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042B1 -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042B1
KR100989042B1 KR1020100008460A KR20100008460A KR100989042B1 KR 100989042 B1 KR100989042 B1 KR 100989042B1 KR 1020100008460 A KR1020100008460 A KR 1020100008460A KR 20100008460 A KR20100008460 A KR 20100008460A KR 100989042 B1 KR100989042 B1 KR 10098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olenoid valve
contact portion
spreader con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0000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16H63/347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오프 작동이 확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없으며, 작동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 둘레에 록킹홀이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고 터미널이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리브가 돌출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와, 상기 플런저를 관통하고 상기 홀더와 케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부 중 상기 록킹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테이퍼 형상인 스프레더 콘과,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레더 콘에 의해 상기 록킹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록킹볼과, 상기 스프레더 콘과 상기 로드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PARKING SOLENOID VALVE FOR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온/오프 작동이 확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없으며, 작동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감속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조작을 직접 행해야 하는 수동변속기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조작이 자동으로 행해지는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주행 중 잦은 변속조작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의 생산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동변속기는, 주차(P), 중립(N), 전진주행(D) 및 후진주행(R)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레버와, 변속레버에서 선택된 변속단에 따라 변속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케이블과, 전진주행(D) 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변속패턴을 미리 입력시켜 둔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과, 변속기 제어 유닛의 제어의 신호에 따라 변속 구동부를 조작하는 변속조작기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자동변속기는 엔진룸에서 발생한 소음과 진동이 케이블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등의 각종 부품에 의해 공간적 제약이 따르고,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센서, ECU 및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변속레버와 변속 구동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즉, 변속레버의 변속단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 ECU에 전달하고, ECU에서는 이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유압 구동부)를 작동시켜 변속 구동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변속레버와 변속 구동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엔진룸에서 발생한 소음과 진동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변속조작기구를 버튼 및 스위치 등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은 파킹 로크 장치를 포함한다. 이 파킹 로크 장치는, 변속레버가 변속단 중 주차(P)에 위치된 경우 변속 구동부의 출력 샤프트를 잠가 회전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킹 로크 장치는 변속레버가 주차(P)에 위치된 경우에만 작동하며, 주차(P) 이외에 다른 변속단(D,R,N)에 위치된 경우 출력 샤프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변속기용의 파킹 로크 장치 중 출력 샤프트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오프 작동이 확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작동의 우려가 없으며, 작동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부 둘레에 록킹홀이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고 터미널이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리브가 돌출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와, 상기 플런저를 관통하고 상기 홀더와 케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상부 중 상기 록킹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다단의 테이퍼 형상인 스프레더 콘과,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레더 콘에 의해 상기 록킹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록킹볼과, 상기 스프레더 콘과 상기 로드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플런저, 상기 로드 및 상기 스프레더 콘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레더 콘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볼이 삽입 또는 돌출되어, 자동변속기의 파킹 로크 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런저와 코어 접촉시 플런저의 하부면에 돌출된 리브가 코어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플런저와 코어가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전원 차단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잔류하는 전원(잔류전원)에 의한 플런저와 코어의 흡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와 코어가 잔류전원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프레더 콘이 다단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록킹볼을 돌출시키기 위한 작동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프레더 콘의 왕복 운동으로 인한 마모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파킹 로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홀더(110)와, 홀더(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130a)과, 보빈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130b)과, 보빈(130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140)와, 플런저(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150)와, 홀더(110)를 관통하고 하부에 플런저(140)가 결합되는 로드(160)와, 로드(16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프레더 콘(170)과, 홀더(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록킹볼(180)과, 홀더(110)와 스프레더 콘(17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9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구성요소(110~18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110)는 후술할 파킹 로크 장치(도 5의 200)의 어큐뮬레이터(도 5의 210)에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홀더(110)는 다단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로드(16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12)이 형성되며, 결합공(112)의 상부에는 스프링(190)이 설치되는 장착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110)의 상부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홀(116)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록킹홀(116)에는 상술한 록킹볼(180)이 삽입된다.
이때, 록킹홀(116)에 삽입되는 록킹볼(180)은 홀더(110)의 내부에 위치된 스프레더 콘(17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돌출 또는 삽입되며, 그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함으로써 파킹 로크 장치(2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킨다.
케이스(120)는 홀더(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어큐뮬레이터(도 5의 210)에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보빈(130a), 코일(130b), 플런저(140) 및 코어(150)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코일(130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122)이 마련된다.
보빈(130a)은 절연체로, 외주면에 감긴 코일(130b)과 플런저(140) 사이, 코일(130b)과 코어(150) 사이의 전기적인 소통을 방지한다. 이때, 보빈(130a)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130b)은 케이스(120)의 터미널(12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보빈(130a) 주위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플런저(140)는 보빈(130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금속 막대이다. 이 플런저(140)의 중앙에는 로드(16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다수의 리브(144)가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코어(150)는 코일(130b)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플런저(140) 및 로드(160)를 하부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상부면에는 삽입홈(152)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152)은 코어(150)의 자기력에 의해 플런저(1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로드(160)의 하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로드(16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전원 인가시 플런저(140)와 로드(16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보빈(130a), 코일(130b), 플런저(140) 및 코어(150)에 의한 로드의 이동과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케이스(120)의 터미널(12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30b)에 의해 보빈(130a) 주위로 자기장을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코어(150)가 자화된다. 자화된 코어(150)는 플런저(140)와 로드(160)를 당겨 하부로 이동시키고, 로드(160)의 상부에 결합된 스프레더 콘(170)이 함께 하강하여 록킹볼(180)을 돌출시킨다. 이렇게 돌출된 록킹볼(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하여 파킹 로크 장치(200)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플런저(14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리브(144)가 돌출된다. 이 리브(144)는 플런저(140)와 코어(150)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작동이 확실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리브(144)는 플런저(140)와 코어(150)가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전원 차단시 솔레노이드 밸브(100)에 잔류하는 전원(잔류전원)에 의해 플런저(140)와 코어(150)의 자기력이 스프링(190)의 탄성력보다 커서 흡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온/오프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전류가 약 20㎃, 자동차 전원 오프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잔류하는 전류(잔류전류)가 약 30㎃라 하면, 플런저와 코어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본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촉면적이 큰 구조)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플런저와 코어의 흡착력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커 자동차 전원을 오프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이 해지되지 않는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리브(144)를 통해 플런저(140)와 코어(150)가 접촉되는 구조(상대적으로 접촉면적이 작은 구조)의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플런저(140)와 코어(15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약 80㎃의 전류에서 작동 또는 작동 해지되므로, 잔류전류(약 30㎃)에 의해 플런저(140)와 코어(150)가 흡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잔류전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작동이 확실하다.
한편, 플런저와 코어가 흡착을 방지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크게 하거나 플런저와 코어 사이에 비자성체를 삽입하여 공극을 만드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전자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시 응답성 저하되고, 작동 해지시 솔레노이드 밸브 내부에 충격력이 증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성 및 내구성에 영향을 준다. 또한, 후자는 추가의 단품이 필요하고, 온/오프시 삽입된 비자성체에 충격을 주어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그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로드(16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스프레더 콘(170)은 솔레노이드 밸브(100) 작동시 록킹볼(180)을 돌출시켜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스프레더 콘(170)은 그 형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스프링(190)은 홀더(110)의 장착홈(114), 좀 더 상세하게는 홀더(110)와 스프레더 콘(170)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160)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수단이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00)에 전원이 차단되면 로드(160) 및 스프레더 콘(170)을 상승시켜 돌출된 록킹볼(180)이 록킹홀(11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 해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콘(170)은 3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에서부터 제1접촉부(170a), 경사부(170b) 및 제2접촉부(170c)의 순서로 형성되며, 제1접촉부(170a), 경사부(170b) 및 제2접촉부(170c)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1접촉부(170a)와 경사부(170b) 사이에 걸림턱(170d)이 형성된다.
각 구간의 형상을 살펴보면, 제1접촉부(170a)와 제2접촉부(170c)는 외주면이 평면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접촉부(170c)는 제1접촉부(170a)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접촉부(170a)와 제2접촉부(170c)를 연결하는 경사부(170b)는, 제2접촉부(170c)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평면이 아닌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스프레더 콘(170)은, 피스톤(도 5의 220)의 이동을 구속하는 과정(로드(160)의 하강과정)에서 록킹볼(180)이 경사부(170b) 및 제2접촉부(170c)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므로, 작동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킹 로크 장치(도 5의 2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피스톤(220)의 이동을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부(170a)와 경사부(170b) 사이에 걸림턱(170d)이 형성되어, 스프레더 콘(170)의 상승시 록킹볼(180)이 홀더(도 1의 110)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프레더 콘(170)의 제1접촉부(170a)는 로드(16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스프레더 콘(17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스프레더 콘(170)이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레더 콘(170)의 제1접촉부(170a)는 홀더(110)의 장착홈(114)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시 제1접촉부(170a)의 하부 일부가 홀더(110)의 장착홈(114)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스프레더 콘(170)은 전원이 인가되면 제1접촉부(170a)의 외주면이 장착홈(11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레더 콘(170)이 하부로 이동할 때 걸림턱(170d)의 하부면이 장착홈(114)의 상단에 접촉하여 스프레더 콘(170)이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콘(170)은, 제1접촉부(170a), 경사부(170b) 및 제2접촉부(170c)를 포함하는 3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제1접촉부(170a)와 제2접촉부(170c)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접촉부(170c)는 제1접촉부(170a)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경사부(170b)는 제2접촉부(170c)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접촉부(170c)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부(170b)와 제2접촉부(170c)의 연결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스프레더 콘(170)은, 록킹볼(180)의 이동시 작동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파킹 로크 장치(도 5의 2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피스톤(220)의 이동을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다. 특히, 경사부(170b)와 제2접촉부(170c)의 연결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스프레더 콘(170)의 왕복 운동으로 인한 마모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레더 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콘(170)은, 제1접촉부(170a), 경사부(170b) 및 제2접촉부(170c)의 3개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제1 및 제2접촉부(170a,170c)가 원통형상이고, 경사부(170b)는 외주면이 오목한 곡면의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경사부(170b)의 중단 직경이, 제1접촉부(170a)와 경사부(170b)의 연결부분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경사부(170b)와 제2접촉부(170c)의 연결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스프레더 콘(170)은, 록킹볼(180)의 이동시 작동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파킹 로크 장치(도 5의 2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피스톤(220)의 이동을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더 콘(170)의 왕복 운동 시 록킹볼(18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음과 진동 효율이 매우 우수하고,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어, 마모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파킹 로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구동부의 출력 샤프트(미도시)를 잠가 회전을 방지하는 파킹 로크 장치(200)는, 어큐뮬레이터(210)와, 어큐뮬레이터(2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20)과,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00)로 구성된다.
어큐뮬레이터(2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밀폐 및 개방된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210)의 내부에는 압력실(212)이 형성되고, 이 압력실(212)에 피스톤(220)이 설치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210)의 개방된 하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압력실(212)과 연통되는 출입공(214)이 형성된다.
상술한 출입공(214)은 압력실(212)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압력실(212)에 충전된 유체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이 출입공(214)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면 압력실(212)의 압력이 상승하며 피스톤(22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반면, 후술할 탄성수단(224)과 스프링(190)에 의해 피스톤(220)이 상부로 이동하면 압력실(212)에 충전된 유체를 출입공(2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어큐뮬레이터(210)의 압력실(212)에 설치되는 피스톤(220)은, 그 일부가 어큐뮬레이터(210)의 폐쇄된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어큐뮬레이터(210)의 외부로 돌출된 피스톤(220)의 상부에 스토퍼(222)가 결합되고, 어큐뮬레이터(210)의 상부 스토퍼(222) 사이에 탄성수단(224)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킹 로크 장치(200)는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변속레버가 주차(P) 이외에 다른 변속단(D,R,N)에 위치된 상태로, 솔레노이드 밸브(1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평상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수단(224)과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스프링(190)에 의해 로드(160)가 상부로 탄성 지지되므로 록킹볼(180)이 록킹홀(116)에 삽입된다. 따라서 피스톤(220)의 이동이 구속되지 않으므로 파킹 로크 장치(200)는 잠금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주차(P)로 전환하면 출입공(214)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고, 압력실(212)의 압력이 상승하며 피스톤(220)을 하부로 이동시키며, ECU(미도시)가 케이스(120)의 터미널(122)을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100)로 전원을 인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00)로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30b)에 의해 보빈(130a) 주위로 자기장을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코어(150)가 자화된다. 자화된 코어(150)는 플런저(140)와 로드(160)를 당겨 하부로 이동시키고, 로드(160)의 상부에 결합된 스프레더 콘(170)이 함께 하강하여 록킹볼(180)을 돌출시킨다. 따라서 돌출된 록킹볼(180)이 피스톤(220)의 이동을 구속하여 파킹 로크 장치(200)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솔레노이드 밸브 110: 홀더
120: 케이스 130a: 보빈
130b: 코일 140: 플런저
150: 코어 160: 로드
170: 스프레더 콘 180: 록킹볼
190: 스프링

Claims (6)

  1. 삭제
  2. 상부 둘레에 록킹홀이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고, 터미널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보빈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리브가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
    상기 플런저를 관통하고, 상기 홀더와 케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
    원통형상의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깔때기형상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부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상의 제2접촉부로 이루어진 다단의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드의 상부 중 상기 록킹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스프레더 콘;
    상기 록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레더 콘에 의해 상기 록킹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록킹볼; 및
    상기 스프레더 콘과 상기 로드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상기 로드 및 상기 스프레더 콘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프레더 콘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볼이 삽입 또는 돌출되어, 자동변속기의 파킹 로크 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콘의 경사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 콘의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연결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연결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00008460A 2010-01-29 2010-01-29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KR10098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460A KR100989042B1 (ko) 2010-01-29 2010-01-29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460A KR100989042B1 (ko) 2010-01-29 2010-01-29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042B1 true KR100989042B1 (ko) 2010-10-20

Family

ID=4313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460A KR100989042B1 (ko) 2010-01-29 2010-01-29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04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498B1 (ko) * 2011-04-22 2012-01-20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KR101457366B1 (ko) * 2013-04-22 2014-11-03 주식회사 유니크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CN105351079A (zh) * 2014-08-21 2016-02-24 大陆汽车电子(芜湖)有限公司 用于电子阀的阀芯和包括该阀芯的电子阀
CN107527706A (zh) * 2017-08-10 2017-12-29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大行程、大吸力、自锁力可调、双向比例电磁铁
CN110107686A (zh) * 2019-05-30 2019-08-09 杰锋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箱驻车锁止机构
US10584802B2 (en) 2014-08-21 2020-03-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alve core for an electronic valve
DE102018132182A1 (de) * 2018-12-13 2020-06-18 Kendrion (Villingen) Gmbh Sperraktor, sowie Parksperre mit einem solchen Sperraktor
DE102019205596B3 (de) * 2019-04-17 2020-10-01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neinrichtung eines Automatgetriebe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DE102020132884A1 (de) 2020-12-09 2022-06-09 Fte Automotive Gmbh Elektrohydraulischer Parksperrenaktuator
KR20230171595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의 파킹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및 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파킹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982Y1 (ko) * 1996-07-04 1999-03-20 정윤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KR100822494B1 (ko) * 2000-08-02 2008-04-16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차량의 자동 변속기용 주차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982Y1 (ko) * 1996-07-04 1999-03-20 정윤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KR100822494B1 (ko) * 2000-08-02 2008-04-16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차량의 자동 변속기용 주차 브레이크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498B1 (ko) * 2011-04-22 2012-01-20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KR101457366B1 (ko) * 2013-04-22 2014-11-03 주식회사 유니크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US10584802B2 (en) 2014-08-21 2020-03-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alve core for an electronic valve
CN105351079A (zh) * 2014-08-21 2016-02-24 大陆汽车电子(芜湖)有限公司 用于电子阀的阀芯和包括该阀芯的电子阀
CN107527706A (zh) * 2017-08-10 2017-12-29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大行程、大吸力、自锁力可调、双向比例电磁铁
CN107527706B (zh) * 2017-08-10 2019-07-05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大行程、大吸力、自锁力可调、双向比例电磁铁
DE102018132182A1 (de) * 2018-12-13 2020-06-18 Kendrion (Villingen) Gmbh Sperraktor, sowie Parksperre mit einem solchen Sperraktor
DE102019205596B3 (de) * 2019-04-17 2020-10-01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neinrichtung eines Automatgetriebe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US11746902B2 (en) 2019-04-17 2023-09-05 Zf Friedrichshafen Ag Device for actuating a parking lock mean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CN110107686A (zh) * 2019-05-30 2019-08-09 杰锋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箱驻车锁止机构
CN110107686B (zh) * 2019-05-30 2020-09-22 杰锋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箱驻车锁止机构
CN110107686B9 (zh) * 2019-05-30 2020-11-24 杰锋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箱驻车锁止机构
DE102020132884A1 (de) 2020-12-09 2022-06-09 Fte Automotive Gmbh Elektrohydraulischer Parksperrenaktuator
KR20230171595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의 파킹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및 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파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042B1 (ko)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US7410038B2 (en) Locking unit
CN101469768B (zh) 停车禁止螺线管组件
CN102124256B (zh) 具有位置致动变换的换挡杆
US4966262A (en) Transmission safety locking lever apparatus
KR10173002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249226B1 (ko) P/i-특성 곡선 내에 압력 점프를 갖는 비례-압력 조절 밸브와 상기 밸브의 사용 방법
KR20030022330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주차 브레이크
CN101223386A (zh) 带有换档锁定机构的操纵装置
KR100994104B1 (ko)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CN109983259B (zh) 将驻车锁止器解锁的解锁设备和用于运行解锁设备的方法
US10082220B2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 valve
KR10110649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KR10116047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09275797A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160334015A1 (en) Range switching device
KR10105695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US6725738B2 (en) Gear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0105695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US10738885B2 (en) Actuator apparatus
KR20120033174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쉬프트락 장치 구조
KR10119216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57366B1 (ko)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CN105517864B (zh) 用于车辆制动系统的电动机械制动力放大器及其装配方法
KR20200068400A (ko) 전원 off 및 p 단 시의 유압식 sbw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