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230B1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230B1
KR100942230B1 KR1020080083290A KR20080083290A KR100942230B1 KR 100942230 B1 KR100942230 B1 KR 100942230B1 KR 1020080083290 A KR1020080083290 A KR 1020080083290A KR 20080083290 A KR20080083290 A KR 20080083290A KR 100942230 B1 KR100942230 B1 KR 10094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cable
extens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08008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bevel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1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grooves to align ferrule ends

Abstract

본 발명 광커넥터는 일측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내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 단부들 사이에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가 배치되면 폐쇄되어 내측에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하며, 후방 양측에 각형의 체결 돌기를 가지는 케이블 홀더; 상기 케이블 홀더가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양측면 후방에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 홀더에 고정된 상기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 및 광섬유를 덮는 내부 코팅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전방 하부에 링 체결 구멍을 가지는 제1 수용 부재;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를 가압하는 케이블 고정 클립; 상기 제1 수용 부재로부터 삽입되는 내부 코팅부의 선단을 수용하며 양측에 슬릿 및 외주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는 광접속 하우징; 상기 광접속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폐쇄되면 내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광섬유를 상호 맞물림 접속하는 광섬유 접속체;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닫혀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광섬유 접속체를 고정 및 보호하는 캡;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광케이블의 광섬유과 접속되는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내측에 고정하여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접속체 내측에 위치시키는 페룰; 상기 연장부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링 체결 구멍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광접속 하우징이 내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전방에 체결되는 제2 수용 부재; 상기 링 체결 구 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가압하는 조임 링; 상기 제2 수용 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수용 부재와 체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 및 내부 코팅부가 견고히 고정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케이블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심선의 정렬 효과가 증대되고, 분리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이 공구로 분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 홀더, 제1 수용 부재, 케이블 고정 클립, 광접속 하우징, 광섬유 접속체, 캡, 페룰, 제2 수용 부재, 조임 링, 플러그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간의 접속이 안정적이고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댁내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해 방송, 통신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FTTH(Fiber To The Home)시스템이 제안되어 일반 주택 및 신축 아파트 등에 적용 설치되고 있다.
FTTH 시스템에서 광케이블은 예컨대 댁내의 가입자 장비까지 연결되고, 그 끝단은 커넥터 형태로 마감되어 벽면에 설치된다. 이때, FTTH 작업자는 광케이블간의 접속을 고려하여 광케이블을 실측 길이보다 수m 정도 길게 설정하여 댁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시공현장에서 광 단자함에서부터 광케이블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고, 그 끝단에 광커넥터를 조립한 후 광 단자함과 댁내의 광 어댑터에 연결시켜 설치하게 된다.
광케이블의 접속시 사용되는 광커넥터는 LC, ST, FC 및 SC 광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광커넥터는 현장 설치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며, 광커넥터의 제조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재사용이 가능한 광커넥터들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하여야 하므로 광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섬유 케이블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심선의 정렬 효과가 증대되고,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광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일측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내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 단부들 사이에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가 배치되면 폐쇄되어 내측에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하며, 후방 양측에 각형의 체결 돌기를 가지는 케이블 홀더; 상기 케이블 홀더가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양측면 후방에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 홀더에 고정된 상기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 및 광섬유를 덮는 내부 코팅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전방 하부에 링 체결 구멍을 가지는 제1 수용 부재;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를 가압하는 케이블 고정 클립; 상기 제1 수용 부재로부터 삽입되는 내부 코팅부의 선단을 수용하며 양측에 슬릿 및 외주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는 광접속 하우징; 상기 광접속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폐쇄되면 내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광섬유를 상호 맞물림 접속하는 광섬유 접속체;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닫혀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광섬유 접속체를 고정 및 보호하는 캡;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 되고 상기 제1 광케이블의 광섬유과 접속되는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내측에 고정하여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접속체 내측에 위치시키는 페룰; 상기 연장부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링 체결 구멍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광접속 하우징이 내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전방에 체결되는 제2 수용 부재; 상기 링 체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가압하는 조임 링; 상기 제2 수용 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수용 부재와 체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내측의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하측면에는 상기 광섬유 접속체를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의 하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캡의 하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 돌기를 가지는 간이 공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 클립은 수직의 양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 부재는 내측에 상기 케이블 홀더에 고정된 제1 광섬유 케이블의 내부 코팅부 및 광섬유를 전방측으로 안전하게 가이드하는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접촉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 링은 외주면 둘레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체결 구멍 내에서 조작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링의 내경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타원형인 내경이 상기 접촉 돌기와 접촉되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상기 조임 링은 외주면 둘레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체결 구멍 내에서 조작 가능한 레버,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내주면 양측에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슬릿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에 의하면,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 및 내부 코팅부가 견고히 고정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케이블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심선의 정렬 효과가 증대되고, 분리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이 공구로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제1 수용 부재의 링 체결 구멍을 나타낸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제1 수용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케이블 홀더(10), 제1 수용 부재(20), 케이블 고정 클립(30), 광접속 하우징(50), 광섬유 접속체(60), 캡(70), 페룰(F), 제2 수용 부재(40), 조임 링(81), 플러그(90)를 포함한다.
케이블 홀더(10)는 일측 중앙의 절첩부(미도시)를 기준으로 개폐되는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외부 피복부(201a)이 배치되면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폐쇄되면서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을 고정한다.
또한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 각각의 외면 후방에는 체결 돌기(13)가 형성되며, 체결 돌기(13)는 일측에 하나의 경사면(13a)을 가지는 각형이며,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내주면에는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외부 피복부(201a)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외부 피복부(201a)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부재(20)는 케이블 홀더(10)가 후방에 체결되는 긴 장방형의 몸체 부(21)와, 상기 몸체부(21) 전방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돌기(22a)를 가지는 체결부(22)를 포함한다.
몸체부(21)는 전방 및 후방 단부측 양측면에 돌출된 제한 돌부(25)들을 가지며, 제한 돌부(25)들은 후술할 케이블 고정 클립(30)이 체결될 시 케이블 고정 클립(30)이 전, 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몸체부(21)의 양측면에는 케이블 홀더(10)의 체결 돌기(13)가 체결되는 체결 구멍(26)이 형성되며, 도 3과 같이 내측 일부에는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 및 광섬유(201c)를 삽입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23) 상의 일측, 즉 체결 구멍(26)측을 향하는 일측에는 도4와 같이 라운드진 가이드면(24a)을 가지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4)는 내부 코팅부(201b) 및 광섬유(201c)가 삽입될시 슬릿(23) 상에 안전하게 가이드한다.
또한 제1 수용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링 체결 구멍(27)을 포함하는데, 링 체결 구멍(27)은 몸체부(21)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링 체결 구멍(27)은 저면으로부터 일측의 측면 일부까지 연장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조임 링(81)이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링 삽입부(27a) 및 조임 링(81)의 레버(81b)가 위치되어 고정되는 레버 고정부(27b)로 구분된다.
케이블 고정 클립(30)은 제1 수용 부재(20)의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제1 수용 부재(20)의 몸체부(21)에 체결되며 수직의 양측면 단부가 제한 돌부(25)들에 대응된다. 그리고 수직의 양측면은 내측으로 어느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수용 부재(20)에 체결될시 경사진 양측면이 제1 수용 부재(2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제1 수용 부재(20) 내측의 케이블 홀더(10)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제2 수용 부재(40)는 제1 수용 부재(20)의 체결부(22)의 돌기(22a)와 체결되는 구멍(41)을 양측면에 가지며 상면에는 후술할 광섬유 접속체(60) 및 캡(7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4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중앙에는 후술할 광접속 하우징(50)이 삽입되는 하우징 삽입구(43)가 형성된다.
광접속 하우징(50)은 내측을 개방하도록 상면에 개구(51a)를 가지는 하우징 몸체(51)와, 제1 수용 부재(20)로부터 삽입되는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의 선단을 수용하며 양측에 슬릿(52a)이 형성된 연장부(5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 몸체(51)의 내측에는 후술할 광섬유 접속체(60)를 수용하며 그 상부, 즉 개구(51a)에는 후술할 캡(70)이 체결된다.
연장부(52)의 외주면 상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과 슬릿(52a)이 형성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플랜지(52b)가 형성되며, 각 플랜지(52b)들 사이에 후술할 조임 링(81)이 체결된다. 그리고 연장부(52)는 제2 수용 부재(40)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수용 부재(20)와 체결되는 방향의 일측에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제2 수용 부재(40)가 제1 수용 부재(20)와 체결될시 제1 수용 부재(20)의 링 체결 구멍(27) 내측에 위치된다.
광섬유 접속체(60)는 중앙의 절첩부(61)를 기준으로 폐쇄되면 내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광섬유(201c, 202c)를 상호 맞물림 접속하며, 광접속 하우징(50) 내측에 수용된다.
캡(70)은 광접속 하우징(50)의 개구(51a)에 닫혀서 광섬유 접속체(60)를 고정 및 보호한다. 그리고 하부 양측의 하향된 돌출부위(71)가 광접속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된 광섬유 접속체(60)의 절첩부(61)를 기준으로 하는 양단을 가압하여 폐쇄한다.
여기서, 광접속 하우징(50), 광섬유 접속체(60), 캡(70)은 제2 수용 부재(40)의 내측에 수용된다.
페룰(F)은 광접속 하우징(50)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광섬유(201c)와 접속되는 제2 광섬유 케이블(미도시)의 광섬유(202c)를 내측에 고정하여 제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섬유(202c)를 광섬유 접속체(60) 내측에 위치시킨다.
조임 링(81)은 외주면 둘레 일측에 형성되고 제1 수용 부재(20)의 링 체결 구멍(27) 내에서 조작 가능한 레버(81b)를 포함하며, 광접속 하우징(50)의 연장부(52) 외주면 둘레에 체결되는 내경(81a)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연장부(52)의 외주면 상의 플랜지(52b)들 사이에는 접촉 돌기(5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 링(81)은 광접속 하우징(50)의 연장부(52)에 체결될시 연장부(52)의 각 플랜지(52b)들 사이에 위치되며, 이때 레버(81b)가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내경(81a)인 타원의 좁은 영역이 접촉 돌기(52c)와 접촉되어 연장부(52)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거나 접촉 돌기(52c)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플러그(90)는 상면에 캡(70) 및 광섬유 접속체(60)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삽입 구멍(91)을 가지며 제2 수용 부재(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2 수용 부재(40)와 체결된다. 그리고 플러그(90)는 제1 광섬유 케이블(201)과 접속되는 제2 광섬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른 하나의 광커넥터(미도시)와 착탈시킬 수 있는 광커넥터 어댑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용 부재(40), 광접속 하우징(50), 플러그(90) 각각의 저면에는 광접속 하우징(50) 내의 광섬유 접속체(60)를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44, 51c, 92)이 형성된다.
간이 공구(100)는 제2 수용 부재(40), 광접속 하우징(50), 플러그(90)들에 형성된 관통 구멍(44, 52c, 92)에 삽입되어 캡(70)의 돌출부위(71)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 돌기(101)를 가지며, 광커넥터(1)의 분리시 플러그(90)의 저면측에서 가압 돌기(101)들을 관통 구멍(44, 52c, 92)들에 삽입하여 캡(70) 및 광섬유 접속체(60)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의 특징이 더욱 부각되도록 광커넥터(1)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 수용 부재(40)의 내측에 광접속 하우징(50)을 삽입하여 체결한 후, 제2 수용 부재(40)의 외면에 플러그(90)를 체결하여 하나로 조합한다. 이때, 광접속 하우징(50)의 개구(51a)와, 제2 수용 부재(40) 및 플러그(90) 각각의 삽입 구멍(42, 91)들은 상호 대응된다.
그리고 광접속 하우징(50)의 개구(51a) 내에 광섬유 접속체(60)를 양단이 개방된 상태로 배치하며, 제2 수용 부재(40)와 제1 수용 부재(20)를 체결한다. 이 때, 광접속 하우징(50)의 연장부(52)는 제1 수용 부재(20)의 링 체결 구멍(27) 내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 링(81)을 제1 수용 부재(20)의 링 체결 구멍(27) 내에 삽입하여 연장부(52)와 대응시킨 후 조임 링(81)을 연장부(52) 상의 플랜지(52b)들 사이에 체결한다. 이때, 조임 링(81)의 레버(81b)가 링 체결 구멍(27)의 링 체결부(22)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도 5와 같이 조임 링(81)의 내경(81a)인 타원의 좁은 영역이 연장부(52)의 슬릿(52a)과 평행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광접속 하우징(50)의 하우징 몸체(51)의 개구(51a) 내에 광섬유 접속체(60)를 절첩부(61)를 기준으로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삽입한다.
이후, 케이블 홀더(10)의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외부 피복부(201a)을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를 폐쇄하여 외부 피복부(201a)을 고정하여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케이블 홀더(10)를 제1 수용 부재(20) 내측에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이때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 및 광섬유(201c)는 가이드부(24)에 의해 가이드부(24) 전방측의 슬릿(23) 내로 가이드되면서 케이블 홀더(10)의 체결 돌기(13)와 제1 수용 부재(20)의 체결 구멍(26)이 체결되어 케이블 홀더(10)가 제1 수용 부재(2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광섬유(201c)의 선단은 광섬유 접속체(60)의 내측까지 삽입되고, 내부 코팅부(201b)는 광접속 하우징(50)의 연장부(52) 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또한 광접속 하우징(50)의 연장부(52) 내에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가 삽입된 후 조임 링(81)의 레버(81b)를 링 체결 구멍(27)의 레버 고정부(27b) 측으로 밀어 넣어서 조임 링(81)을 회전시킨다. 이때, 조임 링(81)의 내경(81a)인 타원의 좁은 영역은 연장부(52)의 슬릿(52a)과 직교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도 6과 같이 접촉 돌기(52c)와 접촉되면서 연장부(52)를 내부 코팅부(201b)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는 연장부(52)의 내측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섬유(202c)를 내측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페룰(F)을 광접속 하우징(50) 후방 내측에 삽입하여 제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섬유(202c) 선단을 광섬유 접속체(60)의 내측에 삽입한다.
그리고 캡(70)을 플러그(90) 및 제2 수용 부재(40)의 삽입 구멍(42)들을 통해 광접속 하우징(50)의 개구(51a)에 체결하며, 이때 캡(70)의 돌출부위(71)는 광섬유 접속체(60)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광섬유 접속체(60) 내의 두 광섬유(201c)가 접속되며, 도 4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광섬유(201c, 202c)가 접속된 상태에서 광커넥터(1)를 분리할시 간이 공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광커넥터(1)의 분리시 광접속 하우징(50) 내에 수용된 광섬유 접속체(60) 및 캡(70)의 분리가 가장 쉽지 않으나, 간이 공구(100)의 가압 돌기(101)들을 플러그(90), 제2 수용 부재(40), 광접속 하우징(50) 각각의 관통 구멍(44, 52c, 91)들에 삽입한 후 힘있게 누르면, 캡(70)의 돌출부위(71)에 대응된 가압 돌기(101)들은 캡(70)을 상측으로 밀어내어 캡(70)을 광접속 하우징(5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캡(70)이 분리되면 광섬유 접속체(60)는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은 각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각 체결 부위를 분리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섬유 케이블(201)의 외부 피복부(201a) 및 내부 코팅부(201b)가 견고히 고정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케이블(201)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심선의 정렬 효과가 증대되고, 분리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이 공구(100)로 분리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2)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2)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링(82)이, 연장부(52)에 체결되는 내주면 양측에 레버(82b)의 조작에 따라 연장부(52)의 슬릿(52a) 내에 위치되거나 연장부(5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돌기(82c)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와 동일하다.
이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링 체결 구멍 내측에서 조임 링(82)의 레버(82b)가 링 체결 구멍의 링 삽입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 7과 같이 돌기(82c)가 연장부(52)의 슬릿(52a) 내에 위치되며, 도 8과 같이 레버(82b)가 링 체 결 구멍의 레버 고정부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돌기(82c)가 연장부(5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연장부(52) 내측의 제1 광섬유 케이블(201)의 내부 코팅부(201b)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제1 수용 부재의 링 체결 구멍을 나타낸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제1 수용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조임 링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블 고정 홀더 20 : 제1 수용 부재
24 : 가이드부 27 : 링 체결 구멍
30 : 케이블 고정 클립 40 : 제2 수용 부재
50 : 광접속 하우징 51a : 개구
52 : 연장부 52a : 슬릿
52b : 플랜지 52c : 접촉 돌기
60 : 광섬유 접속체 70 : 캡
81, 82 : 조임 링 81a : 내경
81b, 82b : 레버 82c : 돌기
90 : 플러그 100 : 간이 공구
101 : 가압 돌기

Claims (6)

  1. 일측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내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양측 단부들 사이에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가 배치되면 폐쇄되어 내측에 광섬유 케이블을 고정하며, 후방 양측에 각형의 체결 돌기를 가지는 케이블 홀더;
    상기 케이블 홀더가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양측면 후방에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구멍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 홀더에 고정된 상기 제1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 피복부 및 광섬유를 덮는 내부 코팅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전방 하부에 링 체결 구멍을 가지는 제1 수용 부재;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둘레를 가압하는 케이블 고정 클립;
    상기 제1 수용 부재로부터 삽입되는 내부 코팅부의 선단을 수용하며 양측에 슬릿 및 외주면 상에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는 광접속 하우징;
    상기 광접속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중앙의 절첩부를 기준으로 폐쇄되면 내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광섬유를 상호 맞물림 접속하는 광섬유 접속체;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닫혀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광섬유 접속체를 고정 및 보호하는 캡;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광케이블의 광섬유과 접속되는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내측에 고정하여 제2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상기 광섬유 접속체 내측에 위치시키는 페룰;
    상기 연장부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링 체결 구멍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광접속 하우징이 내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용 부재의 전방에 체결되는 제2 수용 부재;
    상기 링 체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가압하는 조임 링;
    상기 제2 수용 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수용 부재와 체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2. 제1항에서,
    상기 광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내측의 상기 광접속 하우징의 하측면에는 상기 광섬유 접속체를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의 하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캡의 하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 돌기를 가지는 간이 공구를 더 포함하는 광커넥터.
  3. 제1항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 클립은 수직의 양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광커넥터.
  4. 제3항에서,
    상기 제2 수용 부재는 내측에 상기 케이블 홀더에 고정된 제1 광섬유 케이블의 내부 코팅부 및 광섬유를 전방측으로 안전하게 가이드하는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5. 제1항에서,
    상기 조임 링은 외주면 둘레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체결 구멍 내에서 조작 가능한 레버,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내주면 양측에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슬릿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6. 제1항에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에는 접촉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 링은 외주면 둘레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체결 구멍 내에서 조작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링의 내경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타원형인 내경이 상기 접촉 돌기와 접촉되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를 가압하는 광커넥터.
KR1020080083290A 2008-08-26 2008-08-26 광커넥터 KR10094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90A KR100942230B1 (ko) 2008-08-26 2008-08-26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290A KR100942230B1 (ko) 2008-08-26 2008-08-26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230B1 true KR100942230B1 (ko) 2010-02-16

Family

ID=4208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290A KR100942230B1 (ko) 2008-08-26 2008-08-26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4318B2 (en) 2019-07-26 2023-03-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fiber sub-assembly and optical fiber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0733B2 (en) 2005-10-24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termination platform for optical connectors
KR100797652B1 (ko)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옵텔콤 광 컨넥터 및 광섬유 케이블 조립방법
KR20080064954A (ko) * 2005-10-28 2008-07-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커넥터의 조립 방법 및 광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0733B2 (en) 2005-10-24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termination platform for optical connectors
KR20080064954A (ko) * 2005-10-28 2008-07-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커넥터의 조립 방법 및 광커넥터
KR100797652B1 (ko) 2007-07-03 2008-01-24 주식회사 옵텔콤 광 컨넥터 및 광섬유 케이블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4318B2 (en) 2019-07-26 2023-03-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fiber sub-assembly and optical fiber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8746987B2 (en) Field assembled optical connector
CN102087392B (zh) 光纤分路器模块
US9383521B2 (en) Cable fixture assembly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t a cable carrier as well as a splitter comprising such cable fixture assembly
JP3896035B2 (ja) 光コネクタ
US8270797B2 (en) Splice holder for communication socket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CN102971653B (zh) 光纤模块和机壳
KR101371686B1 (ko) 심플 엑세스 커넥터
KR101184629B1 (ko) 에프씨타입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3731795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プラグの組み立て方法
JP2013160854A (ja) 光コネクタ
JP2012150424A (ja) 光コネクタ
KR101041953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080003465A (ko)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0942230B1 (ko) 광커넥터
JP6324084B2 (ja) ガイドサポート、及び伝送ケーブル終端接続用キット
CN110727059B (zh) 用于构造光学的插接连接部的联结器
KR101440580B1 (ko) 필터링 기능이 있는 광커넥터
RU2592729C2 (ru) Кабельная вилка в сборе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JP4163204B2 (ja) 光コネクタ
KR100970441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2014178617A (ja) 光コネクタ
JP2010128456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