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82Y1 -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82Y1
KR0138982Y1 KR2019960019948U KR19960019948U KR0138982Y1 KR 0138982 Y1 KR0138982 Y1 KR 0138982Y1 KR 2019960019948 U KR2019960019948 U KR 2019960019948U KR 19960019948 U KR19960019948 U KR 19960019948U KR 0138982 Y1 KR0138982 Y1 KR 0138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er
diaphragm
steam discharge
solenoid valv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536U (ko
Inventor
황영석
Original Assignee
정윤
주식회사파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 주식회사파카진영 filed Critical 정윤
Priority to KR2019960019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82Y1/ko
Publication of KR980006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컴 제어방식에 따른 취사용 압력솥의 구조의 단순화 및 동작의 원활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다이어프램식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취사용 압력솥의 뚜껑과 외함 사이에 설치되는 증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장치(10)는 뚜껑(1)에 형성된 설치구멍(1a)과; 이 설치구멍(1a)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가 너트(3)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100) 상부에 체결수단(4)에 의해 체결되며 타단에 외함(2)과 관통되는 증기배출파이프(200)가 설치되는 프레임(300)과; 이 프레임(300)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40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0)의 하단에는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압력용기 내부와 통하는 오리피스(110)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110)를 통과하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되는 시트부(410)와; 상기 오리피스(110)를 통하여 나온 증기 및 액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420)이 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다이어프램실(111)과 프레임(300) 하부에 형성된 상부다이어프램실(310)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가 닫힌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가 열린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솥 뚜껑 2 : 외함
3 : 너트 10 : 증기배출장치
100 : 지지부 110 : 오리피스
111 : 하부다이어프램실 200 : 증기배출파이프
300 : 프레임 310 : 상부다이어프램실
400 : 솔레노이드밸브 410 : 시트부
420 : 다이어프램 430 : 하우징
440 : 코일부 450 : 코아
451 : o-링 460 : 탄성체
470 : 플런저
본 고안은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컴 제어방식에 따른 취사용 압력솥의 구조의 단순화 및 동작의 원활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다이어프램식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빠른 시간 내에 조리할 수 있으며, 맛있게 증숙할 수 있도록 한 여러 가지의 압력솥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압력솥은 내부의 증기 압력을 자동 배출시키기 위하여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체가 전자석 작동부인 플런저, 스프링 및 코어 등을 거쳐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자석 작동부의 부식 문제가 있으며, 또한, 취사시 밥물 등의 점성이 있는 액체가 전자석 작동부에 달라붙거나, 고착됨에 따라서 전자석 작동부의 작동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실제로 고장 발생률이 높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여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와 전자석 작동부를 분리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였으며, 내부 구조도 단순화하여 값싸고 고장 발생률이 적은 다이어프램식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함으로서 압력솥을 운전하는 마이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무인화 자동 제어가 가능한 신뢰성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사용 압력솥의 뚜껑과 외함 사이에 설치되는 증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장치는 뚜껑에 형성된 설치구멍과; 이 설치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타단에 외함과 관통되는 증기배출파이프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하단에는 지지부에 형성되며 압력용기 내부와 통하는 오리피스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되는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나온 증기 및 액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이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다이어프램실과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상부다이어프램실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부가 돌출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 하부다이어프램실을 거쳐 나온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가 상기 증기배출파이프의 하단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이 나사맞춤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다이어프램을 기준하여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부와, 이 코일부를 가리기 위한 하우징커버와, 상기 코일부 사이에 설치되는 코어와, 상기 시트부와 다이어프램을 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플런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압력솥에서 자동으로 증기를 배출해 주는 장치로서 고장 발생률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전 밸브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매우 신뢰성이 높은 마이컴(MICOM)제어가 가능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제2도는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면서 압력솥 내의 증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에어용 압력솥은 대체로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압력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 압력용기의 상부에 뚜껑(1)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뚜껑(1)은 외함(2)이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뚜껑(1) 상부와 외함(2) 사이에 증기 배출장치(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증기 배출 장치(10)는 뚜껑(1)에 형성된 설치구멍(1a)과; 이 설치구멍(1a)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가 너트(3)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100) 상부에 체결수단(4)에 의해 체결되며 타단에 외함(2)과 관통되는 증기배출파이프(200)가 설치되는 프레임(300)과; 이 프레임(300)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40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0)의 하단에는 지지부(100)에 형성되며 압력용기 내부와 통하는 오리피스(110)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110)를 통과하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되는 시트부(410)와; 상기 오리피스(110)를 통하여 나온 증기 및 액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420)이 지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다이어프램실(111)과 프레임(300) 하부에 형성된 상부다이어프램실(310)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는 상부가 돌출 형성된 오리피스(110)를 통과한 후 하부다이어프램실(111)을 거쳐 나온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112)가 상기 증기배출파이프(200)의 하단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300)이 나사맞춤되기 위한 플랜지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솔래노이드밸브(400)는 다이어프램(420)을 기준 하여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430)과, 이 하우징(430)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부(440)와, 이 코일부(440)를 가리기 위한 하우징커버(431)와, 상기 코일부(440) 사이에 설치되는 코어(450)와, 상기 시트부(410)와 다이어프램(420)을 탄성체(4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플런저(47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450)의 하부에는 소음 방지를 위하여 충격흡수용 탄성체인 o-링(45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440)에 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열경화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P)가 코일부(440)의 외주연을 몰딩함으로서, 습기로 인하여 코일부(440)가 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주면 코일부(440)의 자력에 의하여 가동부인 플런저(470)가 코어(450)에 붙게 되며, 전기적인 신호를 끊게 되면 탄성체(460)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런저(470)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70)의 끝단에 탄성력 있게 설치된 다이어프램(420)도 상기 플런저(470)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420)의 작동에 의해 그의 일부인 시트부(410)도 움직이게 되며, 이 시트부(410)가 지지부(100)의 오리피스(110)를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어프램(420)을 기준 하여 프레임(300)의 하부에 상부다이어프램실(310)을 지지부(100) 상부에 하부다이어프램실(111)을 각각 형성하여 솔레노이드밸브(400) 개폐시 압력솥 용기 내의 유체가 상부다이어프램실(3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였고 유체는 오리피스(110)를 통하여 하부다이어프램실(111)을 거쳐 증기배출파이프(200)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지지부와 프레임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함으로서, 이 다이어프레임에 의하여 점성이 있는 유체가 전자석 가동부인 플런저 및 코어 등에 유입되어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속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석부와 탄성체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작동시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어에 탄성체인 충격흡수용 o-링을 설치함으로서, 소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코일부를 열경화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로 몰딩한 코일몰드구조로 함으로서, 외부로 부터의 습기가 코일부로 침투하여 코일부를 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넷째, 압력솥의 용기내의 압력이 어느 이상이 되게 되면 오리피스와 시트부의 맞닿는 면적에 해당하는 힘이 시트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이 힘이 탄성체의 힘을 초과하게 되면, 전기적인 신호 없이도 시트부와 다이어프램을 밀어 올려 증기압이 밖으로 배출되어 안전 밸브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취사용 압력솥의 뚜껑과 외함 사이에 설치되는 증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장치는 뚜껑에 형성된 설치구멍과; 이 설치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타단엔 외함과 관통되는 증기배출파이프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하단에는 지지부에 형성되며 압력용기 내부와 통하는 오리피스의 배출구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작동되는 시트부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나온 증기 및 액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이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다이어프램실과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상부다이어프램실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가 돌출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 하부다이어프램실을 거쳐 나온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상기 증기배출파이프의 하단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이 나사맞춤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다이어프램을 기준하여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부와, 이 코일부를 가리기 위한 하우징커버와, 상기 코일부 사이에 설치되는 코어와, 상기 시트부와 다이어프램을 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플런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에 시트부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음방지를 위하여 코어 하부에 충격흡수용 탄성체인 o-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에 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열경화성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가 코일부의 외주연을 몰딩하여 습기로 인하여 코일부가 소손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19960019948U 1996-07-04 1996-07-04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KR0138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48U KR0138982Y1 (ko) 1996-07-04 1996-07-04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48U KR0138982Y1 (ko) 1996-07-04 1996-07-04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36U KR980006536U (ko) 1998-04-30
KR0138982Y1 true KR0138982Y1 (ko) 1999-03-20

Family

ID=1946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948U KR0138982Y1 (ko) 1996-07-04 1996-07-04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42B1 (ko) * 2010-01-29 2010-10-20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94Y1 (ko) * 2008-02-18 2010-08-18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압력용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1041485B1 (ko) * 2009-08-27 2011-06-16 한국기계연구원 전기 압력밥솥의 벨로우즈형 증기 배출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42B1 (ko) * 2010-01-29 2010-10-20 주식회사 유니크 자동변속기용 파킹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36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118A (en) Sensor-operated battery-powered flush valve
CA1217752A (en) High pressure gas valve
JP2010210118A (ja) 漏水防止用安全弁を備えた旅客機搭載用スチームオーブン
KR0138982Y1 (ko)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장치
CA2113638C (en) Float assembly for steam cooking device
KR200339343Y1 (ko) 전기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00019297U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KR200241241Y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23801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157616Y1 (ko) 취사용 압력솥의 상시 열림형 솔레노이드밸브
KR100309391B1 (ko) 전기압력밥솥겸용조리기의안전밸브를겸한솔레노이드밸브장치
KR200398816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27108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안전변
KR0136149Y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31729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940001931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H0616176Y2 (ja) 温水洗浄便器の電磁弁の構造
KR0176923B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19990011664U (ko) 취사용 압력솥의 영구자석식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53623Y1 (ko) 압력밥솥의탑커버열림보조장치
KR200149699Y1 (ko) 전기보온밥솥용 보습캡
KR012071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KR100674509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100304605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257762Y1 (ko)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