the front cover 20 is connected to the guide bar 12 via the lower link 30 so that the lower pivot path of the front cover 20 is limited by the lower link 30.

상기와 같이 록바아(18a)와 로워링크(3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작동은 도 6 및 도 7의 (a),(b)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a)와 같이 무빙바아(18)와 슬라이더(14)가 스프링(16)을 압축시킨 상태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구속되어 헤드레스트가 하강한 보통의 사용 상태를 유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lock bar 18a and the lower link 3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6 and 7 (a) and (b). As shown in FIGS. 6 and 7 (a), when the moving bar 18 and the slider 14 are lowered with the spring 16 compressed, the lock bar 18a is latched by the latch assembly 22. 22b) to maintain normal use with the headrest lowered.

이때 무빙바아(18)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각 조절 범위는 상기 로워링크(30)에 의해서 적절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range of the head restraint pivoted about the upper end of the moving bar 18 is limited to the appropriate range by the lower link (30).

한편,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의한 록바아(18a)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도 7(b)와 같이 스프링(16)이 슬라이더(14)를 밀어 올림으로써 무빙바아(18)가 상승하면서 볼트(26)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동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an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lock bar 18a by the latch 22b of the latch assembly 22 is released, the spring 16 pushes up the slider 14 as shown in FIG. As the moving bar 18 is raised, the moving bar 18 is pivoted forward about the bolt 26 to quickly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이때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이 상기 로워링크(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승 후 프론트커버(20)의 하단이 전후로 흔들리는 현상이 억제됨으로써 일정한 경사각이 유지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30,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20 is moved back and forth after being lifted,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more stably. have.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경사각 조절 기능과 추돌시 목 상해 방지 기능 이외에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구성된다.(도 8은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립 상태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조립 상태 정면도와 배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s 8 to 11 to ad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headrest in addition to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neck injury preven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assembled state perspective view, and FIGS. 10 and 11 are respectively an assembled state front view and a rear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바디(32)와 전후이동장치(34)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2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pparatus 34.

상기 메인바디(32)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가이드바아(12), 슬라이더(14), 스프링(16), 무빙바아(18)가 설치되는 반원통형의 실린더부(32a)가 형성되고, 양쪽 실린더부(32a)의 사이의 중간부분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래치어셈블리(22)가 안착 고정되는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32 is a plastic injection molded product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having a semi-cylindrical cylinder part in which guide bars 12, sliders 14, springs 16, and moving bars 18 are installed at both sides thereof. 32a is formed, and the latch assembly mounting part 32b which protrudes forward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between both cylinder parts 32a, and the latch assembly 22 is seated and fixed.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는 실린더부(32a)의 상부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실린더부(32a)에 놓여진 슬라이더(14)와 스프링(16)을 관통하고 실린더부(32a)의 하부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돌출된 후, 그 돌출된 하단부에 고정핀(36)이 관통(수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됨으로써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양단은 실린더부(32a) 상부판에 형성된 가이드바아지지턱(32c)의 홈(32c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are inserted into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to penetrate the slider 14 and the spring 16 placed on the cylinder portion 32a, and the lower plat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After protruding into a ho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he fixing pin 36 penetr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protruding lower end portion and is fixed so as not to fall upwar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groove 32ca of the guide bar support jaw 32c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상기 슬라이더(14)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너트좌면(14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너트(24)에 볼트(26)를 매개로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볼트(26)가 관통되는 부시(28)가 구비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는 메인바디(32)의 개방된 상부(상기 양쪽 가이드바아지지턱(32c) 사이 부분)를 통해 돌출되어 프론트커버(20)의 내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A nut seat surface 14b protrudes and is formed in the slider 14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 nut 24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nut seat surface 14b, and a bolt 26 is attached to the nut 24. The bottom of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oving bar 18 (with the bush 28 through which the bolt 26 penetrates)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 It protrudes through an open upper portion (part between the two guide bar support jaws 32c) of the 32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edge of the front cover 20.

또한 상기 무빙바아(18)에는 도 5와 동일한 록바아(18a)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32a)부의 전면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아지지턱(32c)에 연결된 록바아지지턱(32d)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록바아지지턱(32d)의 상면에는 홈(32da)이 형성되어 록바아(18a)의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bar 18 is provided with the same lock bar (18a) as shown in Figure 5, the lock bar support jaw (32d) connected to the guide bar support jaw (32c) in front of the cylinder (32a) portion integrally Is formed. A groove 32d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bar support jaw 32d so that both ends of the lock bar 18a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전후이동장치(34)는 도 8과 도 12(배면사시도)와 같이,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에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의 상/하단이 각각 2개씩의 샤프트(34e)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이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4절링크 작동방식)으로, 상기 어퍼브라켓(34a)의 일측면 하단에 걸림톱니(34aa)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걸림톱니(34aa)에 걸려지는 스톱레버(34f)가 프론트브라켓(34c)의 측 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의 샤프트에는 양단이 각각 로워브라켓(34b)과 리어브라켓(34d)에 지지되어 리어브라켓(34d)에 후방으로 복귀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34g)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bracket 34c and the rear bracket 34d on the upper bracket 34a and the lower bracket 34b, as shown in FIGS. 8 and 12 (back perspective view). The upper brackets 34a and the lower brackets 34b are rotatably connected to two shafts 34e,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brackets 34a and the lower brackets 34b can move in opposite directions (four-link operation). A plurality of engaging teeth 34aa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racket 34a, and a stop lever 34f that is caught by the engaging teeth 34aa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bracket 34c. The shaft is provided with return springs 34g,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lower bracket 34b and the rear bracket 34d, respectively, to apply a return force to the rear bracket 34d.

그리고, 상기 로워브라켓(34b)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 고정되며, 상기 어퍼브라켓(34a)은 마찰회동브라켓(36)을 매개로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중앙에 연결된다.The lower bracket 34b is welded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stay rod 10, and the upper bracket 34a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via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은 상부판과 하부판의 일측 단부가 원통형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원통형상부에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이 볼트(38)와 너트(40)를 매개로 상기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에 장착된다.The friction pivot bracket 36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connec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in that state. The bolt 38 and the nut 40 are mounted on the upper bracket 34a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pparatus 34.

이때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의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스페이서(42)를 설치하여 댐핑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pacer 4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and the upper bracket 34a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to act as a damping function.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하우징(22a)의 외측면 형상에 맞도록 메인바디(32)의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좌면에 안착 고정되며, 하우징(22a)의 상부(개구부(22aa)와 래치(22b)의 걸림부(22ba)가 있는 부분)는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The latch assembly 22 is seated and fixed to a mounting sea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32b of the main body 32 so as to conform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housing 22a. 22aa) and the latching portion 22ba of the latch 22b)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32b.

따라서 무빙바아(18)가 하강하여 록바아(18a)가 록바아지지턱(32d)의 홈(32da)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록바아(18a)는 래치어셈블리(22)의 개구부(22aa)에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구속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moving bar 18 descends and the lock bar 18a is seated in the groove 32da of the rock bar support jaw 32d, the lock bar 18a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2aa of the latch assembly 22. This is to restrain the latch 22b of the latch 22b.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 또는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atch assembly 22 may be configured of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or mechanical.

상기와 같이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프론트커버(20)의 내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의 하단이 스윙가능하여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edge of the front cover 20,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is swingable, and thus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또한, 추돌감지센서 또는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추돌이 감지되어 래치어셈블리(22)가 작동되면 래치(22b)에 의한 록바아(18a)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스프링(16)력에 의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를 따라 실린더부(32a)의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무빙바아(18)가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회동되어 프론트커버(20)가 전방 상부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해줌으로써 목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collision is detected by the collision sensor or the moving plate and the latch assembly 22 is operate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lock bar 18a by the latch 22b is released, and thus the slider 14 is driven by the spring 16 force. Is moved upward of the cylinder portion 32a along the guide bar 12 so that the moving bar 18 is rotated forward and the front cover 20 moves upward to support the occupant's head. Will be prevented.

이때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메인바디(32)의 상부 개구부 전면에 양단이 실린더부(32a)의 측벽에 고정되는 서포트와이어(35)를 설치하여 무빙바아(18)를 지지함으로써 하강 위치에서 무빙바아(18)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상승시 전방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the support bar 35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cylinder portion 32a at both ends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32 to support the moving bar 18 in the lowered position In the angle of the moving bar 18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limit the angle of rotation forward when raised.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경사각을 조절하고 추돌시 전방 상부쪽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목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부분들이 모두 상기 메인바디(32)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디(32)는 자신에 고정된 가이드바아(12)가 마찰회동브라켓(36)을 매개로 스테이로드(10)에 고정된 전후이동장치(34)에 장착됨으로써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고정된 로워브라켓(34b)에 대한 어퍼브라켓(34a)의 전후 이동)에 따라 헤드레스트 전체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ll the functions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drest an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front when colliding to support the neck of the occupant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32, and the main body 32 is fixed to itself. The guide bar 12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fixed to the stay rod 10 via the friction rotation bracket 36 to operat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fixed lower bracket 34b).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ntire upper headrest 34a is possible.

헤드레스트(상기 프론트커버와 결합되는 리어커버와 이들의 사이에 내장되는 전술한 모든 부품들)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위치 고정된 로워브라켓(34b)에 대해 어퍼브라켓(34a)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고, 이때 어퍼브라켓(34a)의 전방 이동량에 따라 스톱레버(34f)가 대응되는 걸림톱니(34aa)에 걸려져 후방으로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가 고정된다.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rear cover coupled with the front cover and all the above-described parts embedded therebetween) in front of the front bracket 34c and the rear bracket 34d, the lowered position is fixed. Since the upper bracket 34a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34b, the headrest can be moved forward. At this time, the stop lever 34f corresponds to the engaging teeth 34aa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of the upper bracket 34a.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headrests are fixed by being caught and being unable to move backwards.

반대로 상기 스톱레버(34f)를 회동시켜 걸림톱니(34aa)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리턴스프링(34g)의 작용에 의해 리어브라켓(34d) 및 프론트브라켓(34c)이 후방으로 회동되므로 어퍼브라켓(34a)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그 중간에 스톱레버(34f) 조작력을 제거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stop lever 34f is rota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engagement teeth 34aa, the rear bracket 34d and the front bracket 34c are rotated to the rear by the action of the return spring 34g. ) Moves back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can be stopped at any position by removing the stop lever 34f operating force in the middle.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경사각 조절장치와 목 상해 방지장치 및 전후이동장치가 모두 구비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oth the inclination angle adjusting device, the neck injury preventing device, and the front and rear moving device are provided in the headrest to perform each function.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바디(3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로워링크(30)의 상단 절곡단부(30b)는 상기 메인바디(32)에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main body 32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ent end portion 30b of the lower link 3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32.

즉, 메인바디(32)의 후면 상부(양쪽 실린더부(32a)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절곡단부지지부(32e)가 형성되고, 그 절곡단부지지부(32e)에 홈(32ea)이 형성되어 로워링크(30)의 양쪽 절곡단부(30b)가 안착된다.That is, the bent end support part 32e is formed in the upper back part of the main body 32 (the surface which mutually faces both cylinder part 32a), and the groove 32ea is formed in the bent end support part 32e, and it is lowered. Both bent ends 30b of the link 30 are seated.

또한, 상기 가이드바아(12)에는 대략 디귿(ㄷ)자 형상을 가지는 수평플레이트(44)가 장착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44)는 양쪽 단부가 가이드바아(12) 수평부의 하면에 용접되고, 양측부를 연결하는 후방의 연결부(44a)는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며, 양측부의 측면에는 홈(44b)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bar 12 is mounted with a horizontal plate 44 having a substantially Di (c) shap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44 ar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and the rear connecting portion 44a connecting the two sides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iction pivot bracket 36. Groove 44b is formed.

따라서, 장착상태에서 상기 홈(44b)이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안착된 로워링크(30)의 절곡단부(30b)를 덮어주게 되어, 상기 절곡단부(30b)가 상기 홈(32e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Accordingly, in the mounted state, the groove 44b covers the bent end portion 30b of the lower link 30 seated in the groove 32ea of the bent end support portion 32e, so that the bent end portion 30b is in the groove. The mounting state is stably maintain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32ea.

또한, 상기 수평플레이트(44) 후방의 연결부(44a)가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전방 이동시 일정 거리 이동 후에는 마찰회동브라켓(36)이 상기 연결부(44a)에 닿게 되어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이 더 이상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이 억제된다.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연결부(44a)와 마찰회동브라켓(36)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량을 적절한 수준 내로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44a at the rear of the horizontal plate 44 is located above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4a after a certain distance movement when the headrest is moved forward. Since the upper bracket 34a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can no longer move forward,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is suppressed. That is, the amount of forward movement of the headrest can be limited to an appropriate level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44a of the horizontal plate 44 and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목 상해 방지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전방 상부로 이동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의 상승 위치를 고정해주는 상승위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that the head restraint moved to the upper front when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activated to s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without descend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head of the occupant A rise position lock is required to fix the rise position of the headrest.

상기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도 13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에 설치된다.The upward position fix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slider 14, as shown in Figs. 13 (a) and 13 (b).

상기 슬라이더(14)에는 가이드바아(12)가 삽입되는 관통공(1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사각 단면 형상의 설치공(14c)이 형성된다.The slider 14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4c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ugh hole 14a into which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상기 설치공(14c)에는 푸시버튼(46)과, 푸시버튼(46)에 일체로 고정된 록플레이트(48)와,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50)이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hole 14c has a push button 46, a lock plate 48 fix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46, and a spring 50 for pushing the push button 46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This is installed.

상기 푸시버튼(46)은 설치공(14c)의 일측 외측부에 위치되는 버튼부(46a)와, 그 버튼부(46a)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단부(46b)와, 상기 각 삽입단부(46a)로부터 설치공(14c)의 타측 외부로 연장 형성된 탄성편(46c)과, 각 탄성편(46c)의 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외측부(설치공 외측의 슬라이더 몸체 부분)에 걸려지는 걸림단(46d)으로 이루어진다.The push button 46 is protruded from the button portion 46a positioned at one side oute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nd at one side of the button portion 46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is provided. On the pair of insertion ends 46b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s 46c, the elastic pieces 46c extending from the respective insertion ends 46a to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n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ends of the elastic pieces 46c. It is made of a protruding end and comprises a locking end 46d which is caught by an outer portion (slider body portion outside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hole 14c.

또한, 상기 푸시버튼(46)의 양측 삽입단부(46b) 하면에는 디귿(ㄷ)자 형상의 록플레이트(48)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ock plate 48 having a d-shape are fixed integral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46b of the push button 46.

또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의 상부 측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스프링설치구(46e)가 돌출 형성되고, 그 스프링설치구(46e)에 스프링(50)이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설치공(14c)의 반대쪽 단부(걸림단(46d)쪽 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4d)에 지지된다.In addition, a cylindrical spring mounting hole 46e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both insertion ends 46b, and the spring 50 is fitted into the spring mounting hole 46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50 is supported by a support jaw 14d formed at the opposite end (the end of the engaging end 46d) of the mounting hole 14c.

한편,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부 즉, 목 상해 방지장치가 작동되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록플레이트(48)와 대응되는 가이드바아(12)의 부분에는 록플레이트(48)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12a)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rt of the guide bar 12, that is,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operated to move the slider 14 to the upper part of the guide bar 12 of the guide bar 12 corresponding to the lock plate 48 The locking plate 48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2a.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도 14의 (a),(b),(c)와 같은 3가지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The rising position fixing device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operated in three states as shown in (a), (b), (c) of FIG.

먼저 도 14(a)와 같은 오픈(open) 상태로서 푸시버튼(46)이 눌려서 걸림단(46d)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려진 상태이다. 스프링(50)은 지지턱(14d)에 지지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걸림단(46d)의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록플레이트(48)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표면으로부터 미소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First, the push button 46 is pressed as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 14 (a), and the locking end 46d is caught in the out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The spring 50 is compressed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jaw 14d and exer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pushbutton 46 out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so that the latched end 46d is held. . In this state, the lock plate 48 is spaced a small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guide bar 12, so that the slider 14 can move fre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2.

도 14(b)에는 노멀(normal)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노멀 상태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양쪽 걸림단(46d)이 내측으로 오므려져 ━ 상기 탄성편(46c)의 변형에 의해 가능하다 ━ 걸림단(46d)과 설치공(14c) 외측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로서 상기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밀려져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도 가이드바아(12)와 슬라이더(14)를 상호 구속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록플레이트(48)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14)는 가이드바아(1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In FIG. 14B, a normal state is shown. The normal state is possible by closing the both ends 46d inward in the open state-by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46c-the locking state of the outer ends of the locking end 46d and the installation hole 14c is released. As a state, the push button 46 is pushed in the direction (the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from the mounting hole 14c by the spring 50 force, and the lock plate 48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uide bar 12. to be. 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portion which restrains the guide bar 12 and the slider 14, the slider 14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2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of the lock plate 48. .

도 14(c)는 클로즈(close) 상태로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 위치하여 록플레이트(48)와 상기 걸림홈(12a)의 위치가 일치되었을 때 스프링력(50)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이동함으로써 록플레이트(48)가 걸림홈(12a)에 삽입되어 걸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슬라이더(14)는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 위치 고정 되어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때 푸시버튼(46)의 버튼부(46a)는 슬라이더(14)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이고 반대쪽의 걸림단(46d)은 설치공(14c)의 내부로 진입되어 있다.Fig. 14C is a closed state, when the slider 14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guide bar 12, and the spring force 50 when the position of the lock plate 48 and the locking groove 12a coincide. The lock plate 48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2a by the pushbutton 46 to move by). Therefore, the slider 14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12 can not move downward. 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46a of the pushbutton 46 is spaced apart from the slider 14 to the maximum, and the opposite end 46d of the push button 46 enters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한편, 도 15와 같이 상기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슬라이더(14)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대해 걸림해제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걸림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플레이트(52)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5, the rising position fixing device maintains the latching end 46d of the push button 46 in the unlocked state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lider 14, or The guide plate 52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의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에는, 중간 이하 부분에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된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공(14c) 외측부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반원형 단면을 가진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다.To this end, on the surface facing the locking end 46d of the pushbutton 46 of the guide plate 52, the radius is gradually increased downward as the lower portion down the middle portion, the both ends 46d entered between them. ), A pair of guide projections 52a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which releases the engaging state with the out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re formed.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는 가이드바아(1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직접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2)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스테이로드(10)에 고정된다.The guide plate 52 is fixed to the stay rod 10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bar 12 is mounted directly on the top of the stay rod 10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12.

반면, 가이드바아(12)가 메인바디(32)에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에 장착된다. 이 경우 가이드플레이트(52)를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돌기(52a)만을 실린더부(32a)의 안쪽면 즉,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guide bar 12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2, it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of the main body 32. In this case, instead of manufacturing the guide plate 52 as a separate component, only the guide protrusion 52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locking end 46d of the push button 46. It may be.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와 가이드바아(12)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실린더 부(32a)의 하부에 버튼부(46a)가 후방쪽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더(14)를 위치시키고 상기 버튼부(46a)를 눌러 슬라이더(14)의 관통공(14a)에 록플레이트(48)가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메인바디(32)의 상부로부터 가이드바아(12)를 삽입하여 슬라이더(14)의 관통공(14a)으로 관통시킨 뒤 메인바디(32) 하부 외측에서 가이드바아(12)의 단부에 고정핀(36)을 끼워 고정시키며, 그 상태에서 버튼부(46a)를 놓으면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미세하게 이동하여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46d)은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리지 않고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서 도 14(b)의 노멀상태에 해당된다.Therefore, in order to assemble the slider 14 and the guide bar 12, the slider 14 is first positioned under the cylinder portion 32a so that the button portion 46a is exposed to the rear side, and the button portion 46a is positioned. The lock plate 48 is not protruded into the through hole 14a of the slider 14 by pressing the guide bar 12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32. After passing through the 14a, the fixing pin 36 is fixed to the end of the guide bar 12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2, and when the button portion 46a is released in the state, the spring 50 acts as a force. The pushbutton 46 is moved finely so that the lock plate 48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bar 12. At this time, the locking end 46d is a state entered into the inside without being caught by the out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which corresponds to the normal state of FIG.

상기 노멀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에 단순 접촉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슬라이더(14)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목 상해 방지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진다.Since the lock plate 48 is simply in contact with the guide bar 12 as described above, the normal state is compressed by the slider 14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and the latch assembly 22 is released. The slider 14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bar 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6, so that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operated.

또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승하여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걸림홈(12a) 형성 위치에 이르면 푸시버튼(46)을 탄지하는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림으로써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가 삽입된 관통공(14a)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도 15(b)와 같이 상기 걸림홈(12c)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도 14(c)의 클로즈 상태에 해당)In addition, when the slider 14 is raised and the lock plate 48 reaches the locking groove 12a forming position of the guide bar 12, the push button 46 is pushed by the spring 50 force that presses the push button 46. ) Is pushed out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c) as shown in Figure 15 (b) while the lock plate 48 enters into the through hole (14a) in which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It corresponds to the closed state of FIG. 14 (c)).

따라서, 슬라이더(14)의 상승위치가 고정되어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fixed in response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head of the occupant by fixing the rising position of the slider 14,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head of the occupant.

한편, 상기와 같은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상태에서 평상시 사용상태로의 복귀는 도 16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return to the normal use state in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operating state is made through the process as shown in FIG.

도 16의 (a)는 상기 클로즈 상태이다. 클로즈 상태에서 슬라이더(14)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푸시버튼(46)의 버튼부(46a)를 눌러 가이드바아(12)의 걸림홈(12a)으로부터 록플레이트(48)를 이탈시켜 슬라이더(14)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Fig. 16A is the closed state. To return the slider 14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closed state, press the button portion 46a of the pushbutton 46 to release the lock plate 48 from the locking groove 12a of the guide bar 12 to move the slider ( Release the lock of 14).

이때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은 설치공(14c)로부터 빠져나와 탄성편(46c)의 복원작용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져 도 16의 (b)와 같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다시 걸려진다.(도 14(a)의 오픈상태에 해당)At this time, the locking end 46d of the pushbutton 46 exits from the installation hole 14c and is opened to both sides by the restoring action of the elastic piece 46c, and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s shown in FIG. It is caught again. (Corresponds to the open state of Fig. 14 (a))

그 상태에서 슬라이더(14)를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를 따라 하강시켜 실린더부(32a)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가이드플레이트(5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2a)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양쪽 가이드돌기(52a)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것에 의해(양자 사이의 폭이 좁아짐) 가이드바아(12)를 따라 하강할수록 점차 오므려져서 결국 최초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도 16(c)와 같이 설치공(14c) 외측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설치공(14c)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slider 14 is lowered alo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to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32a. In the process, both the locking ends 46d are formed on the guide plate 52. When entering between the protrusions 52a, the diameters of both guide protrusions 52a gradually increase (the width between the two quantums decreases), thereby gradually retracting as it descends along the guide bar 12, and eventually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6C,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out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is released, and the state is enter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4c.

이때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의 외부로 밀려지는 힘을 받게 되어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표면에 단순 접촉한 도 14(b)의 노멀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 전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ush button 46 is pushed out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by the action of the spring 50 so that the lock plate 48 simp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guide bar 12 (b). It becomes the same state as the normal state of). That is, return to the state before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2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1 (excluding the front cover),

도 3은 래치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록 상태, (b)는 언록 상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atch assembly (a) is a locked state, (b) is an unlocked state,

도 4의 (a),(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전/후의 상태도,(A), (b) of Figure 4 is a state diagram before / 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록바아와 로워링크가 더 구비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ck bar and the lower link are further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도 6은 도 5의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6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5 (excluding the front cover),

도 7의 (a),(b)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전/후의 상태도,7 (a) and 7 (b) are state diagrams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도 8은 메인바디와 전후이동장치를 더 구비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main body and a front and rear moving apparatus;

도 9는 도 8의 조립 상태 사시도,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8;

도 10은 도 8의 조립 상태 정면도,10 is an assembled front view of FIG. 8;

도 11은 도 8의 조립 상태 배면도,11 is an assembled rear view of FIG. 8;

도 12는 전후이동장치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apparatus,

도 13의 (a),(b)는 슬라이더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13 (a) and 13 (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headrest lift position fixing device installed on the slider,

도 14는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오픈 상태, (b)는 노멀 상태, (c)는 클로즈 상태를 나타낸 도면,1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headrest rising position fixing device, (a) is an open state, (b) is a normal state, (c)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도 15는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시의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설명도,1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lift position fixing device when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operated;

도 16은 목 상해 방지장치 복귀시의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Fig. 1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rising position fixing device when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is return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스테이로드 12 : 가이드바아10: stay rod 12: guide bar

14 : 슬라이더 14a : 관통공14: slider 14a: through hole

14b : 너트좌면 14c : 설치공14b: Nut seat 14c: Mounting hole

16 : 스프링 18 : 무빙바아16: spring 18: moving bar

20 : 프론트커버 22 : 래치어셈블리20: front cover 22: latch assembly

24 : 너트 26 : 볼트24: Nut 26: Bolt

28 : 부시 30 : 로워링크28: Bush 30: Lower Link

32 : 메인바디 32a : 실린더부32: main body 32a: cylinder portion

32b : 래치어셈블리장착부 34 : 전후이동장치32b: Latch assembly mounting part 34: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5 : 서포트와이어 36 : 마찰회동브라켓35: support wire 36: friction rotation bracket

38 : 볼트 40 : 너트38: bolt 40: nut

42 : 스페이서 44 : 수평플레이트42: spacer 44: horizontal plate

46 : 푸시버튼 46a : 버튼부46: push button 46a: button portion

46b : 삽입단부 46c : 탄성편46b: insertion end 46c: elastic piece

46d : 걸림단 48 : 록플레이트46d: Jamming End 48: Rock Plate

50 : 스프링 52 : 가이드플레이트50: spring 52: guide plate

Claims (29)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10)와,Stay rod 1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양측 수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12)와,A guide bar 12 having both vertical portions fixed to the front of the stay rod 10 to be inclined forward;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A slider 14 installed o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so as to be movable; 상기 슬라이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A spring 16 supporting the slider 14,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A moving bar 18 having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ortions rotatably mounted on both sliders 14,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 및, The front cover 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front corn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18,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A latch assembly 22 fixed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stay rod 10 to hold the moving bar 18 in a lowered state.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of the ca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하부의 직선부(30a)와, 그 직선부(30a)의 양단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의 절곡단부(30b)로 이루어진 로워링크(30)가 더 구비되어,The lower link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straight portion 30a and an upper bent end portion 30b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30a extending upward and facing each other. 상기 로워링크(30)의 직선부(30a)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돌출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의 안착홈(20b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절곡단부(30b)는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2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The straight portion 30a of the lower link 3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ba of the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20b protrudin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and the bent end 30b.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a)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이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otation amount of the front cover 20 is limited. 반원통형의 양측 실린더부(32a)와 그 양측 실린더부(32a)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가 형성된 메인바디(32)와,A main body 32 having a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32b protruding forward between the semi-cylindrical two-sided cylinder portion 32a and the two-sided cylinder portion 32a; 상기 실린더부(32a)를 양쪽 수직부가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 고정되는 가이드바아(12)와,A guide bar 12 mounted and fixed to both cylinders 32a through the vertical portions; 상기 실린더부(32a)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A slider 14 installed on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guide bar 12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2a so as to be movable; 상기 슬라이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A spring 16 supporting the slider 14,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A moving bar 18 having lower ends of both vertical portions rotatably mounted on both sliders 14,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와, The front cover 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front corn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moving bar 18, 상기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에 삽입 장착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와,A latch assembly 22 inserted into the latch assembly mounting portion 32b and holding the moving bar 18 in a lowered state;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장착 고정되는 전후이동장치(34) 및,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is fixed to the top center of the stay rod 1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상기 전후이동장치(34)에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마찰회동브라켓(36)Friction rotation bracket 36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of the car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하부의 직선부(30a)와, 그 직선부(30a)의 양단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의 절곡단부(30b)로 이루어진 로워링크(30)가 더 구비되어,The lower link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straight portion 30a and an upper bent end portion 30b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30a extending upward and facing each other. 상기 로워링크(30)의 직선부(30a)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돌출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의 안착홈(20b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절곡단부(30b)는 상기 메인바디(32)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The straight portion 30a of the lower link 3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ba of the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20b protruding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0, and the bent end 30b.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32ea) of the bent end support portion (32e) formed on the upper back of the main body 32,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이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otation amount of the front cover 20 is limi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록바아(18a)가 장착되어 무빙바아(18)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에 구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lock bar (18)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ock bar (18a) is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when the moving bar (18) descends.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18a) is constrained to latch assembly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에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가 관통되고,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부에 상기 관통공(14a)이 확장되어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그 스프링수용홈에 스프링(16)의 상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through hole 14a is formed in the slider 14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penetrates,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14. 14a) is extended to form a spring receiving groove,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groov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의 측면에 너트좌면(14b)이 돌출형성되고, 그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무빙바아(18)의 수직부 하단이 플레이트형상으로 가공되고, 그 플레이트형상 부분에 형성된 볼트공에 부시(28)가 구비되며, 그 부시(28)를 통해 볼트(26)가 상기 너트(2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nut seat surface 14b protrudes in the side surface of the said slider 14, The nut 24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nut seat surface 14b,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is processed into a plate shape, and a bush 28 is provided in a bolt hole formed in the plate-shaped portion thereof, and the bolt 26 is connected to the nut 24 through the bush 28.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to).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전방 상부 모서리에 무빙바아연결부(20a)가 형성되고, 그 무빙바아연결부(20a)에 형성된 장착홈(20aa)에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moving bar connecting portion 20a is formed at the inner front upper edge of the front cover 20, and the moving groove 20aa is formed in the moving bar connecting portion 20a. Active head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bar (18) is rotatably inser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2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고 상면에 개구부(22aa)가 형성된 하우징(22a)과,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구속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 래치(22b)와,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래치(22b)의 걸림턱(22bb)에 걸려지는 스토퍼(22ca)가 형성된 릴리스레버(22c)와,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 형성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housing 22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atch assembly 22 is weld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tay rod 10, and an opening 22a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latch 22b installed rotatably with a pin therein and having a catching portion 22ba configured to constrai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oving bar 18 that enters the opening 22aa and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latch 22b. A release lever 22c rotatably installed with a pin and having a stopper 22ca formed on a latching jaw 22bb of the latch 22b at one end thereof, and a pin disposed at a pin of the release lever 22c. Is connected to the latch (22b) and the other end of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rsion spring (22d) suppo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22ca) forming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22c).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면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플런저(22ea)를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22b)의 록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solenoid actuator 22e for pushing upward the portion supporting the torsion spring 22d is provided below the release lever 22c, and the actuator 22e ha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When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is detected, the active head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b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22b by rotating the release lever 22c counterclockwise by protruding the plunger 22ea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Res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에 연동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록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wire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topper 22ca side of the release lever 22c, and the wire is installed in the seatback and pulled in conjunction with a moving plate pushed backward by a passenger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the release lever 22c is rotated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22b is releas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2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고 상면에 개구부(22aa)가 형성된 하우징(22a)과,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록바아(18a)를 구속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 래치(22b)와,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래치(22b)의 걸림턱(22bb)에 걸려지는 스토퍼(22ca)가 형성된 릴리스레버(22c)와,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 형성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housing 22a of claim 5, wherein the latch assembly 22 is weld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tay rod 10, and an opening 22a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in is rotatable inside the housing 22a. A latch 22b having a locking portion 22ba installed therein and restraining the lock bar 18a entering the opening 22aa; and a pin 22 at a lower side of the latch 22b,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nd at one end thereof. A release lever 22c having a stopper 22ca formed on the latching jaw 22bb of the latch 22b, and a pin of the release lever 22c,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atch 22b and the other side of the latch 22b. An end portion includes a torsion spring (22d) suppor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topper (22ca) forming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22c).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면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플런저(22ea)를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22b)의 록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solenoid type actuator 22e for pushing upward the portion supporting the torsion spring 22d is provided below the release lever 22c, and the actuator 22e ha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When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is detected, the active head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b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22b by rotating the release lever 22c counterclockwise by protruding the plunger 22ea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battery. Res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에 연동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록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wir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opper (22ca) side of the release lever (22c), the wire is installed in the seat back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a moving plate that is pushed backward by the occupant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And the release lever 22c is rotated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22b is releas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2a)의 하부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가이드바아(12)의 하단부에 고정핀(36)이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양단은 실린더부(32a)의 상부판에 형성된 가이드바아지지턱(32c)의 홈(32c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fixing pin 36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12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lat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are cylinder portions 32a.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groove (32ca) of the guide bar support jaw (32c)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바아(18a)의 양단이 상기 실린더부(32a)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록바아지지턱(32d)의 홈(32d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6. The active head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both ends of the lock bar 18a ar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groove 32da of the lock bar support jaw 32d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Res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장치(34)는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에 장착되는 어퍼브라켓(34a)과,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는 로워브라켓(34b) 및, 상기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에 상/하단이 각각 2개씩의 샤프트(34e)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으로 이 루어져, 상기 로워브라켓(34b)에 대해 어퍼브라켓(34a)이 전후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is an upper bracket 34a mounted on the friction pivot bracket 36, a lower bracket 34b weld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tay rod 10, and the upper The lower bracket 34b consists of a front bracket 34c and a rear bracket 34d, which are connected to the bracket 34a and the lower bracket 34b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by two shafts 34e, respectively.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racket 34a can be moved paralle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은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들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원통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상부에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이 상기 어퍼브라켓(34a)에 볼트(38)와 너트(40)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fixed to the upper bracket (34a) with a bolt (38) and a nut (4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및 어퍼브라켓(34a)의 사이에 스페이서(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19. The active headrest of claim 18, wherein a spacer (42)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bracket (34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32)의 상부 개구부 전면에 양단이 양쪽 실린더부(32a)의 측벽에 고정되는 서포트와이어(35)가 설치되어 무빙바아(18)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support wire 35 is fixed to the sidewalls of both cylinders 32a on both sides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32 so as to support the moving bar 18. Active headrest of the c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에 디귿자 형상의 수평플레이트(44)의 양쪽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후방 연결부(44a)가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44a)에 의해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5. The friction rotating bracket 36 of claim 4, wherei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44 having the shape of a recess are fixed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guide bar 12, and the rear connection portion 44a of the horizontal plate 44 is fixed to the friction pivot bracket 36. Located at the top of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evice 34 is limi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44a).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양측부 측면에 상기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안착된 로워링크(30)의 절곡단부(30b)를 덮어주는 홈(4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2. The groove 44b of claim 21, wherein the grooves 44b covering the bent ends 30b of the lower link 30 seated in the grooves 32ea of the bent end supporting portions 32e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rizontal plate 44. The active headrest of the c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에 관통공(14a)과 직교하는 설치공(14c)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4c)에 푸시버튼(46)과, 상기 푸시버튼(46)에 일체로 고정되어 푸시버튼(46)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14a)의 내부로 출몰하는 록플레이트(48)와, 상기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5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는 상기 록플레이트(48)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mounting hole 14c orthogonal to the through-hole 14a is formed in the said slider 14, The push button 46 is provided in the said installation hole 14c, The lock plate 48 which is fixed to the pushbutton 46 integrally, and is recessed into the through hole 14a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ushbutton 46, and the pushbutton 46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14c. The spring 50 is pushed outward is installed,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12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12 is inserted into the lock plate.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46)은 버튼부(46a)와, 상기 버튼부(46a)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삽입단부(46b)와, 상기 양측 삽입단부(46a)에서 설치공(14c)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탄성편(46c)과, 상기 탄성편(46c)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려지는 걸림단(46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The push button 46 is a button portion 46a, a pair of insertion ends 46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utton portion 46a and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4c. ) And an elastic piece 46c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tallation hole 14c at the both insertion end portions 46a, and protruding to an end of the elastic piece 46c, and hanging on the oute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14c.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topping end 46d.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52)가 가이드바아(12)와 평행한 상태로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5. The method of claim 24,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of the surface facing the locking end 46d, the radius of the lower portion increases as the downward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two locking ends 46d entering between them are retracted. The guide plate 52 having a pair of guide protrusions 52a formed thereon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ay rod 10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 12.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52)가 상기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5. The method of claim 24,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of the surface facing the locking end 46d, the radius of the lower portion increases as the downward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two locking ends 46d entering between them are retracted. A guide plate 52 having a pair of guide protrusions 52a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of the main body 32 is an active headrest of an automobil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상기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t the middle or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2a of the main body 32 facing the locking end 46d, the radius increases downward to enter between them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guide projections (52a)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engaging end (46d) is retracted.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 하면에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록플레이트(48)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 브 헤드레스트.25. The active headrest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both ends of the lock plate (48) having a depression shape are integrally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th insertion ends (46b).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의 상부 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스프링설치구(46e)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구(46e)에 상기 스프링(50)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설치공(14c)의 상기 걸림단(46d)쪽 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4d)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ylindrical spring mounting hole 46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insertion end portion 46b, the spring 50 is fitted into the spring mounting hole 46e, the spring 50 The other end of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support jaw (14d) formed at the end of the engaging end (46d) of the mounting hole (14c).
KR1020080030675A 2008-04-02 2008-04-02 active headrest for a car KR100991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en) 2008-04-02 2008-04-02 active headrest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en) 2008-04-02 2008-04-02 active headrest for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02A KR20090105302A (en) 2009-10-07
KR100991236B1 true KR100991236B1 (en) 2010-11-01

Family

ID=4153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en) 2008-04-02 2008-04-02 active headrest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2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564B1 (en) 2011-03-25 2012-11-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 free moning of actire headrest for automobile
WO2019074186A1 (en) * 2017-10-11 2019-04-18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98B1 (en) * 2008-09-08 2011-04-13 현대다이모스(주) Active Headrest
KR101470186B1 (en) * 2013-07-04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Active headrest for vehicle
JP6148777B1 (en) * 2016-09-01 2017-06-14 備前発条株式会社 Headre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554A (en) 1985-03-07 1986-09-10 Lion Shoji Kk Probe for measuring water of fibrous material
JPS63117336A (en) 1986-11-04 1988-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5211402A (en) 2004-01-30 2005-08-11 T S Tec Kk Headrest of sea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554A (en) 1985-03-07 1986-09-10 Lion Shoji Kk Probe for measuring water of fibrous material
JPS63117336A (en) 1986-11-04 1988-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5211402A (en) 2004-01-30 2005-08-11 T S Tec Kk Headrest of seat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564B1 (en) 2011-03-25 2012-11-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 free moning of actire headrest for automobile
WO2019074186A1 (en) * 2017-10-11 2019-04-18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KR20190040579A (en)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Controlling apparatus of headrest
KR101972509B1 (en) 2017-10-11 2019-04-26 주식회사 우보테크 Controlling apparatus of head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02A (en)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36B1 (en) active headrest for a car
JP5049790B2 (en) Seat back support mechanism
USRE44432E1 (en) Headrest on a vehicle seat
US8100472B2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EP1953035B1 (en) Child seat
US7118174B2 (en) Activating headrest
CN111546951B (en) Seat slide structure for vehicle
CN111845481B (en) Child safety seat
JP4842121B2 (en) Headrest device for automobile seat
US8690238B2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JP4230053B2 (en) Headrest head shock absorber
KR100980830B1 (en) active headrest
KR101199715B1 (en) anti-submarine seat for an automobile
WO2006071879A2 (en) Energy absorbing seat recliner assembly
KR200423596Y1 (en) Passenger neck injury prevention type headrest of car seat
KR20070034756A (en) Operation structure of the active headrest of the vehicle
KR101028398B1 (en) Active Headrest
KR10111670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JP4261695B2 (en) Headrest head shock absorber
JP4423669B2 (en) Retractable headrest for vehicle
KR20040031254A (en) facia mounting type mounting bracket for a shift lever
WO2009005414A1 (en)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KR100776917B1 (en) a neck injury preventing device of a car seat
KR101039675B1 (en) Tilting headrest for vehicle
KR20100006194A (en) Active head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