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711Y1 -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711Y1
KR0120711Y1 KR2019950030076U KR19950030076U KR0120711Y1 KR 0120711 Y1 KR0120711 Y1 KR 0120711Y1 KR 2019950030076 U KR2019950030076 U KR 2019950030076U KR 19950030076 U KR19950030076 U KR 19950030076U KR 0120711 Y1 KR0120711 Y1 KR 0120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outlet
discharge pipe
soleno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113U (ko
Inventor
박기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711Y1/ko
Publication of KR970016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증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키는 동시에 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배출구는 솔레노이드와 마그네트부가 유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솔레노이드와 마그네트부에 증기 속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부식이 발생하여 상기 마그네트부의 작동을 간섭하므로서 동작불량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 이물질과 녹을 청소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증기배출구를 완전히 해체시킨 다음, 청소를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증기배출구의 동작불량을 극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상기 증기배출구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에 증기배출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솥용기와 연통되게 밥솥뚜껑 상방으로 연질의 증기배출관(31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증기배출관(310)을 압착시켜 증기의 유통을 제어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관(310) 일측에 개폐작동부(33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320)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증기배출구를 발췌도시한 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구를 발췌도시한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솥뚜껑200: 내솥뚜껑
300: 증기배출구310: 증기배출관
320: 솔레노이드330: 마그네트부
331: 개폐작동부332: 스프링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증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키는 동시에 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그 내부에 히터수단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는 밥솥뚜껑이 설치되는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내부에 밀폐가능하게 안치되는 내솥용기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수단을 제어하는 전기적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밥솥뚜껑에는 상기 내솥용기와 연통되게 증기배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에는 내솥용기 속의 증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강제개방장치가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제1도와 같이 외솥뚜껑(100) 상부로 적정길이 돌출되게 유로(11)가 형성된 배출관(10)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10) 상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솔레노이드(12)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유로(11) 내에 솔레노이드(12)와 연동되게 마그네트부(20)를 설치하되, 상기 마그네트부(20)의 상단에는 스프링(21)을, 그 하단에는 내솥뚜껑(200)의 통기공(210)을 개폐시키는 개폐부(22)를 각각 형성설치하여된 것이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유로(11) 내부의 마그네트부(20)가 스프링(21)의 탄력성을 극복하고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마그네트부(20) 하단의 개폐부(22)가 함께 상승하여 유로(11)가 외부와 개방되므로서 전기압력밥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12)에 인가되고 있던 전원이 해제되면,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해 마그네트부(20)가 하강하여 그 하단에 형성된 개폐부(22)가 통기공(210)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증기배출구(1)는 솔레노이드(12)와 마그네트부(20)가 유로(11)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마그네트부(20)에 증기 속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부식이 발생하여 상기 마그네트부(20)의 작동을 간섭하므로서 동작불량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 이물질과 녹을 청소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증기배출구(1)를 완전히 해체시킨 다음, 청소를 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증기배출구의 동작불량을 극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상기 증기배출구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를 재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내솥용기와 연통되게 밥솥뚜껑 상방으로 연질의 증기배출관을 설치한 다음, 상기 증기배출관을 압착시켜 증기의 유통을 제어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관 일측에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배출구를 발췌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전기압력솥(미도시)의 내솥뚜껑(200)에서 외솥뚜껑(100) 상대방으로 증기배출구(300)를 관통되게 형성하되, 먼저 내솥뚜껑(200)에 소정직경의 증기배출관(310) 하단을 관통되게 고정설치하고, 상기 증기배출관(310)의 상단을 외솥뚜껑(100) 상방으로 관통설치하여 내솥용기(미도시) 내부에서 발생한 적정압 이상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관(310)을 실리콘과 같은 연질이면서도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증기배출관(310) 일측에 마그네트부(330)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32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마그네트부(330)의 일단부에 증기배출관(310)을 압착시켜 증기의 유통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작동부(331)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부(330)의 타단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부(330) 및 개폐작동부(331)를 전진시킬 수 있는 스프링(332)을 설치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솔레노이드(320)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마그네트부(330)가 동작하여 개폐작동부(331)가 증기배출관(310)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320)에 전원을 해제하였을 때스프링(332)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작동부(331)가 증기배출관(310)에압착되게 하여 소정압(예컨대 2기압) 이하에서의 증기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배출구(30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증기배출구(300)의 구성 및 형상은 앞서 설명한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용기가 히터수단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내솥용기 속의 기압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그네트부(330) 일측의 스프링(332) 힘에 의해 증기배출관(310)이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내솥용기 속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내솥용기 속의 증기가 소정압(약 2기압)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취반이 완료되면, 마이콤(미도시)이 솔레노이드(320)에 신호를 보내어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이때 마그네트부(330)가 스프링(332)의 힘을 극복하고 후퇴하여 이의 단부에 형성된 개폐작동부(331)를 증기배출관(310)으로 부터 후퇴시키므로서 내솥용기 속의 과압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증기배출구의 동작불량을 극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상기 증기배출구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보온밥솥에 증기배출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솥용기와 연통되게 밥솥뚜껑 상방으로 연질의 증기배출관(31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증기배출관(310) 일측에 증기배출관(310)을 압착시켜 주는 개폐작동부(331)를 구비한 솔레노이드(3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KR2019950030076U 1995-10-25 1995-10-25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KR0120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76U KR0120711Y1 (ko) 1995-10-25 1995-10-25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076U KR0120711Y1 (ko) 1995-10-25 1995-10-25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13U KR970016113U (ko) 1997-05-23
KR0120711Y1 true KR0120711Y1 (ko) 1998-07-01

Family

ID=1942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076U KR0120711Y1 (ko) 1995-10-25 1995-10-25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7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13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161B2 (en) Steam oven
US5029605A (en) Fluid vessel overflow system
KR100781674B1 (ko) 전기압력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KR012071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US6266485B1 (en) One-piece plastic tank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hot water dispenser
US6256456B1 (en) Hot water dispenser with heat dissipation plates for dry-start protection
KR100746445B1 (ko) 전기 압력 밥솥
KR200394881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CN110742517A (zh) 一种蒸箱
KR20000021110U (ko)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용 상시열림형 밸브장치
CN211269988U (zh) 一种蒸箱
KR0128659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KR200157750Y1 (ko) 전기압력밥솥용 증기배출구의 강제개방장치
KR100674509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KR20190050558A (ko) 범용 압력 조리 장치
KR100309391B1 (ko) 전기압력밥솥겸용조리기의안전밸브를겸한솔레노이드밸브장치
KR20015776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KR100191569B1 (ko) 취사기구
KR200249767Y1 (ko) 전기보온 압력솥의 증기 배출용 밸브
KR2001574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980006536U (ko) 취사용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장치
KR19990019461U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압제어장치
KR100230464B1 (ko) 전기 압력밥솥겸용 조리기의 2중 안전 솔레노이드장치
KR0120609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247304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솔레노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