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36B1 -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36B1
KR100987136B1 KR1020080060811A KR20080060811A KR100987136B1 KR 100987136 B1 KR100987136 B1 KR 100987136B1 KR 1020080060811 A KR1020080060811 A KR 1020080060811A KR 20080060811 A KR20080060811 A KR 20080060811A KR 100987136 B1 KR100987136 B1 KR 10098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anofibers
nanofiber layer
functional wallpaper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060A (ko
Inventor
박종철
송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북
Priority to KR102008006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표면지;와 표면지 위에 형성되고, 탄소화 처리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이 때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의 내부와 표면에는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된다. 이러한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이 전도성을 가지므로 전자파 차단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 및 표면지 위에 형성되고, 탄소화 처리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의 내부와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벽지, 탄소나노섬유, 전기방사, 카본나노튜브, 탄소화 처리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Nano-fiber wallpaper with carbon nano tube}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층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면지와, 표면지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는 탄소화 처리되고,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주거공간의 미관을 위한 디자인적인 일차적 기능과 이에 부가된 항균, 탈취, 공기정화, 전자파 방지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생활 자재이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반한 벽지를 일반적으로 기능성 벽지라고 부르고,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이 개발되어 있다. 실내의 주거공간에는 텔레비전과 같은 생활가전제품에서 발생한 전자파나, 무선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처의 기지국에서 송신된 강한 전자파들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전자파는 인체의 생체리듬을 파괴하고 심한 경우 질병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주택의 가까운 곳에 고전압선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심각성이 더욱 문제된다. 또한 전자파의 전형적인 문제점은 아니지만, 외부인에 의한 도청이 사생활 침해문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도 청은 실내의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한 소리를 전기적으로 신호화하여 이를 전자파 형태로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내와 외부로의 전자파 전달을 차단시키면 외부에서의 도청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선행기술인 공개특허 제2001-0073355호는 도전성 도료를 사용하거나 도전성 재료가 혼합된 종이를 사용하거나 종이 사이에 메쉬(mesh) 형태의 도전체를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벽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전도성 도료를 별도로 코팅할 경우 도배 시에 추가적인 인적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도전성 재료를 종이에 혼합하여 벽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혼합된 금속분말이 종이에서 분리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거나 도체 세선조각이 날카로워 인체에 상해를 입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메쉬(mesh) 형태의 도전체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벽지의 제조과정에서 별도로 도전체 메쉬를 제조하고 이를 종이와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는 섬유 직경의 평균 직경이 50 내지 1,000 ㎚가 되는 섬유를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될 수 있는 나노섬유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나노섬유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방사 용액 또는 방사 용융물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나노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경우와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전기방사장치는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용액 이 공급되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컬렉터가 설치되고, 그 사이의 방사공간에 수십 kV의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용액을 방사시켜, 신장되고 일정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나노섬유를 제조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방사노즐이 위쪽에 위치하고 컬렉터가 아래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방사용액을 보관하는 방사용액 탱크(미도시)와 방사용액의 일정한 공급을 위한 계량펌퍼(미도시)와 방사용액을 토출하는 다수개의 방사노즐(101)이 배열된 노즐블록(102)과 상기 노즐 아래에 위치하여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103) 및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장치(미도시)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에서는 방사노즐(101)을 통한 정량적인 방사용액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방사용액은 고전압이 인가된 컬렉터(103) 방향으로 방사되어 기재(104) 위에 나노섬유(105)가 형성된다. 전기방사장치는 노즐의 구조, 방사용액의 공급방법, 방사공간의 구성, 인가된 고전압의 범위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 인자에 의하여 나노섬유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b에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에서의, 방사용액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하는 드롭넷(droplet) 현상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조적인 특징만을 살피면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수직방향으로 반대로 배치한 구조와 대체로 일치한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한 자세 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기방사장치로 제조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는 탄소화 처리되고,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는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폐시키고, 도청이나 감청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화 처리되고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층을 가지는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나노섬유층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파 차단효과가 있는 기능성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 및 표면지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는 내부와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이 탄소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 위에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의 두께가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와 나노섬유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의 외부로 노출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이 클리닝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탄소나노튜브가 0.01 내지 50 중량%로 나노섬유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탄소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과 보호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제2 접착층이 나노섬유층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는 탄소화 처리되고 탄노나노튜브를 포함한다.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전도성이 매우 뛰어난 재료이며, 탄소화 처리된 나노섬유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나노섬유층 자체가 전기전도성을 가진 쉬트(sheet)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쉬트(sheet)가 실내의 벽이나 천정에 도배됨으로써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를 사용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 파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에서 외부로의 전자파 전달을 방해하여 외부인에 의한 도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표면지란 나노섬유가 코팅될 수 있는 벽지의 기재를 의미한다. 표면지는 건물의 벽에 직접 접착되거나 초배지 위에 접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초배지와 결합한 형태의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표면지의 재질은 종이, 섬유, 고분자 수지와 같이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고, 문언적 의미로서의 종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노섬유란 통상적 의미로서 나노미터 단위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섬유의 직경이 50 내지 1000㎚인 섬유를 의미한다. 나노섬유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글리콜라이드/L-락티드)공중합체, 폴리(L-락티드)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복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를 구성하는 나노섬유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수지(201)로 이루어진 나노섬유는 탄소나노튜브(202)를 포함한다. 탄소나노튜브(202)는 나노섬유의 내부와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잘 표현되어 있지 않을 수 있지만 개개의 탄소나노튜브(202) 입자들은 이웃한 입자와 일부 표면을 접촉할 정도의 밀도로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나노섬유는 층을 이루어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고,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개개의 섬유에 포함된 탄소나노튜브 입자들도 일부는 서로 접촉을 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 입자가 하나의 섬유가닥 내에서 접촉을 유지하거나 또는 다른 섬유가닥에 포함되는 탄소나노튜브가 서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은 나노섬유층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과 관련된다. 비록 모든 탄소나노튜브 입자가 접촉을 유지하지는 않더라도 일정 비율 이상이 접촉을 유지하여야 나노섬유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나노섬유층 전체가 전도성을 나타내지 않고 일부가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탄소나노튜브에 의한 전자파 차단이나 오염물질 흡착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층은 0.01 내지 50 중량%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노섬유층의 조직이 치밀한 것이 탄소나노튜브 입자들의 접촉비율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므로, 나노섬유를 전기방사에 의하여 형성한 후 열압착 공정을 통하여 나노섬유층을 압착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압착 공정은 고분자 수지가 성형될 수 있는 온도 이상에서 진행하면 충분하다. 다만 후술될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될 내용이지만, 나노섬유가 탄소화 처리공정을 거친 경우에는 나노섬유 자체로 전기 전도성을 가지므로 나노섬유에 분산되는 탄소나노튜브의 비율과 상관없이 나노섬유층이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202)가 포함된 나노섬유는 전기방사로 제조된 후 별도의 처리공정 없이 기능성 벽지에 사용될 수도 있으나, 외부로 노출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오염시킨 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염은 주로 벽지의 제조과정에서 공기 중에 존재하던 오일류의 물질에 의하여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오염물질의 제거과정은 진공 체임버(chamber)에서의 산소 플라즈마에 의한 표면 세정공정이나, 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 표면 세정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의 제거과정은 벽지의 다양한 제조방법에 따라, 전기방사로 나노섬유를 제조한 직후 이루어질 수도 있고, 표면지에 나노섬유층을 형성한 후의 최종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과정은 오염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오염되지 않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흡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클리닝 처리는 나노섬유층에 탄소나노튜브 외에 광촉매 물질이나 은나노 입자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께 포함된 경우에 기능성 물질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필요한 공정이다.
도 2b는 도 2a의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고분자 수지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고, 고분자 용액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이 때 고분자 수지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선택될 수 있고, 용매는 전기방사 조건에 따라 물, 에탄올, 초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이 선택되거나 이들의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 동소체로서 하나의 탄소원자가 다른 탄소원 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다. 튜브의 직경은 나노미터 수준으로 매우 작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더불어 은과 비슷할 정도의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아크 방전법(arc discharge), 레이저 기화법(laser evaporation),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합성법(plasma) 등과 같은 공지된 합성방법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사용액은 이렇게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입자로 분쇄하여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방사용액의 제조에 이어서 전기방사에 의하여 나노섬유가 형성된다. 전기방사는 방사용액의 공급속도 조절, 방사공간의 설계, 방사전압의 설정과 같은 다양한 인자의 조절에 의하여 나노섬유의 직경이나 나노섬유층의 두께와 같은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전기방사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층은 선택적으로 후처리될 수 있다. 후처리 공정은 클리닝 처리 또는 탄소화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리닝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소화 처리과정은 고분자 수지의 섬유를 내염화 처리, 탄소화 처리 및 흑연화 처리하여 이루어진다. 탄소섬유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고분자 수지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예로 들어 탄소화 처리과정의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염화 처리는 섬유를 산소 분위기에서 200 내지 300℃ 정도의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섬유의 내열성을 증가시킨다. 탄소화 처리는 섬유를 아르곤(Ar)과 같은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1500℃까지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데,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섬유에서 탈수소화를 일으키는 과정이고 탄소화 처리후에는 섬유의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강도가 증가한다. 흑연화 처리는 섬유 를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3000℃까지 열처리하는 과정이다. 다만 상기 탄소화 처리과정을 이루는 내염화, 탄소화 및 흑연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제외시킬 수 있으며, 이는 탄소화 처리과정 후의 나노섬유의 전기 전도도와 전자파 차단의 위해 필요한 전기 전도도를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탄소화 처리과정을 거친 나노섬유는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료로 변화되고, 이러한 나노섬유는 전기 전도도를 가지게 되므로 탄소나노튜브에 의한 전기 전도도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표면지(301) 위에 제1 접착층(303)이 형성되고, 제1 접착층(303) 위에 나노섬유층(302)이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벽지이다. 제1 접착층(303)과 나노섬유층(302)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접착제 내부에 나노섬유의 일부가 침투하여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일정 비율의 나노섬유는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구조이다.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제조공정의 안정성, 즉 나노섬유층 두께의 균일도 확보와 같은 인자를 고려하면 통상적으로 나노섬유의 두께는 수 내지 수백 미크론인 것이 일반적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이다. 따라서 제1 접착층의 두께는 이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접착층의 두께만큼 나노섬유의 모든 부분이 제1 접착층에 파묻히는 것은 아니므로, 접착제의 점도나 종류를 조절하여 제1 접착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도 앞에서 설명한 적절한 결합구조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는 표면지(301) 위에 제1 접착층(303)과 나노섬유층(302)이 형성되고, 나노섬유층(302) 위에 제2 접착층(304)과 보호층(305)이 형성된 기능성 벽지이다. 제2 접착층(304) 위에 형성된 보호층(305)은 외부의 충격으로 나노섬유가 벽지로부터 떨어져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나노섬유의 직경은 50 ~ 1000㎚로 매우 가늘고, 부직포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쉽게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305)은 상기 오염물질이 나노섬유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보호층(305) 또한 섬유재질일 수 있으나 나노섬유와 같이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은 아니므로, 오염의 정도도 덜하고 오염물질의 제거도 용이할 것이다. 상기 보호층(305)이 나노섬유층(302)과 결합하기 위하여 제2 접착층(304)이 사용된다. 제2 접착층(304)은 나노섬유층(302) 위에 메쉬(mesh) 형태나 도트(dot) 형태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나노미터 단위의 직경을 가져 표면적이 매우 넓은 나노섬유에 포함된 탄소나노튜브 입자가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물질과 같은 독성 물질을 흡착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제 2접착층(304)이 나소섬유층(302) 위의 전면에 형성되면 이러한 공기 정화 기능이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나노섬유에 탄소나노튜브 입자 외에 광촉매 물질이나 은나노 입자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께 포함된 경우에도 이러한 기능성 물질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 2접착층(304)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a는 하향식 전기방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상향식 전기방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를 이루는 나노섬유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를 이루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표면지, 및
    표면지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는 내부와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되며,
    상기 나노섬유층 위에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탄소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두께가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5. 표면지, 및
    표면지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나노섬유는 내부와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되며,
    상기 표면지와 나노섬유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나노섬유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이 클리닝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01 내지 50 중량%로 나노섬유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소화 처리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탄소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과 보호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나노섬유층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KR1020080060811A 2008-06-26 2008-06-26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KR10098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11A KR100987136B1 (ko) 2008-06-26 2008-06-26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11A KR100987136B1 (ko) 2008-06-26 2008-06-26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60A KR20100001060A (ko) 2010-01-06
KR100987136B1 true KR100987136B1 (ko) 2010-10-11

Family

ID=4181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811A KR100987136B1 (ko) 2008-06-26 2008-06-26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08B1 (ko) * 2010-08-12 2012-04-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스텔스 기능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7577B1 (ko) * 2011-01-24 2013-06-21 주식회사 동남케미칼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벽지
CN108744297B (zh) * 2018-07-06 2020-02-07 江西克莱威纳米碳材料有限公司 一种远红外纸及其制备方法和一种芳纶远红外理疗电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04A (ko) * 2003-04-28 2004-11-16 김찬 전기방사에 의한 튜브상 탄소나노섬유의 제조
JP2005035198A (ja) * 2003-07-16 2005-02-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壁紙用光触媒付きフィルム乃至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04A (ko) * 2003-04-28 2004-11-16 김찬 전기방사에 의한 튜브상 탄소나노섬유의 제조
JP2005035198A (ja) * 2003-07-16 2005-02-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壁紙用光触媒付きフィルム乃至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60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91785A1 (ja) 触媒担持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3590B1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방진망
TWI326723B (ko)
Yang et al. Electrospun polymer composite membrane with superior thermal stability and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for high-efficiency PM2. 5 capture
KR100843191B1 (ko)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537105B (zh) 一种多孔中空纤维导电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10005990A1 (en) Filter
KR100631844B1 (ko) 탄소섬유웹구조를 갖는 전계방출형 에미터전극 및 그제조방법
KR101309074B1 (ko) 탄소나노섬유 스트랜드의 제조방법
JP2011523981A (ja) 多孔質および非多孔質ナノ構造ならびにその応用
JP2011523981A5 (ko)
WO2013071065A1 (en) Nanostructured polymer-inorganic fiber media
KR100987136B1 (ko)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CN107109733B (zh) 带电无纺布及使用其的过滤材料、带电无纺布的制造方法
JP2008100864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1123B1 (ko) Pvdf 나노섬유층과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결합된 플렉서블 나노구조 광촉매 및 그 제조방법
JP2009519120A (ja) ろ過特性基板にナノ繊維を備えるろ過セパレーターの製造方法
CN105709502A (zh) 一种防静电夹心净化材料
CA2391015C (en) Porous media for dissipating electrical charge
JP2006069141A (ja) 複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6352A (ja) チタニア繊維およびチタニア繊維の製造方法
KR100635136B1 (ko) 기능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필터의 제조방법
KR100987134B1 (ko)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나노섬유 벽지
KR102044030B1 (ko)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Sundaray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fibers of poly (methyl methacrylate)-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