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727B1 -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727B1
KR100989727B1 KR1020087012822A KR20087012822A KR100989727B1 KR 100989727 B1 KR100989727 B1 KR 100989727B1 KR 1020087012822 A KR1020087012822 A KR 1020087012822A KR 20087012822 A KR20087012822 A KR 20087012822A KR 100989727 B1 KR100989727 B1 KR 10098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member
cam portion
position senso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152A (ko
Inventor
고이치로 수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8007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646Rotary shaft
    • Y10T70/565Locked stationary
    • Y10T70/5655Housing-carried lock
    • Y10T70/5664Latching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6Pilot wheel control or lin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모터(6)의 구동에 의해 해제 방향 및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웜 휠(8)과, 웜 휠(8)에 설치된 제1 캠부(9) 및 제2 캠부(10)와,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하는 록 부재(11)와, 제2 캠부(10)에 추종하여 대기 위치와 유지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하는 유지 레버(12)를 설치했다. 제1 캠부(9)에 피검출부(24)를 설치하고, 피검출부(24)에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1 및 제2 위치 센서(S1, S2)를 설치했다. 제1 위치 센서(S1) 및 제2 위치 센서(S2)의 검출 출력에서 록 부재(11)의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록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로는, WO2004/098960A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00)는, 모터(101)의 회전축에 고정된 웜 기어(102)와, 웜 기어(102)에 맞물려,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웜 휠(103)과, 웜 휠(103)의 한쪽 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1 캠부(104)와, 웜 휠(103)의 다른쪽 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2 캠부(105)와, 제1 캠부(104)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는 록 부재(106)와, 제2 캠부(105)에 추종하여 요동하는 유지 레버(107)를 구비한다.
록 부재(106)는 스티어링 샤프트(108)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 위치(도 1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108)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한다. 록 부재(106)에는 검출 핀(106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검출 핀(106a)의 이동 궤적 상에 제1 위치 센서(S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 센서(S1)는, 록 부재(106)가 록 위치에 위치하면 온 신호를 출력한다.
유지 레버(107)는, 록 부재(106)의 이동을 허용 하는 대기 위치(도 1의 위 치)와, 록 부재(106)의 록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지점(109)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회전 지점(109)에는 유지 레버(107)를 유지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10)이 유지되어 있다. 유지 레버(107)의 하단에는 「V」자 형상의 구멍(107a)이 형성되고, 구멍(107a)에 검출 블록(111)의 핀(111a)이 삽입되어 있다. 검출 블록(11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유지 레버(107)의 요동에 의해서 상하 운동한다. 검출 블록(111)의 하단에는 검출 핀(111b)이 돌출 설치되고, 검출 핀(111b)의 상하 운동 궤적 상에 제2 위치 센서(S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위치 센서(S2)는, 록 부재(106)의 록 위치 및 록 해제 위치에서 온 신호를, 그 이외의 위치에서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성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06)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운전자 등이 스티어링 잠금 해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웜 휠(103)이 해제 방향(C)으로 회전하고, 록 부재(106)가 제1 캠부(104)에 추종하여 록 해제 위치 방향(D)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06)가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함과 더불어, 유지 레버(107)가 제2 캠부(105)에 추종하여 유지 위치 방향(E)으로 이동하고, 유지 레버(107)의 걸림편(107b)이 록 부재(106)의 걸림 오목부(106b)에 딱 맞게 끼워진다. 그러면,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은 오프 신호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이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의해서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하고, 록 부재(106)가 도 2의 록 해제 위치에서 정지한다. 록 부재(106)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108)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록 부재(106)가 유지 레버(107)에 의해서 위치 유지되므로, 강한 충격력이 록 부재(106)에 가해져도, 록 부재(106)가 록 위치 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중 등에서 스티어링 샤프트(108)가 록되는 사태를 확실히 방지한다.
한편, 상기 구성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06)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차량 주차 등을 하기 위해서, 운전자 등이 스티어링 잠금 해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웜 휠(103)이 잠금 방향(F)으로 회전하고, 유지 레버(107)가 제2 캠부(105)에 추종하여 대기 위치 방향(G)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록 부재(106)가 제1 캠부(104)에 추종하여 록 위치 방향(H)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06)가 록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은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함과 더불어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도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의해서 모터(101)의 구동을 정지하고, 록 부재(106)가 록 위치에서 정지한다. 록 부재(106)가 록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108)의 회전이 록된다. 이에 따라, 주차 중의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00)에서는, 록 부재(106)의 위치와, 록 부재(106)를 록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레버(107)의 위치를 제1 및 제2 위치 센서(S1, S2)로 검출함으로써 록 부재(106)의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를 검출한다.
따라서, 제1 캠부(104)의 캠면을 록 위치(하사점) 영역과 록 해제 위치(상사점) 영역과 이들 사이의 승강 영역으로 구분하면, 록 위치(하사점) 영역이나 록 해제 위치(상사점) 영역의 입구 포인트가 록 위치나 록 해제 위치로 되고, 제1 캠부(104)의 강도적으로 강한 위치나 모터(101)의 기동 토크 상 유리한 위치 등을 록 위치나 록 해제 위치로서 선택할 수 없다.
또, 제1 위치 센서(S1)와 제2 위치 센서(S2)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의 컴팩트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관련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캠부의 록 위치 영역이나 록 해제 위치 영역의 원하는 접촉 위치에서 록 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측면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해제 방향 및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제1 캠부와 제2 캠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캠부는, 제1 피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캠부에 추종하여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하는 록 부재로서, 상기 록 위치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록 해제 위치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 부재와, 상기 제2 캠부에 추종하여 대기 위치와 유지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하고,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록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유지 위치에서 상기 록 부재의 상기 록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레버로서,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해제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는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 유지 레버와, 상기 제1 피검출부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1 위치 센서와 제2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센서와 상기 제2 위치 센서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는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의하면, 제1 캠부의 캠면은 록 부재를 록 위치에 위치시키는 록 위치 영역과 록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록 해제 위치 영역과 이들 사이의 승강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록 위치 영역 및 록 해제 영역의 원하는 접촉 위치에서 록 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록 부재의 안정 스트로크, 제1 캠부의 강도, 구동원의 기동 시의 부하 토크 등을 고려한 위치에서 록 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피검출부를 제1 캠부에 설치했으므로, 제1 위치 센서와 제2 위치 센서를 근접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지 레버는, 제2 피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피검출부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3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유지 레버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위치 센서로 록 부재의 위치를 검출함과 더불어, 제3 위치 센서로 유지 부재의 위치도 검출하므로, 록 부재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유지 부재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거나, 록 부재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데 유지 부재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이상 사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부정상적인 동작을 상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유지 레버는, 상기 회전체의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근접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록 부재와 유지 레버를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또, 상기 제1 피검출부와 상기 제2 피검출부는, 모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센서, 상기 제2 위치 센서, 상기 제3 위치 센서는, 동일한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제3 위치 센서의 부착이 용이하다. 3개의 위치 센서를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록 부재를 상기 제1 캠부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용수철과, 상기 유지 레버를 상기 제2 캠부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 용수철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록 부재 및 유지 레버를 제1 캠부 및 제2 캠부에 각각 단순히 접촉시키면 록 부재 및 유지 레버가 각 탄성력에 의해서 제1 캠부 및 제2 캠부로 추종 이동하므로, 제1 캠부 및 제2 캠부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면측에서 본, 관련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동작 개소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U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L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U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L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U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L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U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L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인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3∼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동작 부분의 주요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 (b)∼도 12(a), (b)의 각각은 동작 설명도이다.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장착되며, 내부에 부품 수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2) 및 커버(3)와, 이 부품 수용실 내에 수용되고, 그 내부에 드라이브 유닛실을 더 형성하는 드라이브 유닛 하우징(4) 및 드라이브 유닛 커버(5)와, 이 드라이브 유닛실 내에 배치되는 구동원인 모터(6)와, 모터(6)의 회전축(6a)에 고정된 웜 기어(7)와, 웜 기어(7)에 맞물려, 드라이브 유닛실 내에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웜 휠(8)과, 웜 휠(8)의 한쪽 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1 캠부(9)와, 웜 휠(8)의 다른쪽 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2 캠부(10)와,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록 부재(11)와, 제2 캠부(10)에 추종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요동하는 유지 레버(12)와, 부품 수용실에 배치된 회로 기판(13)을 주요 구성 부품으로서 구비한다.
록 부재(11)는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 판 형상이고, 또한 절결에 의해 용수철 받침면(14a)이 형성된 플랫 로드부(14)와, 플랫 로드부(14)의 윗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캠 걸림부(15)와, 캠 걸림부(15)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레버용 걸림 돌기(16)와, 플랫 로드부(14)의 하단에 설치된 샤프트 걸림 돌기(17)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 로드부(14)는, 하우징(2)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2a, 2b)에 의해서 상하 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록 부재(11)는 샤프트 걸림 돌기(17)가 하우징(2)의 구멍(2c)보다 외부로 돌출되고,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 위치(도 5 및 도 9의 각 (a), (b)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도 8 및 도 12의(a), (b)의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한다. 용수철 받침면(14a)과 드라이브 유닛 하우징(4)의 사이에는 제1 용수철인 압축 용수철(18)이 개재되고, 압축 용수철(18)의 탄성력에 의해서 록 부재(11)가 제1 캠부(9)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유지 레버(12)는, 도 4에 자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 핀(19)(도 9∼도 12의(a), (b)에 도시한다)을 중심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플랫 플레이트부(20)와,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상단의 한쪽에서 크게 전방으로 돌출된 캠 걸림 부(21)와,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캠 걸림부(21)의 하방 위치에서 조금 돌출 설치된 록용 걸림부(22)(도 3에 도시한다)를 구비한다. 유지 레버(12)는, 록 부재(11)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도 9∼도 11의 (a), (b)의 위치)와 록용 걸림부(22)가 록 부재(11)의 레버용 걸림 돌기(16)에 걸리고, 록 부재(11)의 록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위치(도 12의(a), (b)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회전 유지 핀(19)에는 제2 용수철인 코일 용수철(23)(도 3 등에 도시한다)이 유지되고, 코일 용수철(23)에 의해서 레버 부재(11)가 제2 캠부(1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다음으로, 록 부재(11) 및 유지 레버(1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록 부재(11)의 위치 검출 수단은, 제1 캠부(9)에 일체로 돌출 설치된 제1 피검출부인 피검출부(24)와, 피검출부(24)의 근접 위치에서 대향 배치되는 회로 기판(13)에 고정된 제1 위치 센서(S1) 및 제2 위치 센서(S2)로 구성되어 있다. 피검출부(24)는 웜 휠(8)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원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 센서(S1)는, 록 부재(11)를 록 위치에 위치시키 는 제1 캠부(9)의 회전 위치에서 온하고, 제2 위치 센서(S2)는, 록 부재(11)를 록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1 캠부(9)의 회전 위치에서 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캠부(9)의 캠면은, 록 부재(11)를 록 위치로 하는 록 위치 영역(하사점 영역)과 록 부재(11)를 록 해제 위치로 하는 록 해제 위치 영역(상사점 영역)과 이들 사이의 승강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록 위치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서 제1 위치 센서(S1)가 온되고, 록 해제 위치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서 제2 위치 센서(S2)가 온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원하는 위치는, 록 부재(11)의 안정 스트로크, 제1 캠부(9)의 강도, 모터(6)의 기동 시의 부하 토크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유지 레버(12)의 위치 검출 수단은, 유지 레버(12)의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상단의 타단측에서 조금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피검출부인 피검출부(25)와, 피검출부(25)에 근접하는 회로 기판(13)의 위치에 고정된 제3 위치 센서(S3)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위치 센서(S3)는, 유지 레버(12)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오프하고,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 (b)에 도시하는 록 부재(11)의 록 위치에서는, 록 부재(11)의 샤프트 걸림 돌기(17)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고, 이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록 위치에서는,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은 온 신호,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은 오프 신호, 제3 위치 센서(S3)의 출력은 오프 신호이다.
이 록 상태에 있어서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드라이버 등이 스티어링 잠금 해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먼저 각 위치 센서(S1, S2, S3)의 출력 상태에서 록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 위치 확인 후,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 휠(8)이 해제 방향(A)으로 회전하고, 록 부재(11)가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록 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한다(도 6 및 도 7의(a), (b) 참조).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은, 제1 캠부(9)가 조금 회전한 위치에서 온으로부터 오프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상관없이 모터(6)의 구동이 속행된다. 그리고,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이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의해서 모터(6)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 의해,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도 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레버(12)는 록 위치에서는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모터(6)의 구동으로 웜 휠(8)이 해제 방향(A)으로 회전하면, 유지 레버(12)가 제2 캠부(10) 상을 슬라이드한다. 유지 레버(12)는 록 부재(11)의 록 해제 위치 직전까지는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도 10 및 도 11의(a), (b) 참조). 그리고, 도 12(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비로소 대기 위치로부터 유지 위치로 이동된다.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로 이동하면, 유지 레버(12)의 록용 걸림부(22)가 록 부재(11)의 레버용 걸림 돌기(16)에 걸린다. 그러면, 제3 위치 센서(S3)의 출력이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한다. 이상에 의해, 록 해제 위치에의 동작이 완료된다.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또, 록 부재(11)가 유지 레버(12)에 의해서 위치 유지되므로, 강한 충격력이 록 부재(11)에 가해져도, 록 부재(11)가 록 위치 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 중 등에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잠기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록 부재(11)의 록 해제 위치에 있어서, 차량 주차 등을 하기 위해 운전자 등이 스티어링 잠금 해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먼저,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이 오프 신호,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이 온 신호, 제3 위치 센서(S3)의 출력이 온 신호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다. 위치 확인 후,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 휠(8)이 잠금 방향(B)으로 회전하고, 유지 레버(12)가 제2 캠부(10)에 추종 이동하여 유지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즉각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위치 센서(S3)의 출력은 온으로부터 오프 신호로 변화한다. 대기 위치로 변이한 유지 레버(12)는, 제2 캠부(10) 상을 슬라이드하는데, 도 11, 도 10, 도 9의 각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위치까지 이동해도 대기 위치에 계속 위치한다.
한편,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 휠(8)이 잠금 방향(B)으로 회전하면, 록 부재(11)는 유지 레버(12)의 대기 위치로의 변이 후,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록 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한다(도 7 및 도 6의(a), (b) 참조). 제2 위치 센서(S2)의 출력은, 제1 캠부(9)가 조금 회전한 위치에서 온으로부터 오프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 후도 모터(6)의 구동이 속행되어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까지 이동 한다. 그러면, 제1 위치 센서(S1)의 출력이 오프로부터 온 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의해서 모터(6)의 구동이 정지되고, 도 5(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11)가 록 위치에서 정지한다. 록 부재(11)가 록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이 록 된다. 이에 따라, 주차 중의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캠부(9)에 피검출부(24)를 설치하고, 피검출부(24)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1 및 제2 위치 센서(S1, S2)를 설치하고, 제1 및 제2 위치 센서(S1, S2)의 검출 출력에서 록 부재(11)의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 캠부(9)의 캠면은 록 부재(11)를 록 위치에 위치시키는 록 위치 영역과 록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록 해제 위치 영역과 이들 사이의 승강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록 위치 영역 및 록 해제 영역의 원하는 접촉 위치에서 록 부재(11)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록 부재(11)의 안정 스트로크, 제1 캠부(9)의 강도, 모터(6)의 기동 시의 부하 토크 등을 고려한 위치에서 록 부재(11)를 정지시킬 수 있다.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피검출부(24)를 제1 캠부(9)에 설치하였으므로, 제1 위치 센서(S1)와 제2 위치 센서(S2)를 근접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레버(12)에 피검출부(25)를 설치하고, 피검출부(25)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3 위치 센서(S3)를 설치하고, 제3 위치 센서(S3)의 검출 결과에서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므로, 제1 및 제2 위치 센서(S1, S2)로 록 부재(11)의 위치를 검출함과 더불어, 제3 위치 센서(S3)로 유지 레버(12)의 위치도 검출하므로,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거나, 록 부재(11)가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데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상 사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상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록 부재(11)와 유지 레버(12)는, 웜 휠(8)의 근방에서, 한편, 서로 근접 위치에 배치되었으므로, 록 부재(11)와 유지 레버(12)를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캠부(9)에 설치된 피검출부(24)와 유지 레버(12)에 설치된 피검출부(25)는, 모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피검출부(24)와 피검출부(25)가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및 제3 위치 센서(S1, S2, S3)를 동일한 회로 기판(13)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위치 센서(S1, S2, S3)는 동일한 회로 기판(13)에 설치되었으므로, 제1∼제3 위치 센서(S1, S2, S3)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 3개의 위치 센서(S1, S2, S3)를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1)의 컴팩트화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 부재(11)를 제1 캠부(9)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 용수철(18)을 설치하고, 유지 레버(12)를 제2 캠부(10)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코일 용수철(23)을 설치했으므로, 록 부재(11) 및 유지 레버(12)를 제1 캠부(9) 및 제2 캠부(10)에 각각 단순히 접촉시키면 록 부재(11) 및 유지 레버(12)가 각 탄성력에 의해 제1 캠부(9) 및 제2 캠부(10)에 추종 이동하므로, 제1 캠부(9) 및 제2 캠부(10)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의해서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제1 캠부의 록 위치 영역이나 록 해제 위치 영역의 원하는 접촉 위치에서 록 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해제 방향 및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는, 제1 캠부와 제2 캠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캠부는, 제1 피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캠부에 추종하여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이하는 록 부재로서, 상기 록 위치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록 해제 위치에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 부재와,
    상기 제2 캠부에 추종하여 대기 위치와 유지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하고,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록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유지 위치에서 상기 록 부재의 상기 록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레버로서,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해제 위치 이외에 위치할 때는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 유지 레버와,
    상기 제1 피검출부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1 위치 센서와 제2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센서와 상기 제2 위치 센서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록 부재가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하는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 레버는, 제2 피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피검출부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제3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유지 레버가 상기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지가 검출되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센서, 상기 제2 위치 센서, 상기 제3 위치 센서는, 동일한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를 상기 제1 캠부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용수철과,
    상기 유지 레버를 상기 제2 캠부에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 용수 철을 더 구비한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KR1020087012822A 2005-11-30 2006-11-21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KR100989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6236 2005-11-30
JP2005346236A JP4624912B2 (ja) 2005-11-30 2005-11-30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52A KR20080071152A (ko) 2008-08-01
KR100989727B1 true KR100989727B1 (ko) 2010-10-26

Family

ID=3809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22A KR100989727B1 (ko) 2005-11-30 2006-11-21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5346B2 (ko)
EP (1) EP1955913B1 (ko)
JP (1) JP4624912B2 (ko)
KR (1) KR100989727B1 (ko)
CN (1) CN101316745B (ko)
WO (1) WO2007063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2899B2 (ja) * 2007-10-01 2013-07-31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7891221B2 (en) * 2007-10-01 2011-02-22 Alpha Corporatio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US7596976B2 (en) 2007-11-30 2009-10-06 Alpha Corporatio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5020153B2 (ja) * 2008-04-18 2012-09-05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8048771B4 (de) * 2008-09-24 2018-10-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nkungsverriegelung
JP5260358B2 (ja) * 2009-03-06 2013-08-14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9045905A1 (de) * 2009-10-21 2011-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lagerung einer verschiebbaren Sperreinheit
US8424348B2 (en) * 2010-01-27 2013-04-2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EP2476592B1 (fr) * 2011-01-13 2020-04-08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EP2479073B1 (fr) * 2011-01-21 2014-01-15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JP5935115B2 (ja) * 2011-11-28 2016-06-15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13217735A1 (de) * 2012-09-07 2014-03-1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Lenkschloss
EP2716508B1 (en) * 2012-10-04 2015-12-09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for an automative vehicle
EP2997209B1 (en) * 2013-05-15 2021-02-17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Lock
US9827949B2 (en) * 2013-10-04 2017-11-28 Alpha Corporatio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CN204754508U (zh) * 2014-02-15 2015-11-11 因特瓦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锁闩的致动器
DE102015011134A1 (de) * 2015-08-31 2017-03-02 Thyssenkrupp Ag Raststern für eine Kraftfahrzeuglenksäu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DE102016108568A1 (de) * 2016-05-10 2017-11-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ensorhebel für eine Sensorvorrichtung zur Erkennung zumindest einer Stellposition einer Lenkradsperre
TWI635208B (zh) * 2018-03-28 2018-09-11 一德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Lock
CN112771383A (zh) * 2018-09-30 2021-05-07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进样系统和样本回收的方法
CN110967517B (zh) * 2018-09-30 2024-04-09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提篮锁定装置、体外诊断设备及其样本回收方法
JP7093324B2 (ja) * 2019-04-22 2022-06-2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20175842A (ja) * 2019-04-22 2020-10-2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13288430B (zh) * 2021-05-13 2022-07-29 上海微创医疗机器人(集团)股份有限公司 无菌板组件、手术器械、动力盒及手术机器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2A (ja) * 1982-07-15 1984-01-25 Kokusan Kinzoku Kogyo Co Ltd キ−レス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WO2004098960A1 (de) * 2003-05-06 2004-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2005014755A (ja) * 2003-06-26 2005-01-20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5319866A (ja) * 2004-05-07 2005-11-17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3129A (en) * 1968-11-12 1971-08-18 Nissan Motor Anti-theft device in a motor vehicle
US4643009A (en) * 1984-12-27 1987-02-17 Kokusan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Steering lock arrangement
US4638882A (en) * 1984-12-27 1987-01-27 Kokusan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Keyless steering shaft lock arrangement
JP3592941B2 (ja) * 1998-11-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R2796906B1 (fr) * 1999-07-28 2001-10-05 Renault Systeme et procede de verrouillage de la direction d'un vehicule
DE10133408A1 (de) * 2000-07-19 2002-05-02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121714C1 (de) * 2001-05-04 2003-01-02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ß, insbesondere zum Verriegel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129095C1 (de) * 2001-06-16 2003-03-20 Siemens Ag Elektrische Lenkungsverriegelung
JP3808789B2 (ja) * 2002-03-22 2006-08-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4231123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320155B3 (de) * 2003-05-06 2005-0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US7140213B2 (en) * 2004-02-21 2006-11-28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column lock apparatus and method
DE102004053438A1 (de) * 2004-11-05 2006-05-11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Lenkschloß
US8056437B2 (en) * 2005-04-19 2011-11-15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Electric steering column lock with single direction actuator travel
US7596976B2 (en) * 2007-11-30 2009-10-06 Alpha Corporatio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US8424348B2 (en) * 2010-01-27 2013-04-2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2A (ja) * 1982-07-15 1984-01-25 Kokusan Kinzoku Kogyo Co Ltd キ−レス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WO2004098960A1 (de) * 2003-05-06 2004-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2005014755A (ja) * 2003-06-26 2005-01-20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5319866A (ja) * 2004-05-07 2005-11-17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52A (ko) 2008-08-01
EP1955913A4 (en) 2010-08-25
US8505346B2 (en) 2013-08-13
JP4624912B2 (ja) 2011-02-02
CN101316745B (zh) 2010-08-18
US20090165510A1 (en) 2009-07-02
EP1955913A1 (en) 2008-08-13
CN101316745A (zh) 2008-12-03
EP1955913B1 (en) 2014-04-30
JP2007145299A (ja) 2007-06-14
WO2007063743A1 (ja)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27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AU2009284938B2 (en) Steering lock device
JP478649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7891221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100686997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US7412858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H01257630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101525718B1 (ko) 조향 록 장치
JP2008247127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935115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10120198A1 (en) Device for actuating a locking member
JP2011088455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70131004A1 (en) Key interlock device for steering column lock device
US20130055846A1 (en) Steering Lock Device
JP4685730B2 (ja) シフト装置
JP502288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294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1088456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9101980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764357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JP2010188754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