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83B1 -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 Google Patents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83B1
KR100989483B1 KR1020080089916A KR20080089916A KR100989483B1 KR 100989483 B1 KR100989483 B1 KR 100989483B1 KR 1020080089916 A KR1020080089916 A KR 1020080089916A KR 20080089916 A KR20080089916 A KR 20080089916A KR 100989483 B1 KR100989483 B1 KR 10098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pallet
suppor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935A (ko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08008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4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 B65D19/16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185Details for article conveyors, e.g. for contain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llet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팔레트에 적재물을 적재하되, 이송 중 유동에 의해 적재물이 팔레트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관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보다 많은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간편히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프레임(10)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기 접이프레임(30)이 힌지핀(H)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지지구(20)와; 상기 연결지지구(2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가변적으로 수직 고정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30)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양측에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착탈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물, 팔레트

Description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Folding pallet}
본 발명은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팔레트에 적재물을 적재하되, 이송 중 유동에 의해 적재물이 팔레트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시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보관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보다 많은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토록 하고 사용시에는 간편히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레트는 상, 하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물건을 적재하여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관리 시 물건의 이송을 간편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팔레트는 통상 측면 일측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지게차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팔레트는 적재된 적재물이 개방된 주위로 이송 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팔레트를 적재하여 한 번에 이송이 가능하도록 측판부재가 외측면 주위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팔레트는 측판부재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적재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도록 형성되어 부피가 커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았고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량을 보관시에는 넓은 공간이 필요한 등의 단점이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는 다량의 팔레트를 적층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화물적재용 팔레트로서 접이 및 절첩이 이루어지는 파레트가 다수 실용화되고 있으나 접이 또는 절첩이 까다롭고 적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레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이송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를 안정적으로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팔레트 보관시 간편하게 접이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다단으로 다량의 팔레트를 적층시켜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레트 사용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프레임(10)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기 접이프레임(30)이 힌지핀(H)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지지구(20)와;
상기 연결지지구(2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가변적으로 수직 고정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30)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양측에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착탈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지지구(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2)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에 대응하며 걸리도록 하는 고정돌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34)와;
상기 착탈프레임(40)의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34)가 관통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체결공(44);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구(20)의 양측면에는, 상기 힌지핀(H)이 가이드 유도되도록 가이드공(2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상단부를 소정으로 내측 수용할 수 있도록 받침부(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판(50)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를 이용함에 따라 팔레트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이송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의 팔레트를 안정적으로 다단 적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레트 보관시 간편하게 접이되도록 구성하여 팔레트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다단으로 다량의 팔레트를 적층시켜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팔레트 사용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기 접이프레임이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지지구와; 상기 연결지지구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가변적으로 수직 고정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과; 상기 접이프레임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양측에 안착 홈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착탈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프레임의 접이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된 상태의 팔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프레임(10)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기 접이프레임(30)이 힌지핀(H)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지지구(20)와;
상기 연결지지구(2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가변적으로 수직 고정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외측으로 이탈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30)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양측에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착탈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판(50)이 안착 설치된다.
상기 접이프레임(30)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양측 중단에는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34)가 하나 이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양측 하부에는 다각형상의 고정돌부(32)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프레임(40)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에는 접이프레임(30)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42)이 형성된 프레임의 중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34)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오뚜기 형상으로 천공된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44)은 걸림돌기(34)와 상호 대응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지지구(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2)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에 대응하며 걸리도록 하는 고정돌부(32);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접이프레임(30)은 연결지지구(20)로 하여금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 로 돌출형성되며,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34)와; 상기 착탈프레임(40)의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34)가 관통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체결공(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4)는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구(20)는 일측면으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이프레임(3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개방부(28) 양측면으로는 접이프레임(30)이 힌지핀(H)을 통해 회전가능토록 결합하되, 상기 힌지핀(H)으로 하여금 접이프레임(30)이 직각방향으로 가이드 유도되어 회전접이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공(24)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접이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된 힌지핀(H)이 내측에서 가이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지지부(2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접이프레임(30)의 고정돌부(32)가 수직으로 유동되어 이탈됨과 동시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평방으로 힌지핀(H)이 가이드 유동되어 접이프레임(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이프레임(30)의 하단부에는 힌지핀(H)이 체결될 수 있도록 힌지공(36)이 천공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4는 팔레트(100)가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접이프레임(30)은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로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고, 접이프레임(30)으로부터 탈거된 착탈프레임(40)은 접이프레임(30)의 상부에 안착된 다.
그리고, 상기 연결지지구(20)의 하부에는 접이프레임(30)의 상단 소정부위를 내측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내측공간(S)이 형성된 받침부(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팔레트(100)를 다단으로 적층시킬 경우,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6)와 상호 대응하며 내측으로 수용되는 접이프레임(30)의 상단부를 통해 팔레트(100)가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접이된 상태의 팔레트(100)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또한 상기 받침부(26)의 내측에 연결지지부(20)의 상단부가 소정으로 수용되어 적층됨으로써, 접이된 상태에서의 팔레트(100) 역시 안정적으로 다단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받침부(26)의 하단부에는 상기 접이프레임(30)과 착탈프레임(40)이 상호 교차결합된 상단부가 소정으로 내측 수용되도록 요홈(26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요홈(26a)을 통해 접이프레임(30)의 양측 상단부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h)로 돌출형성되지 않아도 다단으로 적층되는 팔레트(100)가 상기 요홈(26a)에 의해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 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프레임의 접이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된 상태의 팔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지지프레임
20 : 연결지지구
22 : 걸림홈
24 : 가이드공
26 : 받침부
26a : 요홈
28 : 개방부
30 : 접이프레임
32 : 고정돌부
34 : 걸림돌기
36 : 힌지공
40 : 착탈프레임
42 : 안착홈
44 : 체결공
50 : 지지판
H : 힌지핀

Claims (6)

  1.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지지프레임(10)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모서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기 접이프레임(30)이 힌지핀(H)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회전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지지구(20)와;
    상기 연결지지구(20)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가변적으로 수직 고정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한 쌍의 접이프레임(30)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측면부와 상호 대응하며 안착되도록 양측에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착탈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지지구(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2)과;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에 대응하며 걸리도록 하는 고정돌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34)와;
    상기 착탈프레임(40)의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34)가 관통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체결공(44);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구(20)의 양측면에는, 상기 힌지핀(H)이 가이드 유도되도록 가이드공(2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접이프레임(30)의 상단부를 소정으로 내측 수용할 수 있도록 받침부(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적재물을 지지토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판(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89916A 2008-09-11 2008-09-11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KR10098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16A KR100989483B1 (ko) 2008-09-11 2008-09-11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16A KR100989483B1 (ko) 2008-09-11 2008-09-11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35A KR20100030935A (ko) 2010-03-19
KR100989483B1 true KR100989483B1 (ko) 2010-10-22

Family

ID=4218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916A KR100989483B1 (ko) 2008-09-11 2008-09-11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01B1 (ko) 2020-03-26 2021-02-08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단열 및 밀폐가 가능한 운송용 팔레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87B1 (ko) * 2013-12-31 2014-07-25 주식회사 제일특장차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와이어 타입 파렛트
KR102218708B1 (ko) * 2019-03-13 2021-02-22 (주)제이케이오토메이션코리아 팔레트
KR102526152B1 (ko) * 2021-03-10 2023-04-27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적층구조를 가진 팔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45U (ko) * 1988-10-19 1990-05-01 김상희 절첩식 파레트
JPH0619460Y2 (ja) * 1989-12-15 1994-05-25 キムラユニティー株式会社 二段折り畳み枠パレット
KR200399805Y1 (ko) * 2005-07-29 2005-10-28 주식회사골드라인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KR20080003752A (ko) * 2007-12-05 2008-01-08 김유섭 회수용 철제박스팰릿과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45U (ko) * 1988-10-19 1990-05-01 김상희 절첩식 파레트
JPH0619460Y2 (ja) * 1989-12-15 1994-05-25 キムラユニティー株式会社 二段折り畳み枠パレット
KR200399805Y1 (ko) * 2005-07-29 2005-10-28 주식회사골드라인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KR20080003752A (ko) * 2007-12-05 2008-01-08 김유섭 회수용 철제박스팰릿과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01B1 (ko) 2020-03-26 2021-02-08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단열 및 밀폐가 가능한 운송용 팔레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35A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0451A (en) Rigid, collapsible and nestable container
CA2758769C (en) Box with foldable side walls and locking mechanism with overload protection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US20140137775A1 (en) Plastic pallet
US11047154B2 (en)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US7281637B2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KR100989483B1 (ko) 접이가 가능한 팔레트
US20080166503A1 (en) Collapsible shelf device
US20120152799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JP5678646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2016141436A (ja) 容器
KR101484758B1 (ko)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AU2005232974B2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JP2004010129A (ja) パレットボックス
JP725928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20630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200438174Y1 (ko) 회전식 철제 포장박스
KR100366544B1 (ko)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JP3140959B2 (ja) パレット容器
JP3150501U (ja) 折畳みパレット
JP4575090B2 (ja) 折り畳み容器
KR200460812Y1 (ko) 파레트를 이용한 패키징 컨테이너
JP7438540B2 (ja) 荷こぼれ防止用の柵を備えた台車
JP6938023B2 (ja)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