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727B1 -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727B1
KR100988727B1 KR1020080093925A KR20080093925A KR100988727B1 KR 100988727 B1 KR100988727 B1 KR 100988727B1 KR 1020080093925 A KR1020080093925 A KR 1020080093925A KR 20080093925 A KR20080093925 A KR 20080093925A KR 100988727 B1 KR100988727 B1 KR 10098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oil
coil spring
pin
guid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475A (ko
Inventor
남주희
Original Assignee
남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주희 filed Critical 남주희
Publication of KR2008010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4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permanent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건조할 때 선박블록의 하부를 받쳐주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지그의 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되, 승강봉이 최대로 하강한 경우(이하, 하사점으로 하강한 경우라 칭함)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이 최대로 상승한 경우(이하,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라 칭함)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의 중량에 절반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의 피치가 고정핀의 굵기보다 넓게 함으로서,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승강봉을 손으로 잡아 올릴 때 압축코일스프링이 압축된 탄력으로 승강봉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고 있음에 따라 작은 힘으로 승강봉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승강봉이 상사점에 있는 상태에서 하강시킬 때 자유낙하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서서히 내려오게 되고 뒤이어 작은 힘으로 지그시 내려 눌러서 하강시킬 수 있게 하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도 압축코일스프링의 피치가 고정핀의 굵기보다 넓으므로 고정핀을 하부고정관과 승강봉의 핀구멍으로 관통할 때 고정핀이 압축코일스프링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부에 하부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뒤에 하부스프링 상측의 승강봉 내부에는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를 간격을 두고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한 신축가이드를 상하로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핀을 핀구멍으로 끼워서 승강봉의 높이를 조절 고정시킬 때,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 사이의 공간부로 고정핀이 간섭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박블록, 탄력 핀지그, 하부고정관, 승강봉, 고정핀, 압축코일스프링, 신축가이드, 상하부신축대

Description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Springy pin jig for supporting the block of a hull}
본 발명은 선박을 건조할 때 선박블록의 하부를 받쳐주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지그의 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되,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경우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의 중량에 절반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의 피치가 고정핀의 굵기보다 넓게 함으로서, 승강봉이 하사점에 있는 상태에서 승강봉을 손으로 잡아 올릴 때 압축코일스프링이 압축된 탄력으로 승강봉을 탄력적으로 받쳐주어서 작은 힘으로 승강봉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승강봉이 상사점에 있는 상태에서 하강시킬 때 자유낙하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서서히 내려오게 되고 뒤이어 작은 힘으로 지그시 내려 눌러서 하강시킬 수 있게 하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도 압축코일스프링의 피치가 고정핀의 굵기보다 넓어서 고정핀을 하부고정관과 승강봉의 핀구멍으로 관통할 때 고정핀이 압축코일스프링에 걸리지 않고 삽입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부에 하부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뒤에 하부스프링 상측의 승강봉 내부에는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를 간격을 두고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한 신축가이드를 상하로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핀을 핀구멍으로 끼워서 승강봉의 높이를 조절 고정시킬 때,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 사이의 공간부로 고정핀이 간섭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박블록 받침대용 핀지그는, 선박을 건조할 때 선박블록의 하부를 높이 조절하며 받쳐주는 것으로서, 하부고정관의 상부에 다수개의 핀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승강봉을 상하강되게 삽입 설치하며, 하부고정관의 상부에 승강봉의 핀구멍과 통하는 핀구멍을 형성하며, 승강봉을 하부고정관에서 안테나식으로 승하강시키면서 하부고정관의 핀구멍과 승강봉의 핀구멍을 맞추면서 그 각각의 핀구멍으로 고정핀을 끼워서 승강봉의 높이를 조정하며, 승강봉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지지헤드가 선박블록의 하부를 받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핀지그는 크기가 다양하지만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핀지그는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의 높이가 2m, 하부고정관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1.1m 높이에 승강봉의 무게가 30kg 내외가 되며, 이러한 핀지그 의 설치개수는 선박블록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십 개에서 200∼300여개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무거운 승강봉을 수십 회에서 수백 회에 걸쳐 손으로 잡아 올리는 데 는 대단히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승강봉을 작은 힘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 개발이 있었고, 그에 따라 태엽방식, 기어방식, 실린더방식, 와이어 권취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었는데, 위의 여러 가지 방식은 핀지그가 안테나형으로 형성되어 공간이 한정된 상황에서 위의 다양한 방식의 승강봉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데 여려가지 제약이 따랐다.
위와 같은 제약을 불구하고 승강봉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데는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핀지그의 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되,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경우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이 최대로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의 중량에 절반 내외가 되도록 설정함으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키면서 이러한 승강봉을 승하강시키는 장치를 적은 제작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부에 하부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뒤에 하부스프링 상측의 승강봉 내부에는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를 간격을 두고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한 신축가이드를 상하로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핀을 핀구멍으로 끼워서 승강봉의 높이를 조절 고정시킬 때,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 사이의 공간부로 고정핀이 간섭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블록받침대용 핀지그의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하되, 하부고정관과 승강봉의 내부 전체에 걸쳐 압축코일스프링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은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의 탄력을 승강봉 무게의 80∼120%로 설정하고,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력이 승강봉의 중량에 40∼60%가 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의 피치가 고정핀의 굵기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핀구멍을 관통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봉이 하부고정관에 승하강되게 삽입되고, 승강봉에 형성된 각각의 핀구멍으로 고정핀이 삽입되어 승강봉의 높이를 조절 고정하는 공지된 선박블록 받침대용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부에는 자유높이가 고정핀이 끼워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하부스프링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스프링 상측의 승강봉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신축가이드를 설치하되, 이 신축가이드는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한 쌍의 하부가이드가 고정핀이 통과할 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향 설치되는 하부신축대와, 양측 하부가이드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는 상부가이드가 상부지지대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상부신축대와, 양측 상하부가이드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부지지대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하는 가이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는, 핀지그의 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되,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경우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이 최대로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의 중량에 절반 내외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키면서 승강봉을 승하강시키는 장치를 적은 제작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인 잇점이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봉이 하사점으로 내려왔을 때, 압축코일스프링이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함에 따라 승강봉을 상승시킬 때 승강봉이 탄력적으로 튀어 올라가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의 턱을 타격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하지 않아 작업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부에 하부스프링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뒤에 하부스프링 상측의 승강봉 내부에는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를 간격을 두고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한 신축가이드를 상하로 신축되게 탄력적으로 설치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승강봉을 승하강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핀을 핀구멍으로 끼워서 승강봉의 높 이를 조절 고정시킬 때, 한 쌍의 상하부가이드 사이의 공간부로 고정핀이 간섭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지된 핀지그(1)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을 압축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한 것이다.
상기 공지된 핀지그(1)는 외주연에 지지날개(11)를 방사상으로 용접으로 고정설치하고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핀구멍(12)을 형성한 하부고정관(10)과, 하부고정관(10)에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지지헤드(21)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구멍(22)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봉(20)과, 하부고정관(10)과 승강봉(20)에 형성된 각각의 핀구멍(12,22)으로 삽입되어 승강봉(20)의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핀(2)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핀지그(1)의 내부에 1개의 압축코일스프링(30)을 압축하여 삽입 설치한 것이다.
상기 핀지그(1)의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킨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되, 하부고정관(10)과 승강봉(20)의 내부 전체에 걸쳐 압축코일스프링(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0)은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20)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 (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50%)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피치가 고정핀(2)의 굵기보다 넓게 한다. 이는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도 압축코일스프링(30)의 피치가 고정핀(2)의 굵기보다 넓으므로 고정핀(2)을 하부고정관(10)과 승강봉(20)의 핀구멍(22)으로 관통할 때 고정핀(2)이 압축코일스프링(3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이 위에서는 승강봉(20)의 무게와 동일하다고 하였으나,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80∼12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50%) 내외가 되도록 한다고 하였으나, 상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40∼6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의 무게보다 월등히 작게 설정하면 승강봉(20)이 상측에서 자유 낙하할 때 자유 낙하하던 승강봉(20)의 무게가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넘어서 승강봉(20)의 하측이 하부고정관(10)의 내측 바닥에 부딛치며 충돌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80% 내외로 설정하면, 승강봉(20)의 하측이 하부고정관(10)의 내측 바닥에 부딪치는 충돌 에 대한 충격력과 충돌소음이 작업에 문제가 없을 정도가 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0) 탄력의 최소치를 80%라고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보다 월등하게 크게 설정하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던 승강봉(20)이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으로 상승으로 상승할 때 승강봉(20)이 급격하게 튀어 오르면서 작업자의 턱을 가격하게 되는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을 최대로 압축하였을 때의 탄력을 120% 내외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하사점으로 하강하였던 승강봉(20)이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으로 상승할 때 승강봉(20)이 상승하는 속도와 상승탄력이 작업자를 손상시키지 않은 정도로 천천히 상승하다 승강봉(20)의 무게와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이 동일하지는 지점에서 승강봉(20)의 상승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40∼60%로 설정하는 경우도 위의 하사점에서의 탄력의 강약에 따라 승강봉(20)의 승하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유사한 원리로서, 상사점에서 승강봉(20)가 하강하는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40%로 하면 승강봉(20)의 무게가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보다 60% 더 무거우므로 상사점에서 승강봉(20)이 하강하는 속도가 그 만큼 빠르고, 반대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60%로 하면 승강봉(20)의 무게가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보다 40% 더 무거우므로 상사점에서 승강봉(20)이 하강하는 속도가 그 만큼 늦어지게 될 것이다.
상기 상사점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40∼60%로 반드시 정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30∼70%로 설정하여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공지된 핀지그(1)의 내측에 1차압축코일스프링(31)과 2차압축코일스프링(32)을 삽입 설치하되,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사이에 스프링지지구(33)를 개재시킨 것이다.
상기 핀지그(1)의 내측에 설치되는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도 압축시킨 상태로 핀지그(1)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도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탄력의 합(合)이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20)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승강봉(20)과 하부고정관(10)의 내측에서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탄력의 합(合)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50%)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탄력의 합이 승강봉(20) 무게의 80∼120%로 설정할 수 있고,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탄력의 합을 승강봉(20) 무게의 40∼60%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이 핀지그(1)의 내측에서 최대로 팽창된 길이는 승강봉(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면서 1차압축코일스프 링(31)이 최대로 압축하였을 때의 피치가 고정핀(2)의 굵기보다 넓게 형성해야 하는데, 그 이유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핀(2)이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사이로 걸림이 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코일경을 2차압축코일스프링(32)의 코일경보다 가늘게 형성하여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핀(2)을 서로 일치시킨 핀구멍(12,22)으로 삽입시켰을 때, 고정핀(2)의 선단부가 1차압축코일스프링(31)에 걸리면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이 쉽게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고정핀(2)이 반대편 핀구멍(12,22)으로 관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핀지그(1)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길이와 코일경이 다르고 피치도 다른 2개의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을 삽입시킨 것은 1차압축코일 스프링(31)이 최대로 압축한 상태에서도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피치가 고정핀(2)의 굵기보다 넓어서 그 피치 사이로 고정핀(2)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을 2개로 나누어 설치하는데 는 또 다른 이유는 도 1과 같이 핀지그(1)의 내부에 1개의 압축코일스프링(30)을 압축하여 삽입시킬 때, 승강봉이 상상점으로 상승했을 때의 핀지그의 전체 높이가 2m 일 경우에 그 압축코일스프링(30)의 자유상태의 길이가 2.5∼3m로 매우 길어서 그 길이가 긴 압축코일스프링(30)을 취급하는데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위의 일,이실시예에 적용하는 고정핀(2)의 선단부에는 선단부가 라운딩 형성된 원추형의 콘부(3)가 형성되어 고정핀(2)의 선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31,32) 의 코일경이 걸렸을 때, 고정핀(2)을 밀어 넣는 힘에 의해 코일경이 도 5의 "a" 위치에서 "b"위치로 탄력적으로 밀려나면서 서로 일치한 각각의 핀구멍(12,22)으로 고정핀(2)이 관통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삼, 사실시예의 경우도 일, 이실시예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승강봉(20)이 급격하게 낙하하지 않고 승강봉(20)을 상측으로 올릴 때 적은 힘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동일하다.
도 6의 (다)는 도 6의 (가)에 표시된 C-C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의 (나)는 도 8의 (가)에 표시된 E-E선 확대 단면도이다.
그런데, 일, 이실시예의 경우에 승강봉(20)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핀구멍(22)으로 고정핀(2)을 끼울 때, 승강봉(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30)에 고정핀(2)의 선단부가 걸려서 고정핀을 끼우기 어렵고 불편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삼, 사실시예에서는 그 고정핀이 압축코일스프링(30)과 같은 스프링(35, 45)에 걸리는 간섭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삼실시예는 도 6의 (가) 내지 (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지그(1)의 하부고정관(10) 내부에는 자유높이가 고정핀(2)이 끼워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하부스프링(35)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자유높이란 스프링이 압축하거나 팽창하지 아니한 자유상태를 칭하는 것으로서, 삼실시예에서 하부스프링(35)의 자유높이를 고정핀(2)이 끼워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하는 것은, 도 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에 신축가이드(40)의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공간부 (50)로 고정핀(2)이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스프링(35) 상측의 승강봉(2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신축가이드(40)가 설치되는데, 도 6에 도시된 신축가이드(40)는 상하부가이드(43,44)를 안테나가 삽입된 형태로 신축되게 구성되며 그 상하부가이드(43,44)의 외측에 가이드스프링(45)이 삽입된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신축가이드(40)는 상하부가이드(43,44)를 안테나가 삽입된 형태로 신축되게 구성되며 그 상하부가이드(43,44)의 내측에 가이드스프링(45)이 삽입된 것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신축가이드(40)는 하부지지대(42)의 상부에 한쌍의 하부가이드(44)가 고정핀(2)이 통과할 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향 설치되는 하부신축대(49)와, 양측 하부가이드(44)와 안테나식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는 상부가이드(43)가 상부지지대(41)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상부신축대(48)와, 양측 상하부가이드(43,44)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부지지대(41,42)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하는 가이드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신축가이드(40)에 설치되는 가이드스프링(45)은 상단부는 상부지지대(41)의 저면에 지지되고, 가이드스프링(45)의 하단부는 하부지지대(42)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의 경우도 일, 이, 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신축가이드(40)의 구조만 소폭의 차이가 있으므로, 일, 이, 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적용되는 신축가이드(40)의 경우는 상기 상부가이 드(43)의 하단부 외측에 가이드돌기(46)가 돌출되고, 하부가이드(44)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돌기(46)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되며, 가이드돌기(46)와 하부지지대(42)의 사이에는 가이드스프링(45)이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봉(20)의 내벽에는 가이드돌기(23)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대(42)의 외측에는 가이드돌기(23)에 수직방향으로 안내되어 신축가이드(40)가 돌아가지 않음에 따라 양측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공간부(50)로 고정핀(2)이 용이하게 관통되게 하는 가이드홈(24)이 형성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경우는 삼, 사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상부지지대(41)의 상부와 지지헤드(21)의 하부사이에는 상부에 스프링캡(37)을 씌운 상부스프링(36)을 삽입 설치하여 신축가이드(40)의 상하 길이를 상부스프링(36)의 높이만큼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삼, 사실시예의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이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가이드스프링(45)과 하부스프링(35)은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20)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2개의 가이드스프링(45)과 하부스프링(35)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50%)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코일경이라 함은 압축코일스프링(30,31,32)을 제작하는 스프링강선의 직경(외경)을 의미하는 것이고,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4" 는 압축코일스프링 (30,31)의 상부를 커버하는 스프링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3, 5를 참고하여 일실시예의 실시예부터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의 (가)는 승강봉(20)이 최대로 상승하여 상사점에 올라간 상태이며, 이 때는 압축코일스프링(30)이 핀지그(1)의 내부에서 최대로 팽창된 상태로서, 이 때의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 내외가 되도록 설정된 상태이고, 도 1의 (나)는 승강봉(20)이 최대로 하강하여 하사점에 내려온 상태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30)이 최대로 압축한 상태인데, 이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압축된 탄력은 승강봉(20)의 무게만큼 설정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의 (나)와 같이 승강봉(20)이 하사점에 내려진 상태에서 승강봉(20)을 상측으로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승강봉(20)의 무게를 30kg이라고 할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탄력도 30kg이므로, 30kg의 승강봉을 30kg의 탄력으로 떠 받쳐주고 있음에 따라 하사점에서 승강봉(20)을 들어올리려고 할 때의 무게는 0kg(zero)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승강봉(20)을 손으로 잡아 상측으로 올리면 승강봉(20)을 아주 가볍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며, 승강봉(20)이 상승할수록 압축코일스프링(30)은 팽창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은 약해지게 되고 그 탄력이 약해진 만큼 승강봉(20)을 들어올리는 힘이 더 들게 된다.
위와 같이 승강봉(20)이 상승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30)이 팽창함에 따라 압 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은 약해지고 그 와 반비례하여 압축코일스프링(30)에 얹혀지는 승강봉(20)의 무게는 점점 무거워진다.
그런데, 승강봉(20)이 상사점까지 올라갔을 때의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절반정도가 되게 설정하였음에 따라 승강봉(20)의 무게를 30kg로 하였을 때, 승강봉(20)이 상사점에 올라가 있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이 떠받치는 탄력은 15kg이 되어 승강봉(20)이 상사점에 올라가 있을 때 승강봉(20)이 내리누르는 하중이 15kg이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하사점으로 내려진 승강봉(20)을 상승시킬 때 초기에는 힘들이지 않고 상승시킬 수 있으나, 상측으로 올릴수록 승강봉(20)의 무게가 하측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사점으로 올라갔을 때는 승강봉(20) 무게의 절반이 되는 15kg의 하중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봉(20)을 하사점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급격하게 튀어 올라가지 않아 작업자가 승강봉(20)의 선단부에 가격을 당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올라갈 때까지 최대로 걸리는 하중은 승강봉(20) 무게의 절반의 무게로 들어 올릴 수 있어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승강봉(20)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승강봉(20)을 상승시키다가 선박블록을 받칠 만큼의 높이로 상승시켜서 그 위치에서 승강봉(20)의 높이를 고정시킬 때는 고정핀(2)을 하부고정관(10)의 핀구멍(12)과 승강봉(20)의 핀구멍(22)을 일치시키면서 서로 일치된 핀구멍(12,22)으로 고정핀(2)을 삽입시키면, 승강봉(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 다.
이렇게 서로 일치된 핀구멍(12,22)으로 고정핀(2)을 삽입시킬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봉(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압축코일스프링(30)에 고정핀(2)의 선단부가 걸려서 승강봉(20)의 삽입을 방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압축코일스프링(30)의 외경이 승강봉(20)의 내경보다 작고 압축코일스프링(30)의 피치(P)가 고정핀(2)의 두께 보다 넓으며, 고정핀(2)의 선단부가 원추형으로 콘부(3)를 형성하여 고정핀(2)을 삽입시키는 힘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30)의 코일경이 도 5의 "a" 위치에서 "b"위치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그 벌어지는 사이로 고정핀(2)의 선단부가 삽입되면서 서로 일치한 각각의 핀구멍(12,22)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2)의 선단부에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콘부(3)의 선단부는 코일경의 직경내외 만큼으로 라운딩되게 형성하여 콘부(3)의 선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의 코일경이 걸릴 때, 콘부(3) 선단의 라운딩부분이 코일경을 빗겨나면서 원활하게 코일경사이의 간격(피치)로 들어가게 되고, 뒤이어 서로 일치한 각각의 핀구멍(12,22)을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였던 승강봉(20)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고정핀(2)이 각각의 핀구멍(12,22)으로 삽입된 경우라면 그 핀구멍(12,22)에서 고정핀(2)을 빼면, 승강봉(20)이 상승했을 때는 승강봉(20)이 내리누르는 하중이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보다 크므로 승강봉(20)이 자유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승강봉(20)이 상사점에서 낙하를 시작할 때 위와 같이 승강봉(20) 무게의 절반만큼의 무게로 낙하를 시작하나, 승강봉(20)이 하측으로 내려오는 만큼 압축코일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이 강해져서 승강봉(20)이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낙하속도가 저하되고 하사점에 근접해지면 그 하강속도가 아주 느려져서 승강봉(20)의 하단부가 하부고정관(10)의 내측 바닥면에 강하게 부딪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2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실시예의 경우도 압축코일스프링(30)을 1개로 설치했을 때와 작용관계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실시예에서 압축코일스프링을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 2개로 설치함에 따라 일실시예에서 압축코일스프링(30)을 1개로 설치했을 때 그 길이가 2.5∼3m 만큼 매우 길어서 발생하던 취급 및 보관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압축률 및 탄성을 달리하여 고정핀(2)의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고정핀(2)의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함은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압축률을 작게 하고,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피치가 크게 줄어들지 않으면 고정핀(2)을 핀구멍(12,22)으로 끼울 때 승강봉(20)의 내측에 위치하는 1차 압축코일스프링(31)의 코일경에 고정핀(2)의 선단부가 걸릴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 하는 것이다.
또한,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의 코일경을 2차압축코일스프링(32)의 코일경보다 가늘게 형성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핀(2)을 서로 일치시킨 핀구멍(12,22)으로 삽입시켰을 때 고정핀(2)의 선단부가 1차압축코일스프링(31)에 걸렸을 때, 1차압축코일스프링(31)이 쉽게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고정핀(2)이 반대편 핀구멍(12,22)으로 쉽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사이에 스프링지지구(33)를 설치한 것은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이 엉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이 스프링지지구(33)의 외경크기는 승강봉(20)의 내경보다 작아야 도 2의 (나)와 같이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내려올 때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은 물론이고 스프링지지구(33)가 승강봉(2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이 압축과 팽창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삼, 사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삼, 사실시예의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이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가이드스프링(45)과 하부스프링(35)은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최대로 압축하게 되며 그 때의 탄력을 승강봉(20)의 중량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2개의 가이드스프링(45)과 하부스프링(35)이 최대로 팽창한 상태로서 그 때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절반(50%) 내외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동일하다.
따라서, 하사점으로 하강한 승강봉(20)을 힘들이지 않고 상승시키는 것과, 상사점에 올라가 있던 승강봉(20)이 하강할 때 적은 하중으로 서서히 하강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삼, 사실시예에서 목적으로 하는 고정핀(2)을 간섭없이 끼우는 작용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축가이드(40)는 2개씩의 상하부가이드 (43,44)가 안테나가 끼워진 것처럼 끼워져 있으며, 그 상하부가이드(43,44)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있음에 따라 승강봉(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그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핀구멍(22)으로 고정핀(2)을 삽입시킬 때 고정핀(2)의 선단부는 핀구멍(22)으로 아무런 걸림이 없이 1차적으로 삽입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핀구멍(22)으로 통하여 승강봉(20)의 내부로 들어온 고정핀(2)의 선단부는 승강봉(20)의 내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공간부(50)로 아무런 걸림이 없이 삽입되면서 타측 핀구멍(22)을 관통하여 승강봉(20)의 핀구멍(22)으로 고정핀(2)을 끼울 때, 일, 실시예에서 고정핀의 삽입을 방해하던 과는 다르게 고정핀의 삽입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축가이드(40)는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올라온 경우부터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상태까지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 간격인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공간부(50)는 항상 고정핀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있게 한다.
그 이유는 신축가이드(40)는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올라온 경우에 하측의 하부스프링(35)이 자유높이에 있을 때, 하부스프링(35)의 상부 높이가 고정핀이 끼워지는 핀구멍보다 낮으므로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간격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나)와 같이 신축가이드(40)는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한 경우에는 승강봉(20)이 하강하면서 하부스프링(35)과 가이드스프링(45)이 각각 압축되어 신축가이드(40)의 길이가 감축되었을 때, 고정핀이 끼워질 최상측의 핀구멍이 상부지지대(41) 보다 낮은 위치가 되어 고정핀이 끼워지는 간격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의 (나)와 도 8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봉(20)의 내벽에 가이드돌기(23)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대(42)에는 가이드돌기(23)에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서 신축가이드(40)가 탄력적으로 신축할 때 하부지지대(42)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고정핀(2)을 끼울 수 있는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공간부(50)는 항상 고정핀이 끼워지는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고정핀을 핀구멍으로 끼울때 고정핀의 삽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게 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경우와 가이드스프링(45)의 설치위치만 다르므로 도 7에 도시된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의 경우도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다른 점은 상하부가이드(43,44)의 구조가 소폭으로 상이하다.
즉, 상부가이드(43)의 하방에 외향 돌출된 가이드돌기(46)가 하부가이드(44)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47)에 승하강 안내되게 삽입되어 있으면서 가이드돌기(46)와 하부지지대(42)의 사이에 가이드스프링(45)이 설치되어서 상하부지지대(41,42)가 상하로 탄력적으로 신축하게 되며 양측 상하부가이드(43,44)의 사이에 고정핀(2)이 삽입될 간격인 공간부(50)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경우는 가이드스프링(45)의 길이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도 9에 도시된 경우는 신축가이드(40)의 상부에 스프링캡(37)을 씌운 상부스프링(36)을 추가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삼, 사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신축가이드(40)의 상부에 상부스프링(36)을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상부스프링(36)의 자유높이 만큼 신축가이드(4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위의 신축가이드(40)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하부가이드(43,44)는 상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구부러지지 않는 탄성을 지닌 스프링강 등의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하부가이드(43,44)이 구부러지게 되면 상하부가이드(43,44)이 상하로 신축하는 동작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와 하사점으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로서 승강봉이 상사점으로 상승한 경우와 하사점으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 2의 (나)에 표시된 "A" 및 "B"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나)에 표시된 "C"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핀구멍에 고정핀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단면도.
도 6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로서 핀지그의 내부에 일실시예의 신축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의 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7은 핀지그의 내부에 삽입되는 신축가이드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로서 핀지그의 내부에 삼실시예의 신축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의 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9는 도 6의 "D"부를 확대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지그 2 : 고정핀 3 : 콘부
10 : 하부고정관 11 : 지지날개 12 : 핀구멍
20 : 승강봉 21 : 지지헤드 22 : 핀구멍
23 : 가이드돌기 24 : 가이드홈 30 : 압축코일스프링
31 : 1차압축코일스프링 32 : 2차압축코일스프링 33 : 스프링지지구
34 : 스프링커버 35 : 하부스프링 36 : 상부스프링
37 : 스프링캡 40 : 신축가이드 41 : 상부지지대
42 : 하부지지대 43 : 상부가이드 44 : 하부가이드
45 : 가이드스프링 46 : 가이드돌기 47 : 가이드홈
48 : 상부신축대 49 : 하부신축대 50 : 공간부

Claims (8)

  1. 외주연에 지지날개(11)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하부고정관(10)과, 하부고정관(10)에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지지헤드(21)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구멍(22)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봉(20)과, 승강봉(20)에 형성된 각각의 핀구멍으로 삽입되어 승강봉(20)의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핀(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선박블록 받침대용 핀지그(1)의 내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을 삽입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핀지그(1)의 내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하되, 하부고정관(10)과 승강봉(20)의 내부 전체에 걸쳐 압축코일스프링(3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0)은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의 탄력을 승강봉(20) 무게의 80∼120%로 설정하고, 승강봉(20)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탄력이 승강봉(20)의 중량에 40∼60%가 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승강봉(20)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30)의 피치(P)가 고정핀(2)의 굵기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0)은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로 분리 형성되고, 1,2차압축코일스프링(31,32)의 사이에 스프링지지구(33)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의 선단부에는 선단부가 라운딩 형성된 원추형의 콘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4. 외주연에 지지날개(11)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하부고정관(10)과, 하부고정관(10)에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지지헤드(21)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구멍(22)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봉(20)과, 승강봉(20)에 형성된 각각의 핀구멍으로 삽입되어 승강봉(20)의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핀(2)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선박블록 받침대용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관(10)의 내부에는 자유높이가 고정핀(2)이 끼워진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하부스프링(35)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스프링(35) 상측의 승강봉(2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신축가이드(40)를 설치하되, 이 신축가이드(40)는 하부지지대(42)의 상부에 한 쌍의 하부가이드(44)가 고정핀(2)이 통과할 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향 설치되는 하부신축대(49)와, 양측 하부가이드(44)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는 상부가이드(43)가 상부지지대(41)의 하부에 하향 설치된 상부신축대(48)와, 양측 상 하부가이드(43,44)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하부지지대(41,42)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게 하는 가이드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41)의 상부와 지지헤드(21)의 하부사이에는 상부스프링(36)아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43,44)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삽입식으로 설치되며, 가이드스프링(45)은 서로 삽입식으로 설치된 상하부가이드(43,44)의 외측이나 또는 내측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43)의 하단부 외측에는 가이드돌기(46)가 돌출되고, 하부가이드(44)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돌기(46)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되며, 가이드돌기(46)와 하부지지대(42)의 사이에는 가이드스프링(45)이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20)의 내벽에는 가이드돌기(23) 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대(42)의 외측에는 가이드돌기(23)에 수직방향으로 안내되어 양측 상하부가이드(43,44) 사이의 간격으로 고정핀(2)이 용이하게 관통되게 하는 가이드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20080093925A 2008-08-11 2008-09-23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0988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98A KR20080093933A (ko) 2008-08-11 2008-08-11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20080079698 200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75A KR20080103475A (ko) 2008-11-27
KR100988727B1 true KR100988727B1 (ko) 2010-10-20

Family

ID=401543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98A KR20080093933A (ko) 2008-08-11 2008-08-11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20080093925A KR100988727B1 (ko) 2008-08-11 2008-09-23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98A KR20080093933A (ko) 2008-08-11 2008-08-11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939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290B1 (ko) * 2011-11-11 2017-1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양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그의 인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34Y1 (ko) * 2009-07-21 2012-03-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핀 지그 레벨 무 부하 조절장치
KR200454194Y1 (ko) * 2009-08-10 2011-06-21 (주)엘티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
KR101224837B1 (ko) * 2010-06-1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200492304Y1 (ko) * 2016-06-22 2020-09-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그 리프팅을 위한 보조기구
CN107444583A (zh) * 2017-09-22 2017-12-0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液压活动式胎具
KR102191737B1 (ko) * 2020-07-16 2020-12-16 주식회사 서일 선박 블록 지지용 핀 지그
CN112937799B (zh) * 2021-03-31 2021-11-23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反向造船胎架结构
KR102553938B1 (ko) * 2021-09-02 2023-07-11 고윤식 어선용 지지장치
KR20240043509A (ko) 2022-09-27 2024-04-03 (주)매트론 통신기능을 갖는 용접블록 지지용 핀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777A (ja) 1998-05-14 1999-11-24 Souki Kk 曲がり外板の受けピン定盤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777A (ja) 1998-05-14 1999-11-24 Souki Kk 曲がり外板の受けピン定盤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290B1 (ko) * 2011-11-11 2017-1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양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그의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75A (ko) 2008-11-27
KR20080093933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27B1 (ko)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1257553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US4151534A (en) Antenna telescoping tower
WO2013083854A1 (en) Assembly method for a telescopic tower and mean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2017166278A (ja) 場所打ち拡底杭の拡底部における配筋方法及びその配筋方法を用いた杭の作成方法
JP5583339B2 (ja) 重量物昇降装置
CN106945573B (zh) 一种防止卡滞的内置式补偿装置及方法
JP6016741B2 (ja)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枠用連結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2007278024A (ja) 電柱昇降用縄ばしご
KR102411094B1 (ko) 인양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26421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JP6974121B2 (ja) 可動支柱、ワイヤロープ式防護柵及び橋梁
KR20140008721A (ko) 변위계 설치용 지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장치
KR102191959B1 (ko)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JP6910110B2 (ja) 鉄塔組立用治具を用いた鉄塔の組立方法及び鉄塔組立用治具のせり上げ用マスト
KR101445372B1 (ko) 구조물 인상용 앵커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64842B (zh) 一种钻孔灌注桩用护壁装置及工作方法
KR101917357B1 (ko) 엘리베이터용 벨런싱 로프
KR20210099302A (ko) 인장 클램프 시험 장치
JP5297059B2 (ja) 重量物昇降装置
KR101984733B1 (ko) 엘리베이터용 벨런싱 로프
RU51170U1 (ru) Опора
KR102294360B1 (ko) 일정한 높낮이 조절 반발력을 갖는 중량물 지지용 핀지그
JP5837242B1 (ja) ロープ連結材
KR102670657B1 (ko)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