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821B1 -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821B1
KR101057821B1 KR1020100120054A KR20100120054A KR101057821B1 KR 101057821 B1 KR101057821 B1 KR 101057821B1 KR 1020100120054 A KR1020100120054 A KR 1020100120054A KR 20100120054 A KR20100120054 A KR 20100120054A KR 101057821 B1 KR101057821 B1 KR 10105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foreign material
optical
doo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선
윤명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0012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유입차단부(100)가 구비되되, 이 이물질유입차단부(100)는, 광커넥터(150)가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몸체(110); 및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설치되어 광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을시에는 닫혀있고, 광커넥터가 연결될시에는 광커넥터의 몸체가 양쪽으로 벌리면서 진입하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한 한 쌍의 도어(1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Dust cover for the adaptor for Optic Fiber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현을 위한 광학적 LINK에 필수적인 광학 정렬 접속자재로 전송기, 광계측기, 광통신, ATV등 광의 분배망의 광 전송로간 상호 연결하는 광부품으로서 광섬유를 플러그 내의 페룰(Ferrule)에 정렬시킨 후 플러그를 어댑터에 삽입 하므로서 광선로를 접속 및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상시 선로의 접속과 분기가 편리 하며 반복결합이 가능한 제품이다.
광커넥터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성능과 환경특성이 우수하며 초심자도 쉽게 조립 가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와 소형 경량,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단심형, 다심형 등의 구조가 가능하며, FDF에서의 실장성과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광커넥터의 용도는 광 송수신 장비와 광 전송로간 연결. 광 분배함과 광 케이블간 연결. 광 분배함과 광 장비간 연결. 광 장비와 광 단말간 연결 등에 사용된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광커넥터의 종류로는 주로 미국의 ST, SMA, BICONIC Type과 일본의 SC, FC, D4 Type등이 있다. 유럽지역에서 최근에 개발 상용중인 EC type도 있으나 수요측면에서는 널리 보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도 1a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의 구성은, 케이스(1)의 양쪽에 광케이블(C)과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부(3)가 형성되고, 케이스(1)의 내부에는 광케이블(C)의 심선(a)이 삽입되어 양단의 광케이블(C)이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C)의 단부를 케이스(1) 양측의 결합부(3)에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1) 내부의 접속부(5)에서 두 광케이블(C)의 심선(a)이 접속되어 광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접속부(5)에는 광케이블(C)의 광전송시 심선(a)의 접속 부분에서 광의 송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세라믹재질의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3)에는 광케이블(C)이 케이스(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으로 한 쌍의 결합돌기(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는,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에 마개(7)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마개(7)는 케이스(1)의 결합부(3)에 끼워맞춤되어 접속부(5)에 이물질이 침투하여 코팅층(4)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개(7)는, 케이스(1)의 결합부(3)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삽입부(7a)가 형성되고, 삽입부(7a)에는 케이스(10)내의 접속부(5)를 보호하는 삽입구멍(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7a)의 바깥면에는 케이스(1)내에서 마개(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돌기(2)와 착탈 가능한 결합홈(7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개(7)는 케이스(1)와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므로, 보관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광케이블 연결 작업시 작업자가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마개(7)의 착탈시 부주의로 인해 마개(7)를 떨어뜨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분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개(7)의 사용 및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고, 분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444029호(출원번호 제2007-0007384호)(명칭: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가 등록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케이스(10)는, 통상적인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형태로써, 케이스(10)의 중간 부분에 고정구멍(12a)을 구비한 고정부(12)가 양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마개(20)는, 통상적인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마개(20)의 형태로써, 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13)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3)와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부(22)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2)에는 삽입구멍(24)이 형성되어 케이스(10)의 결합부(13)에 마개(20)를 끼워 결합하면 케이스(10)의 접속부(15)가 마개(20)의 삽입홈(24)에 삽입되어 접속부(15)의 코팅층(14)을 이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22)의 양측면에는 케이스(10)의 결합돌기(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23)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고 있고, 케이스(10)와 마개(20)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화하기 위한 연결띠(26)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띠(26)는, 굴곡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며, 일측에 끼움판(26a)을 일체로 형성하여 마개(20)의 파지부(25)에 형성된 끼움구멍(25a)에 끼워맞춤하고, 연결띠(26)의 타측에는 원형고리(26b)를 형성하여 고정부재(30)로 케이스(10)의 고정부(12)에 형성된 고정구멍(12a)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0)와 마개(20)가 연결띠(26)에 의해 일체화되는 구성이다. 또한, 마개(20)의 파지부(25) 측면에 이탈방지구멍(25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이탈방지구멍(25b)에 연결띠(26)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연결띠(26)가 마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띠(26)의 끝단에 형성된 원형고리(26b)를 케이스(10)의 고정부(12)에 형성된 고정구멍(12a)과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함으로써 케이스(10)와 연결띠(26)를 연결하고, 연결띠(26)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판(26a)을 파지부(25)의 끼움구멍(25a)에 끼워맞춤하여 연결띠(26)와 마개 (20)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띠(26)에 의해 케이스(10)와 마개(20)가 일체화된다.이때, 연결띠(26)는 파지부(25)의 이탈방지구멍(25b)으로 관통시켜 연결하게 되면, 끼움판(26a)이 끼움구멍(25a)에서 빠지는 경우에도 마개(20)로부터 연결띠(2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C)을 접속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10)와 일체화 된 마개(20)의 삽입부(22)를 케이스(10)의 결합부(13)에 결합하여 이물질로부터 접속부(15)의 코팅층(14)을 보호할 수 있고, 광케이블(C)과 광케이블(C)의 연결시에는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있는 마개(20)를 결합부(13)로부터 분리시킨 후 광케이블(C)을 결합부(13)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마개(20)와 케이스(10)는 연결띠(26)로 인하여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착탈시 부주의로 떨어뜨려 분실될 염려가 없으며, 항상 케이스(10)에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연결띠(26)가 케이스(10)와 마개(20)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므로 연결띠(26)가 끊어지거나 손상될 때 다른 연결띠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연결띠(26)와 마개(20)가 구비되어야만 하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그로 인해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물질유입차단부가 하우징몸체와 도어 그리고 탄성부재로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광커넥터가 하우징몸체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도어가 항상 닫혀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삽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제3목적은 이물질 등의 오염을 줄임으로 삽입 손실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광전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외부 노출을 피하게 되어 파손 혹을 노이즐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하우징몸체가 각이 있는 SC타입, LC타입, MTRJ타입 등의 이물질 오염방지용 덮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몸체의 형태(타입)에 제한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특히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그로 인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유입차단부가 구비되되, 이 이물질유입차단부는 광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에 설치되어 광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을시에는 닫혀있고, 광커넥터가 연결될시에는 광커넥터의 몸체가 양쪽으로 벌리면서 진입하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한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유입차단부가 하우징몸체와 도어 그리고 탄성부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광커넥터가 하우징몸체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도어가 항상 닫혀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삽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질 등의 오염을 줄임으로 삽입 손실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광전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을 피하게 되어 파손 혹을 노이즐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가 각이 있는 SC타입, LC타입, MTRJ타입 등의 이물질 오염방지용 덮개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몸체의 형태(타입)에 제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그로 인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
고,
(b)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마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의 (a)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를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탄성부재의 평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인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이물질유입차단부(100)는 크게 하우징몸체(110)와 도어(120) 그리고 탄성부재(130)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유입차단부(100)가 구비되되, 이 이물질유입차단부(100)는 광커넥터(150)가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몸체(110)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설치되어 광커넥터(150)가 연결되지 않을시에는 닫혀있고, 광커넥터(150)가 연결될시에는 광커넥터의 몸체가 양쪽으로 벌리면서 진입하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한 한 쌍의 도어(120)가 구비되어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몸체(1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광커넥터(15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공(111)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111)에 형성되어 힌지축(121)이 끼워지도록 한 힌지공(112)이 상하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삽입공(111)의 입구 양단에는 도어(120)가 걸리적 거림 없이 용이하게 회전 작동되도록 작동홈(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작동홈(113)이 없게 되면 도어(120)가 용이하게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일단에는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하우징몸체(110a)와 상호 맞닿아 설치되도록 연결공(116)이 형성된 연장부(1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내측 상단에는 광커넥터(150)의 돌기(151)가 끼워져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부(114)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요홈부(114)는 광커넥터(150)가 흔들림 없이 정확히 삽입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도어(120)는 도 3,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삽입공(111)의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된 힌지공(112)에 삽입되도록 한 힌지축(1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2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도어플레이트(1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플레이트(124)에는 탄성부재(130)가 끼워지도록 한 개구부(123)가 형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한 쌍의 도어플레이트(124)는 삽입공(111)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되, 광커넥터(150)가 진입시 페롤의 선단이 닫지 않는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진 "V" 모양의 각도로 설치되고, 경사 각도는 약30∼40도가 바람직하나 광커넥터와 페롤의 길에 따라 가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힌지축(121)의 외주면 양측에는 평면부(122)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122)에는 오픈된 도어(120)를 텐션력에 의해 자동 원상복귀되도록 한 탄성부재(130)가 조립되되, 상기 탄성부재(130)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22)와 상호 긴밀히 맞닿아 설치되도록 한 힌지축체결편(13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유입차단부(100)의 양쪽에서 광커넥터(150)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몸체(110)를 양쪽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이물질유입차단부(100)의 하우징몸체(110)를 기존 케이스에 조립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60)은 광커넥터와 상호 접속되는 커넥터접속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광커넥터(150)가 하우징몸체(11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한 쌍의 도어(120)가 항상 닫혀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삽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탄성부재(130)를 도어(120)에 조립 설치한 후 상기 도어(120)를 하우징몸체(110)에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부재(130)를 도어(120)에 조립 설치함에 있어 개구부(123)를 통해 탄성부재(130)의 일측면을 끼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도어(120)를 삽입공(111)에 넣은 후 힌지축(121)을 힌지공(112)에 끼워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130)의 일단은 도어플레이트(124)의 일측면에 맞닿게 되고, 타단은 삽입공(111)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어 결과적으로 한 쌍의 도어(12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닿게 조립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몸체(110) 하나로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몸체(110)(110a) 두 개를 하나로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가아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몸체(110)를 양쪽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우징몸체(110)(100a) 두 개가 조립 설치된 가운데 광커넥터(150)를 삽입공(111)을 통해 끼우게 되는 것으로, 이때 광커넥터(150)의 상단에 구비된 돌기(151)가 요홈부(114)에 끼워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커넥터(150)는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커넥터접속부(160)에 결합되게 됨은 물론 이탈시에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커넥터(150)가 삽입공(111)에 진입시 도어(120)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광커넥터(150)가 도어(120)를 밀고 삽입공(111)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한 쌍의 도어(120)는 도 4 의 가상선과 같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결과적으로 광커넥터(150)가 커넥터접속부(160)와 접속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20)는 하우징몸체(110)에 설치되어 광커넥터(150)가 연결되지 않을시에는 닫혀있고, 광커넥터(150)가 연결될시에는 광커넥터의 몸체가 양 도어플레이트(124)를 양쪽으로 벌리면서 진입하면 자동으로 오픈되어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한 쌍의 도어플레이트(124)는 삽입공(111)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되, 특히 광커넥터(150)가 진입시 페롤의 선단이 닫지 않는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진 "V" 모양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도어(120)가 벌어지게 되면 탄성부재(130)는 상호 좁혀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광커넥터(150)가 외부로 이탈하게 되면 탄성부재(130)의 원래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도어(120)는 최초 상태인 닫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도어(120)가 회전 작동하는 과정에서 삽입공(111)의 양측면에는 작동홈(113)이 형성되어 도어(120)가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 작동하게 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도어(120)가 회전 작동하는 과정에서 힌지축(121)의 양측면에는 평면부(122)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122)와 대응되도록 탄성부재(130)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체결편(131)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긴밀히 밀착 조립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가 회전 작동하게 되면 탄성부재(130)도 함께 좁혀졌다 벌어졌다 가를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무리 없이 작동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물질유입차단부 110: 하우징몸체
120: 도어 130: 탄성부재
150: 광커넥터 160: 커넥터접속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내부의 접속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유입차단부가 구비되되, 이 이물질유입차단부는, 광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며, 일측에 광커넥터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형성되어 힌지축이 끼워지도록 한 힌지공과 상기 삽입공의 입구 양단에는 도어가 용이하게 회전 작동되도록 작동홈이 형성된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에 설치되어 광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을시에는 닫혀있고, 광커넥터가 연결될시에는 광커넥터의 몸체가 양쪽으로 벌리면서 진입하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한 한 쌍의 도어; 및 상기 한 쌍의 도어는 힌지공에 삽입되도록 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서 연장된 도어플레이트가 구비된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플레이트(124)에는 탄성부재(130)가 끼워지도록 한 개구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플레이트(124)는 삽입공(111)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되, 광커넥터(150)가 진입시 페롤의 선단이 닫지 않는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진 "V" 모양의 각도로 조립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121)의 외주면 양측에는 평면부(122)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에는 오픈된 도어(120)를 텐션력에 의해 자동 원상복귀되도록 한 탄성부재(130)가 조립되되, 상기 탄성부재에는 평면부와 상호 긴밀히 맞닿아 설치되도록 한 힌지축체결편(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20054A 2010-11-29 2010-11-29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KR10105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054A KR101057821B1 (ko) 2010-11-29 2010-11-29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054A KR101057821B1 (ko) 2010-11-29 2010-11-29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821B1 true KR101057821B1 (ko) 2011-08-19

Family

ID=4493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054A KR101057821B1 (ko) 2010-11-29 2010-11-29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95B1 (ko) * 2013-12-13 2014-06-25 오병윤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더스트 캡
CN108594369A (zh) * 2018-07-26 2018-09-28 南京华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芯光纤适配器
KR20190098680A (ko) 2018-02-14 2019-08-22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어댑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0607A (ja) 2004-04-06 2005-10-27 Murata Mfg Co Ltd シャッター付き光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0607A (ja) 2004-04-06 2005-10-27 Murata Mfg Co Ltd シャッター付き光アダプ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95B1 (ko) * 2013-12-13 2014-06-25 오병윤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더스트 캡
KR20190098680A (ko) 2018-02-14 2019-08-22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어댑터
CN108594369A (zh) * 2018-07-26 2018-09-28 南京华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芯光纤适配器
CN108594369B (zh) * 2018-07-26 2023-09-22 南京华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芯光纤适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798B (zh) Fiber optic connectors, fiber optic adapters and fiber optic connectors
US7357579B2 (en) Connection device with a cable gland having housing parts enabling relative movement therebetween
US10168485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US10649152B1 (en) Connector system
US8876403B2 (en) Optical connector, connector adapter, optical fiber lin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506173B2 (en) Multi-fiber fiber optic receptacle and plug assembly
US11592626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boot-integrated release and related assemblies
US20070230874A1 (en) Fiber adapter and shutter member thereof
TWI699933B (zh) 連接器系統
JP2009037268A (ja) 光ファイバプラグと光ファイバレセプタクルの組立体
CN112068256B (zh) 光纤连接器插头、光纤适配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CN112068257A (zh) 光纤连接器插头、光纤适配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KR101057821B1 (ko)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이물질 유입 차단 커버
US10371900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CN113093346A (zh) 光缆组件及光纤连接器
WO2020133423A1 (zh) 光纤连接头、预制光纤、适配器、光纤盒及光纤连接组件
CN213182120U (zh) 光纤连接器插头、光纤适配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WO2019157660A1 (zh) 光纤连接头、光纤适配器和光纤连接装置
KR101410495B1 (ko)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의 더스트 캡
KR100870637B1 (ko)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KR101834935B1 (ko) 광커넥터 접속용 어댑터
US20170153398A1 (en) Optical connector plug having a removable and replaceable mating interface
WO2016086668A1 (zh) 防尘盖及适配器
KR100996731B1 (ko) 운송수단용 광점퍼코드
KR20080004906U (ko) 광케이블 접속용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