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544B1 -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 Google Patents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544B1
KR100366544B1 KR1020000014533A KR20000014533A KR100366544B1 KR 100366544 B1 KR100366544 B1 KR 100366544B1 KR 1020000014533 A KR1020000014533 A KR 1020000014533A KR 20000014533 A KR20000014533 A KR 20000014533A KR 100366544 B1 KR100366544 B1 KR 10036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lates
plate
cargo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603A (ko
Inventor
서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유
Publication of KR2001002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 B65D2519/0060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separate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7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corner posts to the pallet
    • B65D2519/0067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 B65D2519/00995Dismountable elements detachable elements of the side wall, i.e. not the whol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호퍼형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주벽에 리프트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에 배출구가 형성된 팔렛트의 상부에 접철식 주벽요소가 화물이 포장된 비닐백을 담기 위한 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팔렛트에는 상기 지지판의 배출구를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비닐백의 묶음부를 압착하여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팔렛트에 접철식 주벽요소를 결합하여 상자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비닐백을 담아 화물을 운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간편하게 운반취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팔렛트에 호퍼형 지지판이 형성되고 호퍼형 지지판의 하부에 배출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어, 화물을 배출시킬 때에 비닐백의 묶음부를 간편하게 풀어 개방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비닐백이 개포되면 내용 화물이 호퍼형 지지판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비닐백의 개포 및 화물의 배출작업이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PALLET BOX FOR TRANSPORT MERCHANDIES}
본 발명은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백(poly bag)과 팔렛트(pallet)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 취급함에 있어서, 화물을 간편하게 운반 취급하고, 비닐백의 개포 및 화물의 배출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되도록 한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원료인 펠릿(pellet)과 같은 입체(立體), 밀가루와 같은 분체(粉體), 곡물 등을 포함한 각종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폴리백이 이용되고 있으며, 화물이 담긴 폴리백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각종 수송수단에 실어 올리거나 내릴 때, 그리고 운반할 때에는 팔렛트 위에 폴리백을 올려 놓고, 팔렛트를 지게차로 들어 올려 이동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폴리백과 팔렛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 취급함에 있어서 화물을 운반 취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폴리백에 담긴 화물을 배출시킬 때에 폴리백의 묶음부를 개포시키는 작업이 불편할 뿐아니라, 폴리백의 내용 화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므로 폴리백의 개포 및 화물의 배출작업에 많은 인원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폴리백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고, 화물을 필요 장소에서 배출시킨 후, 폴리백을 폐기하였는 바, 폴리백은 비닐백과 같은 내피와 마대와 같은 외피로 이루어진 두겹구조로 재료가 많이 들고 원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폴리백을 1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팔렛트의 상부에 접철식 주벽요소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내부 공간부에 화물을 비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담아 간편하게 운반 취급하고, 비닐백의 개포 및 화물의 배출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사시도.
도 2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정면도.
도 3은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측면도.
도 4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9a는 차단판이 팔렛트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 9b는 비닐백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비닐백의 묶음부가 차단판에 의해 압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a는 차단판이 팔렛트에서 취출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b는 비닐백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비닐백의 묶음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팔렛트의 분해사시도.
도 12a는 접철식 주벽요소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b는 접철식 주벽요소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c는 접철식 주벽요소가 접혀지는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팔렛트에 접철식 주벽요소가 복수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닐백 1a : 묶음부
2 : 묶음끈 100 : 팔렛트
101 : 본체 105 : 걸림돌조
106 : 걸림홈 111 : 배출구
120 : 하부판 121 : 하부판 배출공
122 : 안내요부 123 : 걸림홈
130 : 안내판 131 : 안내판 배출공
132 : 안내홈 200 : 접철식 주벽요소
200' : 양측판 200" : 전후판
201 : 단판 202, 203 : 복수판
205 : 걸림요홈 206 : 걸림돌기
207 ; 위치설정 돌기 208 ; 위치설정 홈
210 : 제1 힌지요소 220 : 제2 힌지요소
230 ; 보강부재 240 ; 빗장수단
400 : 개폐수단 410 : 차단판
411 : 압착 안내부 412 : 압착부
413 : 차단판 손잡이 414 : 차단판 걸림부
420 : 가림판 421 : 가림판 손잡이
422 : 가림판 걸림부 430 ; 지지부재
H ; 삽입부 S ; 공간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는 화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팔렛트와, 상기 팔렛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화물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접철식 주벽요소와, 상기 팔렛트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렛트의 본체 상단 주연부에 다수개의 걸림돌조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에 상기 걸림돌조와 형합되는 걸림요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팔렛트의 본체 주연부의 걸림돌조 내측부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에 상기 걸림홈과 형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팔렛트의 걸림돌조 및 걸림홈과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의 걸림요홈 및 걸림돌기가 서로 형합됨에 의해 상기 팔렛트와 접철식 주벽요소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배출공 및안내요부가 구비되어 상기 팔렛트의 본체 주벽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판과,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그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홈이 구비되어 상기 팔렛트 본체와 하부판사이에 장착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팔렛트의 배출구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화물이 수용된 비닐백이 상기 공간부에 적재시 팔렛트의 배출구로 돌출되는 비닐백의 묶음부 상측을 압착하거나 해제시키는 차단판과, 상기 하부판의 안내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하부판의 배출공을 개폐하면서 상기 팔렛트 배출구로 돌출되는 상기 비닐백의 묶음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노출을 방지하는 가림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는 한 쌍의 양측판과 한 쌍의 전후판의 모서리부가 제1 힌지요소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장방틀형으로 조립되며, 상기 양측판은 단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판은 복수개의 복수판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복수판들은 제2 힌지요소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양측판과 한 쌍의 전후판을 구성하는 단판과 복수판에 각각 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에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각각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사시도, 도 2, 도 3, 도 4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고, 도 5, 도 6은 도 2의 "A"부 및"B"부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도 4의 C-C선, D-D선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또한, 도 9a, 도 9b는 비닐백의 묶음부가 배출 차단판에 의해 압착되어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작용을 보인 것이고, 도 10a, 도 10b는 비닐백의 묶음부가 개포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작용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팔렛트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12a, 12b는 접철식 주벽요소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c는 접철식 주벽요소가 접혀지는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3은 팔렛트에 접철식 주벽요소가 복수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는 본체(101)에 호퍼형 지지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1)의 주벽(102)에 리프트홈(10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110)에 배출구(111)가 형성된 팔렛트(100)와 상기 팔렛트(100)와 함께 화물을 담기 위한 공간부(S)를 형성하는 접철식 주벽요소(200)와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가 팔렛트(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착탈 결합수단(300)과, 상기 팔렛트(100)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배출구(111)로 노출되는 화물 수용용 비닐백(1)의 묶음부(1a)로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거나 그 차단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개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상부에는 공간부를 복개하는 덮개(도시되지 않음)가 필요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팔렛트 본체(100)는 주벽(102)의 내측으로 지지판(110)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지지판(110)의 하부에 복수의 보강판(112),(113)이 일체로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지지판(110)은 중간부에 형성된 배출구(111)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호퍼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110)은 그 배출구(111)를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주벽(102) 일측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400)은 화물이 수용된 비닐백(1)을 공간부(S)에 적재시 그 비닐백의 묶음부(1a)가 삽입되는 배출구(111)를 개폐하면서 비닐백의 묶음부(1a)를 압착 또는 해제시키는 차단판(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차단판(410)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주벽(102) 하단부에는 배출공(1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요부(122)가 구비된 하부판(120)이 고정 결합되고 그 하부판(120)의 배출공(121)은 결합시 지지판(110)의 배출구(11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배출공(131)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홈(132)이 구비된 안내판(130)이 상기 하부판(120)의 상측, 즉 상기 지지판(110)과 하부판(120)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상기 안내판(130)의 결합시 그 배출공(131)이 지지판(110)의 배출구(11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판(120)의 안내요부(122)에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가림판(42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가림판(420)은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개구부(104)를 통해 슬라이딩 된다.
상기 차단판(410)은 그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리브(415)가 상기안내판(130)의 안내홈(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의 배출구(111) 및 안내판의 배출공(131)을 개폐하게 되며 그 차단판(410)은 상기 가림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팔렛트 본체의 개구부(104)를 통해 슬라이딩 된다.
상기 하부판(120)과 안내판(130)은 도 8과 같이, 상기 호퍼형 지지판(110)의 하부에 배출구(111)의 주위로 형성된 고정부(114)에 복수개의 볼트(115)로 체결된다. 물론, 상기 팔렛트 본체(101), 하부판(120) 및 안내판(130)은 이외에 다른 부위도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도 7과 도 11을 주로 참조하면, 상기 차단판(410)은 중간부가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비닐백(1)의 묶음부(1a)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부(412)가 형성됨과 아울러 묶음부(1a)가 압착부(412) 속에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압착 안내부(411)가 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손잡이(413)가 형성됨과 아울러 차단판(410)의 하면에 돌출된 걸림부(414)가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420)의 외측단부에는 손잡이(421)가 형성됨과 아울러 가림판(420)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판(120)의 안내요부(122)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걸리는 걸림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410)은 비닐백의 묶음부(1a)를 압착시 그 비닐백(1)에 수용된 화물의 하중이 차단판(410)에 전달되어 차단판(4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4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430)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접촉지지면부(431)와 그 접촉지지면부(431)에 절곡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432)와 그 지지부(432)에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끼움고정부(43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30)는 결합시 그 끼움고정부(433)가 상기 팔렛트 본체(100)의 주벽(102)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팔렛트 본체(100)와 하부판(120)이 결합됨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30)는 팔렛트 본체(100)와 하부판(120)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접촉지지면부(431)가 차단판(4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차단판(410)의 걸림부(414)가 접촉지지면부(431)의 측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는 도 1, 도 4 및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양측판(200')과 한 쌍의 전후판(200")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한 쌍의 양측판(200') 및 전후판(200")의 각 양단이 서로 제1 힌지요소(210)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장방형틀, 즉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측판(200')은 각각 단판(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판(200")은 각각 복수개의 복수판(202)(203)으로 구성되되 그 복수판(202)(203)들은 제2 힌지요소(220)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양측판(200')과 한 쌍의 전후판(200")에는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204)가 형성되며 그 보강리브(204)는 종횡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힌지요소(210)는 양측판(200')과 전후판(200")의 모서리부에 서로 걸어 물림되는 힌지돌부(211),(212)가 각각 형성되고, 그 힌지돌부(211),(212)에 연통되게 형성된 힌지공(213),(214)에 핀(215)이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힌지요소(220)에는 상기 전후판(200")의 복수판(202),(203)의 접철단부에 금속재 경첩(220)을 결합한 구성이 이용된다.
상기 한 쌍의 양측판(200')과 한 쌍의 전후판(20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양측판(200')을 구성하는 단판(201)과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에 각각 삽입부(H)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H)에 보강부재(23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에 형성되는 삽입부(H)는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에 길이 방향, 즉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되며 그 삽입부(H)는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그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부(H)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30)는 상기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의 길이에 각각 상응하는 길이와 그 단면이 상기 삽입부(H)의 구멍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230)는 단판(201)과 복수판(202),(203)보다 재질의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례로 강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들이 펼쳐짐시 그 펼쳐진 복수판(202),(203)들의 접철을 방지하도록 복수판(202),(203)들을 서로 빗장 걸기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복수판(202),(203)들을 접철시 그 빗장을 해제하여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빗장수단(240)이 설치된다. 상기 빗장수단(240)은 상기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에 결합되는 중공축 형태의 보강부재(230)에 장공(231)이 형성되고 그 보강부재(230) 내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빗장막대(24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보강부재(230)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손잡이(242)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손잡이(242)는 보강부재(230)의 장공(231)을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복수판(202),(203) 중 그 두개의 복수판(202),(203)을 펼침시 그 두개의 복수판(202),(203)이 서로 평면 상태의 위치를 잡아주는 한 쌍의 위치설정 돌기(207) 및 홈(208)이 상기 복수판(202),(203)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기(207) 및 홈(208)은 두개의 복수판(202),(203)이 펼침시 서로 접면되는 그 두개의 복수판(202),(203) 단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펼침시 서로 접면되는 두개의 복수판(202),(203) 중 하나의 복수판(202),(203) 단면에 위치설정 돌기(20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복수판(202),(203) 단면에 상기 위치설정 돌기(207)와 형합되는 위치설정 홈(208)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 결합수단(300)은 주로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상단 주연부에 걸림돌조(105)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양측판(200')과 전후판(200")의 하단부에 걸림요홈(20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주연부의 걸림돌조(105) 내측부에는 다수개의 걸림홈(206)을 형성하고,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양측판(200')과 전후판(200")의 걸림요홈(205) 내측부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06)를 형성하여, 접철식 주벽요소(200)가 팔렛트 본체(101)의 상단부에 걸려 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팔렛트(100)에 접철식 주벽요소(200)가 결합된 본 발명의 화물 수송용팔렛트 상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a는 팔렛트 본체(101)에 차단판(410)이 삽입된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9b는 비닐백(1)이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의 공간부(s)에 삽입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비닐백(1)의 묶음부(1a)가 지지판(110)의 배출구(111)를 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고, 비닐백(1)의 묶음부(1a)가 차단판(410)의 압착부(412)에 의해 압착되어 비닐백(1)에 담겨진 곡물, 합성수지 원료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된 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는 내용물이 채워진 비닐백(1)이 팔렛트(100)와 접철식 주벽요소(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S)에 삽입됨과 아울러 그 비닐백의 묶음부(1a)가 압착되어 비닐백(1)에 수용된 화물의 배출이 방지된 상태로 각종 수송수단을 이용하여 수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동 거리에서는 주로 지게차로 화물을 상,하차시키거나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S)에 삽입된 비닐백(1)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팔렛트(100)의 리프트홈(103)에 지지판(110)의 포크를 삽입하여 들어 올리거나, 또는 적당한 지지대(도시되지 않음) 위에 올려 놓은 후, 도 9b와 같이 비닐백(1)의 묶음부(1a)를 차단판(410)이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묶음부(1a)의 묶음끈(2)을 풀어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즉, 도 10a는 차단판(410)이 외측으로 취출된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b는 비닐백(1)의 묶음부(1a)가 풀어져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도 9b의 상태에서 도 10b와 같이, 가림판(420)을 취출시키고, 비닐백(1)의 묶음부(1a)에 결속되어 있는 묶음끈(2)을 풀어 낸 후, 차단판(410)을 취출시키면 비닐백(1)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림판(420)을 취출시키는 경우에는 가림판(420)의 손잡이(421)를 잡고 가볍게 들어 올리면 하면에 형성된 걸림부(422)가 걸림홈(123)에서 빠지면서 걸림이 해제되므로 이후에 가림판(420)을 개구부(104)를 통해 외측으로 취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410)을 취출시키는 경우에는 차단판(410)의 손잡이(413)를 잡고 가볍게 들어 올리면 하면에 형성된 걸림부(414)가 지지부재(430)의 접촉지지면부(431)의 측면에서 빠지면서 걸림이 해제되므로 이후에 차단판(410)을 개구부(104)를 통해 외측으로 취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림판(420)은 상기 비닐백(1)의 묶음부(1a)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a, 12b는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12c는 접철식 주벽요소(200)를 접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는 양측판(200')과 전후판(200")의 모서리부가 제1 힌지요소(210)로 힌지 결합되고, 전후판(200")의 복수판(202),(203)이 제2 힌지요소(220)로 힌지 결합되므로, 사용할 때에는 전후판(200")을 펼쳐 양측판(200')과 전후판(200")이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펼치게 된다. 이때,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복수판(202),(203)에 각각 형성된 위치설정 돌기(207)와 홈(208)이 형합되면서 복수판(202),(203)들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빗장수단의 손잡이(242)로 빗장박대(241)를 밀어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들에 각각 결합된 보강부재(230)와 보강부재(230)를 빗장치게 된다. 상기 빗장친 빗장막대(241)에 의해 복수판(202),(203)들의 접철이 방지되면서 평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펼쳐진 접철식 주벽요소(200)가 착탈 결합수단(300)에 의해 팔렛트 본체(101)위에 결합된다.
상기 전후판(200")은 펼침 상태에서 복수판(202),(203)들이 빗장막대(241)에 의해 빗장쳐져 접철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켜주게 된다.
한편, 사용후 보관하거나,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자체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접철식 주벽요소(200)를 팔렛트(100)에서 분리시킨 다음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전후판(200")에 빗장쳐진 빗장수단의 빗장막대(241)를 풀고 접철식 주벽요소(200)를 접어 보관 또는 운송하게 된다.
그리고, 화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팔렛트(100)의 상부에 접철식 주벽요소(200)를 다단(주로 2∼3단)으로 적층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팔렛트에 접철식 주벽요소를 결합하여 상자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비닐백을 담아 화물을 운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간편하게 운반 취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하여 운반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팔렛트에 호퍼형 지지판이 형성되고 호퍼형 지지판의 하부에 배출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어, 화물을 배출시킬 때에 비닐백의 묶음부를 간편하게 풀어 개방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비닐백이 개포되면 내용 화물이 호퍼형 지지판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비닐백의 개포 및 화물의 배출작업이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내측 공간부에 저가인 비닐백을 이용하여 화물을 담게 되고, 팔렛트 상자를 계속 반복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팔렛트의 하단부에 가림판이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여 비닐백의 묶음부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됨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철식 주벽요소가 양측판과 전후판을 힌지결합하여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관 취급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팔렛트 상자의 내부에 비닐백을 이용하여 화물을 담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비닐백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폴리백을 이용하여 화물을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화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1)를 구비한 팔렛트(100)와, 한 쌍의 양측판(200')과 한 쌍의 전후판(200")의 모서리부가 제1 힌지요소(210)로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장방틀형으로 조립되고, 상기 팔렛트(100)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그 팔렛트(100)와 함께 화물이 수용되는 공간부(S)를 형성하는 접철식 주벽요소(200)와, 상기 팔렛트(100)의 배출구(11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100)의 본체 상단 주연부에 다수개의 걸림돌조(105)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에 상기 걸림돌조(105)와 형합되는 걸림요홈(20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팔렛트(100)의 본체(101) 주연부의 걸림돌조(105) 내측부에 다수개의 걸림홈(206)을 형성하며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에 상기 걸림홈(206)과 형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06)를 형성하여, 상기 팔렛트(100)의 걸림돌조(105) 및 걸림돌기(106)와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걸림요홈(205) 및 걸림홈(206)이 서로 형합됨에 의해 상기 팔렛트(100)와 접철식 주벽요소(2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배출공(121) 및 안내요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팔렛트(100)의 본체(101) 주벽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판(120)과,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그 내부에 배출공(131)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홈(132)구비되어 상기 팔렛트 본체(101)와 하부판(120) 사이에 장착되는 안내판(130)과, 상기 안내판(130)의 안내홈(13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슬라이딩 움직임에 의해 상기 팔렛트(100)의 배출구(111)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화물이 수용된 비닐백(1)이 상기 공간부에 적재시 상기 팔렛트(100)의 배출구(111)로 돌출되는 상기 비닐백(1)의 묶음부(1a) 상측을 압착하거나 해제시키는 차단판(410)과, 상기 하부판(120)의 안내요부(12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상기 하부판(120)의 배출구(111)을 개폐하면서 상기 팔렛트(100)의 배출구(111)로 돌출되는 상기 비닐백(1)의 묶음부(1a)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노출을 방지하는 가림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410)은 중간부가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상기 비닐백(1)의 묶음부(1a)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부(4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묶음부(1a)가 상기 압착부(412) 속에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압착 안내부(411)가 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손잡이(41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상기 팔렛트 본체(101)의 하측부에 걸리는 걸림부(41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림판(420)의 외측단부에는 손잡이(4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는 상기 하부판(120)의 안내요부(12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23)에 걸리는 걸림부(422)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410)은 상기 비닐백(1)의 묶음부(1a)를 압착시킬 때 그 비닐백(1)에 수용된 화물의 하중이 차단판(410)에 전달되어 차단판(4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4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주벽요소(200)의 양측판(200')은 단판(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판(200")은 복수개의 복수판(202),(20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복수판(202),(203)들은 제2 힌지요소(220)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양측판(200')과 한 쌍의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단판(201)과 복수판(202),(203)에 각각 삽입부(H)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H)에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230)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판(200")을 구성하는 복수판(202),(203)들이 펼쳐질 때에 그 펼쳐진 복수판(202),(203)들의 접철을 방지하도록 복수판(202),(203)을 서로 빗장 걸기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복수판(202),(203)들을 접철시 그 빗장을 해제하여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빗장수단(2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판(200")를 구성하는 복수판(202),(203)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복수판(202),(203) 중 그 두개의 복수판(202),(203)을 펼침시 그 두개의 복수판(202),(203)이 서로 평면 상태의 위치를 잡아주는 한 쌍의 위치설정 돌기(207) 및 홈(208)이 상기 복수판(202),(203)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KR1020000014533A 1999-09-15 2000-03-22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KR100366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578 1999-09-15
KR19990039578 1999-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603A KR20010029603A (ko) 2001-04-06
KR100366544B1 true KR100366544B1 (ko) 2002-12-31

Family

ID=1961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533A KR100366544B1 (ko) 1999-09-15 2000-03-22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72B1 (ko) * 2012-09-27 2014-11-21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포장용 접이식 다단상자
KR101488484B1 (ko) * 2012-12-24 2015-02-03 (주)에스엔엔씨 더스트 이송 케이스
KR101952534B1 (ko) * 2018-03-23 2019-02-27 김종균 파렛트 커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603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599B2 (en)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AU756030B2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 liquid
US5803296A (en) Collapsible, stackable, hard-sided container
US8616370B2 (en)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US20050150892A1 (en) Collapsible container having recessed lid locking latches
US7475526B2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US20170355485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JPH07149347A (ja) パレット容器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KR100366544B1 (ko) 화물 수송용 팔렛트 상자
WO2003043911A1 (en) Hinge and container
US5395002A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EP1737737B1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FI128927B (en) Container
KR200190657Y1 (ko) 합성수지칩 전용파렛트
KR200218084Y1 (ko) 다기능 콘테이너
JPS5846981Y2 (ja) 粉体用折畳み式コンテナ
CZ209993A3 (en) Collapsible container, particularly for bulk material such a granulate of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