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718B1 -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718B1
KR100990718B1 KR1020030057631A KR20030057631A KR100990718B1 KR 100990718 B1 KR100990718 B1 KR 100990718B1 KR 1020030057631 A KR1020030057631 A KR 1020030057631A KR 20030057631 A KR20030057631 A KR 20030057631A KR 100990718 B1 KR100990718 B1 KR 10099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rotating
coil
wir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684A (ko
Inventor
최규성
김기일
강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5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7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 코일을 회동시킴으로써 코일이 놓여지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한 코일 선단부의 돌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된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재코일이 권취되는 드럼과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스윙축과, 이 스윙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스윙축 상단에 수평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 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부재, 이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선재코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아암,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을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한다.
회전링, 회동부재, 작동모터, 수직실린더, 원판

Description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Device for changing direction of wire coil in coil transfer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가 설치된 선재코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윙축 11 : 베이스
12 : 이동부재 13 : 구동모터
14 : 구동실린더 20 : 회동부재
21 : 회동축 24 : 회전링
25 : 랙 26 : 작동모터
27 : 피니언기어 30 : 수직실린더
31 : 원판
본 발명은 선재 코일을 콘베이어로 이동시키기 위한 선재코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과정에서 선재코일의 선단 위치를 가변시켜줌으로써 컨베어 안착 되었을 때 코일의 선단부가 코일 진행 방향과 일치되어 장애를 유발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과 소재 속도와 일정하게 회전되는 핀치롤 과 권취기(REELER)로 대경 코일을 감을 때 회전되는 릴러 드럼(REELER DRUM)의 원주 방향 내.외측으로 일정한 코일 링으로 한 본의 코일을 권취한 후 열처리 냉각과 후 공정 이송을 위해 드럼에서 상승,인출시켜 콘베이어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수평이동 운반 설비인 이송기(CTU;coil transfer unit)는 하단에 4개의 아암이 설치되어 있어서 드럼에서 상승된 선재 코일을 결속(CLAMPING)하여 컨베어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송기에 의해 이동된 코일의 선단부가 컨베어 진행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컨베이어에 코일이 놓여지는 경우에는 구간별 냉각과 .열처리 과정의 컨베어에서 진행 방향과 선단 위치 동일하여 여러 유형 장애를 유발 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 하락(장애 시간)과 품질 저하(코일밑면 마찰, 실수율 하락)권취 불량, 흠 발생 장애 발생시 재 처리를 위한 작업부하 증가와 열간 코일 취급,작업자 컨베어 하부 투입 등으로 협착, 전도, 화상의 안전사고 위험이 따르게 된다.
즉, 권취 코일 선단부가 컨베어 진행 방향과 일치 되는 존(ZONE)에 위치할 때 이송 과정에서 컨베어 내부로 코일 선단부가 주 동축 스프라킷트와 구동 롤러에 삽입 되는 현상, 후단부 링(RING) 늘어짐 현상, 롤러 컨베어 하부 처짐, 끼임 등의 장애 현상으로 체인 컨베어 하부는 당겨지고 위쪽은 루프(LOOP)가 형성되어 스프라킷트 이탈과 장력 조절 웨이트 탈락 등의 대형의 설비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두루마리 형태로 가지런히 권취 된 코일은 권취 형상이 흐트려져 권취 불량 코일이 되고, 이는 후공정시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흐트러진 정도가 심한 제품은 컨베어 상으로 진행이 불가하여 크레인을 이용 작업자가 줄걸이하여 후 공정 운송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줄걸이 과정에서 코일 내경에 마찰 흠 발생이나 오일(OIL)이 묻어 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권취 코일을 회동시킴으로써 코일이 놓여지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한 코일 선단부의 돌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된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재 코일 이동과정에서 선재 코일을 눌러줌으로써 선재 코일의 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으로부터 선재코 일을 클램핑하여 인출하기 위한 클램핑부와, 이 클램핑부를 컨베이어 입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윙부를 포함하는 선재 코일 이송기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에 설치되어 코일이 파지된 클램핑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부에 설치되어 코일의 상단을 누르기 위한 누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부에 의해 파지된 선재 코일을 회동시켜 코일의 선단부 위치를 콘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가 설치된 선재코일 이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선재코일(100) 이송기는 선재가 권취되는 드럼(도시되지 않음)과 선재코일(100)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50) 사이에 설치되는 스윙축(10)과 이 스윙축(1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 상기 스윙축(10) 상단에 수평설치되는 베이스(11), 베이스(11) 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2), 상기 베이스(11)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12)에 연결되어 이동부재(12)를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14), 상기 이동부재(12)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1) 하부로 연장되어 선재코일(100)을 클램핑하기 위한 네 개의 아암(15), 상기 아암(15)을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선재코일(100) 이송기에 있어서, 이동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11)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아암(15)이 설치되는 회동부재(20), 사기 회동부재(20)를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재(20)에 설치되어 아암(15)에 클램핑된 선재코일(100)의 상단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를 더욱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2) 상에 베어링블럭(23)을 매개로 회동축(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장공(2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1)이 아래로 관통되고, 베이스(11) 하부로 관통된 회동축(21) 하단은 회동부재(20)가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는 중앙의 장공(22)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안내레일(17)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12) 저부에는 상기 안내레일(17)에 놓여지는 구동롤(18)이 설치되어 베이스(11)를 따라 이동부재(1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어링블럭(23)을 매개로 상기 회동축(21)에 연결되어 이동부재(12)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링(24)과, 이 회전링(24) 윗면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랙(25), 상기 이동부재(12) 일측에 설치되는 작동모터(26), 이 작동모터(26)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랙(25)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7)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모터(26)가 구동되면 피니언기어(27)와 랙(25)을 매개로 회전링(24)이 회동되어 이 회전링(24)에 연결설치된 회동축(21)을 회동시키게 된 다.
한편, 회동부재(20)와 아암(15)과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회동부재(20)는 사각형 판구조로 양 측면에 한 쌍의 아암(15)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아암(15)은 상단이 축으로 연결되며, 회동부재(20) 상단에는 작동실린더(16)가 설치되어 그 피스톤로드 선단이 상기 축의 중앙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실린더(16)를 신축작동시키게 되면 축으로 연결된 한 쌍의 아암(15)이 회동부재(20)에 대해 회동되어 선재코일(100)을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동축(21) 내측에 수직설치되는 수직실린더(30)와, 상기 회동부재(20) 아래로 관통되는 수직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고 선재 코일(100) 상부에 놓여져 선재코일(100)을 누르기 위한 원판(31)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단 코일(100) 마지막 링(RING)이 패스(PASS)저항 부하로 그 끝이 들리는 경우 이를 눌러서 강제 정렬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열간 상태로 14Φ~42Φ의 지름이 큰 선재는 릴러(REELER) 깊은 드럼(DRUM: 높이 1900m/m 바깥 지름 1500m/m 내경 1100m/m) 내에서 권취되고, 권취 완료된 원통형 코일(100)은 인출 공정절차에 의해 코일(100) 수합판인 콜렉션 플레이트가 하부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한 코일(100)의 선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는 릴러의 콜렉션 플레이트에 불규칙적으로 지정되어 진다.
상승된 코일(100)은 인출을 위해 콜렉션 플레이트 4개소 홈(클램핑 홈)이 아암(15)에 일치 되도록 맞춰지면 이송기에 설치된 4개의 아암(15)은 2개의 회동실린더 신장작동에 따라 동시에 회동되어 선재코일(100)을 클램핑하게 되고, 콜렉션 플레이트는 하강하게 되고 선재코일(100)은 아암(15)에 파지된 상태로 수평 회전 이송하게 된다.
즉, 4개의 아암(15)에 의해 선재코일(100)이 클램핑되면 구동모터(13)가 작동되어 스윙축(10)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스윙축(10)에 설치된 베이스(11)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코일(100)을 클램핑하고 있는 아암(15)이 스윙축(10)을 중심으로 돌아 드럼에서 컨베이어(150)쪽으로 이동된다.
베이스(11)가 컨베이어(150)쪽을 향하게 되면 베이스(11)에 설치된 구동실린더(14)가 신장작동되어 이동부재(12)를 베이스(11)의 안내레일(17)을 따라 전진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12)에 연결되어 있는 아암(15)이 컨베이어(150) 위로 이동되어 아암(15)에 파지된 선재코일(100)을 컨베이어(150)의 입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150)에 최초로 선재코일(100)을 안착시켰을 때 컨베이어(150)의 진행방향과 선재코일(100)의 선단부 돌출방향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작동모터(26)를 구동시켜 선재코일(100)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즉, 작동모터(26)가 구동되면 작동모터(26)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기어(27)가 회전되고 이 피니어기어(27)에 랙(25)을 매개로 치합되어 있는 회전링(24)이 돌게 된다.
상기 회전링(24)에는 회동축(21)을 매개로 회동부재(20)가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링(24) 회동에 따라 회동부재(20)가 돌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20)에 설치된 아암(15)과 이 아암(15)에 파지된 선재코일(100)이 회동축(21)을 중심으로 돌게 된다.
따라서 선재코일(100)의 선단부 돌출방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50)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놓여지게 되고 이 상태까지 회동부재(20)가 회동되면 구동모터(13)를 정지작동시킨다.
이와같이 선재코일(100) 이송 과정 중에 베이스(11)에 대해 선재코일(100)을 회동시킴으로써 결속된 코일(100)의 선단부 위치가 컨베어 이송하는데 지장이 없는 안전 구역인 진행 코일(100) 후면 측으로 변경되어 안착됨에 따라 여러 유형의 장애를 사전 예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재코일(100) 후단의 마지막 코일(100) 링(RING)이 말림 현상으로 구간별 컨베어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늘어짐.낙하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원판(31)을 눌러 위로 들뜬 선재코일(100)의 후단을 눌러주게 된다.
즉, 회동축(21) 내에 수직설치된 수직실린더(30)를 신장작동시키게 되면 수직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된 원판(31)이 하강되어 들어올려진 선재코일(100)의 후단을 일정 압력으로 눌러 주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수직실린더(30)는 다시 신축작동되어 원판(31)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간 상태로 원통형 드럼 내에서 권취 된 대경선재코일이 롤러 및 체인 플레이트로 구성된 컨베어에 안착 이송되어 진행하는 과정에서 코일 선단부 돌출 방향을 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려 놓고, 코일 위로 들어올려지는 후단을 눌러 줌으로써 이송도중 트러블을 예방하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및 장애시간, 설비 장애, 작업 부하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재코일이 권취되는 드럼과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스윙축과, 상기 스윙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스윙축 상단에 수평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 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선재코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아암,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을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는 회동축 내측에 수직설치되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회동부재 아래로 관통되는 수직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고 선재 코일 상부에 놓여져 선재코일을 누르기 위한 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이동부재 상에 베어링블럭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에 연결되어 이동부재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 윗면을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랙,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3. 삭제
KR1020030057631A 2003-08-20 2003-08-20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KR10099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31A KR100990718B1 (ko) 2003-08-20 2003-08-20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631A KR100990718B1 (ko) 2003-08-20 2003-08-20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684A KR20050019684A (ko) 2005-03-03
KR100990718B1 true KR100990718B1 (ko) 2010-10-29

Family

ID=3722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631A KR100990718B1 (ko) 2003-08-20 2003-08-20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981B (zh) * 2018-10-29 2021-07-02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盘下线机构
CN110282351A (zh) * 2019-07-19 2019-09-27 高邮市明源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吸塑机吸塑过程中的材料转运装置及其转运方法
CN113682802B (zh) * 2021-08-25 2022-11-04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绕线盘分拣系统
CN114180282B (zh) * 2021-12-17 2024-01-16 浙江谋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盘条卷转运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A (ja) * 1983-06-21 1985-01-08 Mitsubishi Metal Corp 物品の反転装置
JPH1133949A (ja) 1997-07-14 1999-02-09 Fanuc Ltd 産業用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A (ja) * 1983-06-21 1985-01-08 Mitsubishi Metal Corp 物品の反転装置
JPH1133949A (ja) 1997-07-14 1999-02-09 Fanuc Ltd 産業用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684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04379C2 (en) Welding wire winder and welding wire feeder.
US4033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bobbins and winding yarn continuously
FI117698B (fi) Parannettu menetelmä ja laite liikkuvan rainan rullaamiseksi rullatuksi rainarullaksi
CA1162957A (en) Apparatus for handling signature bundles
EP0427408A2 (en) Continuous winder for web materials
CN111874739B (zh) 一种全自动卷绕打包机
JPS63310433A (ja) 帯状材を巻取るための装置
KR100990718B1 (ko) 선재코일 이송기의 선재코일 선단 위치 변경장치
JPH05104139A (ja) コイル材層間紙巻取ボビンの自動受け渡し装置
JPH031225B2 (ko)
US4923132A (en) Doffing truck for a yarn false twisting machine
CN207226631U (zh) 一种裁线装置
EP0410021A1 (de) Betriebs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ierten Auswechseln von mit leeren Hülsen bestückten Spulenadaptern gegen mit vollen Vorlagespulen bestückte Spulenadapter im Bereich einer Fadenbearbeitungsstelle einer Textilmaschine
US4484714A (en) Beam mounted core enveloper
CN204396523U (zh) 钢卷胀圆开平机
JPH07265950A (ja) スクラップコイルの処理装置
KR100419649B1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CN102530627A (zh) 一种适用于快速收纸机的纸张减速装置
CN213909643U (zh) 一种绑枝机夹枝条装置
CN216004724U (zh) 一种便于换卷的并丝机
JP2754351B2 (ja) 下口線処理方法および下口線処理装置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CN210084386U (zh) 快速制动锻件取料搬运机
CN220408882U (zh) 内衬修复管材的自动化切割设备
CN113844923B (zh) 一种智能全自动分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