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473B1 -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473B1
KR100988473B1 KR1020080074543A KR20080074543A KR100988473B1 KR 100988473 B1 KR100988473 B1 KR 100988473B1 KR 1020080074543 A KR1020080074543 A KR 1020080074543A KR 20080074543 A KR20080074543 A KR 20080074543A KR 100988473 B1 KR100988473 B1 KR 10098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body
fiber cable
optical fiber
optical cabl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044A (ko
Inventor
정주완
이평구
박병철
이연수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텔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텔콤
Priority to KR102008007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4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8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 G02B6/369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by moulding, e.g. injection moulding, casting, embossing, stamping, stenciling, printing, or with metallic mould insert manufacturing using LIGA or MIGA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 통신망 구축시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는,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되, 조작부재의 다방향 삽입을 가능토록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장치바디; 및, 상기 장치바디들이 종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포위상태로 밀착 체결토록 판 탄성체로 제공되되, 조작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 가능한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통과개구와 장치바디들이 삽입되는 장치바디 삽입개구를 포함하여 장치바디들에 체결되면서 장치바디들을 밀착시키어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장치바디 체결수단의 삽입개구 양측에는 겹쳐져 삽입된 장치바디 중 상부에 위치되는 장치바디의 외연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리어 지지되는 걸림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탄성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바디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광섬유 케이블 심선구간과 광섬유 케이블 피복부 구간에 대응하여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조작부재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장치 부품 조립도 용이하게 하면서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의 안정적인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 통신, 광 섬유 케이블 접속, 접속장치, 광 심선, 그립장치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Optical Fiber Cabl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망 등을 위한 광 통신 구축시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다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조작부재를 삽입시킬 수 있고, 접속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장치 부품 조립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섬유 케이블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그 접속 구조는 견고하여, 광 통신의 안정적인 구축을 가능하게 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통신망 구축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이하,'광 케이블'이라 약함) 통신망의 구축이 확대됨에 따라,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광 케이블의 현장 접속작업)이 급증하고 있다.
예컨대, 현재 인터넷 통신시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뎀 라인은 통상 전화선 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통신 라인을 대부분 사용하나, 점차 인터넷 통신 속도 증가와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광 케이블(광 통신)을 직접 각 가정에 연결하는 광 통신 라인으로 대체되는 실정이고, 현재 그 대체 폭이 상당하다.
한편, 이와 같은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에는 광 케이블간 접속 작업(실제로는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이 필수적이다.
즉, 지중의 맨홀 또는 아파트 지하 등에 배치된 광 케이블 전용 단자 내에 설치된 트레이(tray)상에 고정되는 광 케이블 접속기구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의 접속 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광 케이블(도 2의 '1' 참조)에서 외피(도 2의 '10' 참조)가 제거된 피복부(도 2의 '20' 참조)로 감싸진 심선(도 2의 '30' 참조)을 접속하여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심선은 도면에서 별도로 구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리섬유로 되어 있으며 실제 광 통신이 이루어지는 코어(core)부분과 이를 감싸고 있는 클래드(Clad)부분으로 이루어 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세한 광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광 통신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광 케이블 접속기구의 사용이 필요하다.
예컨대, 광 케이블의 접속은 통상 옥외, 지중(맨홀), 지하 등의 단자내 트레이에 장착되는 접속기구를 통하여 광 케이블의 접속이 구축되기도 하지만, 광 케이블의 접속 위치에 따라 임의의 장소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접속기구가 필요한 것이다.
특히, 현재 각 가정에 전화 라인이나 동축케이블 라인 대신에 광 케이블을 바로 연결하는 광 통신망(인터넷 통신망) 구축이 확대되고 있고, 가정 내 컴퓨터(PC)의 이동에 따른 광 케이블의 접속 위치의 변경이 발생되면서 광 케이블의 접 속작업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광 케이블 접속을 위한 광 케이블의 접속기구는 조립이 불편하고, 특히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기구의 접속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외부 조작부재의 삽입 방향이 한정되어 있어, 광 케이블의 접속 작업이 불편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광 케이블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접속 상태도 견고하게 하면서, 특히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을 위한 조작부재 삽입 공간을 다변화하여 사용도 편리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조작부재를 진입시킬 수 있고, 접속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장치 부품 조립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속 구조는 견고하여 구축되는 광 통신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 광 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되, 조작부재의 다방향 삽입을 가능토록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장치바디; 및, 상기 장치바디들이 종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포위상태로 밀착 체결토록 판 탄성체로 제공되되, 조작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 가능한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통과개구와 장치바디들이 삽입되는 장치바디 삽입개구를 포함하여 장치바디들에 체결되면서 장치바디들을 밀착시키어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치바디 체결수단의 삽입개구 양측에는 겹쳐져 삽입된 장치바디 중 상부에 위치되는 장치바디의 외연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리어 지지되는 걸림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탄성돌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바디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광섬유 케이블 심선구간과 광섬유 케이블 피복부 구간에 대응하여 분할 구성된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에 의하면,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양방향에서 조작부재를 진입시킬 수 있고, 접속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속 구조는 견고하여 구축되는 광 통신 안정화를 가능하게 것이다.
더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장치 부품들의 조립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 통신(인터넷 통신망)의 구축시 사용되는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은 매우 미세한 심선(광섬유부분)를 접속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의 납땜 접속은 불가능하여 복잡하다.
따라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 광 심선 접속을 위하여는 이하에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광 케이블 접속장치는 통상 단자내 트레이 또는 임의의 장소에서 광 케이블들을 접속토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각 가정의 인터넷 통신을 광 통신으로 구축하는 경우, 외부에서의 광 케이블의 단락을 보수하는 위치나 가정 내에서 컴퓨터의 이동에 따른 광 케이블의 증설 접속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기존 맨홀 또는 아파트 등의 건물 지하 단자로 그 설치가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속상태도 견고하게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광 케이블은 10단위,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는 100 단위, 광 케이블 접속시 사용되는 조작부재는 200 단위, 마지막으로 다음의 도 9에서 설명하는 그립장치는 300 단위의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크게 서로 협력하여 광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110)(120)와 상기 장치바디들에 체결되면서 장치바디들을 밀착시키어 광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바디와 장치바디 체결수단은 광 케이블 접속을 위한 조작부재의 다방향 삽입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바디(110)(120)와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에는 조작부재의 다방향 삽입즉, 양방향 삽입을 가능토록 조작부재(200)가 선택적으로 삽입 통과하는 복수 즉, 양쪽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와 조작부재 통과개구(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의 대부분의 광 케이블 접속기구들이 'ㄷ' 자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반드시 한쪽으로만 조작부재(또는 웨지) 등을 삽입하여 접속기구 바디들을 벌려서 광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장치 양측의 어느 쪽이든 선택적으로 조작부재(200)를 장치바디(110)(120)사이의 삽입홈부(112)(122)에 삽입하여 광 케이블 심선(30)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제 현장 조립시 조작부재(200)를 장치 양쪽 어느 쪽으로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서로 협력하여 광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110)(120) 및, 상기 장치바디들이 겹쳐져 삽입 체결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광 케이블 접속을 가능토록 제공된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을 포함하여 장치바디 조립을 용이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은, 상기 장치바디(110)(120)들이 겹쳐져 종방향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바디 삽입개구(161)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은, 장치바디(110)(120)들이 겹쳐져 종방향으로 그대로 체결수단(160)에 삽입 체결되기 때문에, 장치바디들의 조립 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다음에 도 7,8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서는 장치바디(110)(120)의 내측에서 광 케이블(1)의 접속 즉, 광 케이블 심선(30)의 접속이 구현되고, 이와 같은 장치바디(110)(120)는 체결수단(160)으로 조립되어 광 케이블 심선(30)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바디(110)(120)들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장치바디(110)와 상부 장치바디(120)의 양 끝에는 광 케이블(1)의 심선(30)과 피복부(20)의 장치바디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부(114) (124)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의 장치바디(110)(120)들은 외면은 라운딩하지만 적어도 서로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111)(121)을 포함하여 체결수단(160)에 체결 조립될 때, 서로 틈새없이 밀착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바디(110)(120)들은 하부 장치바디(110)와 상부 장치바디(120)로 이루어져 서로 겹쳐진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바디(110)(120)중 적어도 어느 하나 즉, 바람직하게는 하부 장치바디(110)에는 광 케이블(1)의 심선(30)이 삽입되어 서로 접속되는 심선통로(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심선통로(130)는 하부 장치바디(1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데, 그 길이는 광 케이블(1)의 심선 길이에 맞추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하부 장치바디(110)와 밀착되는 상부 장치바디(120)에는 상기 심선통로(130)에 대응되는 경사진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진 홈(131)은 바디 중앙으로 갈수록 그 홈 깊이가 감소되는 구조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치바디(110)의 심선통로(130)에 심선(30)이 삽입되고, 그 위로 상부 장치바디(120)의 표면이 심선통로 위로 밀착되어 심선(30)을 안정적으로 압박 고정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부분에는 광 케이블의 심선(30)을 접속하기 위한 매칭 젤(matching gel)이 미리 도포되어 있다가, 양측의 광 케이블의 심선(30)이 이부분에서 접속되어 광 케이블을 통한 광 통신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서 상기 하부 장치바디(110)와 상부 장치바디(120) 중 적어도 하나 즉, 바람직하게는 광 케이블 심선(30)이 삽입되는 심선통로(130)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 피복부 통로(132)가 심선통로의 양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1)의 피복부(20)는 상기 하부 장치바디(110)의 피복부 통로(132)에 삽입되고, 그 위로 상부 장치바디(120)가 밀착 조립될 때, 압박 고정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는, 광 케이블(1)의 심선(30) 접속 구조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함은 물론, 피복부(20)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서 하부 장치바디(110)는 광 케이블의 심선(30)과 쾅 케이블 피복부(20)가 형성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의 상부 장치바디(120)는 광 케이블 심선구간(S1)과 광 케이블 피복부구간(S2)에 대응하여 분할(120a)(120b)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앙의 상부 장치바디(120a)와 그 양측 상부 장치바디(120b)로 구성되어, 중앙의 상부 장치바디(120a)는 광 케이블(1)의 심선(30) 접속부분에 대응되고, 양측의 상부 장치바디(120b)들은 광 케이블피복부 압착부분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상부 장치바디(120a)(120b)들의 분할 조립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 심선(30)의 접속시 사용되는 매칭 젤의 별도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바디(110)(120)들에는 서로 겹쳐지는 상부 및 하부 장치바디들이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돌부(140) 및 홈부(150)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하부 장치 바디(110)의 중앙으로 실질적인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부분('A')에는 사각의 홈부(15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장치바디(120)에는 사각의 돌부(14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반대로, 하부 장치바디(110)의 광 케이블 피복부(20)가 통과하는 양측에는 피복부 통로(132)의 양측에 길게 신장되어 돌출된 돌부(14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장치바디(120)에는 홈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장치바디(120)의 홈부(150)는 중앙의 장치바디(120a)에 일부분 걸쳐서 형성된다.
특히, 하부 장치 바디 양측과 상부 바디에 형성된 돌부(140)와 홈부(150)의 끝부분에는 경사진 경사부(142)(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8과 같이. 일체로 된 하부 장치바디(110)에 분할된 상부 장치바디(120a)(120b)들을 겹쳐서 조립할 때, 돌부(140)들과 홈부(150)들이 끼움 조립되고 경사부로 인하여 하부 장치바디와 상부 장치바디들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겹쳐진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돌부(140)와 홈부(150)는 도 8과 같이 서로 끝면이 밀착되지 않고 측면이 밀착되어 장치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이는 실제 광 케이블 접속시 심선과 피복부의 장치 바디 삽입을 위하여 하부 장치바디와 상부 장치바디사이에 도 3과 같이, 조작부재(200)를 끼워서 벌리고 난뒤 돌부와 홈부의 끼움 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즉, 돌부와 홈부에는 공차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7,8과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서 상기 장치바디(110)(120)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는 상기 장치바디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서로 마주하여 조작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일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60)의 조작부재 통과개구(162)도 상기 장치 바디들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에 맞추어 위치가 조정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1)에서 하부 장치바디(110)와 상부 장치바디(120) 및 체결수단(160)에는 양측에 4개씩 총 8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재(200) 즉,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별고의 기구로 누름되는 조작부재(200)에는 상기 체결구단 개구와 장치 바디들의 조작부재 삽입홈부에 맞추어 4개의 삽입단(2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조작부재(200)의 삽입단(210)이 체결수단의 개구(162)를 통과하여 장치 바디들의 십입홈부(112)(122)들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조작부재의 삽입단 두께에 의하여 하부 장치바디(110)에 겹쳐진 상부 장치바디(120)는 조작부재가 삽입된 부분이 들려지고, 이때 광 케이블(1)의 심선(30)과 피복부(20)가 하부 장치바디의 통로(130)(132)들에 삽입되고, 조작부재(200)의 삽입단(210)이 뒤로 빠지면 체결수단(160)에 의하여 상,하부 장치바디들은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이 이루어 진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서, 상기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은 겹쳐진 장치바디들이 삽입되어 포위상태로 체결토록 일부가 개구(161)된 절곡된 판 탄성체로 제공된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판 탄성체인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은 구체적으로는 'U'자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161)되어 이를 통하여 앞에서 설명한 광 케이블의 심선(30)을 접속하고 피복부(20)를 압착 고정하는 하부 및 상부 장치바디(110)(120)들이 겹쳐져 삽입되고 따라서 장치바디들은 포위되면서 그 내부에서 밀착 조립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의 하부 즉, 개구(161)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탄성돌부(166) 즉, 볼록하게 형성되어 누름시 탄성 작동되는 것이 가능한 탄성돌부(16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조작부재(200)가 체결수단(160)의 조작부재 통과개구 (162)와 장치바디들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에 삽입되어 장치바디들이 벌어지려는 힘을 받으면, 하부 장치바디(110)의 저면이 상기 탄성돌부(166)를 누르면서 탄성돌부는 평탄하게 펴지면서 장치 바디들이 벌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광 케이블의 피복부와 심선부분의 삽입 접속 및 압착을 가능하게 하고, 조작부재가 이탈되면 상기 탄성돌부(166)에 의하여 장치바디들은 견고하게 체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의 개구(161) 양측에는 상기 장치바디 외연에 형성된 단차부(T)에 걸리어 지지되는 걸림턱부(1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겹쳐져 체결수단(160)으로 삽입되는 장치바디 중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장치바디의 저면은 적어도 모서리 부분이 만곡(R)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의 걸림턱부(164)는 수평에서 약간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7,8과 같이, 하부 장치바디(120)에 상부 장치바디(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판 탄성체인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의 개구(161)를 통과할때, 상기 하부 장치바디의 만곡된 부분에 의하여 쉽게 체결수단에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걸림턱부(164)가 상부 장치바디(120)의 외연 단차부(T)에 걸리어 지지됨으로 써, 장치바디들의 체결 조립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고, 일단 체결 조립되면 장치바디들의 이탈은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160)인 판 탄성체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측부에 절개부(168)가 형성되어 있어, 분할된 상부 장치바디(120a)(120b)들의 탄성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과 같이 장치바디(110)(120)들의 체결수단(160)에 장치바디(110)(120)들이 조립되면, 광 케이블 접속을 위하여, 조작부재(200)가 슬라이딩 조작 가능한 기구(미도시)에 접속장치(100)를 놓고 조작부재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 개구를 통하여 장치바디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에 삽입시키어 장치바디들을 벌린상태(기구에서 벌린 상태를 유지시킴)에서 양측에서 광 케이블(1)을 장치바디사이에 진입시키고, 광 매칭젤을 사전에 투입한 상태에서 조작부재의 이탈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완료한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서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를 그립하여 광 케이블의 접속시 광 케이블의 외피(10)부분 까지 그립하여 광 케이블의 접속 구조를 매우 견고하게 하는 그립장치(3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용의 그립장치(300)는, 광 케이블이 접속된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가 삽입되는 접속장치 삽입부(312) 및 광 케이블(1)에 조립된 고정링(40)이 체결되는 고정링 고정홈(314)을 포함하는 그립바디(310) 및, 상기 그립바디(310)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링 고정홈(322)이 구비된 커버체(32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 케이블의 심선(30)과 피복부(20)가 본 발명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그립바디(310)의 양측에 광 케이블 고정링(40)을 끼우고, 커버체(320)를 그립바디에 체결하면, 도 9b와 같인 광 케이블의 접속 구조가 매우 견고하게 된다.
이때,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바디(310)의 측부에는 돌턱(330)이 형성되고, 커버체(320)에는 이에 대응하여 고정홈(342)이 형성된 훅크부(340)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립바디(310)와 커버체(320)들은 연결판(360)들로 연결되어 있어 커버체를 그립바디에 눌러서 고정 조립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320)는 고정링 체결부분과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3등분 되어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그립바디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삽입부(312)와 고정링 고정홈 사이에는 광 케이블의 피복부(20)가 통과하는 피복부 통로(350)가 형성되되, 이와 같은 통로는 바닥이 아래로 그립바디 보다는 더 볼록하게 되어 있어 광 케이블피복부(20)의 만곡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피복부가 여유있게 조립되어 광 케이블의 심선 접속시 심선과 피복부 유동을 보상하게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도 9의 그립장치(300)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100)를 그립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광 케이블 접속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광 통신망 구축을 가능하게 하나,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만 으로도 견고한 접속구조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광 통신망 구축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장치 적용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광 케이블 접속장치와 이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광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광 케이블 접속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의 장치바디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의 장치바디 체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접속장치를 그립하는 그립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광 케이블 10.... 케이블 외피
20.... 피복부 30.... 광 케이블 심선
100.... 광 케이블 접속장치 110,120.... 장치바디
112.... 조작부재 삽입홈부 130.... 광 케이블 심선 통로
132.... 광 케이블 피복 통로 140.... 돌부
150.... 홈부 160.... 장치바디 체결수단
161.... 장치바디 삽입개구 162.... 조작부재 통과개구
164.... 장치바디 걸림턱부 166.... 탄성돌부

Claims (15)

  1.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되, 조작부재의 다방향 삽입을 가능토록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를 포함하는 장치바디(110) (120); 및, 상기 장치바디들이 종방향으로 삽입되면서 포위상태로 밀착 체결토록 판 탄성체로 제공되되, 조작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 가능한 양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 통과개구(162)와 장치바디들이 삽입되는 장치바디 삽입개구(161)를 포함하여 장치바디들에 체결되면서 장치바디들을 밀착시키어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 체결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치바디 체결수단의 삽입개구 양측에는 겹쳐져 삽입된 장치바디 중 상부에 위치되는 장치바디의 외연에 형성된 단차부(T)에 걸리어 지지되는 걸림턱부(16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개구(161)와 마주하는 위치에 탄성돌부(16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바디(110)(120)중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광섬유 케이블 심선구간(S1)과 광섬유 케이블 피복부 구간(S2)에 대응하여 분할 구성된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섬유 케이블 심선통로(130)와, 상기 광섬유 케이블 심선통로와 연결되면서 광섬유 케이블의 피복부(20)가 삽입되는 광섬유 케이블 피복부 통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110)(120)에 일체로 구비되어 장치바디들의 유동을 차단토록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돌부(140) 및 홈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110)(120)의 조작부재 삽입홈부(112)(122)는 장치바디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조작부재의 삽입시 장치바디들을 벌어지도록 장치바디에서 일체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160)의 조작부재 통과개구(162)는 상기 조작부재 삽입홈부에 대응하여 일체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그립기구(300)를 사용하여 접속장치(100)가 그립되고,
    상기 그립기구(300)는 접속장치(100)가 삽입되는 접속장치 삽입부(312)와 광섬유 케이블에 조립된 고정링(40)이 체결되는 고정링 고정홈(314)을 포함하는 그립바디(310)와, 상기 그립바디(310)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링 고정홈(322)이 구비된 커버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20080074543A 2008-07-30 2008-07-30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098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543A KR100988473B1 (ko) 2008-07-30 2008-07-30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543A KR100988473B1 (ko) 2008-07-30 2008-07-30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44A KR20100013044A (ko) 2010-02-09
KR100988473B1 true KR100988473B1 (ko) 2010-10-20

Family

ID=4208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543A KR100988473B1 (ko) 2008-07-30 2008-07-30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037B1 (ko) * 2010-12-06 2011-11-2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기계식 접속자용 공구 겸용 보호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451A (ja) * 1996-08-06 1998-02-2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
JP2003307642A (ja) * 2002-04-17 2003-10-31 Kyoei Senzai Kk 光ファイバ接続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451A (ja) * 1996-08-06 1998-02-2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
JP2003307642A (ja) * 2002-04-17 2003-10-31 Kyoei Senzai Kk 光ファイバ接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44A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9151B1 (en) Multi-purpose sealing device
CN101384938B (zh) 光纤分路器模块
US5987203A (en) Distribution module for optical couplings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EP2191313B1 (en) Cable termination clamp with inclined gripping means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KR101607650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설치대
JP2008518258A (ja) 光学的コネクタホルダーを有する光学的信号分配アセンブリ
JP4458538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KR102535397B1 (ko) 광커넥터
KR100988473B1 (ko)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KR10104195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0940186B1 (ko) 광 컨넥터
KR101057821B1 (ko)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KR100951651B1 (ko) 광 컨넥터와 광섬유 케이블 그립장치
KR100883227B1 (ko) 광섬유 케이블 접속유닛 그립장치
KR101058396B1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KR102063164B1 (ko) 인도어 리빙 유닛
JP4787714B2 (ja) 光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KR102024730B1 (ko) 인장력 강화 소프트 부트
JP2010128456A (ja) 光コネクタ
KR100544782B1 (ko)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KR200248543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 및 커넥터
KR100942230B1 (ko) 광커넥터
CN112823304B (zh) 具有缆线护套释放的光纤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