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64B1 - 인도어 리빙 유닛 - Google Patents

인도어 리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164B1
KR102063164B1 KR1020190066403A KR20190066403A KR102063164B1 KR 102063164 B1 KR102063164 B1 KR 102063164B1 KR 1020190066403 A KR1020190066403 A KR 1020190066403A KR 20190066403 A KR20190066403 A KR 20190066403A KR 102063164 B1 KR102063164 B1 KR 10206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ptical cable
corner clip
living uni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음이
Priority to KR102019006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5Optical cables with longitudinally spaced waveguide cla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어 리빙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TTH(Fiiber To The Home)용으로 외부 광통신선로를 가정 및 사무실내로 인입시켜 광모듈에 접속을 위하여, 천정 바닥 및 벽면구조에 따라 다양하고 쉽게 선로 포설이 가능한 인도어 리빙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도어 리빙 유닛{INDOOR LIVING UNIT}
본 발명은 인도어 리빙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TTH(Fiiber To The Home)용으로 외부 광통신선로를 가정 및 사무실내로 인입시켜 광모듈에 접속을 위하여, 천정 바닥 및 벽면구조에 따라 다양하고 쉽게 선로 포설이 가능한 인도어 리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TTH(Fiber To The Home)는 '가정내 광케이블' 혹은 '댁내 광케이블'로 불리는 광섬유를 부설하는 가입자망을 가리키는 것으로, 2심 연동선(twisted pair copper wire)으로 되어 있는 현재의 전화 가입자선 대신에 각 가정에 개별적으로 광섬유를 부설하여 전화, 팩스, 데이터 및 텔레비전 영상까지 한 줄의 광케이블로 전송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가정까지 연결함으로써 기존 ADSL에 비해 100배 이상 빠르고 안정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초고속인터넷 통신망이 가입자 가정 직전까지 광선로로 전송된 뒤 가정까지는 구리선로로 연결되는데 반해 'FTTH'는 가입자 가정까지 광선로가 이어지는 방식으로 정보통신부는 '디지털 홈' 등을 위해 FTTH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FTTH의 가입자망으로서 광케이블이 옥내로 인입되어 해당하는 전자기기와 연결되기 전에 모뎀으로 연결된다. 이때 광케이블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각도이상으로 꺾어지지 않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옥내로 인입된 광케이블은 미관을 위하여 가능한 옥내의 가입자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천장이나 벽체 또는 바닥을 따라 배선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옥내에 배선되는 광케이블의 지지를 위하여 고정구, 예컨대 'ㄷ'자 형상의 고정용 못이나 덮개가 구비된 몰드나 덕트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광케이블은 실내의 여타 전선이나 광케이블 등과 같이 광케이블타이로 묶어 배선되거나 몰드 또는 덕트 등에 삽입되어 배선되곤 한다.
그러나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달하는 특성상 일정 각도이상으로 구부려지지 않는 것이 좋지만, 옥내의 다른 전선이나 광케이블 등과 같이 배선될 경우에 외적인 간섭에 의하여 광손실이나 통신상의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배선을 위한 광케이블타이나 몰드 또는 덕트 등을 이용할 경우에 광케이블타이나 몰드 또는 덕트 등의 크기나 형상에 의하여 옥내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더욱이 광케이블타이나 몰드 또는 덕트의 외부 색상이 천장이나 벽체의 색상과 일치하지 않아 실내에서는 더욱 두드러져 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댁내 광케이블의 배선을 위하여 광케이블타이나 몰드 또는 덕트 등을 사용할 경우에 배선을 위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배선작업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배선에 따른 소요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3733]에서는 옥내 광케이블 배선용 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3733](등록일자: 2009년03월0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FTTH(Fiiber To The Home)용으로 외부 광통신선로를 가정 및 사무실내로 인입시켜 광모듈에 접속을 위하여, 천정, 바닥 및 벽면구조에 따라 다양하고 쉽게 선로 포설이 가능한 인도어 리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은, 광통신선로를 실내에 포설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케이블(100);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100)을 실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미도시); 및 일측 제1바닥면(311)이 타측 제2바닥면(321)과 일정 각도로 꺾여 있으며,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이 실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되며, 모서리가 아닌 부분에 사용 시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분리형코너클립(300); 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상기 제1바닥면(311)이 하부에 형성된 제1바닥부(310); 상기 제1바닥부(310)와 일정 각도로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2바닥면(321)이 하부에 형성된 제2바닥부(320);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330); 상기 제1돌출부(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돌출부(33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340); 및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을 향해 분리홈(331, 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분리홈(331, 34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면(311, 321) 측으로 끼움홈(332, 3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끼움홈(332, 342)은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우며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가이드부(350)의 높이 보다 바닥면(311, 321)측으로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 사이로 삽입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고정돌기(333, 3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부(35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바닥면(311, 321)과 떨어진 상측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도어 리빙 유닛은 바닥면이 실내에 부착되고,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반경으로 가이드홈(401)이 형성된 안쪽코너클립(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홈(401)을 형성하는 벽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2고정돌기(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광케이블(100)을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 시, 상기 고정돌기(410)가 외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410) 주변에 형성된 돌기밀림홈(4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에 의하면,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분리형코너클립을 사용함으로써, 천정 및 벽면구조에 따라 바깥쪽 모서리, 안쪽 모서리 및 평평한 면 등에 부착하여 다양하고 쉽게 선로 포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형코너클립의 제1바닥부 및 제2바닥부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음으로써, 분리형코너클립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분리형코너클립에 분리홈이 형성됨으로써, 분리형코너클립의 분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형코너클립에 끼움홈이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배선 환경에서 광케이블이 교차되는 지점에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분리형코너클립에 끼움홈을 가이드부의 상측면 보다 깊게 형성함으로써, 끼움홈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을 돌출부 사이에 끼워진 광케이블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형코너클립에 제1고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분리형코너클립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가이드의 높이가 분리형코너클립의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광케이블이 급격하게 구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쪽코너클립을 더 포함함으로써, 실내 안쪽 모서리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급격하게 구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안쪽코너클립에 제2고정돌기(410)가 형성됨으로써, 안쪽코너클립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안쪽코너클립에 돌기밀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광케이블이 안쪽코너클립에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된 하나의 개채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로, 도 1의 분리형코너클립의 끼움홈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도 4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를 하단에 도시하고, 정면도를 A-A'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상단에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도 4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된 하나의 개채를 상단에 도시하고, 바닥면이 보이도록 저면도를 중단에 도시하며, 저면도를 B-B'로 절단한 단면도를 하단에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되되 광케이블을 좌우로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도록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도 7의 단면도 상에 실내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이 분리형코너클립의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도 12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3은 도 12를 바닥 면 측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만 사용하여 천정에 배선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 및 안쪽코너클립을 사용하여 천정에 배선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된 하나의 개채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로, 도 1의 분리형코너클립의 끼움홈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도 4의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를 하단에 도시하고, 정면도를 A-A'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상단에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분리형코너클립이 분리된 하나의 개채를 상단에 도시하고, 바닥면이 보이도록 저면도를 중단에 도시하며, 저면도를 B-B'로 절단한 단면도를 하단에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단면도 상에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되되 광케이블을 좌우로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도록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단면도 상에 실내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이 분리형코너클립의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2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를 바닥 면 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만 사용하여 천정에 배선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 및 안쪽코너클립을 사용하여 천정에 배선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은 광통신선로를 실내에 포설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에 있어서, 광케이블(100), 접착제(미도시) 및 분리형코너클립(300)을 포함한다.
광케이블(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광케이블(10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광케이블(100)을 포설하는 곳이 실내이고, 대부분이 내벽을 따라 포설되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심미성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케이블(100)은 유리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섬유로 만들어진 정보전달 매체로, 광통신(전기신호를 강한 빛과 약한 빛으로 변화시켜 전송하는 통신방식)에 쓰이는 직경 0.1mm 정도의 가느다란 유리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통신용으로 쓸 수 있도록 외피를 입힌 것이다. 본디 말은 광섬유케이블(OFC : optical fiber cable)이지만, 빛을 이용해 통신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보통은 광케이블이라고 부른다.
광섬유는 동축케이블보다 가볍고 가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대역폭이 기가급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구리선보다 1백억 배나 넓다.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면서도(이론상 빛의 속도) 전송오차는 1백억 분의 1에 불과해 고속 데이터 송수신과 높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또 전송 손실이 아주 낮고 수명은 반영구적이며, 빛을 이용해 정보를 보내기 때문에 전기적인 간섭을 받지 않고 네트워크 보안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00)의 외경은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광케이블은 외경이 4mm 이상이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케이블(100)은 실내에 포설하기 위한 것이고, 외부 충격 등의 위험이 적어 외피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으므로 1mm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은 0.9mm로 시제품을 자작하였다.
접착제(미도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100)을 실내에 접착시킨다.
상기 접착제(미도시)로는 에폭시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접착제는 에폭시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등과 기타 첨가제를 기본베이스로 하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이다.
에폭시수지는 경화 후의 기계적인특성이 뛰어난데다가 접착력이 강하고, 내열성, 전기절연특성이 뛰어나며, 상온에서 경화하고, 반응 시 부생성물이 없다.
1액 타입의 것과 주제와 경화제의 2가지 액을 접착할 때 섞어서 사용하는 2액타입 등이 있다.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일측 제1바닥면(311)이 타측 제2바닥면(321)과 일정 각도로 꺾여 있으며,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이 실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되며, 모서리가 아닌 부분에 사용 시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분리)하여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이 이루는 각도는 60~120 도 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사각 형태의 건축물에서는 90 도(직각) 형태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제1바닥부(310), 제2바닥부(320), 제1돌출부(330), 제2돌출부(340) 및 가이드부(350)를 포함한다.
제1바닥부(310)는 상기 제1바닥면(311)이 하부에 형성된다.
제2바닥부(320)는 상기 제1바닥부(310)와 일정(60~120 도) 각도로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2바닥면(321)이 하부에 형성된다.
바닥부(310, 320)는 바닥면(311, 321)이 하부에 형성되어 실내(벽면 등)에 부착되고, 상기 바닥부(310, 320)를 베이스로 절단(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310, 320)의 길이방향 양 측 끝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길이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제1돌출부(3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돌출부(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돌출부(33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는 광케이블(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광케이블(100)의 외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케이블(100)은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끼움결합 된다.
가이드부(350)는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을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부(350)는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 사이에 끼워진 광케이블(100)이 급격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바깥쪽 모서리에 사용 시 절단하지 않고 바깥쪽 모서리에 붙여 사용하면 상기 광케이블(1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곡률반경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6 및 도 14 참조)
또한,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안쪽 모서리 또는 평평한 면에 사용 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8 및 도 15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바닥부(310, 320) 간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있어, 돌출부(330, 340)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3을 예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분리형코너클립(300)을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을 중심으로 접고 펴는 것을 몇 번만 반복 수행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도 3과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을 향해 분리홈(331, 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리홈(331, 341)은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상기 분리홈(331, 34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30, 340)에서는 도 4에 "C"로 표시된 부분만 절단되면 상기 돌출부(330, 340)가 분리되어, 특정 부분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분리홈(331, 34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면(311, 321) 측으로 끼움홈(332, 3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332, 342)은 상기 돌출부(330, 340)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배선되는 광케이블(100)과 교차되는 광케이블(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잡한 배선 환경에서 광케이블(100)이 교차되는 지점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끼움홈(332, 342)은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우며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가이드부(350)의 높이 보다 바닥면(311, 321)측으로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의 H1 길이보다 H9 길이가 짧아지도록 끼움홈(332, 342)을 깊게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는, 상기 돌출부(330, 340)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배선되는 광케이블(100)과 교차되는 광케이블(100)을 고정시킬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돌출부(330, 340)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배선되는 광케이블(100)이 교차되는 광케이블(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 사이로 삽입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고정돌기(333, 3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돌기(333, 343)는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 사이로 삽입된 광케이블(100)이 상기 바닥면(311, 321) 반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제1고정돌기(333, 343)는 상기 돌출부(330, 340)에 배선되는 양 끝단에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되는 측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가이드부(35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바닥면(311, 321)과 떨어진 상측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를 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의 H1 길이보다 H2 길이가 짧아지고, H2 길이보다 H3 길이가 짧아지도록 가이드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 사이에 끼워진 광케이블(1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곡률반경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하기 위함이다.(도 6 참조)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부(350)의 바닥면(311, 321)과 떨어진 최상측 높이가 상기 돌출부(330, 340)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광케이블(100)이 급격하게 구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바닥부(310, 320)는 바닥면(311, 321) 중 돌출부(330, 340)가 형성된 사이 부분 중 일부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관통된 부분은 분리형코너클립(300)의 양측 끝단 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제1고정돌기(333, 343)를 밀어내는 힘에 대한 저항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10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분리형코너클립(300)이 받는 부하(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50)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광케이블 배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8과 같이 광케이블을 끼움결합 시키는 경우, 광케이블을 좌우로 잡아당기면 광케이블이 좌우로 이동되기 쉬우나,
도 9와 같이 광케이블을 끼움결합 시키는 경우, 광케이블을 좌우로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도록 끼움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과 같이 실내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이 분리형코너클립의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되도록 배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돌출부(330, 340)가 마주보는 바닥면(311, 321) 중 일부가 관통 형성된 부분측에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광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관통가이드돌기(334, 3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가이드돌기(334, 344)는 실내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이 분리형코너클립의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될 때,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의 끝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은 바닥면이 실내에 부착되고,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반경으로 가이드홈(401)이 형성된 안쪽코너클립(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01)은 광케이블(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광케이블(100)의 외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케이블(100)은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 된다.
상기 가이드홈(401)은 사이에 끼워진 광케이블(100)이 급격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바닥면이 부착될 경우, 안쪽 모서리를 향하는 부분이 일정 곡률반경으로 굴곡(라운드) 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외곽 형상이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정육면체 형상에서 안쪽 모서리를 향하는 부분이 일정 곡률반경으로 굴곡(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정육면체 형상에서 안쪽 모서리를 향하는 반대 측 부분이 깍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육면체 형상에서 광케이블(100)이 끼워지는 양 끝단 모서리 부분이 깍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실내 안쪽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400)은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홈(401)을 형성하는 벽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2고정돌기(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돌기(410)는 상기 가이드홈(401)에 삽입된 광케이블(100)이 바닥면 반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제2고정돌기(410)는 상기 가이드홈(401)에 배선되는 양 끝단에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곡률반경으로 굴곡(라운드)진 부분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400)은 광케이블(100)을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 시, 상기 제2고정돌기(410)가 외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정돌기(410) 주변에 형성된 돌기밀림홈(4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밀림홈(402)은 상기 가이드홈(401)에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제2고정돌기(410)를 밀어내는 힘에 대한 저항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벽면 형상에는 구비되지 않더라도, 일정 두께 이상의 벽면을 형성하는 구간에는 돌기밀림홈(402)이 형성되어 광케이블(10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안쪽코너클립(400)이 받는 부하(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400)은 상기 제2고정돌기(410)가 형성된 하부 바닥면 중 일부가 관통 형성된 보강홀(40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제2고정돌기(410)를 밀어내는 힘에 대한 저항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광케이블(10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안쪽코너클립(400)이 받는 부하(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안쪽코너클립(400)은 바닥면 중 가이드홈(401)이 형성되지 않은 지점 일부가 광케이블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수직끼움홀(4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끼움홀(404)은 실내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이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의 바닥 측에서 끼움결합되도록 배선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벽면을 관통한 광케이블(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300), 안쪽코너클립(400) 또는 분리형코너클립(300) 및 안쪽코너클립(400)은 바닥면에 양면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분리형코너클립(300), 안쪽코너클립(400) 또는 분리형코너클립(300) 및 안쪽코너클립(400)을 벽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벽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에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도어 리빙 유닛의 분리형코너클립(300), 안쪽코너클립(400)에 부착되는 절단되는 바닥면의 절단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 미리 잘라져 있거나, 자르기 용이하도록 일정 부분만 절단된 테이프 절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광케이블
300: 분리형코너클립
311: 제1바닥면 321: 제2바닥면
310: 제1바닥부 320: 제2바닥부
330: 제1돌출부 340: 제2돌출부
350: 가이드부
331, 341: 분리홈
332, 342: 끼움홈
333, 343: 제1고정돌기
400: 안쪽코너클립
401: 가이드홈 402: 돌기밀림홈
403: 보강홀 404: 수직끼움홀
410: 제2고정돌기

Claims (10)

  1. 광통신선로를 실내에 포설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케이블(100);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100)을 실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미도시); 및
    일측 제1바닥면(311)이 타측 제2바닥면(321)과 일정 각도로 꺾여 있으며,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이 실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되며, 모서리가 아닌 부분에 사용 시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분리형코너클립(300);
    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상기 제1바닥면(311)이 하부에 형성된 제1바닥부(310);
    상기 제1바닥부(310)와 일정 각도로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2바닥면(321)이 하부에 형성된 제2바닥부(320);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330);
    상기 제1돌출부(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돌출부(33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340); 및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부(35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을 향해 분리홈(331, 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분리홈(331, 34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바닥면(311, 321) 측으로 끼움홈(332, 3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332, 342)은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우며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가이드부(350)의 높이 보다 바닥면(311, 321)측으로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는
    상기 제1돌출부(330) 및 제2돌출부(340) 사이로 삽입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고정돌기(333, 3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50)는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가 마주보는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바닥면(311, 321)과 떨어진 상측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8. 삭제
  9. 삭제
  10. 광통신선로를 실내에 포설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케이블(100);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광케이블(100)을 실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미도시);
    일측 제1바닥면(311)이 타측 제2바닥면(321)과 일정 각도로 꺾여 있으며,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이 실내에 부착되고,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되며, 모서리가 아닌 부분에 사용 시 상기 제1바닥면(311)과 제2바닥면(321)을 베이스로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분리형코너클립(300); 및
    바닥면이 실내에 부착되고, 광케이블(100)의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끼워진 부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곡률반경으로 가이드홈(401)이 형성된 안쪽코너클립(400);
    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코너클립(300)은
    상기 제1바닥면(311)이 하부에 형성된 제1바닥부(310);
    상기 제1바닥부(310)와 일정 각도로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2바닥면(321)이 하부에 형성된 제2바닥부(320);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330);
    상기 제1돌출부(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돌출부(33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바닥부(310) 및 제2바닥부(32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340); 및
    바닥면(311, 3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부(330)와 제2돌출부(340)의 마주보는 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부(35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된 광케이블(100)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홈(401)을 형성하는 벽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2고정돌기(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쪽코너클립(400)은
    광케이블(100)을 상기 가이드홈(401)에 끼움결합 시, 상기 제2고정돌기(410)가 외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정돌기(410) 주변에 형성된 돌기밀림홈(4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어 리빙 유닛.
KR1020190066403A 2019-06-05 2019-06-05 인도어 리빙 유닛 KR10206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03A KR102063164B1 (ko) 2019-06-05 2019-06-05 인도어 리빙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03A KR102063164B1 (ko) 2019-06-05 2019-06-05 인도어 리빙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164B1 true KR102063164B1 (ko) 2020-01-07

Family

ID=6915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03A KR102063164B1 (ko) 2019-06-05 2019-06-05 인도어 리빙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1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0647A (ja) * 2001-03-16 2002-12-04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収容・展開キャニスター
KR200443733Y1 (ko) 2007-03-20 2009-03-11 주식회사 하이텔네트웍스 옥내 광케이블 배선용 가이드
KR20130057524A (ko) * 2011-11-24 2013-06-03 옥윤선 전선보호관
KR20150002548U (ko) * 2013-12-20 2015-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80056439A (ko) * 2016-11-18 2018-05-29 일신광통신 (주) 광케이블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0647A (ja) * 2001-03-16 2002-12-04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収容・展開キャニスター
KR200443733Y1 (ko) 2007-03-20 2009-03-11 주식회사 하이텔네트웍스 옥내 광케이블 배선용 가이드
KR20130057524A (ko) * 2011-11-24 2013-06-03 옥윤선 전선보호관
KR20150002548U (ko) * 2013-12-20 2015-07-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20180056439A (ko) * 2016-11-18 2018-05-29 일신광통신 (주) 광케이블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2140A1 (en) Mpo connector assembly with push-pull tab
BRPI1010442A2 (pt) placas adaptadoras de fibra àtica com adaptadores de fibra àtica integrados
JP2005510027A5 (ko)
US20190004272A1 (en) Cable breakout assembly
CN103713363A (zh) Usb 3.0型光纤连接器连接组件
KR102063164B1 (ko) 인도어 리빙 유닛
EP2631691A1 (en) Optical fiber terminal, optical fiber cable with terminal, optical connector,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EP2764388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fiber-optic cables and assemblies using same
CN204496050U (zh) 一种hdmi1.4型光电混合连接器连接组件
CN201886173U (zh) 一种光纤快速连接器
US8425127B2 (en)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US1190679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crimp tube subassembly and method of use
AU2009355779B2 (en) Bend manager for on-wall installation of optical fiber units
CA2844971C (en) Fiber optic cable strength member bracket
JP4388006B2 (ja) 光ケーブル
KR100988473B1 (ko) 광섬유 케이블 접속장치
CN214253917U (zh) 一种抗拉防水光电复合电缆
KR200260350Y1 (ko) 다심광커넥터 보호 지지판
KR102024730B1 (ko) 인장력 강화 소프트 부트
CN221080471U (en) Plug bending and shaping structure and net wire with same
CN220064451U (zh) 一种带有快接结构的光缆结构
KR100883227B1 (ko) 광섬유 케이블 접속유닛 그립장치
KR100951651B1 (ko) 광 컨넥터와 광섬유 케이블 그립장치
CN201689201U (zh) 光纤接续插座面板
US20210109292A1 (en) Fiber array assembly using a fixing material for securing fiber optic bundles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